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484B1 -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 Google Patents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484B1
KR100761484B1 KR1020060018318A KR20060018318A KR100761484B1 KR 100761484 B1 KR100761484 B1 KR 100761484B1 KR 1020060018318 A KR1020060018318 A KR 1020060018318A KR 20060018318 A KR20060018318 A KR 20060018318A KR 100761484 B1 KR100761484 B1 KR 10076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bars
main
sub
low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120A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주)설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설악전기 filed Critical (주)설악전기
Priority to KR102006001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4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건축 현장이나 토목공사 현장 등에 설치되어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과 같은 전기부하에 전류을 공급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키트 브레이커 사이를 연결하면서 복수 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부스바를 옆으로 세워서 배치하여 부스바 간의 배치 간격과 부스바가 차지하는 점유 공간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한편, 부스바 간의 크로스 부위를 연결시켜주는 부스바 커넥터의 형태를 원터치 방식의 클립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구멍을 뚫거나 나사 또는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등의 불편함없이 부스바 조립과 관련한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부스바의 추가 조립이 용이하여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분전반을 제공한다.
분전반, 입력 터미널, 서키트 브레이커, 부스바, 부스바 커넥터

Description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Distribution Switchboard using a Clip-typed Busbar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에서 부스바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에서 부스바 커넥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에서 부스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분전반에서 부스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 11 :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
12 : 메인 부스바 13 : 서브 부스바
14 : 부스바 커넥터 15a,15b : 공간부
16 : 접점 플레이트 17 : 하부 블럭
18 : 상부 블럭 19 : 훅부
20 : 홈부 21 : 홀
본 발명은 건설 및 건축 현장이나 토목공사 현장 등에 사용되는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부스바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부스바를 동시에 결속시킬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부스바 커넥터를 적용함으로써, 부스바 간의 배치 간격 및 점유 공간을 최대한 줄여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부스바 조립과 관련한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특히 부스바의 추가 조립이 용이하여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건설/건축 현장이나 토목공사 현장 등에 설치되어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과 같은 전기부하에 전류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전반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터미널, 상기 입력터미널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각 전기부하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장치인 서키트 브레이커, 입력 터미널과 서키트 브레이커 간의 접속 매체인 부스바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는 입력 터미널측과 연결되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와 각종 전기부하측으로 각각 연결되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와 각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1)는 메인 부스바(12) 및 서브 부스바(13)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 된다.
이러한 입력 터미널이나 서키트 브레이커들은 부스바로 배선되고, 소정의 케이스 내에서 모듈형태로 조합되어 하나의 분전반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분전반들은 각 서키트 브레이커 간의 부스바 연결구조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배선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전반적으로 분전반의 부피나 면적이 큰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서키트 브레이커 간의 각 부스바를 연결하기 위하여 부스바의 연결부위를 절곡한 후 일일이 구멍을 뚫고 나사나 볼트 및 너트로 조여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작업도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일정폭을 갖는 부스바가 차지하는 공간이나 면적때문에 분전반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전반을 구성하는 전장부품의 수를 늘려야 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으로 많은 수의 부스바가 추가로 들어가기 때문에 부스바 조립과 관련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전반의 크기도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서키트 브레이커 사이를 연결하면서 복수 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부스바를 옆으로 세워서 배치하여 부스바 간의 배치 간격과 부스바가 차지하는 점유 공간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스바 간의 크로스 부위를 연결시켜주는 부스바 커넥터의 형태를 원터치 방식의 클립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구멍을 뚫거나 나사 등을 체결하는 등의 불편함없이 부스바 조립과 관련한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부스바의 추가 조립이 용이하여 많은 수의 전장부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 터미널측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나란한 메인 부스바를 갖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와, 상기 메인 부스바와 교차되는 동시에 각 교차부위에서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나란한 서브 부스바를 갖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스바는 옆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면서 바로 눕혀져 있는 서브 부스바와 부스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스바 커넥터는 부스바의 관통을 위한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접점 플레이트를 갖는 하부 블럭과, 상기 접점 플레이트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부스바의 관통을 위한 공간부를 가지면서 하부 블럭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접점 플레이트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선형태를 취하면서 그 사이의 부스바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각 상기 접점 플레이트의 상단 일부는 상기 하부 블럭의 상부에 있는 홀을 통해 상기 하 부 블럭의 윗쪽으로 일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럭과 하부 블럭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훅부와 홈부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입력 터미널측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나란한 메인 부스바를 갖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와, 상기 메인 부스바와 교차되는 동시에 각 교차부위에서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나란한 서브 부스바를 갖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서브 부스바는 옆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면서 바로 눕혀져 있는 메인 부스바와 부스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스바 커넥터는 부스바의 관통을 위한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접점 플레이트를 갖는 하부 블럭과, 상기 접점 플레이트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부스바의 관통을 위한 공간부를 가지면서 하부 블럭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부스바 조립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배선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 축소와 함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에서 부스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전반은 서키트 브레이커를 연결해주는 부스바, 좀더 구체적으로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를 연결해주 는 메인 부스바를 수평상태로 세워서 배치한 구조, 즉 폭방향을 위아래로 하여 옆으로 세워서 배치한 구조를 포함한다.
