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598Y1 -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598Y1
KR200402598Y1 KR20-2005-0024931U KR20050024931U KR200402598Y1 KR 200402598 Y1 KR200402598 Y1 KR 200402598Y1 KR 20050024931 U KR20050024931 U KR 20050024931U KR 200402598 Y1 KR200402598 Y1 KR 200402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vehicle
supply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경
장근영
Original Assignee
대진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4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화재를 보다 확실하게 진압하기 위해 화염에 더욱 가까이 접근하는 과정에서 차량이 연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주요부를 살수하여 냉각할 수 있는 차체 보호를 위한 물분사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외곽을 일부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보호되어야 할 부위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물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살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WATER INJECTION APPARATUS FOR PROTECTING VEHICLE BODY}
본 고안은 물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를 보다 확실하게 진압하기 위해 화염에 좀 더 접근하는 과정에서 소방차량이 화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방차량의 주요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에 것이다.
소방 활동을 위한 소방차량에는 소방펌프차, 물탱크가 달린 소방펌프차, 화학 소방펌프차, 사다리가 달린 소방펌프차, 굴절식 사다리가 달린 소방펌프차, 소형 동력펌프가 달린 적재차, 물탱크차, 대형고소방수차, 거품원액반송차, 구조공작차, 고발포차, 굴절방수탑차, 내열구난차, 급식차, 공기봄베보급차, 전원조명차, 구급차 등이 있다. 이들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용도별로 화재 현장에 투입되어 사용된다.
화재 발생 시 소방차량은 펌프를 이용하여 화재 현장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한다. 따라서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화염의 진원지에 좀 더 가깝게 접근해야만 화재 진압 효과가 높다. 그러나 소방차량에 설치된 소방호스는 길이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산불과 같은 대규모 화재의 경우에는 화염의 열기가 대단히 뜨겁기 때문에, 주로 철구조물로 이루어진 소방차량이라도 쉽게 접근할 수가 없다. 화재 진압 효과를 높이려고 화염에 너무 근접하게 되면 타이어를 포함한 소방차량 주요 부분이 연소되어 버리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 소방차량은 화염에의 접근성이 떨어지며, 따라서 화재진압에의 효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를 보다 확실하게 진압하기 위해 화염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소방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방차량의 차체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아래의 구성을 가지는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의 외곽을 일부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보호되어야 할 부위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물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한편 물분사노즐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와, 상기 분사구 전방에 형성되는 벽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물이 부딪혀 분사 방향 및 패턴이 바뀔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은 물분사노즐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넓게 퍼지면서 분사될 수 있다.
급수관은 물탱크와 연결되어 있다. 물분사노즐은 급수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노즐의 수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노즐이 많으면 차체 보호 효과는 커지겠지만, 소모되는 수량이 그만큼 많아지고 수압도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의 수는 이러한 변수들을 적절히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 노즐은 소방차량의 주요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주요부라 함은, 차량의 기능에 있어서나 화재의 진압에 있어서 특히 보호되어야 할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전실, 엔진룸, 바퀴, 연료탱크 등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좌측면 및 우측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물분사장치는 소방차량(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소방차량(10)은 소방펌프차의 일종이다.
본 실시예의 물분사장치가 장착된 소방차량(10)을 부분별로 살펴보면, 우선 운전실(11)의 전방에 엔진룸(12)이 갖춰져 있다. 엔진룸(12) 내에는 엔진을 비롯하여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다. 엔진룸(12)의 상부는 보닛으로 덮여 있다.
운전실(11)의 후방에는 박스 형태의 물탱크(13)가 갖춰져 있다. 물탱크(13)는 소방호스 및 급수관(20)으로 물을 공급한다. 물탱크(13)의 주변에는 사다리(14)와 급수장치(16)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운전실(11), 엔진룸(12) 및 물탱크(13)의 하부에는 바퀴(15), 연료탱크(1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운전실(11), 엔진룸(12), 바퀴(15) 및 연료탱크(16) 등의 주요부를 포함하여, 차량(1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급수관(20)이 배치되어 있다. 급수관(20)은 불연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급수관(20)은 운전실(11)의 상부에 위치한 제1영역(20a), 엔진룸(12)의 전면을 둘러싸는 제2영역(20b), 바퀴(15)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3영역(20c), 그리고 물탱크(13)의 모서리를 둘러 배치되는 제4영역(20d) 등의 주요부를 특히 둘러싼다.
전체 급수관(20)은 이들 각 영역(20a~20d)이 이음매가 없는 하나의 관으로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단위길이 만큼씩 분리된 관을 이어서 형성될 수도 있다. 급수관(20)은 물탱크(13)와 연결되어 있어 물탱크(13)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을 제공받는다.
급수관(20)에는 소방차량(10)의 주요부를 보호하도록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물분사노즐(23)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20a~20d)의 급수관(20) 모두에 각각 물분사노즐(23)이 갖추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분사노즐(23)의 수는 21개이다.
노즐(23)의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소방차량(10)에서 주요부라고 할 수 있는 운전실(11), 엔진룸(12), 바퀴(15), 연료탱크(16) 등의 근처에 형성된다. 노즐(23)의 수 역시 차량에 따라서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타이어가 있는 바퀴(15)는 다른 영역에 비해 화염에 특히 취약하므로, 물분사노즐(23)을 더 많이 형성할 수 있다.
물분사노즐(23)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 앞에 물이 넓게 퍼지도록 분사함으로써 일종의 수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막에 의해 화염이 차체를 직접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은 약 130° 각도의 부채 형상으로 퍼져 나간다. 이와 같이 물이 분사되는 각도나 방향은 노즐(23)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23)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노즐(23)은 분사구(25)와 가이드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구(25)는 물이 실제 분사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27)는 분사구(25) 전방에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일종의 벽체이다. 분사구(25)와 가이드부(27)의 내면은 물의 분사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7)는 분사구(25)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진행 방향이나 분사 패턴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분사구(25)에서 분사된 물은 가이드부(27)에 부딪힌 뒤 도면에서 볼 때 아래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분사된다. 필요하다면 가이드부(27)의 내면을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물이 퍼지는 패턴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노즐(23)의 배치 방향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자신이 부착되어 있는 급수관(20)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 앞에 물을 분사시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면 된다. 예를 들어 바퀴(15) 위에 배치되는 노즐(23)의 경우 물이 아래쪽 방향 즉 바퀴(15)를 향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 차량(10) 위로 돌출되어 있는 급수장치(16) 아래를 지나는 부분의 급수관(20)에 배치된 노즐(23)은, 물을 위쪽으로 분사할 수 있는 형태로 방향을 정해 급수관(20)에 부착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물분사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우선, 급수관(20)을 통해 물탱크(13) 내의 물이 분사장치로 공급되면 물분사노즐(23)은 차량(10)의 주요부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10)은 화염을 향해 보다 근접하여 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분사장치는 소방차량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형태의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의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에 따르면, 차체의 주요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진화 작업 특히 산불 진화 작업에 있어서, 소방차량이 화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분사장치가 장착된 소방차량의 좌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방차량의 우측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차체 살수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분사노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방차량 11: 운전실
12: 엔진룸 13: 물탱크
15: 바퀴 16: 연료탱크
20: 급수관 23: 물분사노즐
25: 분사구 27: 가이드부

