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083A -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083A
KR20040111083A KR1020040044691A KR20040044691A KR20040111083A KR 20040111083 A KR20040111083 A KR 20040111083A KR 1020040044691 A KR1020040044691 A KR 1020040044691A KR 20040044691 A KR20040044691 A KR 20040044691A KR 20040111083 A KR20040111083 A KR 20040111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bw
anion
tourm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268B1 (ko
Inventor
이병수
최무근
사토유키오
마쯔나가요리히사
마쯔나가나오유키
Original Assignee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나카사토야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나카사토야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 쇼지 filed Critical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11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르말린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를 무기질계의 이액형, 상온경화형의 도료에 혼합·경화시켜 얻어지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도막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기질계 도료에 혼합·경화시켜 얻어지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도막에서는 음이온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음이온의 발생이 억제되기 어려운 도막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정 방법으로 조정한 콜로이달 알루미나와 콜로이달 실리카의 이온교환수 희석 혼합액에 무기충진제, 안료, 안정제, 특정 토르말린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의 혼합 분체, 거기에 더하여 엑포시수지와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은 안정한 주제액을 얻어, 이 주제액에 메틸트로메톡시실란에 소량의 수용성 아크릴수지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고 얻어진 경화액을 혼합 후, 도포하여 상온 경화시켜 음이온의 발생이 억제되기 어려운 도막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MINUS ION EMISSION PAINT}
본 발명은 벽도장재, 문도장재, 바닥도장재, 천장재 등의 표면도막과 기타 건축재용 도막재, 책상·의자·나무선반·옷장 등의 가구류 도막재 등으로 사용되는 무기질계, 이액형, 상온경화형, 고내후성, 고경도, 내스크레치성, 내약품성, 고내마모성, 내열성, 고내화염성의 특징을 가지며, 고효율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도막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의 한 사람인 마쯔나가 노리히사가 고효율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새로운 분체 조성물에 관한 특허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일본 특허 제3306790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이들 분체를 도료에 혼합하여 도장한 도막에서 상당한 음이온이 발생되는 것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즉, 토르말린 2중량부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 1중량부의 미분체를 일반 도료에 0.1~50중량% 첨가하여 A3 사이즈의 종이에 도포한 경우의 음이온 발생량은 100~10,000개/(1cc 공기)인 것이 기술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의 한 사람인 이병수는 도막 중의 중성의 무기질이 70~90 중량%인 무기질계, 이액형, 상온경화형, 고내후성, 고경도, 내스크레치성,내약품성, 고내마모성, 내열성, 고내화염성의 도료조성물의 일본특허를 도료조성물의 명칭으로 2003년 4월 9일에 출원하였다. 이 출원번호는 특원2003-136571호이다.
일반 도료에 토르말린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의 혼합 분체를 혼합하여 피도물에 도포하여 경화막을 만들어 이것을 옥내, 실내에서 음이온의 발생원으로 사용하려면, 고가인 토르말린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의 혼합 분체량을 어떻게 적게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경제성이 관건이다.
