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08B1 -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 Google Patents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08B1
KR102569708B1 KR1020230001214A KR20230001214A KR102569708B1 KR 102569708 B1 KR102569708 B1 KR 102569708B1 KR 1020230001214 A KR1020230001214 A KR 1020230001214A KR 20230001214 A KR20230001214 A KR 20230001214A KR 102569708 B1 KR102569708 B1 KR 10256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board
pattern paper
plywood
pressur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훈 filed Critical 최정훈
Priority to KR102023000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0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에 직접 마루용 제품으로 사용가능한 내마모도에 적합한 나무문양 모양지를 배치하고 LPM(Low Pressure Melamin) 공법으로 가공시켜 상기 모양지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이 일체화되게 접착시키고 상기 모양지의 상부면에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섬유판과 불규칙한 경계면이 형성되게 일체화되게 접착시킨 후 바로 합판위에 상기 일체화된 섬유판을 적층시켜 배치하고 고압프레스로 합판과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한번의 접착작업을 통해서 반제품을 만든 다음, 혀와 홈을 가공하여 시공시 서로 인접한 마루바닥재끼리 쉽게 시공할 수 있게 제조하여 별도의 치장마감재를 접착하거나 도장작업이 없이 바로 섬유판이 합판에 접착되면서도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고, 치장마감층이 섬유판과 일체화가 되도록 섬유판에 침지결합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치장마감층이 벗겨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길어져 수리비가 없이 장기간을 사용할 수가 있는 우수한 마루바닥재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Manufacturing method of flooring material and flooring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접 마루용 제품으로 사용가능한 내마모도에 적합한 나무문양 모양지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LPM(Low Pressure Melamin) 공법으로 고온고압의 일체화 접합 가공 후 바로 합판위에 적층시켜 배치하고 고압프레스로 합판과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한번의 접착작업을 통해서 반제품을 만든 다음, 혀와 홈을 가공하여 시공시 서로 인접한 마루바닥재끼리 쉽게 시공할 수 있게 제조하여 별도의 치장마감재를 접착하거나 도장작업이 없이 바로 섬유판이 합판에 접착되면서도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일체화된 모양지의 상부면에 치장마감층이 형성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고, 모양지의 치장마감층이 섬유판과 일체화가 되도록 섬유판에 침지결합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치장마감층이 벗겨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길어져 수리비가 없이 장기간을 사용할 수가 있는 우수한 마루바닥재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루바닥재는 주거용 및 상업용 공간의 바닥에 사용되는 자재로서, 바닥재에 적합한 내구성과 제품 안정성, 디자인 성능 등을 보유해야 한다.
과거에는 장판이 주로 깔렸으나, 현재는 목질재료로 구성된 목질 바닥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합판을 이용하여 마루바닥재를 제조하였는데, 이는 합판의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합판 위에 무늬목을 접착하고 UV도장으로 마무리하는 무늬목합판마루와 합판 위에 HPL을 접착한 강마루가 대표적인 합판을 이용한 마루인데, 여기에 사용하는 남양재 합판가격의 변동성이 커서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고가의 가격에 제조비용이 늘어나서 제조원가상승으로 인한 고통이 크고 물성상으로는 비중이 0.6~0.7 kg/m3 으로 낮아서 충격이나 찍힘, 눌림에 의해 마감재료가 쉽게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91432호에 의하면 천연무늬목을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하거나 다층단위편재 등을 제조하고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불량 증가,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합판 대신 섬유판을 사용하여 마루판을 제조하는 기술도 개발되었는데, 등록특허공보 제10-1910593호에서는 섬유판에 휨 방지용 엘피엠을 적용한 바닥재를 제시하고 있는데, 섬유판이 갖고 있는 수분에 취약하고, 치수변화가 큰 단점이 있으며, 상기 섬유판의 두께가 두꺼워서 내수성이 강한 섬유판 결속재를 사용해도 섬유판이 수분을 흡수하여 변형되는 것은 방지할 수가 없으며, 상기 섬유판의 LPM 적용하여 가공 시에 섬유판이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어 온돌문화인 국내상황에서는 잠재적 하자요인을 가지고 있다. 