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925Y1 -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925Y1
KR200402925Y1 KR20-2005-0025562U KR20050025562U KR200402925Y1 KR 200402925 Y1 KR200402925 Y1 KR 200402925Y1 KR 20050025562 U KR20050025562 U KR 20050025562U KR 200402925 Y1 KR200402925 Y1 KR 200402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impregnated
plywood
mel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신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으로 페놀함침 크레프트 페이퍼(10)가 위치되고,
그 상면으로 적층되는 합판(20),
상기 합판(20) 상면으로 적층되는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30)와,
상기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 상면으로 적층되는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와,
상기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 상면으로 상기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가 재적층되되 각각의 적층면에 접착층(1)을 갖으며 열압 프레싱되는 거푸집패널(10)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내, 알카리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고, 크랙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충격성 및 수회에 걸친 사용 회수의 증가 및 콘크리트 타설 후 판면과의 우수한 이형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거푸집용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The melamine resin concrete form panel}
본 고안은 멜라민 수지를 이용하여 함침 처리한 크래프트 페이퍼 사용으로 인한 내, 알카리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고, 크랙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충격성 및 수회에 걸친 사용 회수의 증가 및 콘크리트 타설 후 판면과의 우수한 이형성을 얻도록 하기 위한 거푸집용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표면을 균일하거나 매끄럽게 처리되도록 받쳐주는 거푸집용 합판은 재사용되는 주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간이 길어 상기 목재로 이루어진 합판에 콘크리트에 섞여진 물등의 수분이 스며들게되어 합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썩게 만들므로 사용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의 재단면에는 페인트를 뿜칠하거나 붓칠하여 얇은 도막을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목재 성장시 수분이 이동하는 통로인 도관(導管)은 완전히 차단할 만큼 도막두께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형성된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할 때에는, 합판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의 변형된 형태에 의해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재작업을 실시해야하는 번거로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합판의 재료인 원목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합판을 사용하는 거푸집용 패널은 제조 비용이 고가이며, 국제적으로 원목 가격이 불안정하므로 합판 가격 역시 심한 변동을 일으켜 소비자들의 안정적인 구매가 힘들다. 아울러, 합판의 표면에는 나뭇결이 존재하므로 이 합판 거푸집으로 시공되는 구조물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 또한, 테고 필름(tego film)을 접착시킨 합판의 경우, 합판 표면에 존재하는 나뭇결로 인해 테고 필름과 합판의 접착 상태가 약하여 거푸집의 사용 횟수가 증가하면 합판으로부터 테고 필름이 박리되는 현상이 수시로 발생한다.
중밀도 섬유판인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는 1979년 국내에 소개되어 일반 가구, 악기, 실내 장식재, 사무용 가구, 전자 제품 외장재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MDF는 수입 원목 중 제재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소경목, 산림 간벌시 발생하는 간벌재, 산림 화재시 베어낸 화상목, 제재소의 폐자재,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자재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요소 수지를 사용하여 목재 섬유들을 접착시킨 종래의 MDF는 평균 휨강도가 406㎏f/㎠, 팽창율이 7.2%(두께가 12㎜인 MDF 기준)로 강도 및 방수성이 약하다. 따라서 이를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打設)시 수분과의 접촉에 의해 패널의 부풀음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패널의 강도가 저하된다.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충격과 거푸집 제거시 거푸집간의 충돌로 인해 패널이 심하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요소 수지를 사용하여 목재 섬유들을 접착시킨 종래의 MDF는 가구재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철근 콘크리트 공사를 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형틀로서, 나무로 만는 것, 합판으로 짠 것, 철판으로 만든 것 등 많은 종류의 것이 통용화 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적용은 각 공사의 특성 및 조건등을 고려하여 선택 채용하고 있다.
