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988Y1 -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988Y1
KR200402988Y1 KR20-2005-0026102U KR20050026102U KR200402988Y1 KR 200402988 Y1 KR200402988 Y1 KR 200402988Y1 KR 20050026102 U KR20050026102 U KR 20050026102U KR 200402988 Y1 KR200402988 Y1 KR 200402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rive shaft
driving
vertical frame
electric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철 filed Critical 정현철
Priority to KR20-2005-0026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7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shock absorbers or other suspension arrangements between wheels and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휠체어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운반 및 이동하기 편리하게 절첩이 가능하며, 또한, 주행중에 안정감과 승차감이 좋도록 완충장치를 설치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수평 프레임(1)에 팔걸이(2)와 등받이(3)를 설치하고 수직 프레임(4)의 하단부에 의자(5)를 고정되게 설치한 착좌수단과;
상기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엑셀 레버(11)의 조작으로 배터리(12)의 동력을 모터(13)에 공급하여 구동축(14)에 설치된 원반기어(15)에 V형 벨트(16)로 연결하여 구동륜(17)을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는 구동장치와;
상기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21)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14)을 브레이크 밴드(22)로 협지하여 멈추게 하는 정지수단과;
상기 구동축(14)의 볼베아링부에 연결된 뒷 지지대(31)와 구동륜 하우징(32)에 연결 설치한 완충장치(33)와;
상기 수직 프레임(4)의 하단부와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를 힌지 연결한 절첩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electromotive wheel chair}
본 고안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휠체어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운반 및 이동하기 편리하게 절첩이 가능하며, 또한, 주행중에 안정감과 승차감이 좋도록 완충장치를 설치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신체 장애인이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휠체어의 종류에는 크게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 휠체어와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 휠체어로 구분된다.
휠체어는 프레임의 양측방에 구동바퀴를 설치하고 프레임의 선단 양측에는 앞바퀴를 설치하거나 후방 양측에 뒷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직접 주행 수단을 조작하여 보다 먼 거리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좋은 이동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 휠체어를 타고 먼 거리를 이동할 때 도로의 사정이 좋지 않은 요철부를 지나갈 때 휠체어가 상하로 심하게 흔들리므로 승차감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에 항상 불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제작비가 많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승용차에 싣고 이동하기에도 상당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륜이 연결된 양쪽 프레임에 완충장치(서스펜션)를 설치하여 요철이 있는 도로 위를 주행하더라도 사용자가 안전하면서 좋은 승차감을 느끼면서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휠체어를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으면서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경량화함으로써 제작비 절감과 이동 및 운반하기가 용이한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등받이를 손잡이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고 뒷바퀴사이에 스페이스를 줌으로써 등받이 대용인 손잡이를 잡고 걸음을 걸을 때 휠체어의 하부에 발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걸음을 편안하게 걸을 수 있도록 한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쿠션이 좋은 의자와, 구동륜이 연결된 양쪽 프레임에 완충장치(suspension)를 설치하며, 프레임을 경량화 재질로 사용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제작함으로써 그 목적은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 부분을 발췌 확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나" 부분을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에 팔걸이(2)와 등받이(3)를 설치하고 수직 프레임(4)의 하단부에 의자(5)를 고정되게 설치한 착좌수단과;
상기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엑셀 레버(11)의 조작으로 배터리(12)의 동력을 모터(13)에 공급하여 구동축(14)에 설치된 원반기어(15)에 V형 벨트(16)로 연결하여 구동륜(17)을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는 구동장치와;
상기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21)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14)을 브레이크 밴드(22)로 협지하여 멈추게 하는 정지수단과;
상기 구동축(14)의 볼베어링부에 연결된 뒷 지지대(31)와 구동부 하우징(32)에 연결 설치한 완충장치(33)와;
상기 수직 프레임(4)의 하단부와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를 힌지 연결한 절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와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부 하우징(32)으로 커버하고 있다.
