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503Y1 - 화물차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503Y1
KR200406503Y1 KR2020050031451U KR20050031451U KR200406503Y1 KR 200406503 Y1 KR200406503 Y1 KR 200406503Y1 KR 2020050031451 U KR2020050031451 U KR 2020050031451U KR 20050031451 U KR20050031451 U KR 20050031451U KR 200406503 Y1 KR200406503 Y1 KR 200406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guide rail
sliding guid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모
Original Assignee
정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모 filed Critical 정선모
Priority to KR2020050031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프레임에 장착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적재함에 관한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은, 회동부재가 구비된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대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수납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레일 및 상기 회동부재의 이탈방지턱이 내측 상부에 부설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 우측, 후방의 3면중 적어도 1면에 착설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은 수납되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이 설착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턱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이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일단부에 융설되게 된다.
화물차, 도어, 슬라이드, 가이드레일, 회동부재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 { loading case for truck }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바닥부의 분리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30 : 도어
100 : 바닥부 101 : 제 1 바닥판
102 : 걸림턱 103: 제 2 바닥판
104: 가이드홈 105: 제 3 바닥판
110 :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130 : 이탈 방지턱
200 : 탄성스프링 310 : 회동부재
311 : 힌지 313 : 플래이트부
315 : 제동부재 330 : 개폐용 연장바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면 및 후면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슬라이드 되어 수납되는 하우징과 슬라이드판이 포함되는 바닥판이 구비되는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하우징을 구비하는 화물차의 경우, 후면 또는 측면만이 도어에 의하여 개방되어 공간 활용이 충분히 되지 않았으며,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도어가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지 않고 하우징의 상부에 힌지로 체결된 도어가 개방되어진 상태로 있는 경우, 도어를 수평으로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가 별도로 필요로 하였으며, 안전상의 염려도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가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게 하여 별도의 도어 지지대가 필요없고 안전한 화물차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부가 일정 거리 슬라이딩 되어 돌출되게 함으로써 차량이 일정 장소에 정차 하였을때 보다 넓은 바닥 공간을 확보케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은, 회동부재가 구비된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대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수납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레일 및 상기 회동부재의 이탈방지턱이 내측 상부에 부설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 우측, 후방의 3면중 적어도 1면에 착설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은 수납되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이 설착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턱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이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일단부에 융설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도어의 가이드 회동부재는 바퀴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일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호형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체의 일단이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착하고, 상기 각 탄성체의 타단은 도어와 대향되는 하우징 내면에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함의 외관으로서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인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과 이탈방지턱 및 도어에 구비된 회동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좌 우측면 및 후면중 적어도 일면에 도어(30)가 부설되도록 하되, 좌 우측면 및 후면모두에 도어(30)가 부설되는 경우, 하우징(10)의 내부의 상측에는 각 도어(30)를 수납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이 각 도어(30)의 개폐 방향에 따라 3층으로 형성되어 있되, 슬라이딩 가이드레일(110)은 각 도어(30)의 양측면의 일부가 설착되도록 형성되며, 각 도어(30)에 구비되는 회동부재(310)는 슬라이딩 가이드레일(110)에 삽입되도록 부설되어 있으며, 회동부재(310)는 하우징(10)의 이탈 방지턱(130)에 의하여 도어(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탈 방지턱(130)은 하우징(10)의 내측에 수납되는 도어(30)의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의 하우징 개방부를 향하는 일단부에 형성되게 된다.
