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33B1 -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33B1
KR101568933B1 KR1020140046517A KR20140046517A KR101568933B1 KR 101568933 B1 KR101568933 B1 KR 101568933B1 KR 1020140046517 A KR1020140046517 A KR 1020140046517A KR 20140046517 A KR20140046517 A KR 20140046517A KR 101568933 B1 KR101568933 B1 KR 10156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door
hole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324A (ko
Inventor
박영선
신광현
Original Assignee
박영선
신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선, 신광현 filed Critical 박영선
Priority to KR102014004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탈락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소방수를 도어 측에 분사해줌으로써, 도어에 수막을 형성하여 열전달을 억제하고, 유독가스 및 매연이 도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막형성부의 소방용수 헤더가 일반용수 라인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감열탈락부의 미동작시에도 상기 소방용수 헤더로 일반용수를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은, 소방용수 공급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입구, 소방용수 배출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 내부에 소방용수가 통과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된 격벽 및 상기 통공과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의 분사구에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동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해 탈락되는 감열체, 평상시 상기 통공을 폐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감열체의 탈락시 수압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개방작동부를 포함하는 감열탈락부; 및 상기 개방작동부의 의한 상기 통공의 개방시 상기 통공 및 유출구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도어 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WATER CURTAIN OF DOOR LINKED PART OR DETECTING HEAT AND ELIMINATED}
본 발명은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염과 같은 열에 의해 감열탈락부가 개방 작동함에 따라 차폐되어 있던 소방수를 소방수를 도어 측에 분사해줌으로써, 도어에 수막을 형성하여 열전달을 억제하고, 유독가스 및 매연이 도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막형성부의 소방용수 헤더가 일반용수 라인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감열탈락부의 미동작시에도 상기 소방용수 헤더로 일반용수를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세대별 출입문이나 빌딩의 현관문 등에는 철판을 절곡하여 성형되는 도어와 문틀이 설치되는데, 화재시 난연과 방화를 유지하는 기능성과 함께 실내외의 인테리어와 조화되는 장식성을 구비해야 한다.
특히, 연립주택,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은 화재 확산시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세대별 출입문을 방화문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화문(1)은 내외면 철판재(2, 3)를 용접 및 거멀접기로 접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종이하니컴, 우레탄재나 그라스울과 같은 내부충진재(4)를 채우는 한편, 우레탄 또는 에폭시로 부착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문(1)은 내부에 종이하니컴 등과 같은 내부충진재(4)를 사용한 경우에는 방음 효과가 있으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방화문(1) 내부의 내부충진재(4)들이 모두 연소되어 인체에 유해한 독가스를 발생시키는 한편, 화재가 그대로 방화문을 통과하여 제2의 화재를 유발시키는 등 방화문의 본 기능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119839호에는 방화문(10)의 상단부 내부에 수도관과 연결된 수관(52)을 설치하고, 상기 수관(52)에 다수의 노즐(53)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방화문(10)에 설치된 열 감지센서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수관(52)과 연결된 밸브(51)를 개방하여 노즐(53)을 통해 물을 분사함으로써 매연과 방열,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방화문의 형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용 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방화문용 소화장치는 수관과 노즐이 문의 내부에 설치되어 방화문 내부의 충진재에 직접 물을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화문 자체를 제작할 때 소화장치를 방화문 내부에 함께 구성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방화문용 소화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화문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화문용 소화장치는 방화문이 아닌 일반적인 문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119839호(2005년 12월 22일 공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열탈락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소방수를 도어 측에 분사해줌으로써, 도어에 수막을 형성하여 열전달을 억제하고, 유독가스 및 매연이 도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막형성부의 소방용수 헤더가 일반용수 라인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감열탈락부의 미동작시에도 상기 소방용수 헤더로 일반용수를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은, 소방용수 공급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입구, 소방용수 배출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 내부에 소방용수가 통과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된 격벽 및 상기 통공과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의 분사구에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동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해 탈락되는 감열체, 평상시 상기 통공을 폐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감열체의 탈락시 수압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개방작동부를 포함하는 감열탈락부; 및 상기 개방작동부의 의한 상기 통공의 개방시 상기 통공 및 유출구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도어 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은, 상기 분사구에 가까운 측의 상기 유입구 내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1수직차폐부; 상기 분사구에 먼 측의 상기 유출구 내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2수직차폐부; 및 상기 제1수직차폐부와 상기 제2수직차폐부를 연결하는 