즉, 기존 보통의 부스바 배치구조와 같이 바로 눕혀서 배치하는 구조와는 달리 부스바를 옆으로 세워서 배치함으로써, 나란하게 배열되는 부스바 간의 간격을 최대한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고, 결국 한정된 공간 내에서 기존 보다 많은 수의 부스바를 갖출 수 있으며, 정해진 수의 부스바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줄어든 간격만큼 분전반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90°교차되면서 바로 눕혀져 있는 부스바와 옆으로 세워져 있는 부스바를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스바 커넥터(14)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된 사각블럭형태로 이루어진 2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윗쪽의 상부 블럭(18)은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1)가 갖는 서브 부스바(13)를 잡아주기 위한 블럭이고, 아래쪽의 하부 블럭(17)은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가 갖는 메인 부스바(12)를 잡아주기 위한 블럭이다.
즉, 상기 상부 블럭(18)으로는 바로 눕혀져 있는 서브 부스바(13)가 고정되고, 상기 하부 블럭(17)으로는 옆으로 세워져 있는 메인 부스바(12)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 블럭(18)과 하부 블럭(17)에는 내측에 각각의 공간부(15a),(15b)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 공간부(15a),(15b)를 이용하여 메인 부스바(12)와 서브 부스바(13)를 각각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블럭(18)과 하부 블럭(17)은 각각 가지고 있는 훅부(19)와 홈부 (20)를 이용하여 강한 탄성력을 통한 클립형태로 서로 상하 조립된다.
즉, 상부 블럭(18)의 하단부에는 공간부(15b)를 사이에 두고 양편으로 나란한 훅부(19)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블럭(17)의 전후면 윗쪽으로 각각의 홈부(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블럭(18)을 하부 블럭(17)의 윗쪽에서 아래로 눌러 끼우면 훅부(19)가 홈부(20)에 걸려지면서 상부 블럭(18)과 하부 블럭(17)은 서로 일체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한 탄성력을 이용한 클립형태로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구멍을 뚫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번거로움없이 빠른 속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분전반의 용도마다 부스바의 크기가 조금씩 다른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한 체결방식이기 때문에 그 적용이 용이한 점이 있고, 결국 위와 같은 클립형태의 부스바 커넥터는 그 적용범위를 폭넓게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스바 커넥터는 분전반에서 뿐만 아니라 수배전에서 사용되는 모든 부스를 체결하는데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블럭(18),(1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메인 부스바(12)와 서브 부스바(13)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상하부 블럭(18),(17) 내에는 접점 플레이트(16)가 구비된다.
상기 접점 플레이트(16)는 2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 블럭(17)의 공간부(15a)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선형태를 취하면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점 플레이트(16)의 상단부는 하부 블럭(17)에 있는 홀(21)을 통해 윗쪽으로 일부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부분은 상부 블럭(18)의 공간부(15b)를 관통하는 서브 부스바(13)와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한쌍의 접점 플레이트(16)는 완만하게 휘어진 곡선형태의 볼록부분을 이용하여 그 사이를 지나가는 메인 부스바(12)의 양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이때의 발휘되는 밀착력에 의해 부스바 커넥터(14)는 부스바상에서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부 블럭(18)과 하부 블럭(17) 간의 조립상태에서 접점 플레이트(16)의 상단부도 또한 서브 부스바(13)에 의해 눌려지면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부스바 커넥터(14)의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접점 플레이트(16)는 하부 블럭(17)상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합될 수 있고, 또는 하부 블럭(17)의 사출성형시 인서트되어 일체식으로 성형되는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여 부스바, 특히 메인 부스바를 옆으로 세워서 배치하는 일 구현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서키트 브레이크(10)측 메인 부스바(12)와 서브 서키트 브레이크(11)측 서브 부스바(13)는 90°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메인 부스바(12)와 서브 부스바(13) 간의 교차부위는 부스바 커넥터(14)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전류는 입력 터미널(미도시)의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들어오고, 계속해서 출력단자(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을 통해 메인 서키트 브 레이커(10)측으로 보내지는 동시에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의 출력측에서 연장되는 메인 부스바(12) 및 부스바 커넥터(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부스바(13)를 통해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1)측으로 보내진 후,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1)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를 통해 공사현장 등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과 같은 전기부하 설비로 공급되어, 설비 가동을 위한 전원으로 사용되는 분전반의 전류흐름경로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부스바(13)는 바로 눕혀져 있는 상태이고, 상기 메인 부스바(12)는 옆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때, 메인 부스바(12)는 부스바 커넥터(14)에 거의 붙을 정도로 바짝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메인 부스바(12)를 옆으로 세워 배치함에 따라 메인 부스바(12) 간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스바가 점유하고 있는 공간이나 면적의 축소로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메인 부스바를 옆으로 세워서 배치한 예를 제공하고 있지만,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서브 부스바를 옆으로 세워서 배치하고 메인 부스바는 바로 눕혀서 배치한 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분전반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이나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부스바 배치구조, 원터치 방식으로 부스바를 연결할 수 있는 부스바 접속구조 등을 포함하는 분전반을 제공함으로써, 부스바 조립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배선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분전반의 전체적인 크기 축소와 함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동 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

