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39Y1 -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 Google Patents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39Y1
KR200236939Y1 KR2019990002549U KR19990002549U KR200236939Y1 KR 200236939 Y1 KR200236939 Y1 KR 200236939Y1 KR 2019990002549 U KR2019990002549 U KR 2019990002549U KR 19990002549 U KR19990002549 U KR 19990002549U KR 200236939 Y1 KR200236939 Y1 KR 200236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roller
optical fiber
locking groove
sidewalls
atten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207U (ko
Inventor
오승헌
Original Assignee
이재철
대원광통신 주식회사
오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대원광통신 주식회사, 오승헌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2019990002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39Y1/ko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광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는 광섬유망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인장되는 상위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에는 광섬유가 인입 및 인출되는 제1 및 제2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제1 및 제2 측벽과 직교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는 제1 및 제2 걸림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제1 벤딩롤러가 고정 설치되어 제1 걸림홈으로 인입된 광섬유가 그 자신의 상면에 밀착되어 제2 걸림홈으로 인출되고, 제1 벤딩롤러의 일측의 제3 및 제4 측벽에 제1 걸림홈보다 높고 제1 벤딩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제2 벤딩롤러가 고정 설치되어서 제1 걸림홈으로부터의 광섬유가 그 자신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제1 벤딩롤러의 상면으로 진행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벤딩롤러의 다른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에 제2 벤딩롤러와 동일한 높이에 제3 벤딩롤러가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인출되는 광섬유가 그 자신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인출된다. 따라서, 감쇠기와의 마찰에 의해 상위케이블이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위케이블의 단선에 의한 감지신호의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ATTENUATOR OF A SECURITY SYSTEM USING AN OPTICAL FIBER NET}
본 고안은 광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광섬유망과 연결된 상위케이블(UPPER CABLE)에 설치되어 광섬유망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인장되는 상위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광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섬유망 보안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망(30, 40)은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기둥으로서 설치되는 지지대(10, 20)상에 가설된다. 서로 직교하는 광섬유망(30, 40)이 꼬이면서 교차되는 영역에는 격자형 광섬유망(30, 4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장치(60)가 설치된다. 또한, 광섬유망(30, 40)은 광학적으로 서로 도통되도록 설치되어 광섬유망(30, 40)의 단선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90)에 연결된다.
또한, 광섬유망(30, 40)은 상기 기둥을 따라 광학적으로 도통되도록 가설되는 상위케이블(50)상에 걸쳐지도록 설치된다. 상위케이블(50)에는 감쇠기(70, 80)가 설치되고, 광섬유망(30, 40)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상위케이블(50)이 인장되면서 감쇠기(70, 80)가 설치된 부분에서의 광학적인 손실이 감지부(90)에서 감지된다.
감지부(90)는 광섬유망(30, 40)의 단선 또는 상위케이블(50)의 인장에 의한 광학적인 손실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신호에 응하여 사용자에게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알리는 경보를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감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 감쇠기(70)는 하우징(71)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에 상위케이블(50)이 인입 및 인출되는 제1 및 제2 걸림홈(72a, 72b)이 형성되고, 이 측벽과 직교하는 바닥면(73)에는 제1 걸림홈(72a)으로 인입된 상위케이블(50)이 그 자신의 상면에 밀착되어 제2 걸림홈(72b)으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74)가 돌출 형성되고, 안내돌기(74)의 단부에는 상위케이블(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리브(75)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감쇠기에 따르면, 광섬유망(30, 4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위케이블(50)이 인장되면, 제1 및 제2 걸림홈(72a, 72b)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영역(76)의 상위케이블(50)이 제1 및 제2 걸림홈(72a, 72b)과의 마찰로 인해 쉽게 단선된다. 또한, 상위케이블(50)이 단선되므로써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알리는 감지신호의 에러가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광섬유망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인장되는 상위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광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섬유망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종래 감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상위케이블
