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211B1 - 다용도 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용도 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211B1
KR102302211B1 KR1020140102282A KR20140102282A KR102302211B1 KR 102302211 B1 KR102302211 B1 KR 102302211B1 KR 1020140102282 A KR1020140102282 A KR 1020140102282A KR 20140102282 A KR20140102282 A KR 20140102282A KR 102302211 B1 KR102302211 B1 KR 10230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am
horizontal
accommodating part
horizont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130A (ko
Inventor
윤흥규
황현우
Original Assignee
윤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규 filed Critical 윤흥규
Priority to KR102014010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2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다용도 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칭 '노바시(伸ばし; 늘이기) 폼', 즉 유로폼이나 알폼 등 정해진 규격의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는 자투리 공간을 메우는 연장 폼으로 활용되며, 예를 들어 약 60~200mm(특히 150mm 내외)의 규격을 가져 천장 직하부(데크, deck), 바닥면 직상부, 지하 배수구(trench), 출입문 설치부 등 부위의 콘크리트 타설에 적합하도록 제1수용부를 갖는 상본체와 제2수용부를 갖는 하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폼바디를 포함하고, 나아가 상부 제1수용부에는 데크플레이트 등과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체가 결합되고, 제2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평체에는 다른 폼(예: 유로폼)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는 제1벽체, 제2벽체, 제1 및 제2 벽체를 잇는 제1수평체, 제1 및 제2 벽체와 제1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하방향 제1개구부를 갖는 제1수용부를 구비한 상본체, 그리고 제1벽체와 연결되어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3벽체와, 제3벽체와 연결된 제2수평체, 제3벽체와 제1 및 제2 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좌우방향 제2개구부를 갖는 제2수용부를 구비한 하본체로 이루어진 폼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용도 폼 어셈블리{CONSTRUCTION FORM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다용도 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칭 '노바시(伸ばし; 늘이기) 폼', 즉 유로폼이나 알폼 등 정해진 규격의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는 자투리 공간을 메우는 연장 폼으로 활용되며,
예를 들어 약 60~200mm(특히 150mm 내외)의 규격을 가져 천장 직하부(데크, deck), 바닥면 직상부, 지하 배수구(trench), 출입문 설치부 등 부위의 콘크리트 타설에 적합하도록
제1수용부를 갖는 상본체와 제2수용부를 갖는 하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폼바디를 포함하고,
나아가 상부 제1수용부에는 데크플레이트 등과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체가 결합되고, 제2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평체에는 다른 폼(예: 유로폼)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축조를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양산 유로폼 또는 알폼 등의 범용 거푸집은 통상 폭이 300~1,000mm 정도의 크기를 가져, 약 60~200mm(특히 150mm 내외)의 규격을 갖는 폼이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즉석으로 각목과 합판을 활용하여 만들어 사용하는 상황이 다반사여서 번거롭고 공사기간 충족에 장애가 되며 건축물 완성도에도 해를 끼치고 있다.
종래 거푸집과 관련한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818609호(등록일자 2008년03월26일)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슬라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다수의 데크판넬을,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절곡 가능한 다수의 데크지지바에 올려 놓고, 각 지지바를 전동 스크류잭이나 유압실린더 등의 자동승하강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슬라브 양생 후 슬라브 거푸집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을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0812250호(등록일자 2008년03월04일)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공개 제10-2009-0047022호(공개일자 2009년05월12일) [천정거푸집용 장선 및 멍에의 체결구조]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천정거푸집의 설치공사에 있어서 장선과 멍에의 설치구조를 간단히 하여 혼자서도 작업이 가능한 등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더불어 재활용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지지력과 결합력을 제공토록 하는 천정거푸집용 장선 및 멍에의 체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0893765호(등록일자 2009년04월09일)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의 급강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시하고 있고, 이를 통하여 가설재의 해체 작업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민원을 해소하고, 간단한 구조로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 가능하여 가설재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노력을 경감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설재의 손상을 감소시켜 가설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들은 모두 속칭 '노바시(伸ばし; 늘이기) 폼', 