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681Y1 -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 Google Patents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681Y1
KR200401681Y1 KR20-2005-0024791U KR20050024791U KR200401681Y1 KR 200401681 Y1 KR200401681 Y1 KR 200401681Y1 KR 20050024791 U KR20050024791 U KR 20050024791U KR 200401681 Y1 KR200401681 Y1 KR 200401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ornament
decorative
bush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용
Original Assignee
주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용 filed Critical 주영용
Priority to KR20-2005-0024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2Gems made of several cut pieces
    • A44C17/003Doublet 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8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구의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고, 장식구를 교체하여 작업할 경우 호퍼에 잔류하고 있는 장식구들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호퍼장치는,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져 설치되는 장식구 호퍼와, 흡착노즐이 장식구 호퍼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장식구 호퍼의 일측에 형성되는 트인 개방부를 갖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있어서, 장식구 호퍼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고, 위치고정 및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미세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장식구의 크기가 달라질 경우에 호퍼의 미세한 회동조절에 의해 장식구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으며, 장식구 교체작업시 호퍼를 수동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호퍼에 남아있는 장식구들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HOPPER OF ACCESSORY SETTING MACHINE}
본 고안은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구의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호퍼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고, 장식구를 교체하여 작업할 경우 호퍼에 잔류하고 있는 장식구들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가방, 벨트 등에는 다양한 장식이 부착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장식을 위해서 유리, 합성수지, 인조다이아몬드 등의 장식구를 의류원단, 가방원단, 벨트원단과 같은 각종 대상물(이하, "대상물"이라 칭함)에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장식구는 일반적으로 열융착에 의해 대상물에 부착되며, 이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과 같은 장식구 부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장식구 부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대상물(A)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10)과, 장식구(B)를 공급하는 호퍼장치(20)와, 호퍼장치(20)로부터 장식구(B)를 흡착하여 대상물(A) 위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와, 대상물(A) 위로 이송된 장식구(B)를 대상물(A)에 부착시키는 융착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장치(20)는, 약 45°각도로 기울여져 설치되는 원통형의 장식구 호퍼(22)와, 호퍼(22)의 안쪽에서 회전하면서 호퍼(22)내의 장식구(B)를 하나씩 수용하여 대기위치(X)로 운반하도록 다수의 수용홈(24a)을 갖는 회전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24)은 원판의 형태로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며, 일반적으로 상,하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수용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24)은 호퍼(22)의 중심에서 볼트등의 체결장치로 체결되어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장치(30)는, 대기위치(X)로 공급된 장식구(B)를 하나씩 흡착하는 흡착노즐(32)과, 흡착노즐(32)을 회전시키는 에어모터(Air Motor,34)와, 흡착노즐(32)을 상,하 승강운동시키는 에어실린더(Air Cylinder,36)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융착장치(40)는 테이블(10)의 밑면에 설치되는 히터(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식구(B)의 밑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상기 접착제를 용융시킨다. 따라서 용융된 접착제가 대상물(A)에 융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에서는, 호퍼(22)에 저장된 장식구(B)를 회전판(24)으로 하나씩 대기위치(X)로 공급한 다음, 대기위치(X)로 공급된 장식구(B)를 이송장치(30)로 흡착한다. 이때, 이송장치(30)의 흡착노즐(32)은 호퍼(22)의 트인 개방부(22a)를 출입하면서 대기위치(X)의 장식구(B)를 흡착한다.