다만 섬유판이 가지고 있는 고강도 표면성질과 저렴한 가격 때문에 잠재적 하자 및 비싼 철거비용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일부를 등록특허공보 제10-1974921호에서처럼 합판과 HDF로 코어를 구성한 다음 HPL이나 LPL을 접착한 마루판을 제조하고 있으나(도 1), 2번의 프레스 작업과 2개의 접착제 구비, 프레스 작업 후의 건조 작업 등으로 생산성 저하와 관리의 비효율화, 제조원가 상승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2152087호에 의한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가 있으며, 상기 발명은, 섬유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판의 양면 중 하나의 면에 합판을 적층하고, 상기 섬유판의 양면 중 다른 하나의 면에 치장마감재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재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재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가 있다. 상기 발명은 합판과 섬유판과 치장마감재를 한꺼번에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접착함으로써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높아 제조가가 다소 낮출 수가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섬유판상에 접착된 치장마감재의 접착력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저해되므로 시공 후 4 ~ 5년이 경과되면 치장마감재가 섬유판상에서 분리되어 일어나게 되므로 고가의 비용을 들여서 설치한 마루바닥재를 들어내고 다시 시공을 하여야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음과 아울러, 복합접착의 어려움이 있다보니 온돌문화인 국내에서는 잠재적으로 박리에 의한 하자요인이 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인플레이션에 의한 원자재가의 급등으로 이와 같은 수입원재료를 사용하는 건설사에서는 건축원가의 절감의 차원에서 건축자재의 자재값이 절감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마루바닥재의 제조에 대하여 끈질기게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에 대하여 끊임없는 연구를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52087호 (등록일 2020.08.31.)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에 직접 마루용 제품으로 사용가능한 내마모도에 적합한 멜라민용액에 침지되고 건조된 나무문양 모양지가 LPM(Low Pressure Melamin) 공법으로 고온고압에서 일체화되게 합체시키는 가공 후 바로 합체된 모양지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합판위에 적층시켜 배치하고 고압프레스로 합판과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한번의 접착작업을 통해서 반제품을 만든 다음, 혀와 홈을 가공하여 시공시 서로 인접한 마루바닥재끼리 쉽게 시공할 수 있게 제조하여 별도의 치장마감재를 접착하거나 도장작업이 없이 바로 섬유판이 합판에 접착되면서도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고, 치장마감층이 섬유판과 일체화가 되도록 섬유판에 침지결합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치장마감층이 벗겨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길어져 수리비가 없이 장기간을 사용할 수가 있는 우수한 마루바닥재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멜라민용액에 침지되고 건조된 모양지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이 배치되고 90 ~ 120 kgf/cm2 , 가압시간은 20 ~ 30초, 170 ~ 190℃의 고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고압프레스에 고압으로 가압침지시켜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배치된 모양지 내부에 스며들었던 LPM 용액이 용융되면서 섬유판에 스며들어 상기 모양지의 하부가 섬유판과 강하게 일체화되게 접착되고 상기 모양지의 상부에는 고온고압으로 건조되고 경화된 치장마감층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섬유판이 상기 섬유판의 타면에 접착제가 접착된 합판에 배치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배치된 섬유판과 합판을 고압프레스로 10 ~ 15 kgf/cm2 , 가압시간은 50 ~ 70분, 상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과 합판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는, 멜라민용액에 침지되고 건조된 모양지와 내마모성을 첨가시킨 오버레이지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이 배치되고 90 ~ 120 kgf/cm2 의 압력과 시간은 20 ~ 30초, 170 ~ 190℃의 온도로 고압프레싱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마루생산을 