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55Y1 - 연결식 베이스 블록 - Google Patents

연결식 베이스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55Y1
KR200401255Y1 KR20-2005-0023332U KR20050023332U KR200401255Y1 KR 200401255 Y1 KR200401255 Y1 KR 200401255Y1 KR 20050023332 U KR20050023332 U KR 20050023332U KR 200401255 Y1 KR200401255 Y1 KR 200401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base block
shap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광섭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남부산업 filed Critical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to KR20-2005-0023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식 베이스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블록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평탄한 베이스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식 베이스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본체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한쪽에는, 그 상부의 측단부로부터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하부의 측단부로부터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는 연결핀이 형성되고, 다른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핀이 끼워질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연결핀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핀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블록에 의하면, 베이스부를 조성하고자 하는 표토 상에 여러 개의 베이스블록을 서로 조립하는 것만으로 베이스부를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베이스부를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식 베이스 블록{ARTICULATED BASE BLOCK}
본 고안은 연결식 베이스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블록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평탄한 베이스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식 베이스 블록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평탄하고 소정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베이스부를 조성하고 그 위에 건조물을 축조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위하여는, 그 표면이 고르지 않은 표토 상에 평탄하고 단단한 바닥부(베이스부)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여기에는 바닥을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뿐만 아니라,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한 다지기 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베이스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아래의 2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첫째는, 베이스부를 조성하고자 하는 표토를 상당한 중량의 웨이트로써 다짐작업을 하고, 그 위에 액상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건조시키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액상의 콘크리트가 건조되어 경화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액상의 콘크리트를 적절히 조절하고 고르게 분포시켜야 하므로 상당히 많은 인력 및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다른 방식은, 시멘트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을 오와 열로 배치함으로써 바닥면을 고르게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부를 조성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상기 첫째 방식보다는 시간 및 비용 면에서 향상된 방식이지만, 각 블록은 서로 맞대어 배치되기만 할 뿐, 그와 인접한 다른 블록을 서로 붙잡거나 배치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지 않았으므로, 어느 블록 하나가 외력을 받는 경우에는 배치된 상태로부터 이탈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 이 있었다.
특히, 상기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었으므로, 예컨대 상기 블록을 직선이 아니라 곡선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한 블록을 다른 블록에 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만큼 틀어지도록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각 블록은 다른 블록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저항이 더욱 약해져 배치상태로부터 더욱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블록 상호 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을 붙잡아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인접한 블록이 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고 하나의 블록이 다른 블록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편위되어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하여 배치상태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구조의 연결식 베이스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식 베이스블록은,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바닥부를 형성하는 연결식 베이스 블록으로서,
블록본체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한쪽에는, 그 상부의 측단부로부터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하부의 측단부로부터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 중 어느 한쪽에는 연결핀이 형성되고, 다른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핀이 끼워질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연결핀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핀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의 바닥부에는 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양돌출부의 자유단은 그 평면형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한 블록본체의 측단부에는 선행 베이스블록의 하부돌출부의 자유단과 상보적인 원호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부에 위치한 블록본체의 측단부에는, 후속 베이스블록의 하부돌출부의 자유단과 상보적인 원호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 돌출부의 자유단은 그 평면형상이, 블록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조립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블록은, 직육각형 형상의 블록본체(11)의 양단부에 돌출부(12.13)이 돌출형성되어 "ㄹ"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블록본체(11)의 좌측에는, 상부돌출부(12)가 상기 블록본체(11)의 상부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선행블록의 하부돌출부(13)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공간이 형성되며(도2참조), 상기 블록본체(11)의 우측에는, 하부돌출부(13)가 블록본체(11)의 하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그 위쪽으로 후속블록의 상부돌출부(12)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13)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돌출부(13) 상에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연결핀(14)이 상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부돌출부(12)에는 연결홈(15)이 상기 연결핀(14)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12)의 단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수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만큼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진 형상 때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각 베이스 블록(10) 사이에는 쐐기 형상의 간극(17)이 형성되고, 이 간극(17)의 폭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즉 하나의 베이스 블록(10)의 원뿔대 형상의 연결핀(14)의 주위로 다른 베이스블록(10)의 연결홈(15)을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 블록(10)들을 직선 형상 뿐만 아니라 곡선 형상으로도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 직선부를 상부돌출부(12)에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 경사 직선부는 하부돌출부(14)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부 및 하부돌출부(12,13)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본체(11)의 하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걸쳐 요철부(16)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도1 및 도6참조), 이 요철부(16)은 베이스블록(10)을 밀어내는 외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부(16)의 형상을 톱니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들었지만, 그 형상은 사다리꼴,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의 조립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좌측)베이스블록(10)의 연결핀(14)에 후속 베이스블록(10)의 연결홈(15)를 끼움으로써 2개의 연속적인 베이스블록(10)을 조립하고, 이때 후속 베이스블록(10)을 적절히 회전시켜 양 베이스블록(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과정을 계속 수행하여 수개의 베이스블록(10)을 일렬로 조립하게 되고, 이 일렬로 조립된 베이스블록(10)의 옆쪽에 밀착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베이스부를 조성하게 된다.