수평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수평차폐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분사구에 연결된 제1내경부; 상기 제1내경부보다 확경되게 상기 제1내경부에서 연장된 제2내경부; 및 상기 제2내경부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설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작동부는, 상기 제1내경부를 관통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경에 밀착되어 소방용수의 분출을 방지하는 기밀로드; 상기 기밀로드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에 확경플렌지가 구비된 개방로드; 및 상기 기밀로드 및 개방로드와 함께 하강시 하부는 상기 개방로드의 확경플렌지를 지지하고, 상부는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제2내경부에 설치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열체는, 상기 개방로드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경부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막형성부는, 상기 유출구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통 형상의 소방용수 헤더; 및 상기 소방용수 헤더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측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방용수 헤더에 연결된 노즐유입구; 상기 노즐유입구보다 축경되게 상기 노즐유입구에서 연장된 축경부; 및 상기 축경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평면각도를 가지며 단부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의 인접 벽면에 고정되는 도어커버; 상기 소방용수 헤더를 상기 도어커버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브라켓; 및 상기 소방용수 헤더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관통슬릿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막형성부는, 일반용수 라인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일반용수 라인에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화재감지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일반용수 라인을 개폐하는 전자밸브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감열탈락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소방수를 도어 측에 분사해줌으로써, 도어에 수막을 형성하여 열전달을 억제하고, 유독가스 및 매연이 도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방용수 헤더에 연결된 분사노즐의 오리피스부가 소정의 평면각도를 가지며 단부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소방용수가 도어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열전달 억제나 유독가스 및 매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커버, 고정브라켓, 케이싱을 사용하여 기존의 도어에 소방용수 헤더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막형성부의 소방용수 헤더가 일반용수 라인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감열탈락부의 미동작시에도 상기 소방용수 헤더로 일반용수를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화문용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몸체부와 감열탈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몸체부와 감열탈락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몸체부와 감열탈락부를 도시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막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막형성부의 분사노즐을를 도시한 사시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용수 라인(L1, L2), 일반용수 라인(L3), 밸브몸체부(100), 감열탈락부(200), 수막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방용수 라인(L1, L2)은, 상기 밸브몸체부(100)에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소방용수 공급측 라인(L1)과 상기 밸브몸체부(100)에서 배출되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소방용수 배출측 라인(L2)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밸브몸체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몸체부(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용수 공급측 라인(L1)에 연결되는 유입구(110), 소방용수 배출측 라인(L2)에 연결되는 유출구(120),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를 연결하는 유로 내부에 소방용수가 통과되기 위한 통공(130h)이 구비된 격벽(130) 및 상기 통공(130h)과 상기 유출구(120)의 사이에 구비된 분사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110)에는 내경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20)에는 외경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밸브몸체부(100)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구(140)에 가까운 측의 상기 유입구(110) 내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0)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1수직차폐부(131), 상기 분사구(140)에 먼 측의 상기 유출구(120) 내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120)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2수직차폐부(133) 및 상기 제1수직차폐부(131)와 상기 제2수직차폐부(133)를 연결하는 수평차폐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통공(130h)은 상기 수평차폐부(135)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밸브몸체부(1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소방용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130h)이 폐쇄된 경우에는 상기 유출구(120)와 상기 분사구(140)로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통공(130h)이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유출구(120)와 상기 분사구(140)로 소방용수가 함께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통공(130h)의 폐쇄와 개방은 후술하는 감열탈락부(200)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감열탈락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감열탈락부(2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분사구(140)에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동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해 탈락되는 감열체(220), 평상시 상기 통공(130h)을 폐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감열체(220)의 탈락시 수압에 의해 상기 통공(130h)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개방작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구(140)에 연결된 제1내경부(211), 상기 제1내경부(211)보다 확경되게 상기 제1내경부(211)에서 연장된 제2내경부(213) 및 상기 제2내경부(213)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설되는 