KR200407074Y1 -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 Google Patents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074Y1
KR200407074Y1 KR2020050031704U KR20050031704U KR200407074Y1 KR 200407074 Y1 KR200407074 Y1 KR 200407074Y1 KR 2020050031704 U KR2020050031704 U KR 2020050031704U KR 20050031704 U KR20050031704 U KR 20050031704U KR 200407074 Y1 KR200407074 Y1 KR 200407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building
plate
connection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일수
Original Assignee
채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일수 filed Critical 채일수
Priority to KR2020050031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 단부에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각파이프를 이용한 건축물의 조립시 조립수단이 견고할 뿐 아니라 보조기둥의 용도는 물론 사각파이프만으로도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파이프(10)의 양측 단부에 구성된 측판(11)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앞뒷판(12)(13)을 가압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절첩구성되게 하므로서 앞뒷판(12)(13) 사이에 측판(11)이 절첩되어 보강절첩부(11')가 구성되게 한 압착연결판(20)을 구성하고, 상기 압착연결판(20)에 체결공(21)을 뚫어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CONSTRUCTION SQUARE PIPE WITH ASSEMBLY-CONNECTING MEANS}
도 1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사각파이프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 타실시예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 타실시예의 측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6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 : 본 고안 조립부의 사시도
도 9 : 본 고안 조립부의 평면구성도
도 10 : 본 고안을 이용한 조립건축물의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사각파이프 (11)--측판
(11')--보강절첩부 (12)--앞판
(13)--뒷판 (14)--경사면
(15)--내향절첩부 (20)--압착연결판
(21)--체결공
본 고안은 양측 단부에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각파이프를 이용한 건축물의 조립시 조립수단이 견고할 뿐 아니라 용이하며, 동시에 보조기둥의 용도는 물론 사각파이프만으로도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사각파이프를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에 대하여서는 본 고안자가 특허출원 제2005-84738호로 선출원한 것이 있다.
상기 선출원특허의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H빔이나 용접형강, P.E.B.시스템(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사각골조 등으로 주기둥 혹은 보조기둥을 설치하되, 주기둥 및 보조기둥 일측에 고정편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편 상에 사각파이프를 신속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사각파이프를 주기둥 또는 보조기둥에 용접구성된 고정편 상에 신속용이하게 체결고정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사각파이프의 연결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여 일측 본체가 개방되게 하되, 개방된 일측 본체 상에 체결공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한 상태의 사각파이프를 주기둥이나 보조기둥 일측에 용접된 고정편 상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거나, 사각파이프의 본체 상에 확개공과 체결공을 뚫은 다음 상기 사각파이프를 주기둥이나 보조기둥에 고정된 고정편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사각파이프 조립구조는 종래 사각파이프의 조립구조인 사각파이프 일측에 마감판과 연결판을 용접구성하고, 상기 연결판을 주기둥이나 보조기둥에 용접구성된 연결판 상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게 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사각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마감판과 연결판을 용접할 필요성이 없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나 인력이 낭비되는 단점을 해결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취약점도 있는 것이었다.
즉 주기둥이나 보조기둥에 연결설치되는 사각파이프는 사각면의 본체 중 일측면을 통하여 주기둥이나 보조기둥에 용접 구성된 고정편 상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연결부위의 견고한 조립에는 다소 취약한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사각파이프만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에는 문제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사각파이프 양측 단부에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주기둥이나 보조기둥 일측에 견고하면서 신속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사각파이프만으로도 견고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사각파이프 양단부에 측판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앞뒷판을 압착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절첩되면서 납작한 압착연결판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압착연결판에 체결공을 뚫어 구성하여서 된 것 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상의 사각파이프(10')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상태의 사각파이프(10') 양측 단부에 압착연결판(20)이 구성되게 한 상태의 사각파이프(10)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사각파이프(10)는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사각파이프의 구조와 같이 일측 단부를 절삭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각파이프(10)의 양측 단부에 압착연결판(20)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사각파이프(1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사각파이프(10') 단부에 구성된 양측판(11)의 중앙부를 내측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앞판(12)과 뒷판(13)을 가압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절첩되게 하되, 앞뒷판(12)(13) 사이에 양측판(11)이 절첩되어 보강절첩부(11')가 구성되게 하므로서 사각파이프(10) 양측 단부에 압착연결판(20)이 구성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10) 양측 단부에 구성된 측판(11)을 가압함과 동시에 앞뒷판(12)(13)을 가압하여 앞뒷판(12)(13) 사이에 측판(11)이 절첩된 보강절첩부(11')가 구성되게 한 압착연결판(20)이 형성되게 하면 앞뒷판(12)(13)과 압착연결판(12)(13) 사이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고, 측판(11)과 압착연결판(20) 사이에는 내향절첩부(15)가 구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10) 양측 단부에 압착연결판(20)의 성형이 완료되면 압착연결판(20)에는 체결공(21)을 뚫어 구성하므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축용 사각파이프(10)의 제작이 완료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압착연결판(20)에 뚫리는 체결공(21)의 숫자나 위치 및 방향은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10)가 사용되는 최종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임의로 뚫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각파이프(10) 단부에 구성되는 압착연결판(10)은 도 2에서와 같이 양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단부에 구성된 압착연결판(10)이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압착연결판(20)을 외측방향으로 절곡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축용 사각파이프(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파이프(10)의 규격은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다시 설명하면 사각파이프(10)가 사용되는 용도가 건축물의 주기둥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대체로 두께가 두껍고 크기가 큰 형태의 사각파이프를 사용하면 되고, 보조기둥이나 연결용 바로 사용될 경우에는 주기둥으로 사용되는 사각파이프보다 두께나 크기에서 작아도 무방하다.