조성된 베이스부에 있어서, 각 베이스블록(10)은 이와 인접한 다른 베이스블록(10)의 고정수단(연결홈, 연결핀)에 의해 유지될 뿐만 아니라, 각 베이스블록(10)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6)가 각 베이스블록(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기 때문에 각 베이스 블록(10)은 배치된 위치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연결홈, 연결핀)이 회전을 허용하는 구조이므로, 조립과정에서 표토 상태에 적절하게 베이스블록(1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곡선형상의 베이스를 조성할 수도 있다.
이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그 정면도, 도 5는 평면도, 도6은 그 측면도, 도7은 도3의 작동도, 도8은 도3의 조립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블록의 제 2 실시예는, 직육각형 형상의 블록본체(21)의 양 단부에 돌출부(22,23)가 돌출형성되어 측면에서 보아 "ㄹ"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블록본체(21)의 좌측에는 상부돌출부(22)가 블록본체(21)의 상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선행블록의 하부돌출부(23)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공간이 형성되며(도4참조), 블록본체(21)의 우측에는 하부돌출부(23)가 블록본체(21)의 하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어, 그 위쪽에 후속블록의 상부돌출부(22)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2,23)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돌출부(23) 상에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연결핀(24)이 상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부돌출부(22)에는 연결홈(25)이 상기 연결핀(24)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돌출부(22,23)의 자유단(22-1,23-1)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돌출부(22,23)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위치한 상기 블록본체(21)의 측면부에도 원호형상의 오목부(22-2,23-2)가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22-1,23-1)과 상기 오목부(22-2,23-2)는 서로 밀착될 수 있는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상기 돌출부(22,23)의 원호형상의 자유단(22-1,23-1)과, 원호형상의 오목부(22-2,23-2)는 인접한 베이스블록(20)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어느 한 베이스블록(20)을 다른 베이스블록(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7참조). 즉, 상기 돌출부(22,23)와 오목부(22-2,23-2)가 상보적인 원호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블록(20)이 회전하더라도 밀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본체(21)의 하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걸쳐 요철부(26)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도6참조), 이 요철부(26)은 베이스블록(20)을 밀어내는 외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부(26)의 형상을 톱니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들었지만, 그 형상은 사다리꼴,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조립 및 작동과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도8참조).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2,23)의 자유단(22-1,23-1)과, 오목부(22-2,23-2)가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상보적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베이스블록(20)을 다른 베이스블록(2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양 베이스블록(20)은 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7참조).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블록(10,20)의 좌측에 상부돌출부를, 우측에 하부돌출부가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고, 상부돌출부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하부돌출부에 연결핀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배치는 상기 실시예들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반대로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블록에 의하면, 베이스부를 조성하고자 하는 표토 상에 여러 개의 베이스블록을 서로 조립하는 것만으로 베이스부를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베이스부를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블록은 각 베이스블록 간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곡선형상과 같은 비직선형상의 베이스부도 쉽게 조성할 있다.
