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617Y1 -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 Google Patents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617Y1
KR200404617Y1 KR20-2005-0029084U KR20050029084U KR200404617Y1 KR 200404617 Y1 KR200404617 Y1 KR 200404617Y1 KR 20050029084 U KR20050029084 U KR 20050029084U KR 200404617 Y1 KR200404617 Y1 KR 200404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arc
lamp
present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20-2005-0029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72Traffic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회전시 보행신호등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보행신호등의 램프를 측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유지하며 주행시 필요한 삼색 주행신호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및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일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면을 갖는 신호등하우징과,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원호면을 따라 형성된 원호램프와, 상기 원호램프의 상측으로는 원호램프를 보호하는 원호보호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신호등하우징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면과 측면에 각각의 원형 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THE SIGNAL LAMP}
본 고안은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회전시 보행신호등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보행신호등의 램프를 측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유지하며 주행시 필요한 삼색 주행신호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및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보행자의 교통통제, 안내 및 지시하기 위한 도로교통 통제설비로서, 빨강, 초록 또는 빨강, 초록 오렌지색으로서 시효 표시를 행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도로변에 철주를 직립되게 시설하고, 그 철주에 신호등을 설치하거나 상기 철주에서 연장된 보강대에 신호등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등은 낮의 햇볕으로 인하여 식별이 가능해야 하며 빗물로 부터 신호등을 보호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신호등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하우징, 2는 램프, 3은 보호갓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호등은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하우징(1)의 정면에 램프(2)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2)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우천시 신호등을 보호하는 램프(2)의 상측으로 보호갓(3)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호등은 보행자나 주행차량이 전방만 주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측면에서는 신호등의 표시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횡단보도가 설치된 교차로에서 차량이 우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신호등이 빨간색인지 녹색인지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항상 좌측의 보행자 신호등을 살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우회전시 좌측을 살피고 우회전을 하므로써 보행자와의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행자 신호등 옆으로 삼색등이나 이색등으로된 차량용 신호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써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교차로에서 차량이 우회전시 보행신호등을 쉽게 파악하며 보행신호등의 램프를 측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유지하며 주행시 필요한 삼색 주행신호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및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일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면을 갖는 신호등하우징과,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원호면을 따라 형성된 원호램프와, 상기 원호램프의 상측으로는 원호램프를 보호하는 원호보호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호등하우징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면과 측면에 각각의 원형 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은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신호등하우징(10)의 일각이 원호형상인 원호면(11)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신호등 하우징(10)의 원호면(11)에는 원호램프(20)를 형성하고 상기 원호램프(20)의 상측으로는 원호램프(20)를 보호하는 원호보호갓(30)을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하우징(10)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면(12)과 측면(13)에 각각의 원형 램프(40)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신호등의 원호램프(20)나 램프(40)를 점등하면 빨간색등이나 초록색등이 선택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원호램프(20)나 램프(40)를 정면은 물론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보행자 및 차량의 운행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시 보행신호등을 쉽게 파악하고 보행신호등의 램프를 측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유지하며 교차로의 차량 주행시 필요한 삼색 주행신호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및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신호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등하우징 11 : 원호면
12 : 전벙면 13 : 측면
20 : 원호램프 30 : 원호보호갓
40 : 램프

Claims (2)

  1.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일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면(11)을 갖는 신호등하우징(10)과,
    상기 신호등 하우징(10)의 원호면(11)을 따라 형성된 원호램프(20)와,
    상기 원호램프(20)의 상측으로는 원호램프(20)를 보호하는 원호보호갓(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하우징(10)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면(12)과 측면(13)에 각각의 원형 램프(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KR20-2005-0029084U 2005-10-12 2005-10-12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KR200404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4U KR200404617Y1 (ko) 2005-10-12 2005-10-12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4U KR200404617Y1 (ko) 2005-10-12 2005-10-12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617Y1 true KR200404617Y1 (ko) 2005-12-26

Family

ID=4929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84U KR200404617Y1 (ko) 2005-10-12 2005-10-12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6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71B1 (ko) * 2023-02-28 2023-10-26 전범준 큐브형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71B1 (ko) * 2023-02-28 2023-10-26 전범준 큐브형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092B1 (ko)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 연동제어 시스템
KR200385884Y1 (ko) 주차방지용 설치구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200404617Y1 (ko)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KR200432405Y1 (ko) 보조신호등램프가 설치된 보행자신호등
KR200416774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CN2809757Y (zh) 导向式交通信号灯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20110092725A (ko) 비상등 겸용 가로등
CN212612072U (zh) 一种道路智慧斑马线
KR101546724B1 (ko)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200367225Y1 (ko) 보행자신호등
CN102454155A (zh) 太阳能自发光道路交通标志
KR20039398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시선안내 유도램프용 통신 제어장치
US20070206387A1 (en) Low profile lighting system
KR100911243B1 (ko) 보행자 신호등
CN111629472A (zh) 基于毫米波雷达的人行横道智慧路灯指示系统及控制方法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CN100383830C (zh) 导向式交通信号灯
KR200324414Y1 (ko) 쏠라 볼라드
KR20230062307A (ko) 운전자를 위한 교통 신호등 점등장치
KR101363117B1 (ko) 횡단보도용 신호기 철주형 신호등 설치구조
CN213814980U (zh) 适用于城市道路的路面交通信号装置
KR200223928Y1 (ko) 야간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