일반 삼림지대의 시원한 공기로 여겨지는 음이온의 양은 약 4,000개/(1cc 공기)정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은 실내의 먼지, 분진, 대기오염 물질, 담배연기 등 플러스 대전의 물질에 의해 중화되므로, 도시의 집 한가운데서 음이온을 약 4,000개/(1cc 공기)로 하려면 음이온의 발생원으로서 약 100,000개/(1cc 공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토르말린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의 혼합 분체의 사용량을 가능한 한 적게 사용하는 도료, 도막재가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자는 공동연구 결과 전술한 일본특허 제3306790호에 기재된 음이온 발생 분체를 선행하여 출원한 특허출원 기술의 도료조성물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료에 대하여 이 분체의 사용량을 10중량% 이하의 사용으로 도막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음이온의 발생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전술한 일본특허출원 특원2003-136571호는 바닥재, 주차장, 외벽재, 공장의바닥 등도 용도의 대상이고, 따라서 내수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중하중성 등의 물성도 중시한 배합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도막에 대해서는 주로 옥내나 실내에서 사용되고, 그러한 경우 도막의 갈라짐이나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한 내수성, 내후성 등의 물성을 어느 정도 떨어뜨려도 충분히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주제 및 경화제 중에 포함되는 유기수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 점이 전술한 특허출원의 청구범위와 크게 다른 점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콜로이달 실리카와 콜로이달 알루미나를 특정범위의 비율로 또한 특정의 혼합방법으로 혼합한 혼합액에 안정제, 에폭시수지를 첨가 또는 무첨가, 무기충진제로서 침상결정의 규산알루미늄, 무기안료 및 전술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토르말린과 여기제의 혼합 분체를 배합한 주제액에, 경화제액으로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또는 메틸트리에톡시실란과 수용성 아크릴수지를 사용하여 가교반응을 보강하고, 고무기질 함량으로서 상온에서도 충분한 경화반응이 가능하여 물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토르말린과 여기제의 혼합 분체는 본 발명의 주제액에 경화제를 혼합하기 직전에 투입하여도 좋지만, 고속교반기를 가진 혼합조가 필요하게 되어 여분의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아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형분 10~11중량%, 평균 입경 100×10㎛, pH2.5~4.5의 콜로이달 알루미나 15~25중량부와 고형분 20~21중량%, 평균 입경 10~20㎛, pH2~4의 콜로이달 실리카 30~40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40~50중량부의 비율로 이루어진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에폭시수지 0~20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0중량부, 침상결정 규산알루미늄 분말 30~7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2중량부, 85%인산 1~3중량부, 무기질안료 50~200중량부와 평균 입경이 0.2㎛ 보다 크고 10㎛ 이하인 토르말린 분체 90~50중량%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여기하는 방사선 양이 14Bq/g 이상 40Bq/g 이하인 여기제 분체 10~50중량%로 이루어진 토르말린과 여기제의 혼합 분체를 1~120중량부를 배합한 주제액 58~62중량부에 대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 85~100중량부에 50%의 수용성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유기 용매액 15~0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액 42~38중량부를 혼합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이다.
상기의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의 제조법은 상당히 중요하고 콜로이달 알루미나를 고속 교반하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한 후 고속 교반하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서서히 첨가하여, 그 동안 온도를 5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혼합액은 혼합액의 보존안정성만이 아닌, 이 혼합액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물질을 넣어 본 발명의 주제액을 얻는 방법이 이 주제액의 보존안정성에도 효과를 가져오고, 콜로이달 알루미나, 콜로이달 실리카의 일부 겔화에 의한 증점(增粘)의 문제를 해소한다. 상기의 콜로이달 실리카/콜로이달 알루미나의 비율로 콜로이달 실리카 중량부가 20중량부 이하가 되면 내수성, 내후성 및 경도가 나빠지고, 50중량부 이상에서는 지나치게 단단해져 도막에 균열이 생긴다. 콜로이달 알루미나가 10중량부 이하가 되면 유연성이 저하되고, 30중량부 이상에서는 경화가 불충분하게 된다. 온도는 5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온도를 넘으면 도막의 백화, 균열이 생긴다.
상기 주제액에 에폭시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한다. 이 주제액에 포함되는 실란 커플링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전술한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대해 0~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에폭시수지, 수용성 아크릴수지의 사용을 적게 하는 것이 음이온의 발생량을 많게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수지를 0으로 하는 것이 좋지만 피도물에 따라서는 다소의 사용이 접착성 면에서 필요하다.
85%인산은 본 발명의 주제액의 안정화를 위해 필수 성분이고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대해 1~3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것의 사용과 전술한 이 혼합액의 특정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주제액으로서 상온에서 3개월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실질적인 증점을 막을 수 있다.