또한, 각 베이스블록은 고정수단(연결핀, 연결홈)에 의하여 서로 유지되고 있으며, 그 하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베이스블록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이 외력에 저항하여 배치상태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식 베이스 블록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조립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식 베이스 블록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정면도, 도5는 도3의 평면도, 도6은 도3의 측면도, 도7은 도3의 작동도, 도8은 도3의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베이스 블록 11,21... 블록본체
12,22... 상부돌출부 13,23... 하부돌출부
12-1,13-1;22-1,23-1... 돌출부 자유단 22-2,23-2... 오목부
14,24... 연결핀 15,25... 연결홈
16,26... 요철부

Claims (5)

  1.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베이스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식 베이스 블록(10,20)에 있어서,
    블록본체(11,21)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한쪽에는, 그 상부로부터 돌출된 상부돌출부(12,2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그 하부로부터 돌출된 하부돌출부(13,2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2,13;22,23) 중 어느 한쪽에는 연결핀(14,24)이 형성되고, 타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핀(14,24)이 끼워질 수 있는 연결홈(15,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베이스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1,21)의 바닥부에는, 블록본체(1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요철부(16,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베이스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14,24)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5,25)은 상기 연결핀(14,24)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실 베이스 블록.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13)의 어느 한쪽의 자유단(12-1,13-1)은 그 평면형상이,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만큼 경사진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베이스 블록.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돌출부(22,23)의 자유단(22-1,23-1)은 그 평면형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부(22)의 하부에 위치한 블록본체(21)의 측단부에는 선행 베이스블록의 하부돌출부(23)의 자유단(23-1)과 상보적인 원호형상의 오목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23)의 상부에 위치한 블록본체(21)의 측단부에는, 후속 베이스블록의 상부돌출부(22)의 자유단(22-1)과 상보적인 원호형상의 오목부(2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베이스 블록.
KR20-2005-0023332U 2005-08-11 2005-08-11 연결식 베이스 블록 KR200401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32U KR200401255Y1 (ko) 2005-08-11 2005-08-11 연결식 베이스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32U KR200401255Y1 (ko) 2005-08-11 2005-08-11 연결식 베이스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55Y1 true KR200401255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332U KR200401255Y1 (ko) 2005-08-11 2005-08-11 연결식 베이스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173B1 (ko) 2013-01-31 2013-05-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173B1 (ko) 2013-01-31 2013-05-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27615U (zh) 瓷砖找平装置
US6560934B1 (en) Snappable shim assembly
US6681539B2 (en) Concrete form panels, concrete wall and method of forming
US20090097916A1 (en) Paving stone
KR100821890B1 (ko)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JP3840641B2 (ja) 見本市及び展示構造のためのプロフィル支持体システム
KR200401255Y1 (ko) 연결식 베이스 블록
EP1788308A2 (de) Feuerfester Formstein
US4362426A (en) Road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interconnected elements
US4669245A (en) A device for the forming joints in a floor pavement of the industrial type generally made of concrete
EP0882164B2 (en) Channel assembly
US6257545B1 (en) Mechanism for tentatively fixing decorative sheet
WO2009139697A1 (en) Means for fixing of screening media, and use of such means
GB2214211A (en) Concrete surface-imprinting tool
JP2007297802A (ja) 土間コンクリート用施工具
CA2218190A1 (en) A compensating member for pavers
JP305473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型枠
KR102110694B1 (ko)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JPH10205010A (ja) 基礎パッキン用スペーサ
KR200224301Y1 (ko) 건물용 판재 앵커
JP3626750B1 (ja) 側溝ブロック
KR200163869Y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JP2000017670A (ja) 建築基礎構造に用いるベースプレートと建築基礎構造
JPH08326005A (ja) 舗装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6945911B1 (ja) 透かしレンガ積み壁材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