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548Y1 - 발레 슈즈 - Google Patents

발레 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548Y1
KR200401548Y1 KR20-2005-0025985U KR20050025985U KR200401548Y1 KR 200401548 Y1 KR200401548 Y1 KR 200401548Y1 KR 20050025985 U KR20050025985 U KR 20050025985U KR 200401548 Y1 KR200401548 Y1 KR 200401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ballet
plate
ballet shoes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소정
Original Assignee
장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소정 filed Critical 장소정
Priority to KR20-2005-0025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548Y1/ko
Priority to PCT/KR2006/003537 priority patent/WO200702996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2Dancing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탄성계수를 갖는 보강판과 열수축성 수지시트가 결합된 발레 슈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발레 슈즈는, 밑창(11)과 안창(12)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 바닥부(10)와; 바닥부(10)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토캡(20)과; 바닥부(10)에 매입 결합된 바닥판(31)과, 바닥판(31)의 전방단부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어 토캡(20) 내부로 매입되는 토캡지지판(32)으로 이루어진 보강판(30)과; 상기 밑창(11)과 안창(12) 사이에 하단부 테두리가 고정되는 갑피(40)와; 갑피(40) 내부에 매입되는 열수축성 수지시트(50)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판(30)과 열수축성 수지시트(50)가 결합되는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발레 슈즈는, 포인트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며, 맞춤형 발레 슈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발레 슈즈{Ballet boots}
본 고안은 발레 슈즈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발레 슈즈 앞부분에 결합된 토캡을 이용하여 발가락 끝부분으로 서는 발레 동작인 포인트(point)시, 수직으로 세워지는 발레 슈즈의 바닥부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탄성계수를 가진 재질로 만들어진 보강판이 바닥부에 결합되며, 처음 착용한 상태에서 갑피에 열을 가하여 발레 슈즈 갑피가 수축하여 맞춤 신발과 같이 착용자의 발에 정확히 맞도록 갑피 내부에 열수축성 수지시트를 매입한 발레 슈즈에 관한 것이다.
발레는 유럽에서 발달한 무용 형식의 일종으로서, 패턴화된 다양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바, 여러 가지의 발레 동작 중에서 신체에 가장 무리가 가며, 발레 슈즈와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요하는 동작 중의 하나가 포인트이다.
상기 포인트 동작은 발끝 즉, 발을 거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서는 동작으로서, 발가락과 발의 앞 부분에 상당한 무리를 주며, 발바닥이 지면과 수직을 이룸에 따라 발레 슈즈의 바닥부가 발 바닥부로부터 벌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발레 슈즈 앞 부분의 충격 완화와 발레 슈즈 바닥부의 탄성력이 보완된 전용 발레 슈즈를 신어야만 하는 바, 포인트 동작을 위한 발레 슈즈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포인트 동작을 위해 보강된 포인트 슈즈(또는 토슈즈)는, 앞 부분이 매우 딱딱한 동시에 그 선단면이 평탄한 형태를 취하는 토캡이 구비됨으로써 발끝으로 서는 동작인 포인트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며, 포인트 동작시 슈즈의 바닥부와 갑피가 착용자의 발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갑피의 상단 테두리부에 구비된 조임끈을 이용하여 묶어주는 발레 슈즈이다.