중성의 무기충진제인 규산알루미늄은 침상의 결정으로 평균 입경1~2㎛ 이고 산화알루미늄과 산화규소의 50:50의 백색 분말이다. 이것은 고온 안정성이 좋아 열전도성이 적고 상기의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부가배합된다.
중성의 착색용 무기안료로 사용되는 안료로서 산화 크롬 옐로우, 산화 크롬 그린, 베이지색, 이산화티탄 등이 사용 가능하고, 그 사용량은 종류에 따라 변하지만 전술한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200중량부가 배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용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A타입, 지방족계의 에폭시수지로서 솔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가 있다. 그 사용량은 상기의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0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경화액에 함유되는 수용성 아크릴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을 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용매 중에서 랜덤 공중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부틸셀로솔브 용매를 사용하여 합성한 수용성 아크릴수지의 고형분은 40~60중량%, 산가는 40~60mgKOH/g, 아민가는 40~60mgKOH/g, 점도는 500~1,000cps, 분자량은 5,000~20,000의 수용성 아크릴수지로서 얻어지는 것으로 글리시딜기와 반응하거나 촉진하는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가 어느 정도 들어간 수용성 아크릴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제로서 초산, 젖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아크릴수지의 아미노기는 에폭시수지의 상온 경화를 촉진시키면서 수용화에 기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술한 고형분 50%의 수용성 아크릴수지는 전술한 경화제액에 넣어 사용할 경우 메틸트리메톡시실란 85~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를 사용하지만, 1중량부 미만에서는 도막의 내수성이 조금 나빠지게 되나 본 발명의 용도에 사용할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외에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막조성물은 목제문, 목재 또는 석골천장재 등에 도포하여 상온 경화시키고, 또는 공장 내에서 그렇게 도포, 경화시킨 것을 음이온의 발생원으로 할 수 있다.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도막의 피도재로서는 아크릴판 같은 플라스틱에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을 도포·경화시킨 경우는 아크릴판이 플러스 대전하기 쉬운지는 알 수 없지만 음이온의 발생이 억제된다. 철 등의 금속에서는 플라스틱 정도는 아니지만 역시 음이온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나무도 슬레이트 판과 비교하면 약간의 음이온의 발생이 억제되나 금속류에 비하여 경량이라는 것과 싼 가격이라는 이유로 슬레이트 판, 석고보드 등의 무기재료에 버금가는 적합한 재료로 생각된다.
토르말린에 혼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여기제에 대하여 전술한 일본특허 제3306790호에서 인용되고 있는 것을 예시하면, 방사선을 방출하는 천연광석으로서 디비드광, 프란넬광, 센우란광, 닌교우석, 닌카이우란석, 카루노석, 챠문석, 메타챠문석, 프란세빌석, 톨석, 코힌석, 사마루스키석, 토리움석, 토로곰석, 모즈나석 등이 있다.
이러한 미분말, 미분말의 혼합미분말, 또는 이들을 일부 포함하는 광석의 미분말을 실리카 등에 혼합하여 소결 후 다시 미분말로 만든 것이 방사선을 방출하는 분체로서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교반기가 달린 플라스크에 전술한 콜로이달 알루미나액 200g을 넣고 고속 교반하에 450g의 이온교환수를 천천히 투입한 후, 약 2시간동안 교반하고 그 후 전술한 콜로이달 실리카액 350g을 서서히 가하여 약 1시간동안 교반 후 200 메시 망으로 여과하였다. 그 동안에 온도가 50℃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합액의 점도는 15cps이고, 3개월 경과 후의 점도는 17cps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주제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즉, 실시예 1의 혼합액 490g을 혼합기에 넣고 900rpm으로 교반하면서 85%인산 2g, 10%의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크실렌 용액 2g을 투입하여 10분 교반 후, 규산알루미늄 분말 45g, 무기안료인 산화크롬 그린 160g, 평균 입경 0.68㎛의 토르말린 80중량%와 40Bq/g의 여기제 20중량%로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분체 60g을 넣어 90분간 1,9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안료의 입자가 40㎛이하가 되도록 관리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의 혼합액 200g을 투입하여 30분간 1,2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본 발명의 주제액 600g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0g의 경화제를 500~600rpm으로 5분간 혼합한 후 혼합물의 온도가 상온이 됐을 때, 로울러로 A3 용지 크기의 슬레이트 판에 1회 도장하였다. 이 때의 도막 두께는 약 40~50㎛였다. 1~2시간 후에 지촉건조가 되었을 때 2회째 도장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회째의 도막 두께도 약 40~50㎛였다. 5~8시간 후에는 충분히 단단하게 경화되었다. 이 경우 토르말린과 여기제 분체의 합계량은 주제액과 경화액의 합계량에 대하여 3.8중량%이다. 도포, 경화 후 3일 후에 음이온 발생량의 측정을 하여 9,900개/(1cc 공기)를 얻었다.
