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67Y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67Y1
KR200403567Y1 KR20-2005-0027970U KR20050027970U KR200403567Y1 KR 200403567 Y1 KR200403567 Y1 KR 200403567Y1 KR 20050027970 U KR20050027970 U KR 20050027970U KR 200403567 Y1 KR200403567 Y1 KR 200403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input terminal
wire
busbars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우
Original Assignee
박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우 filed Critical 박관우
Priority to KR20-2005-0027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건축 현장이나 토목공사 현장 등에 설치되어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과 같은 전기부하에 전류을 공급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장부품의 탑재를 위한 플레이트와 복수 열로 나란하게 조합되는 다수 개의 부스바를 상하부에 각각 배치한 후, 부스바와 해당 전장부품을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전선으로 그대로 연결함으로써, 배선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선의 배선상태도 단순하고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부분이 상당히 배제됨에 따라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부스바의 길이만 적절하게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탑재할 수 있는 한편, 입출력단자 이외에 별도의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입력 터미널의 활용폭을 넓힐 수 있는 2단 구조의 입력 터미널을 채용함으로써, 입력 터미널을 포함하는 분전반의 전반적인 기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전반{Distribution switchboard}
본 고안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는 다수 개의 부스바를 복수 열로 나란하게 조합 배치하고, 상부에는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여러 전장부품들을 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하여 부스바의 적당한 위치에서 전선을 연장시켜 각 전장부품들을 연결함으로써,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배선작업을 보다 용이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의 정리상태를 단순하게 할 수 있고, 부스바의 길이만 적절하게 설정하면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건설/건축 현장이나 토목공사 현장 등에 설치되어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과 같은 전기부하에 전류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전반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터미널, 상기 입력터미널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각 전기부하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장치인 서키트 브레이커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는 입력 터미널측과 연결되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와 각종 전기부하측으로 각각 연결되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터미널이나 서키트 브레이커들은 서로 전선으로 배선되고, 소정의 케이스 내에서 모듈형태로 조합되어 하나의 분전반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분전반들은 입력 터미널과 각 서키트 브레이커 간의 전선 연결구조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전선의 배선상태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배선작업 또한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으며, 전반적으로 분전반의 부피나 면적이 큰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입력 터미널과 서키트 브레이커들을 일일이 전선으로 연결하다보니 전선들이 차지하는 공간이나 면적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분전반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는 단점이 있고, 전선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히면서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배선의 정렬상태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배선작업도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분전반을 구성하는 전장부품의 수를 늘려야 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으로 많은 수의 전선이 추가로 들어가기 때문에 분전반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크기도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공고실용신안20-0181720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를 절곡형 구조로 변경한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전선의 배선상태를 정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이것 역시 절곡형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채용함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진 관계로 분전반의 크기(부피나 면적)를 크게 줄이지는 못하였고,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공되어 있는 많은 수의 홀을 수차례 통과시키면서 전선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전선 배선작업이 더욱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힘이 많이 들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장부품의 탑재를 위한 플레이트와 복수 열로 나란하게 조합되는 다수 개의 부스바를 상하부에 각각 배치한 후, 부스바와 해당 전장부품을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전선으로 그대로 연결함으로써, 배선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선의 배선상태도 단순하고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부분이 상당히 배제됨에 따라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부스바의 길이만 적절하게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탑재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입출력단자 이외에 별도의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입력 터미널의 활용폭을 넓힐 수 있는 2단 구조의 입력 터미널을 채용함으로써, 입력 터미널을 포함하는 분전반의 전반적인 기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는 양쪽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면서 복수 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부스바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에는 입력 터미널이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양쪽의 지지대측에 얹혀져 지지되면서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 및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와 다수의 전장부품을 탑재한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 터미널과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는 플레이트의 