상기의 거푸집으로 초기 기초공사시 그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형틀을 만들어 완료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내에 주입 충진하는 타설공정을 거친 다음, 일정시간동안 대기(大氣)상태에서 콘크리트 양생(養生)과정을 통해 굳은 상태가 되면, 거푸집을 철거하여 완성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형상을 얻을 수 있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른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거푸집 시공은 다량의 가설재와 과다한 설치기간, 고기능의 인력과 장비 등을 필요로 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그 작업 공정과 소요 설비의 선택은 후속의 타 공정과의 상관적 관계를 형성하여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축조된 건축물의 향후 내구성, 안정성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되어 표준화된 시공방법 및 설비가 도입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최근, 산업화 영향에 따른 각종 토목, 건축구조물의 축조기술 발전은 도시, 농촌을 망라하고 급격하게 발전되는 추세이며, 생활의 질적 향상에 따른 평준화를 가능하게 한 요인으로 기능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달은 사회 각 부문 중 그 중요도가 높아 대표적 구조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바, 이와같이 그 콘크리트 구조물이 각광(脚光) 받는 이유는 우수한 내구성과 견고한 강도(强度), 원자재인 각종 골재(骨材)의 구입이 용이하다는 점과, 비교적 시공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어, 일반 주거용 주택이나 아파트 및 각종 용도의 고층건물이나, 교량, 터널 또는 도로공사등을 포함하는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패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특히 거푸집 패널을 일회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와 실험등이 계속되고 있다.
본 고안은 목재류의 합판(MDF, HDF등 고,중,저밀도 압축강화목을 포함하여)으로 되는 거푸집 패널의 개선에 관한 것이므로, 합판등의 거푸집 패널에 의한 종래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후에 재사용에 따른 문제점등을 살펴본다.
종래 건축물이나 구조물등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합판등으로 되는 거푸집 패널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축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보통 콘크리트의 몰탈에 포함되는 수분에 의해 거푸집 패널의 부식이나 썩음 현상등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와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 방수합판 즉 내수합판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상기 방수합판등의 내수합판은 콘크리트와 합판의 접착성으로 인하여 거푸집 탈형후에는 다수의 콘크리트 잔재물이 부착되는 상태이므로 그 사용회수에 따라 콘크리트 잔재물의 부착률이 상승되어, 콘크리트 양생 후 평활한 콘크리트면을 얻기가 어려우므로 그 전용(轉用) 횟수가 2~3회 이상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일부 보완하기 위해 합판 표면층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합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콘크리트와 합판의 접착성으로 인하여 그 전용횟수가 7~8회를 넘지 못하고 폐기처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이유등으로 인하여, 고층의 건물 축조시 7,8층까지 거푸집패널을 사용한 후, 그 이상의 층수에 재차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거푸집 패널을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그 자재 구매비용 및 시공비용등을 추가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아울러 건축공사비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공사 현장에서는 거푸집 패널을 사용할 시, 상기 거푸집 패널 표면층에 박리제(剝離劑)를 도포하여 콘크리트의 잔재물이 거푸집 패널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분침투를 방지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경우에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비용을 증가시키게 됨은 물론 박리제(剝離劑)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에도 불구하고 3~4층이후 부터는 양생된 콘크리트의 표면층이 거칠게 되고, 거푸집 패널 표면층 역시 콘크리트 잔재물 부착으로 인해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콘크리트의 표면층의 불평활성으로 인하여 거푸집 탈형(脫刑) 작업후에 콘크리트 표면층을 고르게 하기 위한 견출(見黜)작업을 따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에따른 인건비와 공사비의 상승 및 공기(工期)의 증가를 가져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와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합성수지재 패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 합성수지 패널의 경우 무게가 가볍고 콘크리트벽 시공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합성수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축율이 심하고 강도(强度)가 약하여 하중(荷重)이 집중되는 집중분포하중을 받을 경우 상기 합성수지 패널이 쉽게 휘게 되어 콘크리트의 시공이 매우 불량하게 되는 문제는 물론, 사용후 폐기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등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이와는 달리 좀더 근본적 문제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특허출원 제 2000-7738 호에 의한 『 말단에 자유 -NCO가 노출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및 말단에 자유 -NCO를 갖는 우레탄 경화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용 도료 조성물과 이에 의해 도장된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 및 상기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등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가 출원되어 있는바, 위 특허는 콘크리트의 박리성이 우수하고 그 전용횟수를 크게 증가시키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이 번잡하고, 그 도료의 조성물 제조에 의한 첨가제(添加劑) 및 치환제, 경화제등 많은 수의 조성물제가 포함되어 그 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이에따른 