한편, 의자(5) 하부의 박스 공간에는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기판이 설치되어 있다.(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
상기 절첩수단은 하부 측면으로 장공(6)이 형성된 파이프형 수직 프레임(4)에 걸림고리(7)를 설치하고, 수직 프레임(4) 양측에 고정된 각각의 파이프(8)에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8)의 구멍(9)과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34)에 걸림고리(7)의 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걸림고리(7)가 파이프(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1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수직 프레임(1)(4) 및 앞, 뒤 지지대(30)(31)는 경량 파이프 재질로 사용하여 운반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륜(17)이 달린 앞, 뒤 지지대(30)(31)를 양쪽으로 벌리면 파이프(8)내에 결합된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걸림고리(7)의 고리에 앞, 뒤 지지대의 장공(34) 상부가 걸려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5)에 사용자가 착석한 다음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엑셀 레버(11)를 좌우로 회전하게 되면 의자(5)의 하부에 형성된 박스 공간에 장착된 배터리(12)에서 모터(13)로 동력을 공급하여 모터(13)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13)의 회전으로 인하여 V형 벨트(16)로 연결된 구동축(14)이 회전되면서 구동륜(17)이 움직여서 주행이 이루어진다.
주행 속도의 조절은 엑셀 레버(11)를 좌우 조정으로 이루어진다.
주행하다가 우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팔걸이(2)의 앞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21)를 당기면 브레이크 레버(21)에 연결된 와이어(23)가 당겨지면서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된 브레이크 밴드(22)가 구동축(14)을 협지하게 되어 오른쪽 구동륜(17)은 일시적으로 멈춤과 동시에 중심축의 작용을 하게 되고 따라서 계속 회전되는 왼쪽 구동륜(17)에 의하여 우회전이 된다.
반대로 좌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왼쪽 팔걸이(2)의 앞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21)를 당기면 왼쪽 뒤쪽 구동륜(17)은 멈춤과 동시에 중심축의 작용을 하게 되므로 오른쪽 구동륜(17)의 회전에 의하여 우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주행중인 도로의 요철부를 지나갈 때 뒤쪽의 구동축(14)에 연결된 양쪽 지지대(30)(31)에 설치된 완충장치(33)가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승차감이 좋고 따라서 안정감을 가지면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주행이 끝나고 나서 다른 곳으로 운반 또는 이동할 때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접게 된다.
접기 위해서는 앞, 뒤 지지대(30)(31)를 안쪽으로 당기면 힌지결합된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가 회전이 되면서 걸림고리(7)에 지지대(30)(31)의 장공(34) 하단부가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는데 이때가 완전히 접은 상태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자동차에 싣고 다른 곳으로 운반하면 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걸음을 걸을 때 보조 수단으로서 휠체어의 등받이를 잡고 뒤에서 밀면서 걸어가면 된다.