저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전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동시에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와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은 서브 전선에 의해 부스바를 거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상에 탑재되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은 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렬로 배치되어 가장 가까운 쪽의 부스바측과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부스바는 리브에 의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포스트 위에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전선이 배선되는 저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양단부 저면이 일정높이의 지지대 위에 얹혀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 터미널은 동일선상에서 앞뒤로 위치되는 동시에 양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그 윗쪽으로 위치되는 동시에 각 입출력단자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예비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전선 및 서브 전선은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나사를 가지면서 부스바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접점부에 의해 부스바측과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서 상부의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서 하부의 부스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서 부스바 및 플레이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전반은 외부 전원의 도입을 위한 입력 터미널(12), 각종 전기부하측으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및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전원의 통로역할을 하는 다수의 부스바(11),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들을 탑재하기 위한 플레이트(16) 등으로 크게 구성되며, 이러한 것들은 하나의 모듈형태로 케이스(10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에는 입력 터미널(12)과 다수의 부스바(11)가 설치되고, 그 위로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플레이트(16)상에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및 전장부품(15)들이 탑재됨에 따라 바닥과 플레이트(16) 저면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들의 연결을 위한 각종 배선들을 배치할 수 있는 등 케이스 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인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전반의 가장 큰 특징은 부스바(11)를 전원연결을 위한 매개수단으로 채용한 점과 서키트 브레이커나 전장부품들을 일정높이에 배치한 후 그 저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한 점에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00) 내의 바닥 양편에는 각각 바형태의 지지대(10)가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면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부스바(11)는 양쪽의 지지대(10)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복수 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 부스바(11)의 양단은 지지대(10)상에 체결 고정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4개의 부스바가 4열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지지대(10)는 설치되는 부스바(11)들의 바로 위에 플레이트(16)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양단부는 높게 형성되어 플레이트(16)가 얹혀지는 부위가 되고, 양단부 사이에는 부스바(15)들을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낮게 형성된 것으로, 즉 일정높이를 두고 높이를 달리하여 단차지게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의 부스바(11)가 얹혀지는 부위에는 원통형 포스트(19a)가 일정간격에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11)는 상기 원통형 포스트(19a) 위에 끝부분이 얹혀져서 그 위로부터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관통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되고, 각각의 원통형 포스트(19a)들은 그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리브에 의해 서로 일체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스바(11)가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의 다른 구조로서, 원통형 포스트(19a, 19b)와 리브로 지지대를 형성하지 않고 지지대의 전체 폭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부스바(11)가 얹혀지는 상면에는 부스바의 폭과 두께에 맞는 홈을 일정간격에 형성하여 이 홈에 부스바를 결착시켜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플레이트(16)는 대략 사각판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대(10)에 설치된 부스바(11)들의 상부를 차단하면서 그 저면이 지지대(10)의 양단부에 높게 형성된 원통형 포스트(19b) 위에 얹혀진 후, 위로부터의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대(10)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6)의 저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고, 확보된 공간을 통해 전선들이 지나가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탑재되는 입력 터미널(12), 서키트 브레이커(13, 14), 다수의 전장부품(15)들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및 전장부품(15)은 서로 밀착 위치되면서 부스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스바(11)측과의 연결시 해당 서키트 브레이커나 전장부품과 가장 가까운 쪽의 부스바(11)측에서 최단거리로 전선을 연장하여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최초로 제공받는 입력 터미널(12)은 서로 위아래 배치되어 있는 플레이트(16) 및 부스바(11)의 일측에서 케이스(100)의 바닥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입력 터미널(12) 역시 플레이트(16) 위에 탑재된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와는 소정의 높이차를 갖게 되므로, 플레이트(16)의 저부에 확보한 공간을 이용하여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측과의 연결을 위한 메인 전선(17a)를 길게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입력 터미널(12)에는 서로 동일선상에서 앞뒤로 위치되는 동시에 양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단자(12a) 및 출력단자(12b)가 갖추어져 있으며, 외부의 전선을 입력단자(12a)측에 연결하고 출력단자(12b)로부터 메인 전선(17)을 인출하면 공급받은 외부전원을 각 서키트 브레이커측으로 보내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입력 터미널(1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 구조의 몸체를 가지면서 별도의 출력단자를 갖추고 있는 특징이 있다.
즉, 1단쪽에는 입,출력단자(12a),(12b)가 배치되고, 2단쪽에는 각 입출력단자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나란한 다수의 예비 출력단자(12c)가 배치되는 2단 구조의 몸체로 입력 터미널(12)이 구성된다.