Claims (2)

  1. 차량의 외곽을 일부 이상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보호되어야 할 부위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물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노즐이,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 및
    상기 분사구 전방에 형성되는 벽체로서 구성되며,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물이 부딪혀 그 분사 방향 및 패턴이 바뀔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KR20-2005-0024931U 2005-08-30 2005-08-30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KR200402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31U KR200402598Y1 (ko) 2005-08-30 2005-08-30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31U KR200402598Y1 (ko) 2005-08-30 2005-08-30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598Y1 true KR200402598Y1 (ko) 2005-12-05

Family

ID=4370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31U KR200402598Y1 (ko) 2005-08-30 2005-08-30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5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37B1 (ko) * 2007-01-05 2008-06-23 위아 주식회사 무인소방로봇장치
KR101123759B1 (ko) 2009-12-02 2012-03-16 디알비파텍 (주) 고온 환경하에서의 작업용 로봇의 냉각시스템
KR101568933B1 (ko) * 2014-04-18 2015-11-13 박영선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KR101939069B1 (ko) * 2018-07-12 2019-01-16 주식회사 한서정공 소방차용 상부 안전난간
KR102577798B1 (ko) * 2023-02-09 2023-09-12 서울특별시 소방차 자체분무 자동화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37B1 (ko) * 2007-01-05 2008-06-23 위아 주식회사 무인소방로봇장치
KR101123759B1 (ko) 2009-12-02 2012-03-16 디알비파텍 (주) 고온 환경하에서의 작업용 로봇의 냉각시스템
KR101568933B1 (ko) * 2014-04-18 2015-11-13 박영선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KR101939069B1 (ko) * 2018-07-12 2019-01-16 주식회사 한서정공 소방차용 상부 안전난간
KR102577798B1 (ko) * 2023-02-09 2023-09-12 서울특별시 소방차 자체분무 자동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598Y1 (ko)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CN201912673U (zh) 消防车辆及其喷淋自保系统
KR101050257B1 (ko) 터보팬형 미분무수 분사장치가 탑재된 소형 소방차
CN101785911B (zh) 灭火喷射装置
PL193530B1 (pl) Instalacja przeciwpożarowa do przestrzeni transportu lor, przyczep i tym podobnym
KR20100088181A (ko) 원거리 소화작업이 가능한 미분무수 분사장치가 탑재된 친환경 소형 소방차
RU121167U1 (ru) Передвижной пожарный модуль (варианты)
US7631700B1 (en) Firefighting vehicle
US66123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road vehicle fire protection and fire suppression
KR20230163316A (ko) 소화 및 배연 장치를 갖는 방음 터널
KR100820724B1 (ko) 복합식 소화시스템
KR101830674B1 (ko)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US6378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road vehicle fire protection and fire suppression
KR100516474B1 (ko) 소화용 물안개분사장치 및 이를 탑재한 소방차량
CN213789715U (zh) 带泡沫消防装置的罐车
CN213131690U (zh) 消防车
CN114010985A (zh) 一种油电混合汽车发动机盖
CN112386843A (zh) 一种多角度灭火森林消防车
KR20110085509A (ko) 질소발생기와 물분사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소화시스템
KR100464827B1 (ko) 배연차
CN205913679U (zh) 一种用于链轨式装甲森林灭火装备的车底灭火装置
JP2009148377A (ja) ミストによる消火設備及びその消火方法
KR100609722B1 (ko) 다중 충돌 분무 노즐
JP7341363B1 (ja) 消火システム
KR102586793B1 (ko) 작업도구의 신속한 결합이 가능한 퀵커플러를 구비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