상기 포인트 슈즈는,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안전화 앞 부분의 갑피와 내피 사이에 내재된 금속제 토캡과 대략 유사한 형상을 하나, 일반적인 신발의 앞부분 형상과 같이 그 전방 선단면이 만곡면를 이루는 안전화용 토캡과 달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슈즈의 앞부분에 내재된 경질의 토캡(3)은 그 선단면이 거의 평탄면을 이루도록 제작됨으로써 포인트 동작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며, 갑피(2)의 상단 테두리부에 구비된 조임끈(4)으로 조여 발레 슈즈를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토캡(3)은 발끝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나무류, 경질의 합성수지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층 결합되거나, 석면섬유에 풀 등을 도포하여 굳힌 석면 등과 같은 경질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토캡(3)과 함께 포인트 동작을 가능한 쉽게 취할 수 있도록 바닥부(1) 역시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진 구조이나, 종래의 발레 슈즈는 상기 토캡(3)과 바닥부(1) 각각 제조된 후 재봉,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토캡(3)의 움직임에 따라 바닥부(1)가 함께 정확히 움직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포인트시 토캡(3)의 선단면이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바닥부(1) 역시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세워져야 안정적인 포인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발레 슈즈를 신은 상태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한 하중이 바닥부에 작용하게 되어 토캡(3)과 일체화되지 않은 바닥부(1)는 바닥 측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즉, 착용자의 발바닥에서 떨어져 바닥 측으로 향하는 경향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착용자는 포인트 동작시 항상 발레 슈즈가 벗겨지려고 하는 느낌을 갖게 되어 안정적인 포인트 동작을 취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점 외에 종래의 발레 슈즈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기성화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과 정확히 맞지 않기 때문에 조임끈(4)으로 바짝 조인 상태로 유지하여야만 발레 슈즈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임끈(4)은 갑피(2)의 상단부 테두리 즉, 발이 들어가는 개방부만을 조여주기 때문에 조임끈(4)을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순 보행시에도 벗겨지게 되는 바, 다소의 보행이 필요로 되는 휴식 중에도 항상 조임끈(4)을 조인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임끈(4)은 발레 동작 중에 느슨해 지거나 풀려질 수 있는 바, 늘 신경써야 함에 따라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며, 포인트 동작 중에 조임끈(4)이 느슨해지거나 풀리게 되면 발레 슈즈의 바닥부(1)와 발바닥 사이가 벌어져 착용자가 느끼는 발의 감각을 떨어뜨리게 되고, 착지시에도 발바닥과 발레 슈즈의 바닥부가 동시에 지면에 닿는게 아니라 발레 슈즈의 바닥부(1)가 먼저 닿고 발바닥이 닿게되어 착화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맞춤 신발이 아니기 때문에 갑피(2) 내면과 발 외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착용감이 떨어져 발레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도 심리적인 안정감이 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발레 슈즈 중 종래의 포인트 슈즈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탄성 재질의 보강부재를 발레 슈즈의 바닥부와 토캡 내부에 한 몸체로서 매입하여 상기 토캡의 움직임에 따라 바닥부가 함께 정확히 연동 되면서,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가 발바닥에 밀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포인트 동작이 가능한 동시에 맞춤형 발레 슈즈와 같이 착용자의 발에 정확히 형합되는 갑피가 결합된 발레 슈즈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바닥부와 토캡의 내부에 한 몸체로서 매입되는 보강판과, 갑피의 내부에 결합되는 열수축성 수지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발레 슈즈는, 바닥부와 토캡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로서의 상기 보강판과, 맞춤 신발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갑피의 내부에 매입되는 열수축성 수지시트를 발레 슈즈에 결합시킴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상기 보강판과 열수축성 수지시트를 각각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강판은, 발바닥 형상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방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대략 토캡 형상을 하는 토캡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은 발레 슈즈 바닥부 내부에, 상기 토캡 지지판은 토캡 내부에 각각 매입됨으로써, 바닥부와 토캡을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판은 발레 슈즈의 바닥부와 토캡이 한 몸체로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포인트 시 바닥부가 토캡과 동일한 회전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매우 큰 탄성계수를 가져야만 하는 바,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 0.5중량% 이상의 탄소를 함유한 고탄소강이 바람직하며, 기타의 재료를 선택할 경우에는 이러한 고탄소강 이상의 탄성 특성을 가진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인트 동작시, 지면과 대략 수직한 상태였던 보강판의 토캡 지지판이, 토캡과 갑피가 개재된 상태로, 바닥에 밀착되도록 회전되면, 토캡 지지판과 한 몸체로 연결된 바닥판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지면과 수직에 가깝도록 함께 회전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에 밀착됨으로써, 발바닥과 발레 슈즈의 바닥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발바닥을 단단히 지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포인트 동작시 토캡에 삽입되는 토캡 지지판과 일체로 연결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보강판은, 그 폭이 특정한 칫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발레 슈즈를 구성하는 밑창이나 안창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바닥판의 전방에서 상향 절곡 형성된 토캡 지지판은 토캡 선단면보다 작은 크기로서, 평평한 판상의 형태이거나 중앙부가 외부로 다소 돌출되는 완만한 만곡 형태 등으로 토캡의 전방 선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의 바닥판 길이 또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밑창 또는 안창의 길이보다 작으면서 바닥부 길이의 적어도 1/2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닥판의 길이가 밑창과 안창 길이의 1/2 값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에는 토캡 지지판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바닥판이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하더라도 