각 도어(30)에는 회동부재(310)가 구비되며, 회동부재(310)는 도어(30)의 개폐시에 회동축 또는 힌지 역할을 하고, 수평 또는 일정각도로 개방된 후에 하우징(10)으로 슬라이드되어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
회동부재(310)는 도어의 상부와 힌지 체결되는 플래이트 형상일 수 있는바, 플래이트 형상의 회동부재인 경우, 회동부재(310)의 플래이트부(313)는 하우징 내부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상에 위치하고 있게 되며, 도어가 힌지(311)에 의하여 개방된 후, 도어를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플래이트부(313)는 도어와 동일한 폭을 가지되, 상기 플래이트부(313)의 양 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110)에 착설되어 슬라이드 되다가 회동부재의 이탈방지턱(130)에 의하여 제동될 수 있도록 제동부재(315)가 부설되게 되며, 제동부재는 바람직하게 바퀴형상일 수 있으며, 바퀴형상의 제동부재는 1개 이상이 상기 플래이트부의 양측면에 부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동부재(310)는 도어의 양측면의 상부에 부설되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에 설착되고 이탈 방지턱(130)에 의하여 고정되는 바퀴형상으로서, 회동부재 자체가 바퀴형상인 경우, 바퀴가 회동축이 되어 별도의 힌지가 없이 바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를 구비하는 플래이트가 필요없게 되며, 일정각도로 개방된 후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로 부드럽게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3면에 도어가 부설되어 하우징 내부에 각 개방부를 향하도록 3층으로 부설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이 하우징의 개방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는 경우, 도어(30)가 개방되어 수평방향으로 하우징(10)에 수납되기 위하여는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한 수납부까지 도어(30)가 직각으로 들어 올려져야 하는데, 화물차의 하우징(10)의 높이가 높으면 사람의 손으로 도어(3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높이에 한계가 있는바, 도어(30)의 하단의 손잡이 부분에 개폐용 연장바(330)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용 연장바는 각 도어(30)의 하단 중앙부에 힌지로 체결되며, 하우징(10)의 내측방향으로 설치되어, 외측의 손잡이에 의하여 도어(30)가 개방되어 일정높이에 이르면 내측에 구비된 개폐용 연장바(330)를 이용하여 도어(30)를 수납하기에 적당한 높이로 들어 올리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이 하우징(10)의 개방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되지 아니하고, 하우징(10)의 개방부에 이르러 아래쪽을 향하도록 호형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0)의 하단으로부터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의 말단부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13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퀴형상의 도어(30)의 회동부재(310)가 설치된다.
도어의 양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바퀴형상의 회동부재(310)가 설치되면, 회동부재(310)가 도어(30)의 양 측면의 상단에 바로 위치하는 것 보다 도어(30)를 들어올리는 데 드는 힘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호형으로 굽어진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에 의하여 도어(30)를 수평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 적당한 각도로 들어올린 다음 밀어올리면, 바퀴형상의 회동부재(310)의 슬라이드운동에 의하여 하우징(10)에 각 도어(30)가 수납되게 된다.
도 2b, 도 3b 및 도 4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의 말단이 호형으로 아래로 굽어져 형성되어 있고, 도어(30)의 회동부재(310) 역시 도어(30)의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부설된 경우에 있어, 각 도어(30)의 상단부에 고리와 같은 고정수단을 부설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하우징(10)의 내측의 각 수납층의 도어(30)에 대한 대향면에 결착되는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후방을 향하는 도어에 부설되는 탄성 스프링의 경우는 하우징 내측의 대향면까지 탄성스프링이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수납되는 도어의 길이와 탄성 스프링의 수축길이를 고려하여 수납층에 지지프레임을 횡설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탄성스프링을 연결하도록 한다.
도어의 수납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도어(30)를 들어올려 호형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의 말단에 대한 접선각도에 이르면 도어(30)의 상단부와 연결된 탄성 스프링의 회복력이 작용하여 수월하게 도어(30)가 슬라이드되어 수납되게 된다.
탄성 스프링은 적어도 2개 이상이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어(30)의 중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굵기와 소재로 형성한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바닥부(100)는 일반적으로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 바닥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층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바닥부(100)는 3층의 바닥판이 적층되며, 제 1 바닥판(101)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바닥판(103)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104)이 형성되어 있되, 가이드 홈(104)은 제 1 바닥판(101)의 걸림턱에 비하여 슬라이드 거리를 고려하여 약 30 ~ 50 cm정도 길게 홈이 형성되도록 한 제 2 바닥판(슬라이드판)(103)이 위치하며, 제 2 바닥판(103)의 상부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매끄럽게 처리된 제 3 바닥판(105)이 구비된다.