이 수치는 측정 챔버 내에 설치한 센서에 60리터/분의 속도로 공기를 흘려 백그라운드의 음이온을 측정한 후 A3 크기의 시험편에 도포·경화한 샘플을 측정 챔버에 넣어 약 3~5분간에 걸쳐 1초 주기로 공기의 샘플링 및 측정을 하여 평균 음이온 양에서 백그라운드 양을 뺀 수치를 음이온 발생량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단, 슬레이트 판 대신에 A3 크기의 베니어판에 도포, 경화한 것으로 음이온의 발생량은 5,750개/(1cc 공기)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단, 슬레이트 판 대신에 A3 크기의 목판에 도판, 경화한 것으로 음이온의 발생량은 7,060개(1cc 공기)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단, 슬레이트 판 대신에 A3 크기의 철판에 도포, 경화한 것으로 음이온의 발생량은 4,580개(1cc 공기)였다.
[실시예 7]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단, 평균 입경 0.68㎛의 토르말린 80중량%와 40Bq/g의 여기제 20중량%로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분체 60g 대신에, 평균 입경 0.68㎛의 토르말린 50중량%와 40Bq/g의 여기제 50중량%로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분체 60g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주제액을 만들었다. 이 주제액 600g을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A3 크기의 슬레이트판 자료 샘플을 작성하여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이것의 음이온 발생량은 15,720개/(1cc 공기)였다.
[비교예 1]
평균 입경 0.68㎛의 토르말린 80중량%와 40Bq/g의 여기제 20중량%로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분체 4g을 시판되는 아크릴도료(니뻬홈프로덕사 제품, 웃디칼라콜렉션 R114AS-1)100g에 혼합하여 A3 크기의 슬레이트판에 도포·경화시켰다.
이것의 음이온 발생량은 1,790개/(1cc 공기)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 콜로이달 알루미나 150g, 콜로이달 실리카 400g, 이온교환수 450g을 이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액 690g을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주제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주제액 600g과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0g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A3 크기의 슬레이트판에 도막을 만들었다. 이것의 음이온 발생량은 10,030개/(1cc 공기)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 콜로이달 알루미나 250g, 콜로이달 실리카 300g, 이온교환수 450g을 이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액 690g을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주제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주제액 600g과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0g을 혼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A3 크기의 슬레이트판에 도막을 만들었다. 이것의 음이온 발생량은 9,600개/(1cc 공기)였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주제액의 일례로서 이하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액 490g을 혼합기에 넣어 900rpm으로 교반하면서 85%인산 2g, 10%의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크실렌 용액 2g을 투입하여 10분 교반한 후, 규산알루미늄 분말 45g, 무기안료인 산화크롬 그린 160g, 평균 입경 0.68㎛의 토르말린 80중량%와 40Bq/g의 여기제 20중량%로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분체 60g을 넣어 90분간 1,9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안료의 입자가 40㎛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였다. 그 후 이온교환수 15g에 솔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15g을 용해한 것을 투입하여 5분간 교반한 후, 실시예 1의 혼합액 200g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g을 투입하여 30분간 1,200rpm으로 교반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1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아크릴수지의 합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2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부틸셀로솔브 300g을 넣고, 반응용기에 질소가스를 충진 후 교반하면서 120℃로 승온하엿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10g, 스틸렌 