700 : 하우징
710a, 710b : 제1 및 제2 걸림홈
740 : 제1 벤딩롤러
750 : 제2 벤딩롤러
760 : 제3 벤딩롤러
770a, 770b, 770c : 제1 내지 제3 이탈방지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감쇠기는, 광섬유가 인입되는 제1 걸림홈이 제1 측벽에 형성되고, 제1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2 측벽의 동일한 위치에 광섬유가 인출되는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측벽과 직교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제1 걸림홈으로 인입된 상기 광섬유가 그 자신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1 벤딩롤러와,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 상기 제1 벤딩롤러와 평행하게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제1 걸림홈보다는 높고 상기 제1 벤딩롤러보다는 낮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제1 걸림홈으로 인입된 상기 광섬유가 그 자신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상면으로 진행되도록 설치되는 제2 벤딩롤러와, 그리고 상기 제1 벤딩롤러의 다른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 제1 벤딩롤러와 평행하게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제2 벤딩롤러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인출되는 광섬유가 그 자신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3 벤딩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광섬유망 보안시스템의 감쇠기에 의하면, 제2 및 제3 벤딩롤러에 의해 제1 및 제2 걸림홈의 모서리 부분과 상위케이블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감쇠기와의 마찰에 의해 상위케이블이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위케이블의 단선에 의한 감지신호의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3a 및 도 3b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쇠기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쇠기의 상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상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쇠기는, 하우징(700)의 제1 측벽(730a)에 상위케이블(50)이 인입되는 제1 걸림홈(710a)이 형성되고, 제1 걸림홈(710a)이 형성된 상기 제1 측벽(730a)과 대향하는 제2 측벽(730b)의 동일한 위치에 상위케이블(50)이 인출되는 제2 걸림홈(710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710a, 710b)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측벽(730a, 730b)과 직교하는 상기 하우징(700)의 제3 측벽(730c) 및 제3 측벽(730c)과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700)의 제4 측벽(730d)의 중간부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제1 벤딩롤러(7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벤딩롤러(740)는 상기 제1 및 제2 측벽(730a, 730b)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710a, 710b)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홈(710a)으로 인입된 상기 상위케이블(50)은 상기 제1 벤딩롤러(74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걸림홈(710b)으로 인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벤딩롤러(740)는 원통형의 기둥 형상으로 갖고, 상기 상위케이블(50)의 인장방향에 대응되도록 회전하는 회전형 또는 상기 상위케이블(50)의 인장방향과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4 측벽(730d)에는 제1 이탈방지턱(770a)이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제1 벤딩롤러(740)가 고정안착된다.
상기 제1 벤딩롤러(740)의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730c, 730d)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벤딩롤러(740)와 평행하게 제2 벤딩롤러(7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벤딩롤러(750)는 상기 제1 걸림홈(710a)보다는 높고 상기 제1 벤딩롤러(740)보다는 낮은 위치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홈(710a)으로 인입된 상기 상위케이블(50)은 상기 제2 벤딩롤러(750)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 벤딩롤러(740)의 상면으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제2 벤딩롤러(750)는 상기 제1 측벽(710a)과 매우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걸림홈(710a)을 통해 인입되는 상위케이블(50)과 상기 제1 걸림홈(710a)과의 마찰이 최소화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벤딩롤러(750)는 원통형의 기둥 형상으로 갖고, 상기 상위케이블(50)의 인장방향에 대응되도록 회전하는 회전형 또는 상기 상위케이블(50)의 인장방향과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4 측벽(730d)에는 제2 이탈방지턱(770b)이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제2 벤딩롤러(750)가 고정안착된다.
상기 제1 벤딩롤러(740)의 다른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730c, 730d)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벤딩롤러(740)와 평행하게 제3 벤딩롤러(7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 벤딩롤러(760)는 상기 제2 걸림홈(710b)보다는 높고 상기 제1 벤딩롤러(740)보다는 낮은 상기 제2 벤딩롤러(750)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걸림홈(710a)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 벤딩롤러(750)의 하면 및 상기 제1 벤딩롤러(740)의 상면으로 진행된 상기 상위케이블(50)은 상기 제3 벤딩롤러(760)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걸림홈(710b)을 통해서 인출된다.