도료제의 생산비용의 과다에 의한 거푸집 패널의 생산비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한편 상기의 예와는 달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231359호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패널을 목재패널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작되는 폴리에틸렌패널이 부착된 복합거푸집패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경우에 합성수지에 해당되는 폴리에틸렌패널을 목재패널에 접착제로 접합시킬 경우, 무기물(無機物)에 해당되는 폴리에틸렌패널과 유기물(有機物)에 해당되는 목재합판을 접착제로 완벽하게 접착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合成樹脂)의 특성상 기온의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게 되므로 여름과 겨울등 외부의 온도와 콘크리트 몰탈의 온도차이가 상당히 심하고, 폴리에틸렌패널과의 온도차이 변화에 따른 상기 폴리에틸렌패널의 변형율이 극심하게 되어 수축/팽창이 심하게 일어나게 됨에 따라 평활한 표면층을 갖는 콘크리트 양생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콘크리트구조물 축조시 사용되는 거푸집용 패널에 적어도 일측면에는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수시트는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되며, 패널과 접하게 되는 방수시트 일측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되어 패널과의 접착력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19580호에 의해 개시되고 있으나, 도체의 주위에 강한 불평등 전계가 발생했을 때 전계가 강한 부분에만 생기는 국부방전인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수행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직경이 작은 구멍을 무수히 천공하여 그 구멍에 접착제를 충진 한 후, 방전 처리하여 접착하게 되므로 그 작업과정이 대단히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방전과정에서 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점점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완전한 접착 및 장시간의 접착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국부적 방전에 따라 거푸집 표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착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움은 물론, 상기한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어떠한 수단도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이와는 달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합판 즉 거푸집 패널 일면에 고무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접착제층 상면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층시키고, 고무롤 사이를 통과시켜 가접착시킨 후 냉압프레스에 가접착된 상태의 거푸집 패널을 삽입한 다음, 최소한 24시간의 양생 기간을 거쳐 접착력이 유지되는 거푸집 패널을 얻는 방법이 있으나, 냉압프레스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접착제를 가압, 접착하게 되므로 필름층과 패널간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24시간 정도의 양생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롤링된 패널을 적재, 적층하기 위한 넓은 작업장소를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온도 즉 냉압프레스시 작업장소등의 외부온도 조건에 따라 접착력에 상당한 차이점이 발견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외에, 멜라민 수지를 이용하는 거푸집 패널 등이 있는데,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2000-28348 호의 경우, 목재 칩(chip)으로부터 제조한 목재 섬유(fiber)에 멜라민 수지를 도포, 건조시킨 후 매트상으로 성형하고, 열압함으로써 전체 패널의 79-82중량%인 목재 섬유 및 이 목재 섬유들을 상호 접착시키는 것으로서 전체 패널의 12-15중량%인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며, 밀도가 750-850㎏/㎥인 중밀도 섬유판을 제조한다. 이 중밀도 섬유판의 표면에 크라프트(kraft)지에 페놀 수지를 함침시킨 테고 필름(tego film)을 부착시킨 후 이를 거푸집용 패널로 사용하는 기술에 대하여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술의 경우 멜라민 수지의 특성을 이용하되 도포되는 과정을 거친 다음, 크라프트지에 페놀 수지를 함침시킨 테고 필름을 부착하여, 전체적 표면은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테고 필름에 의한 거푸집을 제공하고 있으나, 내마모성 테스트에 의한 결과 1200 회 정도의 테스트 회수에 그치고, 알칼리 테스트에서는 약한 성질을 나타내어 시멘트 등의 알칼리성에 의해 표면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사용 회수에 한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본원인에 의해 출원된 다수 산업재산권의 기술적 구성으로부터 개량된 기술에 의한 거푸집용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원인의 동일 계열사에 해당되는 (주)신광보드텍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 464631 호와 같은 내용의 거푸집패널을 개발, 시공처리하고 있는바, 본 고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 형성에 의존하지 않고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되, 그 표면강도 등의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개발, 시험하여 일반적인 TEGO 합판보다도 내충격성이나 사용 회수 및 이형성 등을 증대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되는 구조물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수성, 강도 및 작업성이 우수한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으로 페놀함침 크레프트 페이퍼(10)가 위치되고,
그 상면으로 적층되는 합판(20),
상기 합판(20) 상면으로 적층되는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30)와,
상기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 상면으로 적층되는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와,
상기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 상면으로 상기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가 재적층되되 각각의 적층면에 접착층(1)을 갖으며 열압 프레싱되는 거푸집패널(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거푸집 패널의 각 구성간 제조과정을 들어 설명한다.