즉 연장 폼과는 무관한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유로폼이나 알폼 등 정해진 규격의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는 자투리 공간을 메우는 '연장 폼'으로 활용될 수 있는 속칭 '노바시(伸ばし; 늘이기) 폼'에 해당하는 다용도 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1수용부를 갖는 상본체와 제2수용부를 갖는 하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폼바디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약 60~200mm(특히 150mm 내외)의 규격을 가져 천장 직하부(데크, deck), 바닥면 직상부, 지하 배수구(trench), 출입문 설치부 등 부위의 콘크리트 타설에 적합한 다용도 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부 제1수용부에는 데크플레이트 등과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체가 결합되고, 제2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평체에는 다른 폼(예: 유로폼, 통상 폭이 300~1,000mm 정도)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다용도 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본체의 제1수용부를 감싸는 제1 및 제2 벽체에서 하본체의 제3벽체와 함께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1벽체가 제2벽체 보다 더 길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해체시 제1벽체의 단부를 기점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본체 및 하본체 각각의 제1 또는 제2 수평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콘크리트의 잔수 배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양생된 콘크리트 노출면의 품질을 보장하고 누출된 콘크리트와 폼바디 등의 구성요소가 결착하여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없도록 한 다용도 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본체 및 하본체 각각의 제1 또는 제2 수용부, 또는 이들 모두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통하여 폼바디의 보강을 달성하고, 특히 제1수용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체를 통하여 데크플레이트(deck plate)와의 체결 용이성을 확보한 다용도 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는
제1벽체, 제2벽체, 제1 및 제2 벽체를 잇는 제1수평체, 제1 및 제2 벽체와 제1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하방향 제1개구부를 갖는 제1수용부를 구비한 상본체, 그리고
제1벽체와 연결되어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3벽체와, 제3벽체와 연결된 제2수평체, 제3벽체와 제1 및 제2 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좌우방향 제2개구부를 갖는 제2수용부를 구비한 하본체
로 이루어진 폼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에서
상기 상본체의 제1벽체는 제2벽체 보다 더 길고,
상기 하본체의 제2수평체에는 다른 콘크리트 타설용 폼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또는 제2 수평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콘크리트의 잔수 배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제1 또는 제2 수용부, 또는 이들 모두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는 제1수용부를 갖는 상본체와 제2수용부를 갖는 하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폼바디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약 60~200mm(특히 150mm 내외)의 규격을 가져 천장 직하부(데크, deck), 바닥면 직상부, 지하 배수구(trench), 출입문 설치부 등 부위의 콘크리트 타설에 적합하고, 또 상부 제1수용부에는 데크플레이트 등과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체가 결합되고, 제2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평체에는 다른 폼(예: 유로폼, 통상 폭이 300~1,000mm 정도)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어 통상의 거푸집과 연계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상본체의 제1수용부를 감싸는 제1 및 제2 벽체에서 하본체의 제3벽체와 함께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1벽체가 제2벽체 보다 더 길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해체시 제1벽체의 단부를 기점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또 상본체 및 하본체 각각의 제1 또는 제2 수평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콘크리트의 잔수 배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양생된 콘크리트 노출면의 품질을 보장하고 누출된 콘크리트와 폼바디 등의 구성요소가 결착하여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없고, 또 상본체 및 하본체 각각의 제1 또는 제2 수용부, 또는 이들 모두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통하여 폼바디의 보강을 달성하고, 특히 제1수용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체를 통하여 데크플레이트(deck plate)와의 체결 용이성을 확보될 수 있어, 결국 종래 제시된 바 없는 신규한 속칭 '노바시(伸ばし; 늘이기) 폼', 즉 유로폼이나 알폼 등 정해진 규격의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는 자투리 공간을 메우는 '연장 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A)의 핵심인 폼바디(F)는 상본체(10)와 하본체(20)로 구성되며, PE나 ABS 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예: 압출 성형)되며 필요에 따라 재생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본체(10)는 제1벽체(11A), 제2벽체(11B), 제1 및 제2 벽체를 잇는 제1수평체(13), 제1 및 제2 벽체와 제1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하방향 제1개구부(15A)를 갖는 제1수용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상본체(10)는 제1벽체(11A)와 연결되어 타설면(F1)을 형성하는 제3벽체(21)와, 제3벽체와 연결된 제2수평체(23), 제3벽체와 제1 및 제2 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좌우방향 제2개구부(25A)를 갖는 제2수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수평체(13)(23)와 관련하여 '수평'이라는 용어는 수학 또는 공학적인 엄밀한 의미가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각각 벽체와의 연결 각도가 90도인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다양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본체(10)의 제1수용부(15)를 감싸는 제1 및 제2 벽체(11A)(11B)에서 하본체(20)의 제3벽체(21)와 함께 타설면(F1)을 형성하는 제1벽체(11A)는 제2벽체(11B) 보다 더 길어