위한 문양과 내마모성이 있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된 모양지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이 일체화되게 합체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합체화된 초박판 섬유판의 타면을 접착제가 도포된 합판에 배치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배치된 섬유판과 합판을 고압프레스로 10 ~ 15 kgf/cm2 , 가압시간은 50 ~ 70분, 상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과 합판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한번의 접착작업을 통해서 반제품을 만든 다음, 혀와 홈을 가공하여 시공 시 서로 인접한 마루바닥재끼리 쉽게 시공할 수 있게 제조하여 별도의 치장마감재가 없이 바로 모양지가 90 ~ 120 kgf/cm2 의 압력과 170 ~ 190℃의 온도로 경화되는 상태로 모양지의 상부에 치장마감층이 형성되고 모양지의 하부는 섬유판의 상부에 접착되고 상기 섬유판이 합판에 접착되면서도 상기 섬유판의 상부의 모양지의 상부면은 견고한 치장마감층이 형성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모양지에 스며들은 멜라민은 섬유판과 일체화가 되도록 섬유판의 내부로 융해된 침지 결합된 상태로 경화되므로 견고하게 부착되게 되어 경화된 치장마감층이 섬유판에서 벗겨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길어지게 되어 마루바닥판의 교환이 없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등록특허공보 제10-1974921호에 의한 콤비 합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제10-2152087호에 의한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도된 마루바닥재의 사시사진
도 5는 고압프레스 가공 전후의 마루바닥재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M(Low Pressure Melamine) 용액에 침지되고 건조된 모양지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이 배치되고 90 ~ 120 kgf/cm2 , 가압시간은 20 ~ 30초, 170 ~ 190℃의 고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고압프레스로 고압으로 가압접착시켜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배치된 모양지가 내부에 스며들었던 LPM 용액이 용융되면서 섬유판에 용해되어 상기 모양지의 하부와 상기 섬유판의 상부의 경계면에는 경계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모양지와 섬유판과 강하게 접착되고 상기 모양지의 상부에는 90 ~ 120 kgf/cm2 의 압력과 170 ~ 190℃의 온도로 경화되고 건조된 치장마감층이 형성되는 모양지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이 일체화되게 합체되는 단계(S1)와, 상기 섬유판이 상기 섬유판의 타면이 접착제가 접착된 합판에 배치되는 단계(S2)와, 이와 같이 배치된 섬유판과 합판을 고압프레스로 10 ~ 15 kgf/cm2 , 가압시간은 50 ~ 70분, 상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과 합판을 접착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S1의 단계에서, 상기 섬유판(1)의 일면에는 대리석무늬 또는 나뭇결무늬와 같은 장식무늬가 형성된 모양지(2)에 멜라민 수지가 충분히 스며들게 되도록 상기 모양지(2)가 일시적으로 LPM용액의 내부에 침지되게 되고 충분히 멜라민 수지가 스며든 상태에서 꺼내어 건조시키므로, 상기 모양지(2)가 건조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내부에는 충분한 상태로 멜라민 수지가 스며들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섬유판(1)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으로서, 0.5 mm ~ 2.0 mm 의 섬유판이 사용되게 되어 아주 얇은 섬유판을 사용하므로서, 마루바닥재의 제조원가를 월등하게 절감할 수가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에 직접 마루용 제품으로 사용가능한 내마모도에 적합한 나무문양의 모양지를 LPM공법으로 가공시켜 모양지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합체화시킨 상기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바로 합판위에 적층시켜 배치하고, 고압프레스로 합판과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을 한번의 접착작업을 통해서 반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제조되므로써 별도의 치장마감재를 접착하거나 도장작업이 없이 바로 섬유판이 합판에 접착되면서도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상기 치장마감층이 섬유판과 일체화가 되도록 섬유판에 침지결합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치장마감층이 벗겨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두께의 제한이유는, 0.5 mm 이하의 두께에서는 성형이 불가능하게 되고 2.0 mm 이상의 두께에서는 고가의 섬유판의 많이 사용되게 되어,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두께를 0.5 mm ~ 2.0 mm 로 제한되었다.