Claims (4)

  1. 입력 터미널측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나란한 메인 부스바(12)를 갖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와, 상기 메인 부스바(12)와 교차되는 동시에 각 교차부위에서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나란한 서브 부스바(13)를 갖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1)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스바(12)는 옆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면서 바로 눕혀져 있는 서브 부스바(13)와 부스바 커넥터(1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스바 커넥터(14)는 상기 메인 부스바(12)의 관통을 위한 공간부(15a) 및 상기 공간부(15a) 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접점 플레이트(16)를 갖는 하부 블럭(17)과, 상기 접점 플레이트(16)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서브 부스바(13)의 관통을 위한 공간부(15b)를 가지면서 하부 블럭(17)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블럭(18)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블럭(18)과 상기 하부 블럭(17)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훅부(19)와 홈부(20)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점 플레이트(16)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선형태를 취하면서 그 사이의 메인 부스바(12)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각 상기 접점 플레이트(16)의 상단 일부는 상기 하부 블럭(17)의 상부에 있는 홀(21)을 통해 상기 하부 블럭(17)의 윗쪽으로 일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3. 삭제
  4. 삭제
KR1020060018318A 2006-02-24 2006-02-24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10076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18A KR100761484B1 (ko) 2006-02-24 2006-02-24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18A KR100761484B1 (ko) 2006-02-24 2006-02-24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211U Division KR200415388Y1 (ko) 2006-02-24 2006-02-24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120A KR20070088120A (ko) 2007-08-29
KR100761484B1 true KR100761484B1 (ko) 2007-10-01

Family

ID=3861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318A KR100761484B1 (ko) 2006-02-24 2006-02-24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4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75B1 (ko) 2009-07-15 2009-12-28 조광식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466324B1 (ko) 2012-12-03 2014-11-28 주식회사 아이일렉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190114192A (ko)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태건상사 분전반의 버스바의 접속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21B1 (ko) * 2009-06-24 2011-08-09 오석환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
KR100954693B1 (ko) * 2009-09-23 2010-04-26 송태연 분전반
KR101251605B1 (ko) * 2013-02-12 2013-04-08 (주)두연테크 수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KR101447117B1 (ko) * 2013-07-31 2014-10-07 박양석 클립타입의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KR101493239B1 (ko) * 2014-03-19 2015-02-16 주식회사 비엠티 전기적 활선상태에서 회로 분리되는 모듈형 안전부스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83B1 (en) 2001-08-31 2003-01-24 Bestec Co Ltd Bus connection structure of cabinet and distribution panel
KR100534589B1 (ko) 2005-05-13 2005-12-08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100543965B1 (ko) 2005-06-30 2006-01-23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83B1 (en) 2001-08-31 2003-01-24 Bestec Co Ltd Bus connection structure of cabinet and distribution panel
KR100534589B1 (ko) 2005-05-13 2005-12-08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100543965B1 (ko) 2005-06-30 2006-01-23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75B1 (ko) 2009-07-15 2009-12-28 조광식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466324B1 (ko) 2012-12-03 2014-11-28 주식회사 아이일렉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190114192A (ko)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태건상사 분전반의 버스바의 접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120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484B1 (ko)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200415388Y1 (ko) 클립형 부스바 커넥터를 채용한 분전반
KR100748397B1 (ko)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CN104749406A (zh) 电能表连接结构
KR101406934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100550205B1 (ko) 분전반
KR100825379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200395594Y1 (ko) 분전반
KR100665685B1 (ko) 부스바 커넥터
CN2692861Y (zh) 精密电源布线装置
CN104218340A (zh) 一种接线端子排
CN213425770U (zh) 一种临时电缆分支箱
CN203521700U (zh) 插拔式接线端子及火灾报警前端产品
JP6433336B2 (ja) 分電盤
KR200403567Y1 (ko) 분전반
CN203519669U (zh) 导电装置
CN217159210U (zh) 一种插接式母线装置
CN109119776B (zh) 一种超薄端子式驱动电源
KR100594905B1 (ko) 분배전반 제조방법
CN2658985Y (zh) 无熔丝开关
CN103109416A (zh) 用于压簧技术中的断路器的接线端子装置
JP4983640B2 (ja) 低圧配電設備
KR200427392Y1 (ko) 관통홀 모선버스-바
RU2229760C2 (ru) Набор зажимов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KR20070002427A (ko) 전력장치용 접속 고정부를 구비한 자선부스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