단턱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방작동부(230)는 상기 몸체(21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내경부(211)를 관통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130h)의 내경에 밀착되어 소방용수의 분출을 방지하는 기밀로드(231), 상기 기밀로드(231)의 하단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부에 확경플렌지(233a)가 구비된 개방로드(233) 및 상기 기밀로드(231) 및 개방로드(233)와 함께 하강시 하부는 상기 개방로드(233)의 확경플렌지(233a)를 지지하고, 상부는 상기 단턱부(215)에 걸리도록 상기 제2내경부(213)에 설치되는 디플렉터(235-1, 23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내경부(211)에 대응하는 기밀로드(231)의 외주부에는 오링(O)이 구비되고, 상기 기밀로드(231)의 하단 중심부에는 상기 개방로드(233)와 결합을 위한 볼트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개방로드(233)의 상단 중심부에는 상기 기밀로드(231)의 볼트부와 결합되는 너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로드(233)의 확경플렌지(233a)의 상면에는 밀폐용 시트(S)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작동부(230)의 개방동작 이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로드(231)가 상기 제1내경부(211)를 관통하여 상기 통공(130h)을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유입구(110)를 통한 소방용수의 유입을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용 시트(S)는 상기 개방로드(233)에 의해 상기 제1내경부(211)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분사구(140)를 통항 소방용수의 유입을 2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디플렉터(235-1, 23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235-1)와 플래시부(235-2)로 구성되며, 상기 플래시부(235-2)의 탐침부 3개가 상기 링부(235-1)에 형성된 홀에 탄성적으로 압입됨에 따라 링부(235-1)와 플래시부(235-2)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235-1, 235-2)는, 상기 개방로드(233)의 하단에 고정된 스냅링(234')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234)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가압적으로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감열체(220)는, 상기 개방로드(233)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경부(213)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열체(220)는, 상부 커플링(221), 하부 커플링(222), 클램핑 링(223), 로드스크류(224), 로킹스크류(225), 콜렉터(226), 퓨즈(220a)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열체(220)의 동작 및 구조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면, 감열체(220)의 퓨즈(220a)가 녹아내려 감열체(220)의 상, 하부 커플링(221, 222)과, 클램핑 링(223)이 분리되면서 감열체(220)가 하단으로 떨어져 나가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열탈락부(200)의 구성에 따르면, 열에 의해 상기 감열체(220)가 탈람됨에 따라 소방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기밀로드(231)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통공(130h)이 개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통공(130h)을 통해 소방용수가 공급되어 상기 유출구(120)와 상기 분사구(140)로 각각 소방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막형성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막형성부(300)는, 상기 개방작동부(230)의 의한 상기 통공(130h)의 개방시 상기 통공(130h) 및 유출구(120)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도어 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수막형성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구(120)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통 형상의 소방용수 헤더(310) 및 상기 소방용수 헤더(31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측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방용수 헤더(310)는 대략 사각블록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방용수 배출측 라인(L2)과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320)은 상기 소방용수 헤더(310)와 연결되어 상기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노즐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방용수 헤더(310)에 연결된 노즐유입구(321), 상기 노즐유입구(321)보다 축경되게 상기 노즐유입구(321)에서 연장된 축경부(323) 및 상기 축경부(323)에 연결되어 소정의 평면각도를 가지며 단부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오리피스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막형성부(3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근접한 벽면에 고정되는 도어커버(331), 상기 소방용수 헤더(310)를 상기 도어커버(331)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브라켓(333) 및 상기 소방용수 헤더(31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320)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관통슬릿(335S)이 형성된 케이싱(3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커버(331), 고정브라켓(333), 케이싱(335)을 사용하여 기존의 도어에 소방용수 헤더(31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막형성부(300)의 소방용수 헤더(310)는, 일반용수 라인(L3)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일반용수 라인(L3)에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화재감지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일반용수 라인(L3)을 개폐하는 전자밸브(V1)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V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열탈락부(20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이나 화재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수막형성부(300)로 일반용수를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소방용수 공급측 라인(L1)을 통하여 소정의 수압을 갖는 소방용수가 공급되고 있으며, 상기 감열탈락부(200)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로드(231)가 상기 몸체(210)의 제1내경부(211)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통공(130h)을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통공(130h)을 통한 소방용수의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이다.
한편,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열체(220)의 퓨즈(220a)가 녹아내리게 되고, 상기 감열체(220)가 상기 몸체(210)로부터 탈락된다.