도 3의 [A]와 같이, 소위 유로폼이나 알폼과 같은 일반 거푸집(f1)의 하단, 즉 바닥면(D1) 직상부나
도 3의 [B]와 같이, 지하 배수구(T)(trench) 타설을 위하여 본 발명의 폼 어셈블리(A)가 사용되는 경우
상본체(10)가 하부를 향하여 배열되도록 하고(필요에 따라 제1수용부(15)에 위치한 제1지지체(S1)가 결합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거푸집 해체시 제1벽체(11A)의 단부를 기점으로 노루발못뽑이(속칭 '빠루'(バ―ル))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젖히면 제2벽체(11B)와의 길이 차에 의한 여유 공간으로 인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A)의 폼바디(F)에서 상기 하본체(20)의 제2수평체(23)에는 다른 콘크리트 타설용 폼(예: 유로폼이나 알폼 등)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공(2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공의 형상은 체결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이 체결공(23B)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거푸집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폼바디(F)일 수 있다.
통상 폭이 300~1,000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로폼 등은 타설면을 형성하는 목재 합판이 코팅을 하더라도 가장자리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므로 통상 2~5회 정도 사용하면 합판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파손되므로 교체를 해야 하는데,
그 폭을 더 작게 하는 경우에는 양단 사이의 길이가 그만큼 좁아 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손상 정도가 더 심하여 사용횟수가 그만큼 더 짧아진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A)의 폼바디(F)는 약 60~200mm(특히 150mm 내외)의 폭(타설면(F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벽체(11A)(11B)를 합한 길이)을 가져도 합성수지 소재이므로 콘크리트 침투로 인한 손상 문제가 없다.
다음으로 제1 또는 제2 수평체(13)(23), 또는 이들 모두에는 콘크리트의 잔수(또는 누출수) 배출부(13A)(23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잔수 배출부(13A)(23A)는 안내홈(13a)(23a)과 배출공(13b)(23b)로 구성된다.
이러한 잔수 배출부를 통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노출면의 품질을 보장하고 누출된 콘크리트와 폼바디 등의 구성요소가 결착하여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제거된다.
제1수평체(13)의 콘크리트의 잔수(또는 누출수) 제1배출부(13A)의 안내홈(13a)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2수평체(23)의 콘크리트의 잔수(또는 누출수) 제2배출부(23A)의 안내홈(23a)은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도 3 [A]와 같이, 천장, 즉 데크(D2)(deck) 직하부나 들보(B) 부위에 본 발명의 다용도 폼 어셈블리(A)가 사용되는 경우처럼 상본체(10)가 상부 배열되는 경우에는 주로 제1배출부(13A)의 안내홈(13a)과 복수의 배출공(13b)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잔수(또는 누출수)가 배출되고,
바닥면(D1) 직상부 부위에 본 발명의 다용도 폼 어셈블리(A)가 사용되는 경우처럼 하본체(20)가 상부 배열되는 경우에는 주로 제2배출부(23A)의 안내홈(23a)과 복수의 배출공(23b)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잔수(또는 누출수)가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A)의 폼바디(F)는 제1 또는 제2 수용부(15)(25), 또는 이들 모두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치수를 갖는 제1 및 제2 수용부(15)(25) 각각을 위한 제1 및 제2 지지체(S1)(S2)는 건축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각목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지지체(S2)는 연속된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300~2,000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폼바디(F)의 제2수용부(25)의 2~10개 정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지지체(S1)는 천장 부위 데크(D2) 타설을 위한 데크플레이트(f2)와의 결합(못 이용 가능)을 위하여 전체 폼바디(F)의 제1수용부(15)에 연속 배열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벽체(11B)에는 못(N)을 이용하여 제1지지체(S1)를 확고히 고정하도록 고정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수평체(23)에도 제2지지체(S2)를 확고히 고정하도록 고정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폼 어셈블리(A)는 천장을 위한 데크(D2) 직하부나 데크(D2)와 들보(B1)의 경계면에서 유로폼이나 알폼 등 일반 거푸집(f1)과 체결핀을 통하여 연결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 상호 조립되는 거푸집의 일부를 구성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S) 등(기타 멍에, 장선재 등을 활용함)에 의하여 지지되는 데크플레이트(f2)와는 못을 이용하여 체결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 도 3 [A]에서, 바닥면(D1) 직상부에 채용되어 역시 일반 거푸집과 연결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 [B]와 같이, 지하 배수구(T)(trench) 타설을 위하여 배수구 양편 벽체 성형에 활용될 수 있으며,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출입문 설치부(즉 문틀이 설치되는 부위) 등 기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폼바디의 재로, 성형방법, 제1 및 제2 지지체의 재원, 기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유로폼 등과의 체결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성를 갖는 폼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폼 어셈블리 F: 폼바디