상기 모양지는 LPM 모양지가 사용되며, 상기 LPM 모양지(Low Pressure Melamine impregnated paper)는 그라비어(Gravure : 사진 제판에 의한 요판 인쇄)를 하여 모양지를 만들고, 이 모양지에 저압 (10~20kgf/cm2)으로 멜라민 수지(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한 자재이고, 여기서 함침이란 화학 약품을 스며들게 하는 조작으로 가스 상태나 액체로 된 물질을 물체 안에 침투하게 하여 그 물체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선시키는 것으로 방부, 방습, 염색, 가연성의 감소 등을 위해 이용되고, 고온 열압에 의해 수지층을 녹이면서 접착되는 방식으로 접착제가 필요 없으므로 친환경적인 가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LPM 모양지는 강하게 압착한 종이재질의 모양지에 요소수지와 멜라민수지를 함침 및 코팅한 후 건조시켜서 PB나 MDF에 열과 압력을 가해 붙여 사용하는 보드이며 종이에 다양한 패턴으로 인쇄를 한 다음 요소 및 멜라민수지에 함침코팅된 시트를 여러가지 문양의 경면판으로 열압 성형하는 소재로 질감과 내구성은 우수하다.
또한, 개선된 LPM 모양지로서, 모양지를 요소수지 88~92 중량%, 물 7~12중량%, 요소 경화제 0.5~2.5중량%의 1차 함침용 조성물에 함침시키고 1차 건조를 수행하고, 1차 건조된 모양지를 멜라민 수지 85~90중량%, 물 3~7중량%, 멜라민 경화제 0.3~0.6중량%, 가소제 및 이형제 0.1~0.3중량%, 도장약제 5~10중량% 의 2차 함침용 조성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LPM(Low Pressure Melamin) 용액에 침지시키고, 2차 건조를 시킨 모양지가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단계(S1)에서, LPM용액에 침지되고 건조된 모양지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의 일면이 배치되고 90 ~ 120 kgf/cm2 , 가압시간은 20 ~ 30초, 170 ~ 190의 고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고압프레스로 고압으로 가압접착시켜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배치된 모양지가 내부에 스며들었던 LPM 용액이 용융되면서 섬유판에 용해되어 상기 모양지의 하부에는 경계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섬유판과 강하게 접착되고 상기 모양지의 상부에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치장마감층은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침지결합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치장마감층이 벗겨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S1 단계에서, 상기 모양지(2)의 저면(2a)이 상기 섬유판(1)의 빈 공간(1a)으로 용융되는 방식으로 침투하여 경화되게 되므로, 모양지(2)와 섬유판(1)의 경계면(4)이 톱니형태의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게 형성되게 되고, 모양지(2)의 상부면은 혼합된 멜라민이 용융되어 상기 섬유판(1)의 내부로 침투되고 경화되면서 상기 모양지(2)의 상부의 치장마감층(2b)이 경화되어 견고한 상태로 형성된다.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양지(2)의 내부에 스며들은 멜라민 수지가 고열과 고압에 용융되고 섬유판(1)의 빈 공간(1a)으로 침투하여 경화되게 되어, 상기 모양지(2)와 섬유판(1)은 경계면(4)이 톱니형태의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게 부착형성되어 대단히 견고한 부착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모양지(2)의 치장마감층(2b)은 고온고압으로 경화되어 견고하여 손상되지 않으며 상기 모양지(2)의 내부는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며 섬유판(1)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섬유판(1)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S2 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 타입을 주제(主劑)로 사용하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EVA 수용성 에멀젼 접착제의 5~20 중량% 정도를 섞어서 접착제를 제조하고, 주제로 사용되는 EVA계 수용성 에멀젼은 고형분 55~65 중량%, pH 65~75, 점도 10,000~15,000 cps의 조건을 갖는 것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예로 사용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접착제가 도포된 합판(3)위에 모양지(2)가 부착된 섬유판(1)을 수십개층으로 적층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반제품 마루바닥재를 50~100매 정도로 쌓은 다음 고압프레스에 투입하여 가압하고 상온에서 60분 정도를 가압하여 접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S3 단계에서, 마루바닥재를 50~100매 정도로 쌓은 다음 고압프레스에 투입한 상태에서, 이때 고압프레스 작업은 상온에서 진행되며, 압력은 10 ~ 15 kgf/cm2 , 가압시간은 50 ~ 70분, 바람직하게는 60분에서 가압상태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고압프레스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섬유판(1)과 합판(3)의 사이에는 접착제층(3a)이 완전하게 접착된 상태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압프레스의 프레스 가공 후인 S3 단계에서는, 상온조건에서 60분 양생을 시켜 접착제의 양호한 경화를 진행시켜준다. 