또한, 상기 제3 벤딩롤러(750)는 상기 제2 벤딩롤러(75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측벽(710b)과 매우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걸림홈(710b)을 통해 인출되는 상위케이블(50)과 상기 제2 걸림홈(710b)과의 마찰이 최소화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3 벤딩롤러(760)는 원통형의 기둥 형상으로 갖고, 상기 상위케이블(50)의 인장방향에 대응되도록 회전하는 회전형 또는 상기 상위케이블(50)의 인장방향과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4 측벽(730d)에는 제3 이탈방지턱(770c)이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제3 벤딩롤러(760)가 고정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섬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감쇠기에 따르면, 제2 및 제3 벤딩롤러에 의해 제1 및 제2 걸림홈의 모서리 부분과 상위케이블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감쇠기와의 마찰에 의해 상위케이블이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위케이블의 단선에 의한 감지신호의 에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광섬유가 인입되는 제1 걸림홈이 제1 측벽에 형성되고, 제1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2 측벽의 동일한 위치에 광섬유가 인출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측벽과 직교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제1 걸림홈으로 인입된 상기 광섬유가 그 자신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1 벤딩롤러;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 상기 제1 벤딩롤러와 평행하게 상기 제1 걸림홈보다는 높고 상기 제1 벤딩롤러보다는 낮은 위치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제1 걸림홈으로 인입된 상기 광섬유가 그 자신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상면으로 진행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2 벤딩롤러; 및
    상기 제1 벤딩롤러의 다른 일측의 상기 제3 및 제4 측벽의 중간부에 상기 제1 벤딩롤러와 평행하게 상기 제2 벤딩롤러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벤딩롤러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인출되는 광섬유가 그 자신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의 제3 벤딩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KR2019990002549U 1999-02-19 1999-02-19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KR200236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49U KR200236939Y1 (ko) 1999-02-19 1999-02-19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49U KR200236939Y1 (ko) 1999-02-19 1999-02-19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207U KR20000017207U (ko) 2000-09-25
KR200236939Y1 true KR200236939Y1 (ko) 2001-09-29

Family

ID=547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549U KR200236939Y1 (ko) 1999-02-19 1999-02-19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207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851B1 (en) High density fiber splice holder
CA2697535C (en) Fiber optic terminal assembly
US6439491B1 (en) Wire winding box
KR102525183B1 (ko) 감시 카메라
CA1189923A (en) Drop wire clamp
KR200236939Y1 (ko) 광 섬유망을 이용하는 보안시스템의 감쇠기
JP2000329861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蓋開閉検知センサ
RU2473103C2 (ru) Снятие напряжений для оптоволоконных кабелей и коммутационных шнуров
KR102116717B1 (ko)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JP4886360B2 (ja) 光受信機
KR200403496Y1 (ko) 광섬유용 수분감지장치
KR100506517B1 (ko) 광섬유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를 이용한침입자 감지 시스템
JP2787605B2 (ja) ロツク機構付浸水センサー具
JP3606180B2 (ja) 昇降装置
JP4113640B2 (ja) 蓋又は扉開閉検出装置
CN220304549U (zh) 一种防传感器接头折断的传感器
JP2501204Y2 (ja) 浸水検知センサ
KR20100089462A (ko)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CN219247344U (zh) 一种施工架线装置
KR200401825Y1 (ko) 과다 적재 감지기능을 구비한 용지 카셋트
JP2006038559A (ja) 浸水検知センサおよび浸水検知装置
EP0332900A1 (en) A switch for optical fibers and anti-effraction fence made by utilizing said switch
KR20000016655U (ko) 광 섬유망 정형유지기구 및 광섬유망 보안시스템
JP2670317B2 (ja) 浸水検知器
KR0124955Y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달용 전선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