이때 본 고안의 휠체어는 뒤쪽의 구동륜(17) 사이에 발걸음을 옮길 수 있는 스페이스가 있으므로 걸음을 걸을 때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구동륜이 연결된 양쪽 지지대에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고,
둘째, 구조가 단순하면서 무게가 가벼워서 제작비 절감과 운반이 용이하며,
셋째, 휠체어를 지지하여 걸음을 걸을 때 등받이를 손잡이로 이용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손잡이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넷째, 뒷쪽 구동륜 사이에 공간이 유지되므로 걸음을 걸을 때 편안하게 걸을 수 있으며,
다섯째, 엑셀 레버와 브레이크 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주행과 정지 및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 부분을 발췌 확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나" 부분을 발췌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인 전동 휠체어의 다리를 펼친 상태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인 전동 휠체어의 다리를 접은 상태의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앉아서 사용할 때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서서 걸을 때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평 프레임 2: 팔걸이
3: 등받이 4: 수직 프레임
5: 의자 6: 장공
7: 걸림고리 8: 파이프
9: 구멍 10: 스프링
11: 엑셀레버 12: 배터리
13: 모터 14: 구동축
15: 원반기어 16: V형 벨트
17: 구동륜 21: 브레이크 레버
22: 브레이크 밴드 23: 와이어
30: 앞 지지대 31: 뒷 지지대
32: 구동륜 하우징 33: 완충장치
34: 장공

Claims (2)

  1. 수평 프레임(1)에 팔걸이(2)와 등받이(3)를 설치하고 수직 프레임(4)의 하단부에 의자(5)를 고정되게 설치한 착좌수단과;
    상기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엑셀 레버(11)의 조작으로 배터리(12)의 동력을 모터(13)에 공급하여 구동축(14)에 설치된 원반기어(15)에 V형 벨트(16)로 연결하여 구동륜(17)을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는 구동장치와;
    상기 팔걸이(2) 앞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21)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14)을 브레이크 밴드(22)로 협지하여 멈추게 하는 정지수단과;
    상기 구동축(14)의 볼베어링부에 연결된 뒷 지지대(31)와 구동륜 하우징(32)에 연결 설치한 완충장치(33)와;
    상기 수직 프레임(4)의 하단부와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를 휜 지 연결한 절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하부 측면으로 장공(6)이 형성된 파이프형 수직 프레임(4)에 걸림고리(7)를 설치하고, 수직 프레임(4) 양측에 고정된 각각의 파이프(8)에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8)의 구멍(9)과 앞, 뒤 지지대(30)(31)의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34)에 걸림고리(7)의 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걸림고리(7)가 파이프(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1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KR20-2005-0026102U 2005-09-09 2005-09-09 전동 휠체어 KR200402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02U KR200402988Y1 (ko) 2005-09-09 2005-09-09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02U KR200402988Y1 (ko) 2005-09-09 2005-09-09 전동 휠체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269A Division KR20070029461A (ko) 2005-09-09 2005-09-09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988Y1 true KR200402988Y1 (ko) 2005-12-07

Family

ID=4370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102U KR200402988Y1 (ko) 2005-09-09 2005-09-09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0116A (zh) * 2021-09-24 2021-12-03 浙江爱司米电气有限公司 一种可折叠轮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0116A (zh) * 2021-09-24 2021-12-03 浙江爱司米电气有限公司 一种可折叠轮椅
CN113730116B (zh) * 2021-09-24 2024-04-19 浙江爱司米电气有限公司 一种可折叠轮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42B1 (ko) 전동 휠체어
US5356172A (en) Sliding seat assembly for a propelled wheel chair
US8752658B2 (en) Motorized walker
US20100126789A1 (en) Personal Vehicles
TWI635015B (zh) 折疊式車輛
US20070278767A1 (en) Electrical wheelchair for handicapped transportation with an attendant
CN107184324B (zh) 助行轮椅
CN105748217A (zh) 基于行走轮摆动的双节四履带爬楼轮椅及上下楼方法
CN112043515B (zh) 一种重力自平衡轮椅
CN212816829U (zh) 一种轻型便捷的电动折叠轮椅
KR20070029461A (ko) 전동 휠체어
KR200402988Y1 (ko) 전동 휠체어
WO2008044541A1 (fr) Dispositf mobile simple
KR102023645B1 (ko) 4륜 실버캐리지
CA2074393A1 (en) Wheelchairs
CN209933243U (zh) 一种前后轮轴距可变的辅助站立轮椅
CN113730121A (zh) 可折叠轮椅
JP3130074U (ja) 簡易移動装置
CN207631319U (zh) 一种可爬楼梯的婴儿推车
JP3129587U (ja) 簡易移動装置
CN112336538B (zh) 一种平衡式轮椅
GB2408245A (en) Off road personal mobility vehicle
CN214875319U (zh) 可调节靠背的电动摩托车
CA2652893C (en) Motorized walker
CN215274000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便携式折叠电动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