한편, 장식구(B)를 흡착한 이송장치(30)는, 흡착된 장식구(B)를 대상물(A) 위에 이송하고, 대상물(A) 위에 이송된 장식구(B)를 히터(42)로 용융 부착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는, 호퍼(22)가 볼트 등의 체결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호퍼(22)의 후면에서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어 호퍼(22)의 회동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에 의하면, 장식구의 크기가 달라져 회전판(24)을 교체하게 될 경우에 상기 장식구가 흡착노즐(32)에 잘 흡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부착하는 장식구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면, 일반적으로 장식구의 크기에 알맞는 회전판(24)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흡착노즐(32)의 중심과 변경된 회전판(24)의 수용홈의 달라지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24)의 외경이 일정하고 회전판(24)과 수용홈(24a)의 외각간의 간격 d가 변하지 않으므로, 본래의 수용홈(24a)의 중심이 변경된 수용홈(24b)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흡착노즐(32)이 그 중심이 변경된 수용홈(24b)에 놓여진 장식구를 잘 흡착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노즐(32)은 공기의 진공압에 의해 장식구를 흡착하므로, 장식구의 흡착시 상기 흡착노즐(32)과 장식구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는, 호퍼(22)의 회동이 불가능한 구조이어서 흡착노즐에 의해서만 상기 양 중심을 일치시켜야 하므로, 다양한 장식구가 부착될 경우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형상의 장식구를 부착하기 위해 장식구를 교체하여 작업할 경우에는 호퍼(22)내에 잔류한 장식구를 외부로 모두 꺼내고 새로운 장식구를 투입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에서는 잔류한 장식구를 꺼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장식구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로 되어 있고, 그 형상도 원형이거나 편평한 반구형 형상이 많아 손으로 집기가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장식구가 호퍼(22)의 수용홈(24a)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장식구가 수용홈(24a)의 바닥과 밀착되어 있어 꺼내기가 더욱 힘들어 진다.
따라서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에 의하면, 장식구를 교체하여 작업할 경우 호퍼(22)내에 잔류하고 있는 장식구들을 꺼내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식구의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고, 장식구를 교체하여 작업할 경우 호퍼에 잔류하고 있는 장식구들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져 설치되는 장식구 호퍼와, 흡착노즐이 상기 장식구 호퍼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장식구 호퍼의 일측에 형성되는 트인 개방부를 갖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호퍼는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측의 원위치와 상측의 회동위치사이에서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위치에서는 상기 개방부가 하부를 향하고, 상기 원위치에서는 상기 개방부가 흡착노즐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동부재는, 볼트헤드부, 호퍼의 회동부재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부싱(Bushing),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서 연장된 나사부, 상기 나사부와 결합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부싱은, 그 일측에 호퍼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돌출부 두께(t)는 0.1 - 0.3 mm인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회동부재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부싱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고, 상기 부싱과 회동부재의 회동부는 중간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측의 원위치(Q)로 복귀되는 상기 장식구 호퍼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원위치(Q)에서 위치고정시킴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구 호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호퍼의 위치고정 및 위치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 및 위치조정수단은, 조정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호퍼의 배면에 형성된 조정나사접촉부(22b)와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호퍼장치는 다수의 장식구(B)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장식구 호퍼(22)를 구비한다. 상기 장식구 호퍼(22)는 약 45°각도로 기울어져 프레임(1)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1a)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장식구 호퍼(22)는 회동부재(50)를 중심으로 프레임(1)에 대하여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장식구 호퍼(22)는 회동부재(50)를 중심으로 원위치(Q)와 회동위치(R) 사이에서 회동운동하는데, 회동위치(R)에서 트인 개방부(22a)가 하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므로, 하부를 향하는 개방부(22a)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장식구(B)들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상기 회동부재(50)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연장된 경사부(1a)와 호퍼(22)의 바닥면이 결합된다. 