F1: 타설면 10: 상본체
20: 하본체 11A,11B,21: 벽체
13,23: 수평체 15,25: 수용부
15A,25A: 개구부 13A,23A: 배출부
S1,S2: 지지체

Claims (4)

  1. 제1벽체, 제2벽체, 제1 및 제2 벽체를 잇는 제1수평체, 제1 및 제2 벽체와 제1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하방향 제1개구부를 갖는 제1수용부를 구비한 상본체, 그리고
    제1벽체와 연결되어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3벽체와, 제3벽체와 연결된 제2수평체, 제3벽체와 제1 및 제2 수평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좌우방향 제2개구부를 갖는 제2수용부를 구비한 하본체로 이루어진 폼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 또는 제2 수평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콘크리트의 잔수 배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잔수 배출부는 안내홈과 배출공로 구성되며,
    제1수평체의 잔수 제1배출부의 안내홈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2수평체의 잔수 제2배출부의 안내홈은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본체의 제1벽체는 제2벽체 보다 더 길고,
    지하 배수구 타설을 위하여 사용되며, 이 경우 상본체가 하부를 향하여 배열되고, 이후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거푸집 해체시 제1벽체의 단부를 기점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젖혀 분리하면 제1 벽체와 제2벽체와의 길이 차에 의한 여유 공간으로 인하여 해체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본체의 제2수평체에는 다른 콘크리트 타설용 폼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폼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수용부, 또는 이들 모두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폼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40102282A 2014-08-08 2014-08-08 다용도 폼 어셈블리 KR10230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82A KR102302211B1 (ko) 2014-08-08 2014-08-08 다용도 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82A KR102302211B1 (ko) 2014-08-08 2014-08-08 다용도 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30A KR20160018130A (ko) 2016-02-17
KR102302211B1 true KR102302211B1 (ko) 2021-09-14

Family

ID=5545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82A KR102302211B1 (ko) 2014-08-08 2014-08-08 다용도 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2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16Y1 (ko) * 2004-11-17 2005-02-07 황인섭 천정판 설치용 연결거푸집
KR200405342Y1 (ko) 2005-10-04 2006-01-11 주식회사 용주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KR100757030B1 (ko) 2007-04-13 2007-09-07 성진경 거푸집 상부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938A (ja) * 1991-07-31 1994-02-2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建物の建築工法およびその施工時の雨水排水構造
KR20060041382A (ko) * 2004-11-08 2006-05-12 (주)태양건설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16Y1 (ko) * 2004-11-17 2005-02-07 황인섭 천정판 설치용 연결거푸집
KR200405342Y1 (ko) 2005-10-04 2006-01-11 주식회사 용주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부를 시공하기 위한 코너 지지구
KR100757030B1 (ko) 2007-04-13 2007-09-07 성진경 거푸집 상부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30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100173B4 (en) An interlocking masonry block
CA2887122C (en) Prefabricated mold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pavement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348379B1 (ko)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2302211B1 (ko) 다용도 폼 어셈블리
KR20130059010A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142183B1 (ko) 더블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보-슬래브 접합부의 일체성을 강화하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61964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WO2016203483A1 (en) Composite framing and wall
KR200442878Y1 (ko)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1039876B1 (ko)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KR20160003049U (ko) 콘크리트골조 타설용 슬라브거푸집 체결패널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101187778B1 (ko) 거푸집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101483910B1 (ko) 쐐기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1691624B1 (ko)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KR101165587B1 (ko) 토목 건축용 다용도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