제 2 바닥판(103)은 가이드홈(531)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부분에 원활한 슬라이드를 위한 다수개의 바퀴를 부설하거나, 다수개의 원통형의 회전봉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부설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2 바닥판(103)이 슬라이드 되어 돌출되는 길이는 제 2 바닥판(103)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제 1 바닥판(101)에 형성된 걸림턱의 차이에 해당하는 길이이며, 너무 많이 돌출되는 경우 차체가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돌출되는 길이는 50cm 이하로 함이 이상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후면만이 개방되는 기존의 화물차의 적재함에 비하여 좌우 양측이 개방되어 미관상으로도 개선될 뿐 아니라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바닥부에 슬라이드판을 내설하여 필요시에는 화물을 위한 적재공간이 확보되는 적재함이 제공된다.

Claims (8)

  1. 회동부재가 구비된 도어; 및
    상기 도어와 대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수납을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레일 및 상기 회동부재의 이탈방지턱이 내측 상부에 부설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 우측, 후방의 3면중 적어도 1면에 착설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은 수납되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이 설착되도록 상기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턱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이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일단부에 융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은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일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호형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도어의 양측면의 상부에 결착하는 바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도어의 상부와 힌지 체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플래이트의 양 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레일에 착설되는 제동부재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1 개 이상의 바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일단이 결착하고, 상기 도어에 대향되는 하우징 내면에 타단이 결착되는 탄성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7. 제 1 항 내지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된 제 1 바닥; 상기 제 1 바닥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면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 2 바닥(슬라이드판); 및 상기 제 2 바닥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물이 적재되는 제 3 바 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된 제 1 바닥; 상기 제 1 바닥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면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 2 바닥(슬라이드판); 및 상기 제 2 바닥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물이 적재되는 제 3 바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KR2020050031451U 2005-11-07 2005-11-07 화물차 적재함 KR200406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51U KR200406503Y1 (ko) 2005-11-07 2005-11-07 화물차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51U KR200406503Y1 (ko) 2005-11-07 2005-11-07 화물차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503Y1 true KR200406503Y1 (ko) 2006-01-23

Family

ID=4175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451U KR200406503Y1 (ko) 2005-11-07 2005-11-07 화물차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5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73B1 (ko) * 2014-01-15 2014-09-1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토션바 적용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20200001835A (ko) * 2018-06-28 2020-01-0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KR102259364B1 (ko) * 2020-08-27 2021-06-01 주식회사 바다특장 트럭 사이드게이트 지지장치
CN115367001A (zh) * 2022-08-17 2022-11-22 山东三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翼展式货厢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73B1 (ko) * 2014-01-15 2014-09-1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토션바 적용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20200001835A (ko) * 2018-06-28 2020-01-0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KR102133717B1 (ko) * 2018-06-28 2020-07-1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KR102259364B1 (ko) * 2020-08-27 2021-06-01 주식회사 바다특장 트럭 사이드게이트 지지장치
CN115367001A (zh) * 2022-08-17 2022-11-22 山东三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翼展式货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68B2 (en) Vertical cargo box extender for compact pickup trucks and similar vehicles
US5944371A (en) Load panel for the luggage area of a motor vehicle
JPS6112303Y2 (ko)
US5052878A (en) Retractable bed for truck
KR200406503Y1 (ko) 화물차 적재함
US20060219746A1 (en) Vehicle storage box with flat access
US20070096487A1 (en) Cover device for a cargo space of a motor vehicle
US20180281699A1 (en) Storage drawer assembly for vehicle tray
US20020021025A1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with cab load container
EP2379399A1 (en) Door system for sides of a load platform of a truck
US20090146450A1 (en) Deployable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US20180126830A1 (en) Cargo Containment Structure Double Swing Door System
US8783754B1 (en) Vehicle having utility bed and retractable seat
KR102081323B1 (ko) 특장차용 발판
WO2017188294A1 (ja) 自動車用雨よけ装置
JP6103932B2 (ja) 荷台付き車輌
BE1002637A7 (nl) Rollift.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JP5712435B2 (ja) 車椅子収容装置
KR101462443B1 (ko) 욕실 수납장
JPH055694B2 (ko)
JPH0737962Y2 (ja) 車両用テ−ルゲ−トカバ−構造
JP3868221B2 (ja) 車椅子搭載装置
FR2987006A1 (fr) Dispositif a double articulation de porte arriere de bennes basculantes avec verrouillage incorpore
US20080226435A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trail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