상기 경사부(1a)는 프레임의 측면에서 돌출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Plate)이며 장식구 호퍼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구 호퍼(22)는 상기 프레임의 경사부(1a)에 놓여진 형태가 되며 회동부재(50)에 의해 상기 경사부(1a)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50)의 결합위치는 장식구 호퍼(22)의 중심축선(ℓ)으로부터 소정거리(L)만큼 편심되어 있다. 이는 호퍼의 회동시 호퍼의 배면부에 위치한 조절나사 접촉부(22b)가 회동부재(50)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50)의 구조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헤드부(51)와, 상기 호퍼(22)의 바닥면에 형성된 회동부재삽입구(3)에 삽입고정되는 부싱(Bushing, 55)과,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부(52)와, 상기 회동부에서 연장된 나사부(53)와, 상기 나사부(53)와 결합되는 풀림방지너트(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50)의 헤드부(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 호퍼(22)의 바닥면과 회전판(24)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회전판(24)의 회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부싱(55)은, 호퍼(22) 바닥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회동부재삽입구(3)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부싱(55)의 일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의 두께를 가지고 호퍼(22)의 바닥면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55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50)의 헤드부(51)는 상기 돌출부(55a)와 거의 선접촉에 가까운 접촉을 하게 되므로, 장식구 호퍼(22)의 회동운동이 용이하고, 호퍼(22)의 회동시 큰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부싱(55)의 돌출부(55a)의 두께는 0.1 - 0.3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두께가 0.1 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회동부재(50)의 헤드부(51)와 호퍼(22)의 바닥면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장식구 호퍼(22)가 잘 회동하지 않고, 그 두께가 0.3 mm 를 초과하면 회동부재와 장식구 호퍼(22)와의 결합이 헐거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회동부재(50)의 회동부(52)는, 상기 부싱(55)과 중간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므로 손으로 장식구 호퍼(22)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가 있다. 그러면서도 상기 회동부재(50)의 헤드부(51)와 부싱(55)의 돌출부(55a)가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장식구 호퍼(22)를 회동시킨뒤 손을 떼더라도 호퍼(22)는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50)의 회동부(52)의 하부에는 나사부(53)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53)는, 풀림방지너트(54)에 의해 체결되어, 장식구 호퍼(22)가 계속적인 회동운동에 의해 회동부재(50)가 프레임 경사부(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부재(50)의 중심축은 장식구 호퍼(22)의 중심축선(ℓ)으로부터 L 의 거리를 갖고 편심되게 이격되어 있어, 장식구 호퍼(22)가 회동하더라도 프레임 경사부(1a)와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장식구 호퍼(22)가 상기 회동부재(50)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손으로 장식구 호퍼(22)를 회동시켜 장식구 호퍼(22)의 트인 개방부(22a)를 하부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장식구를 부착하기 위해 장식구 호퍼(22)내에 잔류한 다수의 장식구들을 호퍼(22)의 외부로 꺼낼 때, 이들을 아주 용이하게 배출 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Q)로 복귀되는 장식구 호퍼(22)의 회동을 제한하여 위치고정시킴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장식구 호퍼(22)의 원위치(Q)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위치고정 및 위치조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호퍼 조정나사(60)는, 프레임(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식구 호퍼(22)의 배면에 돌출된 조정나사 접촉부(22b)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호퍼 조정나사(60)는, 장식구의 크기가 달라져 회전판을 교체한 경우에 장식구의 중심과 흡착노즐(32)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퍼 조정나사(60)는, 상기 회동부재(50)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하측의 원위치(Q)로 복귀되는 상기 장식구 호퍼(22)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원위치(Q)에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호퍼조정나사(60)는, 프레임(1)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장식구 호퍼(22)의 배면에 돌출된 조정나사 접촉부(22b)에 대하여 정,역 나사운동을 함으로써, 호퍼(22)를 미세하게 회동시킨다.
한편, 장식구 호퍼(22)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조정나사 접촉부(22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2)의 회전시 프레임(1)의 경사부(1a)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일부가 깎여진 형상으로 되어있다.