발레 슈즈의 후방까지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가 없어 발레 슈즈의 후방 바닥부가 발의 뒤꿈치 부분과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열수축성 수지시트는, 갑피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매입되는 것으로, 갑피를 맞춤 신발과 같이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갑피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열수축성 수지시트는, 열이 가해지면 소성 수축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착용자가 발레 슈즈를 신은 상태에서 갑피에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열수축성 수지시트가 수축하면서 갑피가 착용자의 발에 밀착된 상태로 그 형태가 고정되어 맞춤형 신발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갑피가 착용자 발의 외형에 형합 되면, 발레 슈즈와 착용자 발 사이의 전체적인 유격이 최소화되어 포인트 동작을 안정적으로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끈이 느슨해지거나 풀어지더라도 발레 슈즈가 자연적으로 벗겨지지는 않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발레 슈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발레 슈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발레 슈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보강판을 보인 것으로, (가)는 바닥에 놓여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레 슈즈는, 밑창(11)과 안창(12)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 경질의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토캡(20)과;
상기 바닥부(10)의 밑창(11)과 안창(12) 사이에 매입 결합된 바닥판(31)과, 바닥부(10)의 전방단부를 벗어난 바닥판(31)의 전방단부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토캡(20)의 내부로 매입되는 토캡지지판(32)으로 이루어진 보강판(30)과;
상기 밑창(11)과 안창(12) 사이에 하단부 테두리가 삽입 고정되고, 안창(12)과 토캡(20)을 감싸는 내·외피(41)(42)로 이루어진 갑피(40)와;
상기 갑피(40)의 내·외피(41)(42) 사이에 매입되는 열수축성 수지시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는 지면과 직접적으로 마찰하는 밑창(11)과 착용자의 발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안창(12)으로 이루어지며, 밑창(11)은 바닥과의 마찰 및 포인트 동작의 편리성을 위하여 경질의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판(30)은 발바닥 형상의 바닥판(31)과, 바닥판(31)의 전방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토캡 지지판(32)이 한 몸체를 이루며, 바닥판(31)은 밑창(11)과 안창(12)의 사이에 매입되고, 토캡 지지판(32)은 토캡(20)의 전방단부 내부에 결합됨에 따라 보강판(30)에 의해 바닥부(10)와 토캡(20)을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30)은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져,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포인트 동작시 토캡 지지판(32)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회전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바닥판(31)이 지면과 수직에 가깝도록 회전됨으로써 발레 슈즈의 바닥부(10)가 착용자의 발바닥에 밀착 지지 되게 한다.
이에 따라, 포인트 동작시 발레 슈즈의 바닥부(10)와 발바닥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포인트 동작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레 슈즈가 벗겨지거나 벗겨질 것 같은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닥판(31)의 탄성력에 의해 발레 슈즈의 바닥부(10)를 발바닥에 효율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바닥판(31)의 길이를, 밑창(11)이나 안창(12) 길이의 적어도 1/2 이상의 길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31)의 길이가 바닥부(10) 길이의 1/2 길이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바닥판(31)이 바닥부(10)의 후방까지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닥부(10)의 후방부분이 발바닥에 밀착되지 못하고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발레 슈즈의 갑피(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41)와 외피(42) 및 이들 사이에 매입된 열수축성 수지시트(50)로 이루어지는 바, 본 고안의 발레 슈즈를 구입 후 최초 착용한 상태에서 갑피(40) 전체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수축성 수지시트(50)가 수축하면서 열수축성 수지시트(50)를 감싸고 있는 갑피(40) 전체가 수축하면서 발의 외면에 밀착 형합된다.
즉, 상기 갑피(40)가 착용자의 발 외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수축됨으로써, 맞춤 신발과 같이 발에 정확히 맞는 발레 슈즈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레 슈즈는, 바닥부와 토캡 내부에 함께 매입되는 일체형 보강판에 의해 발레 슈즈의 바닥부와 토캡이 일체화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포인트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갑피에 매입된 열수축성 수지시트에 의해 기성화임에도 불구하고 발에 정확하게 맞는 맞춤형 발레 슈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레 슈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발레 슈즈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발레 슈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발레 슈즈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5는 보강판을 보인 것으로,
(가)는 바닥에 놓여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부 11. 밑창
12. 안창 20. 토캡
30. 보강판 31. 바닥판
32. 토캡 지지판 40. 갑피
41. 내피 42. 외피
50. 열수축성 수지시트

Claims (3)

  1. 경질의 바닥부와 토캡을 구비한 포인트 동작용 발레 슈즈에 있어서,
    밑창(11)과 안창(12)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토캡(20)과;
    상기 바닥부(10)의 밑창(11)과 안창(12) 사이에 매입 결합된 바닥판(31)과, 바닥판(31)의 전방단부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토캡(20) 내부로 매입되는 토캡지지판(32)으로 이루어진 보강판(30)과;
    상기 밑창(11)과 안창(12) 사이에 하단부 테두리가 삽입 고정되고, 안창(12)과 토캡(20)을 감싸는 내·외피(41)(42)로 이루어진 갑피(40)와;
    상기 갑피(40)의 내·외피(41)(42) 사이에 매입되는 열수축성 수지시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레 슈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30)은 고탄소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레 슈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30)의 바닥판(31) 길이는 바닥부(10) 길이보다 길지 않으면서 바닥부(10) 길이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레 슈즈.
