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82Y1 -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82Y1
KR200405482Y1 KR2020050029828U KR20050029828U KR200405482Y1 KR 200405482 Y1 KR200405482 Y1 KR 200405482Y1 KR 2020050029828 U KR2020050029828 U KR 2020050029828U KR 20050029828 U KR20050029828 U KR 20050029828U KR 200405482 Y1 KR200405482 Y1 KR 200405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era
low light
viewfin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안 용종
Original Assignee
티안 용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안 용종 filed Critical 티안 용종
Priority to KR2020050029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6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for viewfinders or eyepie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6Bodies with exposure meters or other indicators built into body but not connected to other camera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와 같은 액정모니터 화면을 보호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 보호장치는 분체구조에 의해 탈부착 되며 각각이 뷰파인더의 출력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관통된 화면출력구멍을 구비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투명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광판과; 덮개판과 접촉하는 상기 저광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저광판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서 상기 저광판과 수직이 되는 위치에 상기 저광판과 중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표면에 위치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진기 사용시 강한 빛의 발산으로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대폭 개선함과 동시에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뷰파인더, 저광판, 덮개판, 액정화면 보호 장치

Description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A protector for the viewfinder window of the camera}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분체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중 상부프레임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분체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중 하부프레임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하부프레임의 A-A 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부프레임 고정홈(오목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하부프레임
11: 화면출력구멍 12: 투명판
16: 상부프레임고정홈(오목부)
20: 상부프레임
22: 고정돌기(갈고리 형태의 돌출부)
24, 26: 저광판 28: 덮개판
242, 262: 스프링
281a, 281b: 저광판 유도홈 282: 손잡이부
본 고안은 카메라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와 같은 액정모니터 화면을 보호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기는 이미 우리 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용품으로 생활의 많은 즐거운 순간들과 다양한 일상을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의 보편화에 따라 이에 관련된 각종 부가 기능의 보조장치 또한 점점 그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는 상술한 보조 장치 중 주요한 부품의 하나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사용 과정 중 보호 관리가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카메라의 렌즈로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에 대해서는 아직도 보호 인식이 부족하다.
따라서 얼마간 사용한 후에는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에 먼지가 가득 쌓이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가 찰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이전의 120카메라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난제이다.
만일 다조감 뷰파인더(viewfinder) 중에서 이에 상응하는 보호 장치가 없으면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에 부착된 먼지로 인해 찰상을 입게 되며 누적된 먼지는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심지어 강한 광체의 교란 상태에서는 뷰파인더(viewfinder) 화면상의 영상을 정확하게 볼 수 없고, 뷰파인더(viewfinder)의 효과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최근 점점 보편화 되어가는 디지털 카메라의 액정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는 그 액정의 표시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의 누적과 먼지의 누적에 따른 찰상 현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으며 구형의 120 카메라에 비해 문제가 더 심각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의 특성으로 인해 영상촬영을 위한 촬영 대상 영상에 대한 관측 효과가 좋지 않으며 이 같은 현상은 햇빛이 비교적 강한 장소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에 찰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뷰파인더의 영상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양호한 저광효과를 가지는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장치는, 분체구조에 의해 탈부착 되며 각각이 뷰파인더의 출력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관통된 화면출력구멍을 구비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투명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광판과; 덮개판과 접촉하는 상기 저광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저광판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서 상기 저광판과 수직이 되는 위치에 상기 저광판과 중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카메라의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표면에 위치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판은 프레임의 다른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는 경우 저광판과 중첩되어 본체 상호 연결 표면을 덮어서 프레임과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를 보호한다.
상술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일종의 액정화면 보호장치)는 상부프레임에 저광판관 덮개판이 회전되어 중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탈부착이 가능한 분체구조로 설치되어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고,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는 투명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에는 하부프레임과 카메라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표면에 점착물로서의 양면테이프 또는 자성체 등의 접착수단이 부착된다.