미설명부호 (30)--고정브라켓, (31)--연결브라켓, (31)--체결볼트, (33)--체결너트, (34)--체결편, (35)--고정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축용 사각파이프(10)는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 함에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사각파이프(10)만을 이용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30) 상에 사각파이프(10)에 구성된 일측 압착연결판(20)을 위치시켜 압착연결판(20)에 구성된 체결공(21)과 고정브라켓(30)에 구성된 고정공(35)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볼트(32)와 체결너트(33)로 체결하여 사각파이프(10)가 고정브라켓(30)에 의해 직립고정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10)가 고정브라켓(30)을 통하여 바닥 상에 직립설치되면 사각파이프(10)의 상단에 위치한 압착연결판(20) 상에 연결브라켓(31)을 위치시킨 다음 볼트(32)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연결브라켓(31)에 또다른 사각파이프(10)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조립식 건축물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각파이프(10) 측면에 또다른 사각파이프(1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체결편(3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직립구성된 사각파이프(10) 측부에 체결편(30)을 먼저 고정설치하고, 상기 체결편(30)에 또다른 사각파이프(10)에 구성된 압착연결판(20)을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32)와 체결너트(33)로 신속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사각파이프(10)는 종래 조립식 건축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H빔이나 용접형강, P.E.B.시스템등에도 보조기둥이나 연결바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사각파이프(10)는 양측단부에 구성된 압착연결판(20)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연결부위의 견고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사각파이프(10)의 양측단부에 구성된 압착연결판(20)은 절곡된 앞판(12)과 뒷판(13) 사이에 양측판(11)이 절곡된 보강절첩부(11')가 위치하여 사각파이프(10)를 구성하는 철판의 4장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견고성을 그만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10)에 구성된 일측 압착연결판(20)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할 경우에는 경사지게 연결구성되는 사각파이프나 보조기둥에 신속용이하면서 견고한 체결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되는 사각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파이프 양측 단부에 앞뒷판과 양측판이 일체형으로 가압절첩된 압착연결판을 구성하고, 상기 압착연결판에 체결공을 뚫어 구성한 사각파이프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사용토록 하므로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체결부 위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증진시켜 건축물의 견고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되는 사각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파이프(10)의 양측단부에 구성된 측판(11)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앞뒷판(12)(13)을 가압하여 이들이 납작하게 절첩구성되게 하므로서 앞뒷판(12)(13) 사이에 보강절첩부(11')가 구성되게 한 압착연결판(20)을 구성하고, 상기 압착연결판(20)에 체결공(21)을 뚫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압착연결판(20)과 앞뒷판(12)(13) 사이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게 하고, 압착연결판(20)과 측판(11) 사이에는 내향절첩부(15)가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KR2020050031704U 2005-11-09 2005-11-09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KR200407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04U KR200407074Y1 (ko) 2005-11-09 2005-11-09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04U KR200407074Y1 (ko) 2005-11-09 2005-11-09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729A Division KR100637832B1 (ko) 2005-11-09 2005-11-09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074Y1 true KR200407074Y1 (ko) 2006-01-23

Family

ID=4175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04U KR200407074Y1 (ko) 2005-11-09 2005-11-09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0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3579B1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
KR100637832B1 (ko)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JP2005139623A (ja) 補強梁およびその補強梁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KR101492009B1 (ko)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200407074Y1 (ko) 조립연결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사각파이프
JP4625528B2 (ja) 建物の単位構造部材と該単位構造部材を用いた床構造
JP2010019000A (ja) ホールダウン金物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20060071525A (ko) 보 이음용 절곡판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
JP2007032211A (ja) 間口寸法拡張可能なアーチ状建築構造体
KR101506481B1 (ko)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구조물용 사각파이프
JP2004257111A (ja) ユニットハウス構造
KR100912552B1 (ko) 조립식 연결구조물의 건축용 삼각파이프
JP4057797B2 (ja) 角形鋼接合用の変形防止金物とフレームの組立て方法。
JP2009030321A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JP3919938B2 (ja) 壁構造
JP3974146B2 (ja) リブフレーム構造体の製作方法及びリブフレーム構造体
JP4696936B2 (ja) 柱梁接合構造
JP2001279810A (ja) ハンチ梁用打込型枠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3571913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梁と梁の接合構造、建物ユニット、ユニット建物及び建物
JP2004232440A (ja) 鋼製構造材用接合具
JP2008008145A (ja) 角形鋼接合用の変形防止金物
JP4088579B2 (ja) 木造建築部材の連結金具
JP4357444B2 (ja) 薄肉鋼材製梁
JP6534878B2 (ja) 建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