이때, 예비 출력단자(12c)는 입력 터미널(12)측에 제공되는 외부 전원을 다른 전기부하 요소측으로 분기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여분을 제공하므로, 분전반 자체의 회로구성이나 주변의 다른 전기부하 요소들과의 회로구성과 관련한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등 분전반의 전반적인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및 전장부품(15)은 플레이트(16)의 위에 나사 등으로 체결,고정되어 설치되며, 입력 터미널(12)이나 부스바(11)측에서 연장되는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입력 터미널(12)의 출력단자(12b)측에서 연장되는 다수 가닥의 메인 전선(17), 예를 들면 4가닥의 메인 전선(17)은 플레이트(16)의 저부를 가로질러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의 입력측(13a)에 연결되고,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의 출력측(13b)에서 연장되는 4가닥의 서브 전선(18)은 재차 플레이트(16)의 저부로 진입하여 각 부스바(11)에 일대일로 연결된다.
또한,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및 전장부품(15)의 입력측에는 각 부스바(11)의 소정의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되는 서브 전선(18)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의 서브 전선(18)은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나 전장부품(15)의 입력측과 가장 가까운 직선거리로 해당 부스바(11)측과 연결되므로, 배선거리를 최단거리로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배선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고 배선의 정리상태도 간결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전선(17) 및 서브 전선(18)과 부스바(11)에 의해 입력 터미널(12),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및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전장부품(15)이 접속되므로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메인 전선(17), 서브 전선(18), 부스바(11)를 타고 흐르면서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나 전장부품(15)의 출력측을 통해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전기부하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10)에 콘센트(16)를 부착시켜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선들의 실질적인 접속을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접점부(20)가 제공되며, 각각의 접점부(20)들은 다수 열의 부스바(11)들 중에서 소정의 회로구성에 따라 선택된 부스바와 해당 전선을 일대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의 전선은 그 끝에 있는 접점편을 이용하여 접점부(20)상에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점부(20)들은 부스바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나사를 갖고 있어서 전선과 부스바 간의 연결작업시 연결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작업을 보다 수월히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1은 접지단자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전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양편의 지지대(10)와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다수 개의 부스바(11)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입력 터미널(12)을 설치한다.
이렇게 부스바(11) 및 입력 터미널(12)의 설치가 완료되면 입력 터미널(12)측과 부스바(11)측에 전선들을 각각 배선한다.
즉, 입력터미널(12)의 출력단자(12b)로부터 메인 전선(17a)의 한쪽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부스바(11)를 가로질러 길게 연장시켜 놓고, 각 부스바(11)측으로부터 1개씩의 메인 전선(17b)을 각각 연장시켜 놓은 후, 다른 한편에서도 부스바(11)측으로부터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나 전장부품(15)의 입력측 수에 맞는 서브 전선(18)을 각각 연장시켜 놓으면, 1차 배선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서브 서키트 브레커(14) 및 전장부품(15)이 탑재되는 플레이트(16)를 지지대(10)상에 설치한다.