(제 1 공정 ; S1 - 멜라민 수지의 액상 제조공정)
멜라민 수지는 내수성, 내약품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경화되는 온도가 105℃ 정도로 사용하기 편리하여, 방수성 및 강도가 우수한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성질을 갖는 멜라민 수지를 이용하여 합판 등에 도포하거나 또는 코팅 처리할 때 합판의 표면상으로 나타나는 나이테의 방향으로 크랙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로 인하여, 합판측에 사용하더라도 널리 알려져 있는 페놀함침을 이용한 페놀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TEGO 필름)를 이용하게 되는바, 상기의 페놀 함침 크레프트 페이퍼를 이용하였을 때의 문제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합판패널의 나이테 무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크랙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을 제시하여 그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멜라민 수지를 20 ~ 40 중량 %, 포름알데히드 30 ~ 50 중량 %와 에틸렌글리콜을 5 중량 %, 수산화 나트륨 1 중량 % 의 비율로 하여 공지의 수단 및 방법에 의해 액상화 하여, 멜라민수지를 얻는다.
(제 2 공정 ; S2 -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 Kraft paper ) 제조공정)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얻게 된 멜라민 수지에 크레프트 페이퍼(Kraft paper)를 이용하여 함침 처리하게 되는 공정인바, 45 ~ 69 g/㎡ 의 크레프트 페이퍼를 190 ~ 210 중량 %로 상기 멜라민 수지를 함침 처리한다.
이와같이 멜라민 수지가 함침 처리된 멜라민 함침 크레프트 페이퍼(30)를 120 ~ 150 ℃ 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로를 60 ~ 180 초간 통과시켜 건조 및 반 경화되는 상태에 이르게 한다.
(제 3 공정 ; S3 - 적층 공정)
본 공정은 제 2 공정(S1)에 의해 반 경화되는 상태로 멜라민 수지가 함침 처리된 멜라민 함침 크레프트 페이퍼(30)를 이용하여, 적층하기 위한 공정이다.
먼저, 도 2 에서 보는바와 같이 최하부에는 일반적으로 상용화 되고 있는 페놀수지를 함침한 페놀함침 크레프트 페이퍼(즉 TEGO 필름)(10)이 위치되도록 하고, 그 페놀함침 크레프트 페이퍼(10) 상면으로 합판(20)을 적층하고, 상기 합판(20) 상면으로 상기의 제 2 공정(S1)에 의해 얻게 된 멜라민 함침 크레프트 페이퍼(30)를 적층하고, 그 상면으로 다시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GLASS PAPER)(40)를 적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글래스 페이퍼(40)는 한국 카본에서 생산된 제품을 사용하였는바, 그 무게는 30 g/㎡ ~ 60 g/㎡ 를 갖는 경량의 글래스 페이퍼(Glass Paper)를 이용하였다.
한편, 상기의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 상면으로 다시 제 2 공정(S2)을 거쳐 얻게 되는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를 적층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수지등이 미함침된 글래스 페이퍼(Glass Paper)를 가운데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상하로 각각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30)를 위치시키게 되면,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30)에 발생되는 크랙 현상이 방지됨을 알게 되었다.
이때, 각각의 적층면마다 접착층(1)을 형성하여 가접되는 상태에 있게 한다.
(제 4 공정 ; S4 - 열압 프레싱 공정)
본 공정은 상기한 제 3 공정인 적층공정(S3)을 거쳐 상기한 순서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한 접착층(1)에 의해 가접되어 있는 거푸집패널(100)을 20 kgf/㎠ ~ 25 kgf/㎠ 의 단위압력을 갖는 열압 프레스에서 170 ℃ 의 온도를 120 ~ 180 초간 유지하며 열압 프레싱하게 된다.