KR20-2005-0025985U 2005-09-08 2005-09-08 발레 슈즈 KR200401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85U KR200401548Y1 (ko) 2005-09-08 2005-09-08 발레 슈즈
PCT/KR2006/003537 WO2007029964A1 (en) 2005-09-08 2006-09-06 Ballet boo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85U KR200401548Y1 (ko) 2005-09-08 2005-09-08 발레 슈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548Y1 true KR200401548Y1 (ko) 2005-11-21

Family

ID=3783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85U KR200401548Y1 (ko) 2005-09-08 2005-09-08 발레 슈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548Y1 (ko)
WO (1) WO20070299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62Y1 (ko) 2009-10-20 2011-11-10 김유수 무희용 기능성반화
KR101263931B1 (ko) * 2011-02-15 2013-05-10 이동우 토슈즈
KR102199545B1 (ko) 2019-07-29 2021-01-07 정봉훈 기능성 발레슈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66832A1 (en) 2011-12-29 2013-07-04 Drew Layne, Llc Toe wedge for a ballet pointe shoe
EP2979568B1 (en) * 2013-03-26 2018-05-02 ASICS Corporation Shoe for indoor sports
US11026474B2 (en) 2018-06-05 2021-06-08 Drew Layne, Llc Ballet pointe shoe
EP3860384A4 (en) * 2018-10-26 2022-03-30 Ransan, Lisias BALLET POINTE SLIPPERS
US11278080B2 (en) 2019-01-19 2022-03-22 Lisias Ransan Ballet pointe shoe having toe platform with malleable bumper
RU209401U1 (ru) * 2021-08-05 2022-03-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бувная компания БАРС» Защитная стельк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304A (en) * 1984-04-27 1986-04-22 Murray Spalding Ballet slipper
US5035069A (en) * 1988-03-18 1991-07-30 Minden Elizabeth G Ballet sli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let slipper
GB2245813B (en) * 1990-07-09 1994-08-24 Dancing Bonzai Co Ballet shoe
KR20010018860A (ko) * 1999-08-23 2001-03-15 조영규 발레용 토슈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62Y1 (ko) 2009-10-20 2011-11-10 김유수 무희용 기능성반화
KR101263931B1 (ko) * 2011-02-15 2013-05-10 이동우 토슈즈
KR102199545B1 (ko) 2019-07-29 2021-01-07 정봉훈 기능성 발레슈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9964A1 (en)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548Y1 (ko) 발레 슈즈
CA3146626C (en)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US11464285B2 (en) Shoe having a sole member and spring element
CA2187830C (en) Dance shoe sole
JP5444528B2 (ja) 歩行具
US8151490B2 (en) Dance shoe
US20030221337A1 (en) Climbing slipp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insert
WO2005079291A3 (en) Ski boot
JP2017517284A (ja) 改良された靴
JP4616340B2 (ja) 3点履物
US6978559B2 (en) Lining of footwear having functions of ventilation and waterproof
US20130047463A1 (en) Shoe with elastic upper
KR102173221B1 (ko) 인솔 일체형 신발 제조방법
JP7291926B2 (ja) アッパーコア及びスケートシューズ
EP0748596A1 (en) Ankle supporting device,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KR101929572B1 (ko) 슬리퍼가 내장된 운동화
KR200450562Y1 (ko) 다용도 신발
US6092308A (en) Unitary shoe bottom
KR102424912B1 (ko) 신발 탄성장치
KR20010018860A (ko) 발레용 토슈즈
KR102328350B1 (ko) 기능성 신발
KR200464470Y1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KR102068301B1 (ko) 자가조립식 신발
JP2805144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
KR101179978B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