계속해서, 입력 터미널(12)측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 전선(17a)을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의 입력측(13a)에 연결하는 동시에 부스바(11)측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 전선(17b)을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의 출력측(13b)에 연결하면, 입력 터미널(12)에 입력되는 전원이 부스바(11)까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부스바(11)측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한편의 서브 전선(18)들을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와 전장부품(15)의 각 입력측에 연결하면, 모든 배선작업의 완료와 동시에 분전반의 조립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을 홀에 넣었다 뺏다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나 간섭없이 용이하게 1차 배선작업을 수행한 후, 서키트 브레이커나 전장부품에 전선을 손쉽게 연결하는 작업만으로 분전반의 배선작업(조립)을 모두 마칠 수 있으므로, 배선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모든 전선이 최단 직선거리로 배선되므로, 전선의 배선상태도 단순하고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립된 분전반에서 전류흐름경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전류는 입력 터미널(12)의 입력단자(12a)를 통해 들어오고, 계속해서 출력단자(12b)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전선(17a)을 통해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측으로 보내지는 동시에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의 출력측에서 연장되는 메인 전선(17b) 및 서브 전선(18)과 접점부(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11)를 통해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측으로 보내진 후,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를 통해 공사현장 등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과 같은 전기부하 설비로 공급되어 설비 가동을 위한 전원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부스바를 이용한 전선의 효율적인 연결구조, 일정높이를 갖는 플레이트를 통한 각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의 효과적인 배치구조 등을 포함하는 분전반을 제공함으로써, 전선의 배선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배선의 수를 줄이면서 그 정리상태도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등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 축소와 함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적절한 길이의 부스바 설정만으로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출력단자 이외에 별도의 출력단자를 갖춘 2단 구조의 입력 터미널을 포함하는 분전반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터미널의 활용폭을 넓힐 수 있는 등 분전반의 전반적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서 상부의 서키트 브레이커 및 전장부품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서 하부의 부스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서 부스바 및 플레이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11 : 부스바
12 : 입력 터미널 13 :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
14 :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 15 : 전장부품
16 : 플레이트 17a, 17b : 메인 전선
18 : 서브 전선 19a, 19b : 원통형 포스트
20 : 접점부 21 : 접지단자부
100 : 케이스

Claims (6)

  1. 하부에는 양쪽의 지지대(10)에 의해 고정되면서 복수 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부스바(11)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에는 입력 터미널(12)이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양쪽의 지지대(10)측에 얹혀져 지지되면서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및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와 다수의 전장부품(15)을 탑재한 플레이트(16)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 터미널(12)과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는 플레이트(16)의 저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전선(17)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동시에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와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및 전장부품(15)은 서브 전선(18)에 의해 부스바(11)를 거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6)상에 탑재되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3),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 및 전장부품(15)은 부스바(11)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렬로 배치되어 가장 가까운 쪽의 부스바(11)측과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스바(11)는 리브에 의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포스트(19) 위에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6)는 전선이 배선되는 저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양단부 저면이 일정높이의 지지대(10) 위에 얹혀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터미널(12)은 동일선상에서 앞뒤로 위치되는 동시에 양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입력단자(12a) 및 출력단자(12b)와 그 윗쪽으로 위치되는 동시에 각 입출력단자(12a),(12b)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예비 출력단자(12c)를 포함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선(17) 및 서브 전선(18)은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나사를 가지면서 부스바(11)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접점부(20)에 의해 부스바측과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KR20-2005-0027970U 2005-09-29 2005-09-29 분전반 KR200403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70U KR200403567Y1 (ko) 2005-09-29 2005-09-29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70U KR200403567Y1 (ko) 2005-09-29 2005-09-29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67Y1 true KR200403567Y1 (ko) 2005-12-09

Family

ID=4370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70U KR200403567Y1 (ko) 2005-09-29 2005-09-29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65A (ko) * 2015-03-02 2016-09-12 대진전기 (주)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65A (ko) * 2015-03-02 2016-09-12 대진전기 (주)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KR101667561B1 (ko) 2015-03-02 2016-10-19 대진전기 (주)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417A (ko) 부스바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0761484B1 (ko)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200403567Y1 (ko) 분전반
KR200415388Y1 (ko)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200395594Y1 (ko) 분전반
KR100500409B1 (ko) 전력기용 보호장치
JP2014217235A (ja) 電気接続箱
JP2007209066A (ja) 分電盤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200302957Y1 (ko) 분전반
JP4958282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JP4836249B2 (ja) 分電盤
KR200181720Y1 (ko) 분전반용 전장 부품의 장착 패널
JP2007318875A (ja) 住宅用分電盤
KR100735862B1 (ko) 전력장치용 접속 고정부를 구비한 자선부스바
KR200409001Y1 (ko) 전동기 제어장치 유닛
KR101201094B1 (ko)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KR200370969Y1 (ko) 분전반용 모선지지대
KR200471206Y1 (ko)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CN218941586U (zh) 接触器布局结构及电机控制器
KR200401136Y1 (ko) 분전반
KR100594905B1 (ko) 분배전반 제조방법
JP4564807B2 (ja) 分電盤の母線配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