12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20g,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5g,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75g, 아크릴산 35g의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3g을 완전히 용해한 후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부틸셀로솔브 190g에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g을 용해한 것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한 후, 2시간 반응하여 중합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수용성 아크릴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10,000, 고형분은 50%, 산가는 45mgKOH/g, 아민가는 50mgKOH/g, 점도는 550cps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의 주제액 600g과 경화제로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60g에 실시예 11의 수용성 아크릴수지 40g을 가하여 혼합한 것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A3 크기의 슬레이트판에 이것을 도포, 경화시켰다. 이 시험편의 음이온 발생량은 8,930개/(1cc 공기)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기질계의 상온경화성으로 고내후성, 고경도, 고내마모성, 고내열성 등의 고성능을 가진 도막이 얻어지는 도료조성물의 주제 중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토르말린과 여기제의 혼합 분체를 넣어 이것을 본발명에서의 경화제에 의해 도막으로 경화한 것은 일반 도료에 비해 월등히 많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시판의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비교에1을 비교해 보면 전자의 음이온의 발생량 9,900개/(1cc 공기)에 대하여 후자는 1,790개로 본 발명의 도막제 쪽이 약 5.5배 많은 음이온을 발생하고 있다. 같은 양, 같은 질의 토르말린과 여기제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차이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유기도료, 아크릴판 등이 음이온 발생을 억제하거나 또는 흡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무기질계의 도막재는 중성의 무기재료가 80중량% 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또한 이 중성의 무기재료의 다수가 마이크론 단위의 미립자이고 음이온 발생의 분체를 상당히 양호하게 분산시키는 점과, 또 무기질 재료 자신은 경화된 무기물질을 포함하고 음이온을 그다지 많이는 흡수하지 않는 것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도막조성물 중에 수지를 넣지 않거나, 상당히 적은 수지를 넣은 쪽이 여러 재료에 잘 접착하므로 옥내, 실내의 음이온 발생원을 싼 가격에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토르말린과 여기제의 사용량, 이들 중량비를 바꾸는 것에 의해 음이온의 발생량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그래서 옥내, 실내의 공기를 적당히 순환하는 것에 의해 인체에 좋은 음이온을 특별한 장치를 통하여 반영구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Claims (2)

  1. 고형분 10~11중량%, 평균 입경 100×10㎛, pH2.5~4.5의 콜로이달 알루미나 15~25중량부와 고형분 20~21중량%, 평균 입경 10~20㎛, pH 2~4의 콜로이달 실리카 30~40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40~5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액 650~800중량부에,
    에폭시수지 0~20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0중량부, 침상결정 규산알루미늄 분말 30~70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2중량부, 85%인산 1~3중량부, 무기질안료 50~200중량부, 평균 입경이 0.2㎛ 보다 크고 10㎛ 이하인 토르말린 분체 90~50중량%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여기되는 방사선 양이 14Bq/g 이상 40Bq/g 이하의 여기제 분체 10~50중량%로 이루어진 토르말린과 여기제의 혼합 분체 1~120중량부를 배합한 주제액 58~62중량부에 대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 85~100중량부에 50중량%의 수용성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유기 용매액 15~0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액 42~38중량부를 혼합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달 알루미나/콜로이달 실리카/이온교환수 혼합물은, 상기 콜로이달 알루미나액을 고속 교반하면서 이온교환수로 희석하고, 여기에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를 고속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50℃ 이하로 유지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조성물.
