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496Y1 -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496Y1
KR200403496Y1 KR20-2005-0026722U KR20050026722U KR200403496Y1 KR 200403496 Y1 KR200403496 Y1 KR 200403496Y1 KR 20050026722 U KR20050026722 U KR 20050026722U KR 200403496 Y1 KR200403496 Y1 KR 200403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ase
absorbent polymer
moisture
s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한
정명조
한종수
Original Assignee
노바옵틱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옵틱스 (주) filed Critical 노바옵틱스 (주)
Priority to KR20-2005-0026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상에 체결되어 관리자가 광섬유가 설치된 위치에 수분이 침투하였는지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섬유(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양측으로 수분침투시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광섬유(S)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은 흡수중합제(30)의 팽창에 따라 광섬유(S)가 절곡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of water on optical fiber}
본 고안은 광섬유상에 체결되어 관리자가 광섬유가 설치된 위치에 수분이 침투하였지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통신의 발달로 인해 광섬유로 구성되는 광선로가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상기 광선로를 구성하는 광섬유는 신호전송을 위한 것으로, 수분에 노출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신호전송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도1은 수분 노출 시간경과에 따른 광섬유의 강도 변화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2는 광섬유의 표면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a)는 정상 환경에서의 광섬유 표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장시간 동안 수분에 노출된 후의 광섬유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가 수분에 노출되면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섬유는 수분 노출상태가 일정 기간 경과한 후에야 비로서 그 상태감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즉, 관리자는 광섬유에 수분이 침투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야 수분 침투에 의한 통신이상을 확인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수분침투에 따른 통신이상을 발견하여 조치를 취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광통신가입자는 통신 두절과 같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선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섬유(1a)와 제2 광섬유(1b)의 절단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를 갖는 소정 접속소자(2)가 제1 및 제2 광섬유(1a,1b)의 절단면을 둘러싼 형태로 구성되는 소정 접속지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광섬유 접속지점에 있어서는 신호전송매체로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수분침투감지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섬유상에 체결되어 관리자가 광섬유가 설치된 위치에 수분이 침투하였지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섬유(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양측으로 수분침투시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광섬유(S)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은 흡수중합제(30)의 팽창에 따라 광섬유(S)가 절곡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광섬유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0)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안내로를 형성하는 지지대(20)의 일면에는 광섬유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이프(21)가 추가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중합제(30)는 지지대(20)의 양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에 소정 관통홈(17)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개방부의 일측에 소정 체결홈(13)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방부와 대향되는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소정 절개홈(12)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와 맞닿는 부분에 수분유입을 위한 소정 수분유입구(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이면서 개방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광섬유(S)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양측면에는 광섬유(S)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기존 설치된 광섬유상에 용이하게 체결가능함과 더불어, 수분감지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7는 도6에 도시된 수분감지장치(100)의 A-A' 단면도이고, 도8은 도6에 도시된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의 B-B'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섬유 접속지점이 포함되는 광섬유(S)상에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가 체결된 상태를 예시하였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접속지점이 접속소자(2)로 둘러싸인 형상의 광섬유 뿐 아니라, 도4와 같이 광섬유가 융착접속된 상태, 즉 도3에서 접속소자(2)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 또는 도5와 같은 일반 광섬유(1) 등 각종 형태의 광섬유에 적용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는 광섬유(S)상에 체결되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섬유(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가 구비됨과 더불어, 지지대(20)의 양측으로 수분침투시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광섬유(S)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양측면에는 광섬유(S)를 관통시키기 위한 소정 관통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광섬유상에 체결하기 위한 소정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그 내부 일측에 소정 절개홈(12)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절개홈(12)의 대향면은 광섬유(S) 배치방향으로 개폐가능한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그 개방부의 일측에는 체결홈(1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체결돌기(14)를 형성하여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케이스(10)의 개방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된 위치와 맞닿는 위치, 예컨대, 케이스(10)의 양측면에 수분이 흡수중합제(30)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수분유입구(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가 일정 길이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케이스(1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된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에 소정 관통홈(16)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0에서 도10a는 단면도이고 도10b는 외관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된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면(17)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흡수중합제(30)로의 수분유입은 개방면(17)을 통해 행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수분유입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11에서 도11a는 단면도이고 도11b는 외관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도10 내지 도11과 같이 케이스(10)가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된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광섬유(S)를 기준으로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된 부분의 공간보다 그 대향되는 부분의 공간이 작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에서 도12a는 케이스(10)에 절개홈(16)이 형성되는 수분감지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12b는 케이스(10)의 하측 양쪽에 개방면(17) 형성되는 수분감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20)는 케이스(10) 내부에 광섬유(S)를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분에 광섬유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0) 내부 상측과 하측에 모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0) 내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일측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광섬유 안내로를 형성하는 지지대(20)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S)를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테이프(21)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수중합제(30)는 일측이 케이스(10)에 형성된 수분유입구(15)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흡수중합제(30)는 지지대(20)의 각 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분유입구(15)는 흡수중합제(30)가 결합되는 케이스(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수분흡수에 따른 광섬유(S)의 인장률을 증가시켜 해당 광섬유(S)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의 변화정보를 가중시킴으로써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수분침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수분감지장치(100)의 케이스(10)의 개방면을 개방시킨 후 지지대(20)에 의해 광섬유가 지지되도록 광섬유(S)를 케이스(10) 내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케이스(10)의 개방면에 형성된 체결수단에 압력을 가하여 수분감지장치(100)에 광섬유(S)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수분감지장치(100)는 광섬유(S)가 구비된 예컨대 광섬유접속함체나 광단자함 등의 수분침투가 우려되는 지점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본 수분감지장치(100)가 설치된 광섬유접속함체 또는 광단자함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케이스(10)에 형성된 수분유입구(15)를 통해 수분이 흡수중합제(30)로 유입되면, 흡수중합제(30)가 팽창하여 흡수중합제(30)에 대응되는 위치의 광섬유(S)가 절곡 인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광섬유(S)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해당 광섬유(S)의 일단에 소정 모니터링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결합하여 해당 광섬유접속함체나 광단자함 등에 수분이 침투하였음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설치된 광섬유상에 용이하게 체결가능함과 더불어, 수분감지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설치된 광섬유상에 용이하게 체결가능함과 더불어, 수분감지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과 도2는 수분침투에 따른 광섬유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융착접속을 한 후 보강된 광섬유를 도시한 도면.
도4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가 적용되는 광섬유의 또 다른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의 외관사시도.
도7과 도8은 도6에 도시된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의 단면도.
도9 내지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100)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케이스, 11 : 관통공,
12 : 절개홈, 13 : 체결홈,
14 : 체결돌기, 15 : 수분유입구,
16 : 관통홈, 17 : 개방면,
20 : 지지대, 21 : 테이프,
30 : 흡수중합제.

