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342Y1 -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342Y1
KR200405342Y1 KR2020050028279U KR20050028279U KR200405342Y1 KR 200405342 Y1 KR200405342 Y1 KR 200405342Y1 KR 2020050028279 U KR2020050028279 U KR 2020050028279U KR 20050028279 U KR20050028279 U KR 20050028279U KR 200405342 Y1 KR200405342 Y1 KR 200405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ceiling slab
lumber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영
박균동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주
Priority to KR2020050028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을 갖는 건물 내부의 측벽(1)과 천장 슬라브(2) 사이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10)를 제공한다. 이 코너 지지구(10)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 벽체 대향 플레이트(14),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 및 각목 삽입 채널(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는 측벽(1)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크 패널(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놓이고, 핀(60)에 의해 데크 패널(100)에 결합된다. 벽체 대향 플레이트(14)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외면(15)이 데크 패널(100)의 내면(102)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측벽(1)의 모서리부(3)를 형성한다.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는 벽체 대향 플레이트(14)로부터 수평되게 연장되고,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면(17)이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의 외면(15)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천장 슬라브(2)의 모서리부(3)를 형성한다. 각목 삽입 채널(20)은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인 각목(5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CORNER SUPPORTER FOR CONSTRUCTING ANGLE OF CONCRETE WALL}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지지구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측벽 2 : 천장 슬라브
3 : 모서리부 4 : 몰딩
10 : 코너 지지구 12 : 패널 결합 플레이트
13 : 핀 삽입홀 14 : 벽체 대향 플레이트
15 : (벽체 대향 플레이트의) 외면 16 :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
17 :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의) 상면
20 : 각목 삽입 채널 30 :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
31 :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의) 상면
50 : 각목 51 : (각목의) 상면
60 : 핀 70 : 합판
71 : (합판의) 하면 100 : 데크 패널
102 : (데크 패널의) 내면 120 : 기초 가름대
A : (몰딩이 결합되는) 영역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 벽체를 시공할 때 건물 내부 특히 추후 몰딩작업이 이루어지는 실내 벽면의 모서리부에 단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콘트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딩, 일반 주택 등의 건물 벽체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기본 형상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형성된다. 통상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주고, 그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며, 외부 충격 등이 콘크리트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사용되는 가설물이다. 이 거푸집의 공사는 콘크리트의 시공과정과 결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마무리공사에도 많은 영향을 주므로 거푸집시공에 많은 심려를 기울이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1492호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는 합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합판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합판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부재가 수용되도록 바닥, 이 바닥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벽의 채널단면을 갖되, 거더팀버의 측벽에 접하는 수직벽의 높이 대향되는 수직벽보다 더 높게 설치된 수용프레임과, 드롭헤드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수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과, 수용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보강하는 리브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테크패널을 지지하는 빔팀버와 합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드롭헤드를 이용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0884호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거푸집과; 이 벽체거푸집의 상단면에 적층되며, 각 한 쌍의 수직리브 및 수평리브 사이에 각목과 코팅판이 각각 삽입 결합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판넬과 상부런너를 결합시키며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헤드가 구비된 결합핀과; 이 결합핀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쐐기형 조임편과; 상부런너의 상단면에 적층되어 상부런너의 각목에 고정 결합되는 목재 데크로 이루어지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시공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구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건물 내부의 모서리부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측벽(1)과 천장 슬라브(2)가 만나는 모서리부(3)는 실내 장식의 목적으로 몰딩(4)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1, 2)의 모서리부(3) 특히 몰딩(4)이 결합되는 영 역(A)에 단부(단차)가 형성되므로써 몰딩(4)이 벽체(1, 2)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벽체를 시공할 때 건물 내부 특히 추후 몰딩작업이 이루어지는 실내 벽면의 모서리부에 단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트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을 갖는 건물 내부의 측벽(1)과 천장 슬라브(2) 사이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측벽(1)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크 패널(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놓이고, 핀(60)에 의해 상기 데크 패널(1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와; 상기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상기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외면(15)이 상기 데크 패널(100)의 내면(102)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1)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와; 상기 벽체 대향 플레이트(14)로부터 수평되게 연장되고, 상기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면(17)이 상기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의 외면(15)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장 슬라브(2)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 및; 상기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 (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인 각목(5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각목 삽입 채널(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는 상기 각목 삽입 채널(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31)이 상기 각목 삽입 채널(20)에 각목(5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각목(50)의 상면(51)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므로써 상기 합판(70)의 하면(71)을 지지하는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구(10)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 벽체 대향 플레이트(14),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 및 각목 삽입 채널(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물 벽체를 시공할 때 건물 내부 특히 추후 몰딩작업이 이루어지는 실내 벽면의 모서리부에 단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구(10)는 서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평편한 외면과 상면을 갖는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와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에 의해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경계(특히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인 모서리부(3)가 형성되도록 하고,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목 삽입 채널(20)이 천장 슬라브(2)를 형성하기 위한 합판(70)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에는 단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경계선 근처에 단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기본적으로 실내 내측벽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고, 실내 장식을 위한 몰딩(4)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a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통상 콘크리트 벽체의 형성시 사용되는 지지구의 구성 및 작용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표현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생략과 도면의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지지구(10)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 벽체 대향 플레이트(14),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 각목 삽입 채널(20) 및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코너 지지구(10)는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공정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코너 지지구(10)를 구성하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 벽체 대향 플레이트(14),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 각목 삽입 채널(20) 및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30)의 구성요소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코너 지지구(10)를 데크 패널(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핀(60)이 결합되는 핀 삽입홀(13)은 2차 기계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는 측벽(1)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크 패널(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놓이고, 핀(60)에 의해 데크 패널(1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는 코너 지지구(10)의 상부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데크 패널(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데크 패널(100)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 패널 결합 플레이트(12)의 길이 방향으로는 적당한 간격으로 핀 삽입홀(13)이 형성된다.
벽체 대향 플레이트(14)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외면(15)이 데크 패널(100)의 내면(102)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측벽(1)의 모서리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는 벽체 대향 플레이트(14)로부터 수평되게 연장되고,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면(17)이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의 외면(15)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천장 슬라브(2)의 모서리부(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와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의 하나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 모서리부(3)는 측벽(1)과 천장 슬라브(2)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벽체에서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경계(특히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를 지칭한다. 그리고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은 통상 목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되는 몰딩(4) 의 크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만나는 경계선으로부터 20cm 정도내의 길이를 갖는다.
각목 삽입 채널(20)은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인 각목(5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각목 삽입 채널(20)의 형성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구(10)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구(10)는 전술한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와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의 구성에 의해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경계인 모서리부(3)가 형성되도록 하고,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목 삽입 채널(20)이 천장 슬라브(2)를 형성하기 위한 합판(70)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에는 단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30)는 합판(70)의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목 삽입 채널(20)의 각목(50)에 고정되는 합판(70)을 각목(50)의 외측에서 보조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30)는 각목 삽입 채널(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31)이 각목 삽입 채널(20)에 각목(50)이 삽입되었을 때 각목(50)의 상면(51)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므로써 합판(70)의 하면(71)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갖는 코너 지지구(10)는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을 갖는 건물 내부의 측벽(1)과 천장 슬라브(2) 사이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설 치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을 위해 거푸집을 설치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구(10)는 측벽(1)을 형성하기 위한 데크 패널(100)을 설치한 후, 데크 패널(100)의 상단에 핀(60)으로 고정된다. 다음 각목 삽입 채널(20)에 각목(50)을 결합시키고, 그 상부에 천장 슬라브(2)를 형성하기 위한 합판(70)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에 의하면, 서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평편한 외면과 상면을 갖는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와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에 의해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경계(특히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인 모서리부(3)가 형성되도록 하고,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목 삽입 채널(20)이 천장 슬라브(2)를 형성하기 위한 합판(70)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에는 단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1)과 천장 슬라브(2)의 경계선 근처에 단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기본적으로 실내 내측벽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고, 실내 장식을 위한 몰딩(4)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 다.