상술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분체구조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적어도 2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분체구조는 갈고리 형태의 돌출로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와 상호결합되는 오목한 부분으로서의 프레임 고정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하나의 프레임에는 다른 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갈고리 형태의 돌출로서의 고정돌기(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는 상기 갈고리 형태의 돌출로서의 고정돌기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와 상호 결합되는 오목한 부분으로서의 프레임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고정홈은 한 부분은 비교적 크고 다른 한 부분은 비교적 작은 구멍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는 단부 단면적이 프레임 고정홈의 큰 구멍과 대응되고, 프레임측에 위치되는 단부 단면적은 프레임 고정홈의 작은 구멍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갈고리 형태 돌출로서의 고정돌기는 프레임 연결부의 부분 절단면에서는 비교적 작고, 다른 단자의 절단면은 비교적 크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분체구조는 2부분으로 조성된 프레임의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프레임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고정돌기와 면하는 위치에 프레임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고정홈의 일 예로는 ㄴ자 형상으로 한 부분은 비교적 크고 다른 한 부분은 비교적 작은 구멍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는 단부 단면적이 프레임 고정홈의 ㄴ자 형상 중 큰 구멍과 대응되고, 프레임부착부의 단부 단면적은 프레임 고정홈의 작은 구멍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분체구조는 자성체와 철편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하나의 프레임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다른 프레임에는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철 편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분체구조를 이룬다.
상기 분체구조는 접착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수단 중 점착물로는 양면에 점성을 갖는 띠형 물건(帶狀物)으로서의 양면테이프 등으로 투명판에 외연 형태로 부착된다.
본 고안은 카메라의 뷰파인더 보호 장치는 가장자리에 접합물 구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의 부품의 변경 없이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먼저 보호 장치 사용을 위해 가장자리에 접합물 구조를 설치하게 되며 상술한 보호장치는 카메라 상의 그 어떤 부품과도 관련되거나 쉽게 대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은 또한 카메라 몸체를 손상시킬 위험이 없으며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먼지의 등의 이물질이 뷰파인더 윈도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에 투명판의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가 차단되어도 출력 영상을 확인하는 데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의 프레임에 저광판과 덮개판을 설치함으로써 햇빛 가운데서도 양호한 저광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분체구조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하부프레임은 카메라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여 투명판에 의해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저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덮개판과 저광판을 구비한 상부프레 임을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 보관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각기 다른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 보호장치의 구조는 두 개의 저광판(24, 26)을 상부프레임(20)의 화면출력구멍(11)을 이루는 프레임의 테두리 내측에서 상호 평행하도록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두 개의 저광판(24, 26) 각각은 경첩 기능을 가지고 상부프레임(20)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저광판(24,26)의 힌지포인트와 스프링(242, 262)을 매개하여 상부프레임(20)에 설치된다.
덮개판(28)은 상부프레임(20)의 다른 한쪽에서 그 설치한 부분이 상술한 저광판(24, 26)의 연결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다. 덮개판(28)의 크기는 상술한 2개의 저광판(24, 26)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상술한 두 개의 저광판(24, 26)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덮개판(28)의 표면에 원호 형태의 오목 파인 부분으로서의 저광판 유도홈(281a, 281b)를 형성하여 저광판(24, 26)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한다. 덮개판(28)의 다른 한쪽에는 덮개판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282)가 형성되고, 덮개판(28)이 저광판(24, 26)을 덮은 후 덮개판(28)의 상부프 레임(20)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분으로 상기 돌출부(282)가 삽입되어 덮개판(28)을 견고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술한 상부프레임(20)은 분체구조의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의 상반(upper shelf) 부분으로 상기 각 구성으로서의 두 개의 저광판(24, 26)과 덮개판(28)이 여기에 균등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분체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중 상부프레임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의 분체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중 하부프레임의 저면도이며, 도 5는 하부프레임의 상부프레임 고정홈(오목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은 분체구조의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의 하부 부분이 된다. 상술한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 간의 연결면에는 분체구조를 설치한다.
즉, 상부프레임(20)에는 연결 갈고리(고정돌기)를 설치하고 그 형태는 고정돌기의 끝부분의 단면적이 프레임 고정홈의 큰 구멍과 대응되고, 고정돌기 중 프레임측에 위치되는 고정돌기의 부분은 프레임 고정홈의 작은 구멍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부프레임(10)에는 오목한 부분으로서의 프레임 고정홈(16)이 한 부분은 비교적 크고 다른 한 부분은 비교적 작은 구멍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큰 구멍은 고정돌기의 끝부분의 단면적의 면적에 대응되며, 작은 구멍은 고정돌기의 프레임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작은 단면적의 면적에 대응된다.
상술한 상호 배합의 갈고리 형태의 돌출(고정돌기)과 오목한 부분(프레임 고정홈(16))은 일반적으로 4개가 형성된다. 사용시 갈고리 형태의 돌출(고정돌기)는 오목한 부분으로서의 프레임 고정홈(16)의 비교적 넓은 부분을 통해 삽입된 후 병진되어 프레임 고정홈(16) 중 비교적 작은 부분에 진입함으로써 분체구조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킨다.