여기서, 양생이 진행되는 상온은 5~35℃에 속하는 온도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경화가 완료되면 실제 마루바닥판 규격으로 가공을 해주는데, 가공면은 시공시 쉽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형태의 끼워맞춤 구조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 구조로 인해 바닥면에 시공시 마루판끼리 단차없이 끼울수 있고, 또한 밀착되어 틈 벌어짐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루바닥재(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프레스의 프레스 가공 전에는, 합판(3)위에 모양지(2)가 부착된 섬유판(1)이 경계가 명확하게 매끄러운 경계면(4)이 형성된 상태(도시되지 않음)에서, 고압프레스의 프레스 가공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지(2)의 저면(2a)이 상기 섬유판(1)의 빈 공간(1a)으로 용융되어 침투되는 방식으로 침투하여 경화되게 되므로, 모양지(2)와 섬유판(1)의 경계면(4)이 톱니형태의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게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경계면(4)의 늘어난 길이만큼 접착력이 증대되므로, 불규칙하게 형성된 상기 경계면(4)의 접착력은 상기 섬유판(1)과 합판(3)을 접착시킨 접착제층(3a)의 강도보다 높게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모양지(2)가 섬유판(1)에서의 벗겨지는 박리현상이 방지되게 되고, 따라서 섬유판(1)의 상부에 부착된 상기 치장마감층(2b)은 고압고온으로 건조되므로 내충격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되게 되고 상기 섬유판(1)과 일체로 형성되게 되어 상기 섬유판(1)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루바닥재(A)의 내구성은 월등하게 길어지게 되므로 모양지의 박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가의 비용이 걸려서 시공한 마루바닥판의 오랫동안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는, 마루바닥재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 마루바닥재 1 : 섬유판
1a : 공간 2 : 모양지
2a : 저면 2b : 치장마감층
3 : 합판 3a : 접착제층
4 : 경계면

Claims (4)

  1.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은, 멜라민 수지가 충분히 스며들게 되도록 모양지(2)가 일시적으로 LPM용액의 내부에 침지되게 되고 충분히 멜라민 수지가 스며든 상태에서 꺼내어 건조된 모양지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1)의 일면이 배치되고, 90 ~ 120 kgf/cm2 의 압력, 가압시간은 20 ~ 30초, 170 ~ 190의 고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고압프레스로 고압으로 가압접착시켜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배치된 모양지가 내부에 스며들었던 LPM 용액이 용융되면서 섬유판에 용해되어 상기 모양지의 하부에는 경계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섬유판과 강하게 접착되고 상기 모양지의 상부에는 90 ~ 120 kgf/cm2 의 압력과 170 ~ 190의 고온에서 경화된 치장마감층이 형성되어 상기 모양지(2)와 상기 섬유판(1)이 일체화되게 접착되는 단계(S1)와,
    상기 섬유판이 상기 섬유판의 타면이 접착제가 접착된 합판(3)에 배치되는 단계(S2)와,
    이와 같이 배치된 섬유판(1)과 합판(3)을 10 ~ 15 kgf/cm2 의 압력, 가압시간은 50 ~ 70분, 상온에서 고압프레스로 접착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과 합판을 접착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마루바닥재(A)에 있어서,
    상기 마루바닥재(A)는, 일면에는 대리석무늬 또는 나뭇결무늬와 같은 장식무늬가 형성된 모양지(2)에 멜라민 수지가 충분히 스며들게 되도록 상기 모양지(2)가 일시적으로 LPM용액의 내부에 침지되게 되고 충분히 멜라민 수지가 스며든 상태에서 꺼내어 건조된 상기 모양지(2)가 초박판 고밀도 섬유판(1)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압력은 90 ~ 120 kgf/cm2 , 가압시간은 20 ~ 30초, 170 ~ 190℃의 고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의 일면에 고압프레스로 고압으로 가압접착시켜 상기 모양지의 하부에는 경계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섬유판과 강하게 접착되고 상기 모양지의 상부에는 치장마감층이 형성되게 상기 섬유판(1)의 일면에 치장마감층이 형성된 상기 섬유판(1)이 제조되고, 상기 섬유판이 상기 섬유판의 타면이 접착제가 접착된 합판에 배치되고, 이와 같이 배치된 섬유판과 합판을 고압프레스로 10 ~ 15 kgf/cm2 , 가압시간은 50 ~ 70분, 상온에서 고압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상기 섬유판과 합판을 접착시켜서 제조되고,