Claims (10)

  1.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섬유(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양측으로 수분침투시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광섬유(S)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은 흡수중합제(30)의 팽창에 따라 광섬유(S)가 절곡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광섬유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0)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안내로를 형성하는 지지대(20)의 일면에는 광섬유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이프(21)가 추가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중합제(30)는 지지대(20)의 양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에 소정 관통홈(17)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개방부의 일측에 소정 체결홈(13)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방부와 대향되는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소정 절개홈(12)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와 맞닿는 부분에 수분유입을 위한 소정 수분유입구(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와 맞닿는 부분에 수분유입을 위한 소정 수분유입구(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이면서 개방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광섬유(S)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양측면에는 광섬유(S)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흡수중합제(3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KR20-2005-0026722U 2005-09-16 2005-09-16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KR200403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22U KR200403496Y1 (ko) 2005-09-16 2005-09-16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22U KR200403496Y1 (ko) 2005-09-16 2005-09-16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496Y1 true KR200403496Y1 (ko) 2005-12-09

Family

ID=4370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22U KR200403496Y1 (ko) 2005-09-16 2005-09-16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4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6124A (zh) * 2021-12-30 2022-05-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光缆接头盒检测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6124A (zh) * 2021-12-30 2022-05-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光缆接头盒检测系统
CN114486124B (zh) * 2021-12-30 2023-12-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光缆接头盒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215B2 (en) Cable termination
EP2076655B1 (en) Breathable-hole fibre optic cable and method of restoring its performance
US20060280418A1 (en) Fiber optic cable enclosure assembly with slide out tray
EA013831B1 (ru) Детектор утеч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JP2007040738A (ja) 光ファイバ通信ラインに接続された光ファイバセンサ
KR200403496Y1 (ko)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CN109154537A (zh) 使用光耦合到实芯光纤的空芯光纤的分布式气体检测系统和方法
US6009217A (en) Optical fiber sens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esence of liquid and vapor phases of a substance
JP2009103838A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KR101949815B1 (ko) 케이블 벤딩 유발 장치
KR100842174B1 (ko)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침입체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2311353A5 (ko)
JP5203020B2 (ja) 光伝送用機器、この光伝送用機器に用いられる光伝送判別器、ならびに、これら光伝送用機器および光伝送判別器を用いた光伝送管理システム
JP4476729B2 (ja) 浸水検知装置
JP2005338023A (ja) 変状監視システム
KR101821051B1 (ko) 보안펜스 접속형 감지장치
JPH04160350A (ja) 光ファイバ形液体検知器
JP2005338023A5 (ko)
JP4954849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
KR940011962A (ko) 광섬유를 이용한 물침투 감지장치
JP3329976B2 (ja) 漏油検知システム
US20040001685A1 (en) Optical fiber closure having an integrated bend limiting feature
CN210243096U (zh) 一种光缆接续盒渗水检测系统
KR200278678Y1 (ko) 광섬유망 정형유지기구
KR200236939Y1 (ko)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