(제 5 공정 ; S5 - 건조공정)
본 공정은 상기한 제 4 공정인 열압 프레싱 공정(S4)을 거쳐 각각 적층구조사이의 접착층(1)간의 견고한 접합성을 갖는 거푸집패널(100)을 얻은 다음에, 자연 건조 상태에서 약 48 시간 건조시켜 완성된 거푸집패널(100)을 얻게 된다.
상기한 각 공정을 거쳐 얻게 된 본 고안의 거푸집패널(100)을 이용하여, 내알카리성 테스트와 내마모성 테스트, 한열 반복시험 등을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실험한 결과 아래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 표 1 > 기존 TEGO 필름에 의한 거푸집 패널과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간 물성비교 테스트 결과
개발 거푸집 패널 종래 거푸집 패널 1 종래 거푸집 패널 2
내알칼리성 변화없음 변색 및 부풀어 오름 변색 및 부풀어 오름
한열 반복시험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내마모테스트 1,600 회 650 회 1,400 회
겉표면 양호(TEGO에 비해 눈매감소) 양호 양호
삶음 테스트 표면 기포 약간 발생 표면 기포 발생 표면 기포 발생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발 거푸집 패널은 본 고안의 공정에 의해 생산된 시료패널을 이용하였고, 종래 거푸집 패널 1은 패널 상하에 각각 45g 규격의 TEGO 필름이 부착된 패널에 의해 시험하였으며, 종래 거푸집 패널 2는 패널 상하에 각각 45g 규격의 TEGO 필름이 부착되어지되 상면측으로 동일 규격으로 되는 또 다른 TEGO 필름에 의한 2매의 TEGO 필름이 부착되는 거푸집 패널을 의미한다.
먼저, 5% NaOH 의 분위기내에서 12시간 동안 내알칼리성 시험을 한 결과, 본 고안에 의해 개발되는 거푸집 패널(100) 에서는 도 3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표면으로 변화가 거의 발생 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종래 거푸집 패널 1, 2 등에서는 도 4의 사진에서 보는바와 같이 변색 되거나 또는 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알칼리성에 대한 강한 내성은 본원 고안에 의해 제시되는 거푸집패널의 중요한 인자로 작용되어 사용빈도수의 증가 및 우수한 이형 성질을 갖는 거푸집 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80℃ 의 조건에서 2시간 및 20℃ 조건에서의 2시간 동안 2회 반복 하며 한열 반복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전체 거푸집패널에서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아울러 내마모성 테스트의 경우, AA180의 마모지를 사용하여,500g의 하중으로 60 rpm 시험속도에 의해 테스트 되었으며, 50 % 마모시에는 종료하고 200 회전 후 교체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한 결과, 본원에 의한 거푸집패널의 경우 1,600 회 정도에서도 내마모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 종래 거푸집패널 1은 650회, 종래 거푸집패널 2는 1,400 회 정도에서 그치고 있어, 종래 TEGO 필름으로 되는 거푸집패널보다 그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100)과 종래의 거푸집 패널 1,2를 각각 100 ℃ 의 온도범위에서 약 2시간 가량 삶은 결과 본 고안에서의 거푸집 패널(100)에서는 표면에 약간의 기포가 발생되는 반면에, 종래 거푸집 패널 1,2 의 표면층에서는 본 고안의 거푸집 패널(100)보다도 많은 수의 기포가 발생되었다.