장식구 호퍼(22)를 손으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임의의 위치에서 호퍼를 정지시킬 수 있고, 호퍼 조정나사(60)에 의해 장식구 호퍼(22)의 미세한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먼저, 다른 형상의 장식구를 부착하기 위해 장식구 호퍼(22)로부터 작업이 완료된 장식구(B)를 꺼내고자 할 경우, 손으로 장식구 호퍼(22)를 원위치(Q)에서 회동위치(R)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장식구 호퍼(22)는 회동위치(R)로 회동하여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고, 회동위치(R)로 회동된 장식구 호퍼(22)의 개방부(22a)는 하부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하부를 향하는 개방부(22a)를 통해 장식구(B)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호퍼(22)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장식구(B)는 하부로 향한 개방부(22a)를 통해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만일 장식구의 크기가 달라져 회전판(24)을 교체한 경우에는, 프레임(1)의 좌측에 위치한 호퍼 조정나사(6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나사운동시켜 흡착노즐(32)의 중심과 상기 새로운 회전판의 장식구 수용홈(24b)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의하면, 장식구의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호퍼의 미세한 회동조절에 의해 장식구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으며, 부착작업이 종료한 후 호퍼를 수동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호퍼에 남아있는 장식구들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히 다양한 종류의 장식구가 부착되는 경우에 아주 효율적이며, 장식구 교체시간 및 장식구 교체에 따르는 조정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장식구 부착기에서 회전판의 교체로 중심이 변경되는 것을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 부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퍼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레임(Frame) 3: 회동부재삽입구
10: 테이블(Table) 20: 호퍼장치
22: 장식구 호퍼(Hopper) 22a: 개방부
30: 이송장치 32: 흡착노즐
40: 융착장치 50: 회동부재
60: 호퍼 조정나사

Claims (8)

  1. 프레임(Frame,1)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져 설치되는 장식구 호퍼(Hopper,22)와, 흡착노즐(32)이 상기 장식구 호퍼(22)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장식구 호퍼의 일측에 형성되는 트인 개방부(22a)를 갖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호퍼(22)는, 프레임(1)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1a)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회동부재(50)를 중심으로 하측의 원위치(Q)와 상측의 회동위치(R)사이에서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위치(R)에서는 상기 개방부(22a)가 하부를 향하고, 상기 원위치(Q)에서는 상기 개방부(22a)가 흡착노즐(32)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50)는, 볼트헤드부(51)와, 상기 호퍼(22)의 바닥면에 형성된 회동부재삽입구(3)에 삽입고정되는 부싱(Bushing, 55)과, 상기 부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부(52)와, 상기 회동부에서 연장되어 프레임 경사부(1a)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3)와, 풀림방지너트(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5)은, 그 일측에 호퍼(22)의 바닥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5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5)의 돌출부(55a)의 두께(t)는 0.1 - 0.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22)의 바닥면 회동부재삽입구(3)에 삽입고정되는 부싱(55)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고, 상기 부싱(55)과 회동부재(50)의 회동부(52)는 중간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6.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측의 원위치(Q)로 복귀되는 상기 장식구 호퍼(22)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원위치(Q)에서 위치고정시킴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구 호퍼(22)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호퍼의 위치고정 및 위치조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및 위치조정수단은 조정나사(60)로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60)는 호퍼(22)의 배면에 형성된 조정나사접촉부(22b)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접촉부(22b)는, 호퍼(22)의 회동시 프레임 경사부(1a)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그 일부가 깎여나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KR20-2005-0024791U 2005-08-29 2005-08-29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KR200401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91U KR200401681Y1 (ko) 2005-08-29 2005-08-29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91U KR200401681Y1 (ko) 2005-08-29 2005-08-29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681Y1 true KR200401681Y1 (ko) 2005-11-21

Family

ID=4370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791U KR200401681Y1 (ko) 2005-08-29 2005-08-29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6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215B1 (ko) 노즐 회전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도포 장치
KR920007432B1 (ko) 전자부품 장착방법
KR101325548B1 (ko) 오리피스 내장형 에이비에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필터조립체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126386B1 (ko) 모티브용 장식구 부착장치
CA2810135C (en) Method for attaching prepared adhesive to bonding part bonding tool therefor
KR100604004B1 (ko) 장식구 부착기의 공급장치
CN107138300B (zh) 流体微量喷射装置
US20010025603A1 (en) Part pain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401681Y1 (ko) 장식구 부착기의 호퍼장치
JP6318768B2 (ja) ガラス位置決め装置及びガラス取付装置
CN219718993U (zh) 一种用于贴片机的吸嘴
JP2003311198A (ja) ペースト塗布装置
JPWO2015068297A1 (ja) 対基板作業装置及び吐出ヘッド
KR200401680Y1 (ko) 장식구 부착기의 흡착노즐 위치조절장치
CN209503450U (zh) 一种汽车车标工装模具
JPH10325406A (ja) 螺子孔を被覆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733691B2 (ja) 移動具
KR900006804B1 (ko) 접착제 도포장치
CN104956785A (zh) 裸片供给装置
KR200258310Y1 (ko) 장식구 부착기
KR101156072B1 (ko) 장식구 부착장치용 흡착노즐
JPH0129079B2 (ko)
JPH0453025Y2 (ko)
JPS6144788Y2 (ko)
KR20110043323A (ko) 모티브용 장식구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