Claims (2)

  1.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후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을 갖는 건물 내부의 측벽(1)과 천장 슬라브(2) 사이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측벽(1)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크 패널(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놓이고, 핀(60)에 의해 상기 데크 패널(1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패널 결합 플레이트(12)와;
    상기 패널 결합 플레이트(12)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상기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외면(15)이 상기 데크 패널(100)의 내면(102)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1)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와;
    상기 벽체 대향 플레이트(14)로부터 수평되게 연장되고, 상기 몰딩(4)이 결합되는 영역(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면(17)이 상기 벽체 대향 플레이트(14)의 외면(15)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장 슬라브(2)의 모서리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 및;
    상기 천장 슬라브 대향 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인 각목(5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각목 삽입 채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 한 코너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 삽입 채널(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31)이 상기 각목 삽입 채널(20)에 각목(5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각목(50)의 상면(51)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므로써 상기 합판(70)의 하면(71)을 지지하는 합판 지지 보조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KR2020050028279U 2005-10-04 2005-10-04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KR200405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279U KR200405342Y1 (ko) 2005-10-04 2005-10-04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279U KR200405342Y1 (ko) 2005-10-04 2005-10-04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342Y1 true KR200405342Y1 (ko) 2006-01-11

Family

ID=4175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279U KR200405342Y1 (ko) 2005-10-04 2005-10-04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3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59B1 (ko) 2006-09-11 2006-11-30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옹벽용 유로폼과 천정 슬라브 형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KR101136574B1 (ko)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20160018130A (ko) * 2014-08-08 2016-02-17 윤흥규 다용도 폼 어셈블리
CN114645617A (zh) * 2022-03-23 2022-06-2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模板阴阳角防漏浆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59B1 (ko) 2006-09-11 2006-11-30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옹벽용 유로폼과 천정 슬라브 형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KR101136574B1 (ko)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20160018130A (ko) * 2014-08-08 2016-02-17 윤흥규 다용도 폼 어셈블리
KR102302211B1 (ko) 2014-08-08 2021-09-14 윤흥규 다용도 폼 어셈블리
CN114645617A (zh) * 2022-03-23 2022-06-2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模板阴阳角防漏浆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80424A1 (it) Modulo di finitura prefabbricato per la realizzazione di costruzioni edilizie e costruzioni edilizia cosi' ottenute.
JP2012241482A (ja) 組立家屋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405342Y1 (ko)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US20100095628A1 (en) Wall system
KR102477121B1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US20090205287A1 (en) Quick construction component
KR200186899Y1 (ko) 거푸집
JPH102007A (ja) 土間ユニット構造及び土間ユニットの施工方法
KR100336382B1 (ko) 옹벽 거푸집 브라켓 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EP2159364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door's threshold
EP3201406B1 (en) Wall element, wall section of said elements and method for building thereof
JP200914438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JPH04330164A (ja) 型枠の施工方法
KR102699474B1 (ko) 블록 적층식 거푸집
JP2014159681A (ja) 間仕切壁
FI123601B (fi) Seinärakenne ja menetelmä seinärakenteen valmistamiseksi
RU63823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CN211899351U (zh) 平接组件及墙板安装系统
EP2681373A1 (en) Self-supporting construction module for the construction of reinforced-concrete slabs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JP2552846Y2 (ja) 軒先の接合部の構造
JP3311456B2 (ja) 強固な木質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50943B1 (ko) 무모르타르 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JP2002004464A (ja) 耐力壁の通気施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