상기의 표에 의한 물성시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의 경우 종래의 거푸집 패널보다 내알칼리성이 상당히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내마모성이 종래의 타 거푸집 패널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한 각 공정을 거쳐 얻게 되는 거푸집 패널의 경우,
멜라민 수지를 이용하여 함침처리한 크래프트 페이퍼 사용으로 인한 내, 알카리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고, 크랙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으며 내충격성 및 수회에 걸친 사용 회수의 증가 및 콘크리트 타설 후 판면과의 우수한 이형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각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거푸집 합판을 이루는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1; 멜라민 수지의 액상 제조공정
S2;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 제조공정
S3; 적층공정
S4; 열압 프레싱 공정
S5; 건조공정
1. 접착층
10; 페놀함침 크레프트 페이퍼 20; 합판
30; 멜라민함침 크레프트 페이퍼 40;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

Claims (4)

  1. 저면으로 페놀함침 크레프트 페이퍼(10)가 위치되고,
    그 상면으로 적층되는 합판(20),
    상기 합판(20) 상면으로 적층되는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30)와,
    상기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 상면으로 적층되는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와,
    상기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40) 상면으로 상기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30)가 재적층되되 각각의 적층면에 접착층(1)을 갖으며 열압 프레싱되는 거푸집패널(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멜라민 함침 크래프트 페이퍼(Kraft paper)(30)는 멜라민 수지 20 ~ 40 중량 %, 포름알데히드 30 ~ 50 중량 %와 에틸렌글리콜을 5 중량 %, 수산화 나트륨 1 중량 % 의 비율을 갖는 멜라민수지에, 45 ~ 69 g/㎡ 의 경량 무게를 갖는 크레프트 페이퍼를 190 ~ 210 중량 %로 함침 처리한 후, 120 ~ 150 ℃ 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로를 60 ~ 180 초간 통과시켜 건조 및 반 경화되는 상태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함침 글래스 페이퍼(Glass Paper)(40)는 30 g/㎡ ~ 60 g/㎡ 의 무게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층된 거푸집패널(100)을 20 kgf/㎠ ~ 25 kgf/㎠ 의 단위압력을 갖는 열압 프레스에서 170 ℃ 의 온도를 120 ~ 180 초간 유지하며 열압 프레싱 하는 것을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KR20-2005-0025562U 2005-09-05 2005-09-05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KR200402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62U KR200402925Y1 (ko) 2005-09-05 2005-09-05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62U KR200402925Y1 (ko) 2005-09-05 2005-09-05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306A Division KR100749519B1 (ko) 2005-09-05 2005-09-05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및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925Y1 true KR200402925Y1 (ko) 2005-12-08

Family

ID=4370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62U KR200402925Y1 (ko) 2005-09-05 2005-09-05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9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76B1 (ko) 2006-03-29 2007-09-07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
KR100876288B1 (ko) 2006-04-01 2008-12-31 장태석 알루미늄재 거푸집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039520B1 (ko) 2008-09-08 2011-06-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테고합판 표판 및 이판 대체재용 함침 라이너지 및 이를 적용한 테고합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76B1 (ko) 2006-03-29 2007-09-07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
KR100876288B1 (ko) 2006-04-01 2008-12-31 장태석 알루미늄재 거푸집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039520B1 (ko) 2008-09-08 2011-06-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테고합판 표판 및 이판 대체재용 함침 라이너지 및 이를 적용한 테고합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0384B2 (ja) 繊維セメント羽目板を製造し設置する方法
AU621884B2 (en) Foam composite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102085677B (zh) 废旧胶合板水泥模板生产木质复合材料的新工艺
US20090113838A1 (en) Structural boards having integrated water drainage channels
CN201471810U (zh) 高耐磨高强度建筑装饰覆膜板
CN104818819A (zh) 复合漆饰面一体化板及其加工工艺
US9587393B2 (en) Method for producing sandwich construction elements
KR200402925Y1 (ko)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EP1254023B1 (en) Prefabricated durable building material
Moavenzadeh et al. Concise encyclopedia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aterials
KR100749519B1 (ko) 멜라민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및그 제품
CN111778766A (zh) 一种硅酸钙板热压贴面三聚氰胺浸渍纸及其制作方法
CN201155206Y (zh) 高强度建筑覆膜板
KR101885889B1 (ko) 우드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드타일
KR100509900B1 (ko) 복합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8403B1 (ko) 건축물 내·외부 마감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 제조방법및 시공방법
KR200209578Y1 (ko) 수분침투방지층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KR100283006B1 (ko) 마루판재 제조방법
KR100464631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접착 형성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제조공정 및 그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KR102569708B1 (ko)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CN211941759U (zh) 一种环保型聚氨酯复合板
CN214658761U (zh) 一种防水防潮木塑模板
US20240151031A1 (en) Insulating and construction elements based on renewable materials
CN212376101U (zh) 一种新型干挂幕墙装饰板
KR20230102804A (ko) 미네랄보드를 이용한 고압압축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