상기 개방로드(233)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던 감열체(220)가 탈락됨에 따라 상기 개방로드(233)의 하부를 상방으로 지지하던 지지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유입구(110)에 작용하는 소방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기밀로드(231)와 개방로드(233)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플렉터(235-1, 235-2)의 링부(235-1)가 몸체(210)의 단턱부(215)에 걸려지게 되고, 상기 개방로드(233)의 확경플렌지(233a)가 상기 디플렉터(235-1, 235-2)의 플래시부(235-2)에 걸려서 지지됨에 따라 상기 기밀로드(231)와 개방로드(233)의 하강 위치가 제한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통공(130h)이 개방되고, 상기 통공(130h)을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가 분사구(140)를 통하여 몸체(210)로 유입되어 몸체(210)의 하부로 분사되고, 이와 함께, 상기 유출구(120)로 유입된 소방용수가 수막형성부(300)의 소방용수 헤더(310)로 공급되어 분사노즐(320)을 통해 도어로 분사되어 수막이 형성되며, 상기 수막에 의해 열전달을 억제하고, 유독가스 및 매연이 도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밸브몸체부
110:유입구
120:유출구
130:격벽
140:분사구
200:감열탈락부
210:몸체
220:감열체
230:개방작동부
300:수막형성부

Claims (7)

  1. 소방용수 공급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입구, 소방용수 배출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 내부에 소방용수가 통과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된 격벽 및 상기 통공과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분사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의 분사구에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동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해 탈락되는 감열체, 평상시 상기 통공을 폐쇄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감열체의 탈락시 수압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개방작동부를 포함하는 감열탈락부; 및
    상기 개방작동부의 의한 상기 통공의 개방시 상기 통공 및 유출구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도어 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분사구에 연결된 제1내경부; 상기 제1내경부보다 확경되게 상기 제1내경부에서 연장된 제2내경부; 및 상기 제2내경부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설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작동부는,
    상기 제1내경부를 관통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경에 밀착되어 소방용수의 분출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기밀로드; 상기 기밀로드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에 확경플렌지가 구비된 개방로드; 상기 확경플렌지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내경부의 하단부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분사구를 통한 소방용수의 분출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밀폐용 시트; 및 상기 기밀로드 및 개방로드와 함께 하강시 하부는 상기 개방로드의 확경플렌지를 지지하고, 상부는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제2내경부에 설치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열체는,
    상기 개방로드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경부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수막형성부는,
    일반용수 라인과 더욱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일반용수 라인에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화재감지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일반용수 라인을 개폐하는 전자밸브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분사구에 가까운 측의 상기 유입구 내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1수직차폐부; 상기 분사구에 먼 측의 상기 유출구 내벽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2수직차폐부; 및 상기 제1수직차폐부와 상기 제2수직차폐부를 연결하는 수평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수평차폐부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는,
    상기 유출구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통 형상의 소방용수 헤더; 및
    상기 소방용수 헤더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측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소방용수 헤더에 연결된 노즐유입구; 상기 노즐유입구보다 축경되게 상기 노즐유입구에서 연장된 축경부; 및 상기 축경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평면각도를 가지며 단부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인접 벽면에 고정되는 도어커버; 상기 소방용수 헤더를 상기 도어커버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브라켓; 및 상기 소방용수 헤더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관통슬릿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7. 삭제
KR1020140046517A 2014-04-18 2014-04-18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KR10156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517A KR101568933B1 (ko) 2014-04-18 2014-04-18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517A KR101568933B1 (ko) 2014-04-18 2014-04-18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24A KR20150121324A (ko) 2015-10-29
KR101568933B1 true KR101568933B1 (ko) 2015-11-13

Family

ID=5443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517A KR101568933B1 (ko) 2014-04-18 2014-04-18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995B1 (ko) * 2019-06-07 2019-10-11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의 배수파이프 화재확산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98Y1 (ko) * 2005-08-30 2005-12-05 대진특장 주식회사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JP2012029764A (ja) * 2010-07-29 2012-02-16 Hochiki Corp 放水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98Y1 (ko) * 2005-08-30 2005-12-05 대진특장 주식회사 차체 보호용 물분사장치
JP2012029764A (ja) * 2010-07-29 2012-02-16 Hochiki Corp 放水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24A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632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1179962B1 (ko)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568933B1 (ko) 감열탈락부 연동형 도어 수막 생성 시스템
KR10160454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CN109113538B (zh) 一种自闭式防火门
KR101932481B1 (ko) 벤트 라인 화염 차단 장치
KR20160054366A (ko) 방화창 유니트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JP4896180B2 (ja) 水洗式便器
KR102243551B1 (ko)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KR20050119839A (ko) 방화문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CN112443253B (zh) 模块化钢质防火门及其制造方法
KR200450559Y1 (ko)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101895115B1 (ko) 충격파손 방지구를 구비한 폐쇄형 습식 스프링클러헤드
KR10144838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120021588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58496B1 (ko)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된 일체형 스프링클러 어셈블리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537108B1 (ko) 플랜저 일체형 스프링쿨러
CN209900494U (zh) 一种防误启的柜式七氟丙烷灭火装置
JP2018127766A (ja) 管継手および脚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