    상기 마루바닥재는 모양지(2)의 저면(2a)이 상기 섬유판(1)의 빈 공간(1a)으로 용융되는 방식으로 침지침투된 상태로 경화되어, 모양지(2)와 섬유판(1)의 경계면(4)이 톱니형태의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게 형성되고, 모양지(2)의 상부면은 혼합된 멜라민이 용융되어 상기 섬유판(1)의 내부로 침지상태로 경화되면서 상기 모양지(2)의 상부의 90 ~ 120 kgf/cm2 의 압력과 170 ~ 190의 고온에서 경화된 치장마감층(2b)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판(1)의 하부에는 접착제층(3a)이 형성되어 합판(3)이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KR1020230001214A 2023-01-04 2023-01-04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KR10256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214A KR102569708B1 (ko) 2023-01-04 2023-01-04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214A KR102569708B1 (ko) 2023-01-04 2023-01-04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08B1 true KR102569708B1 (ko) 2023-08-23

Family

ID=8784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214A KR102569708B1 (ko) 2023-01-04 2023-01-04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687A (ko) * 2014-11-05 2016-05-13 (주)오엠씨 Lpm합판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lpm합판의 제조방법
KR20160123727A (ko) * 2015-04-17 2016-10-26 신호열 엠보 필름 표면재 보드 제조 방법
KR101910593B1 (ko) * 2018-08-08 2018-10-22 임형택 휨 방지용 엘피엠, 이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087B1 (ko) 2019-11-28 2020-09-04 동화기업 주식회사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687A (ko) * 2014-11-05 2016-05-13 (주)오엠씨 Lpm합판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lpm합판의 제조방법
KR20160123727A (ko) * 2015-04-17 2016-10-26 신호열 엠보 필름 표면재 보드 제조 방법
KR101910593B1 (ko) * 2018-08-08 2018-10-22 임형택 휨 방지용 엘피엠, 이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087B1 (ko) 2019-11-28 2020-09-04 동화기업 주식회사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025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loorboard
JP6999573B2 (ja) ベニヤエレメント及びベニヤ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RU2637010C1 (ru) Панель для пола, стены или потол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235565B2 (en) Wood fibre based panels with a thin surface layer
US9255405B2 (en) Wood fibre based panels with a thin surface layer
US10328602B2 (en) Method for finishing a wood board
RU2702591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лита из древес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о средним слоем из фанеры
JPH06280376A (ja) 建築用板
DE10362218B4 (de) Verfahren zum Versiegeln einer Bauplatte
JP2007268774A (ja) 床基材、その製造方法及び床材
JP3903401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2152087B1 (ko)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JP2008120024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2569708B1 (ko)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AU2009221638A1 (en) Heat reflective laminate
JP3836317B2 (ja) 強化化粧板の製造方法
JP6654083B2 (ja) 化粧貼内装材の製造方法
KR102412825B1 (ko)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JP2009066846A (ja) 複合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基材並びにこの複合基材を用いた化粧板
CN117615906A (zh) 生产带饰面的镶板的方法和带饰面的镶板
CN114585508A (zh) 建筑镶板和生产这种建筑镶板的方法
KR20050013473A (ko) 열경화수지 마루용 마루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마루판
JP2002172604A (ja) 多孔質基板の表面強化方法
JPS5949196B2 (ja) 表面強化合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