하부프레임(10)에는 투명판(12)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판(12)은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하브프레임(10)의 저면에는 접합물을 바른다. 접합물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양면 접합체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접합물은 마르지 않은 기타 다른 접합물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는 사용시 먼저 상술한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 보호장치를 카메라의 접합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후, 저광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 중 덮개판, 저광판이 형성된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상반 부분을 카메라에 연결시키고 저광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상반 부분을 하부프레임과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반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카메라 본체에서 분리시키면 된다. 하부프레임과 투명판(12)으로 이루어지는 하반 부분은 투명판(12)을 통해 관찰을 하게되므로 뷰파인더(viewfinder) 관측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동시에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의 먼지 방지와 보호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는 모든 구성이 상술한 도 1 내 지 도 5의 구성과 동일하나, 상기 분체구조를 자성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이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의 분체구조는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일부분에 자석을 설치하고 다른 한 부분에는 자석 또는 철편 또는 기타 자성체의 특성을 지닌 금속 조각이 설치된다. 상술한 방식을 통해 분체구조의 설치와 분리를 더 쉽고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은 카메라 몸체를 손상시킬 위험 없이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viewfinder window)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뷰파인더 윈도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장치의 프레임에 저광판과 덮개판을 설치함으로써 햇빛 가운데서도 양호한 저광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분체구조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하부프레임은 카메라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여 투명판에 의해 카메라의 뷰파인더 윈도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저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덮개판과 저광판을 구비한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 보관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각기 다른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6)

  1. 분체구조에 의해 탈부착 되며 각각이 뷰파인더의 출력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관통된 화면출력구멍을 구비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투명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광판과;
    상기 저광판의 덮개판과 접촉하는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저광판 유도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서 상기 저광판과 수직이 되는 위치에 상기 저광판과 중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카메라의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표면에 위치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구조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다른 프레임에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상호 결합되는 오목한 부분으로서의 프레임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홈은 한 부분은 비교적 크고 다른 한 부분은 비교적 작은 구멍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파인 더 보호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단부의 단면적이 상기 프레임 고정홈의 큰 구멍과 대응되고, 프레임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단면적은 프레임 고정홈의 작은 구멍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구조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자성체와; 상기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철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에 점성을 가진 띠형 물건(帶狀物)으로서 상기 투명판에 외연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파인더 보호 장치.
KR2020050029828U 2004-10-27 2005-10-20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KR200405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28U KR200405482Y1 (ko) 2004-10-27 2005-10-20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420094371.2 2004-10-27
KR2020050029828U KR200405482Y1 (ko) 2004-10-27 2005-10-20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82Y1 true KR200405482Y1 (ko) 2006-01-11

Family

ID=4175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28U KR200405482Y1 (ko) 2004-10-27 2005-10-20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7882A1 (en) Removable len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8730386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metal main frame as assembly basis
US908656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3117508U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の保護装置
WO2022143739A1 (zh) 一种镜头保护罩及拍摄装置
KR200405482Y1 (ko) 카메라 뷰파인더 윈도우 보호 장치
JP4330462B2 (ja) 液晶機器用遮光フード
KR102168376B1 (ko) 휴대단말기 보호필름 부착용 지그
JP2009042641A (ja) 電子機器
CN214069999U (zh) 一种镜头保护罩及拍摄装置
US7092030B1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prism optical system
CN102375218B (zh) 摄像设备
JP4107880B2 (ja) 光透過面の埃除去機能を具えた光学機器
JP4624256B2 (ja) 透光体を選択的に配置する電気機器
JP3079005U (ja) 液晶画面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用の遮光フード
JPH08331483A (ja) 液晶モニタの遮光装置
JP3804720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及びスクリーンフレーム
JP5147978B2 (ja) 撮像装置
KR101025577B1 (ko) 자동차 네비게이션용 차광장치
JP2003133754A (ja) 機器の耐衝撃防水構造
JP2002236454A (ja) 携帯機器のモニター用着脱式付属装置
JPH1098636A (ja) 液晶モニタ付電子スチルカメラ
JP2605249Y2 (ja) ファインダー光学系の防塵構造
JP5511928B2 (ja) 撮像装置
JP2004088374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