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954Y1 - 테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테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954Y1
KR200402954Y1 KR20-2005-0025834U KR20050025834U KR200402954Y1 KR 200402954 Y1 KR200402954 Y1 KR 200402954Y1 KR 20050025834 U KR20050025834 U KR 20050025834U KR 200402954 Y1 KR200402954 Y1 KR 200402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ink
plate
link member
tab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
Priority to KR20-2005-0025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리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리프트의 하강되는 높이를 최대한 낮게 확보하여 무거운 물품 등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X자 형태를 가지며 힌지를 중심으로 승하강되는 제1,2링크부재가 포함된 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이송을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판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이송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제1,2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의 신축을 유도하는 실린더와; 상기 상판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하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판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테이블 리프트{Table Lift}
본 고안은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지면에 가깝게 테이블 리프트가 하강되도록 하여 무거운 물품 등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 리프트는 하판과 상판이 구비되고 이 하판과 상판 사이에 승하강가능하게 X자 형태를 갖는 링크부가 구비되고, 이 링크부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실린더가 장착되며, 이 실린더를 동작하는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 리프트는 구동장치가 하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구조상 상기 상판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상판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됨에 따라 무거운 물품 등을 상판의 상부에 올려놓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며 자칫 잘못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테이블 리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리프트의 하강되는 높이를 최대한 확보하여 무거운 물품 등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X자 형태를 가지며 힌지를 중심으로 승하강되는 제1,2링크부재가 포함된 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이송을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판과;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이송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제1,2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의 신축을 유도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유도하며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상판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하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판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100)는 X자 형태를 가지며 힌지(70)를 중심으로 승하강되는 링크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10)의 상하부에 하판(20)과 상판(30)이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10)에 설치되며 링크부(10)의 동작을 유도하는 실린더(80)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3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감지센서(40)가 설치되며, 상기 하판(20)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10)는 X자 형태를 가지며 교차되는 중심에 힌지축(11)이 결합되고, 이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신축되는 제1,2링크부재(12,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2링크부재의 일단에는 롤러(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재(13)의 일측에는 추후 설명할 실린더(80)의 로드가 결합되도록 브라켓(14)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20)은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가이드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30)의 상부에는 미끄러지거나 충격을 흡수하는 미끄럼 방지판(31)이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이송부(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부(10)의 상하부에는 하판(20)과 상판(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2링크부재(12,13)의 일단부가 하판(20)과 상판(30)에 힌지(70)결합되며, 타단은 제1,2링크부재(12,13)에 설치된 롤러(15)가 가이드부(21)와 이송부(32)를 따라 전후진가능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80)의 일단부는 제1링크부재(12)에 장착되며, 타단부는 제2링크부재(13)의 브라켓(14)에 실린더(80)의 로드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80)의 동작을 유도하는 구동장치(60)가 테이블 리프트(10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경사판(50)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30)이 하강된 상태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30)의 저면에는 상판(30)이 하강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 감지센서(40)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40)는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외부에 설치된 구동장치(60)의 동력을 전달받은 실린더(80)가 동작하면, 상기 실린더(80) 의 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제1,2링크부재(12,13)가 힌지축(11)과 힌지(70)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2링크부재(12,13)의 롤러(15)가 가이드부(21)와 이송부(32)를 따라 전진되어져 상기 상판(30)이 상승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80)의 로드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2링크부재(12,13)가 힌지축(11)과 힌지(70)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2링크부재(12,13)의 롤러(15)가 가이드부(21)와 이송부(32)를 따라 후진되어져 상기 상판(30)이 하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80)의 동작을 유도하는 구동장치(60)가 테이블 리프트(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30)이 하강되는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물품 등을 상판(30)에 올려놓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3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30)의 상부와 경사판(50)의 일단부가 약간 높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밀어서 이동가능한 장치나 물건 등을 상기 경사판(50)을 따라 상기 상판(30)에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는 실린더의 동작을 유도하는 구동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상기 상판의 하강을 충분히 확보하여 물품 등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판이 하강된 상태에서 이 상판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사판을 구비하여, 밀어서 이동가능한 장치나 물품 등을 경사판을 따라 손쉽게 상판에 올려놓을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
도 2,3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링크부 11: 힌지축
12: 제1링크부재 13: 제2링크부재
15: 롤러 20: 하판
21: 가이드부 30: 상판
31: 미끄럼 방지판 32: 이송부
40: 감지센서 50: 경사판
60: 구동장치 70: 힌지
80: 실린더 100: 테이블 리프트

Claims (2)

  1. X자 형태를 가지며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신축되는 제1,2링크부재(12,13)가 포함된 링크부(10)와; 상기 제1링크부재(12)의 일단부에 힌지(70)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3)의 이송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1)가 형성된 하판(20)과; 상기 제2링크부재(13)의 일단부에 힌지(70)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12)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이송부(32)가 형성된 상판(30)과; 상기 제1,2링크부재(12,1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10)의 신축을 유도하는 실린더(80)와; 상기 실린더(80)의 동작을 유도하며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장치(60)와; 상기 상판(3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감지센서(40)와; 상기 하판(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30)이 하강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판(30)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KR20-2005-0025834U 2005-09-07 2005-09-07 테이블 리프트 KR200402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34U KR200402954Y1 (ko) 2005-09-07 2005-09-07 테이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34U KR200402954Y1 (ko) 2005-09-07 2005-09-07 테이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954Y1 true KR200402954Y1 (ko) 2005-12-09

Family

ID=4370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834U KR200402954Y1 (ko) 2005-09-07 2005-09-07 테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9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70Y1 (ko) 2012-01-20 2012-11-13 송광헌 테이블 겸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70Y1 (ko) 2012-01-20 2012-11-13 송광헌 테이블 겸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925B2 (en) Foldable work platform
JP2009263094A (ja) リフト装置
US201400907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a roller on an application table with a shielded switch
CN203863293U (zh) 一种变速器辅助装配装置
KR200402954Y1 (ko) 테이블 리프트
KR20210031370A (ko) 승강 기구
KR101279801B1 (ko) 모빌랙
KR101495490B1 (ko) 케이블 풀링장치
CN102597692B (zh) 用于支承车轮的设备
CN110104592B (zh) 一种房建施工用升降机
JP2006264965A (ja) リフタ装置
CN110155856A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KR101479866B1 (ko) 폐자동차 처리용 차량 반전장치
JP2005145571A (ja) 昇降装置
CN210150675U (zh) 升降平台
US9376091B2 (en) Conveyor system
JP2017100812A (ja) 跳ね上げ式コンベヤ装置
JP5619523B2 (ja) コード入りゴム状材料の切断装置
KR100876454B1 (ko) 모니터 수납형 책상
CN112607666A (zh) 一种具有自动行走功能的升降机
JP2006312520A (ja) 昇降装置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JP2020019573A (ja) 昇降装置
KR20150015147A (ko) 벨트 부양식 리턴롤러 장치
CN210392610U (zh) 伸缩剪刀架防卡阻机构及安葬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