KR1020040044691A 2003-06-17 2004-06-16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 KR100575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9478A JP2005008838A (ja) 2003-06-17 2003-06-17 マイナスイオン発生用塗膜組成物
JPJP-P-2003-00199478 2003-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083A true KR20040111083A (ko) 2004-12-31
KR100575268B1 KR100575268B1 (ko) 2006-04-28

Family

ID=3410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691A KR100575268B1 (ko) 2003-06-17 2004-06-16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08838A (ko)
KR (1) KR1005752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24B1 (ko) 2008-01-07 2009-03-12 주식회사 미지나노텍 음이온 투명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48785B1 (ko) * 2009-08-04 2010-03-24 김영동 자전거 도로용 수용성 황토 에폭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256125B1 (ko) * 2012-10-18 2013-04-23 전영환 발열체의 도료조성물
CN116751500A (zh) * 2022-12-26 2023-09-15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氧离子环氧卷材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75B1 (ko) 2005-01-14 2006-11-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내화학성과 전도성이 우수한 고내식성 크롬프리내지문수지코팅 용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크롬프리전기아연도금 강판 제조방법
KR100963224B1 (ko) * 2009-02-03 2010-06-10 (주) 더몰론코리아 물 또는 공기 중에서 겸용 사용이 가능한 세라믹 코팅 히터
CN104927589B (zh) * 2015-06-12 2017-06-13 浙江大学 一种有机硅耐磨加硬涂层及其制备方法
CN107141912A (zh) * 2017-04-07 2017-09-08 河北晨阳工贸集团有限公司 水性快干防腐储存稳定的银粉浸漆及其制备方法
JP7398695B2 (ja) * 2019-07-16 2023-12-15 株式会社Apロウマテリアルズ 粉体組成物、樹脂組成物、繊維製品、積層体、紙組成物、塗料組成物、熟成装置、化粧品組成物及び飲料組成物
CN110305582B (zh) * 2019-07-24 2021-04-09 浙江德创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挡板门及其制造方法
CN117904863A (zh) * 2024-01-03 2024-04-19 绍兴烯威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负离子复合材料助剂的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24B1 (ko) 2008-01-07 2009-03-12 주식회사 미지나노텍 음이온 투명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48785B1 (ko) * 2009-08-04 2010-03-24 김영동 자전거 도로용 수용성 황토 에폭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256125B1 (ko) * 2012-10-18 2013-04-23 전영환 발열체의 도료조성물
CN116751500A (zh) * 2022-12-26 2023-09-15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氧离子环氧卷材及其制备方法
CN116751500B (zh) * 2022-12-26 2024-02-20 浙江港流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氧离子环氧卷材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268B1 (ko) 2006-04-28
JP2005008838A (ja)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9260C2 (ru) Эпоксидные полисилоксановые составы для покрытий и шпатлевки
KR100575268B1 (ko) 음이온 발생용 도막조성물
JP4336767B2 (ja) エラストマー変性エポキシシロキサン組成物
KR20090057133A (ko) 저온 습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 및 이와 관련된 방법
KR20100046834A (ko) 기능성 친환경 건축용 퍼티
KR101123151B1 (ko) 차열 도료 조성물
CN111057425B (zh) 一种除甲醛水性涂料
CN103333590A (zh) 一种固化速度快的耐热绝缘涂料
KR101967268B1 (ko) 바닥재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4067B1 (ko) 목질 바닥재 부착용 친환경 물유리계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4028A (ko) 건축 마감재 부착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2000517B1 (de) Mehrfarbkomponenten-Klebersystem
JP7354789B2 (ja) 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樹脂モルタル
CN114729224A (zh) 用于化学固定技术的迈克尔加成硬化混合体系
US20070202339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Epoxy-Polysiloxane Coating Composition
JP2000129097A (ja) エポキシ樹脂用の熱及び紫外線開始型潜在性硬化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硬化物
KR101578636B1 (ko) 수성 세라믹 방수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00819B1 (ko) 물유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7967B1 (ko) 물유리계 유무기 하이브리드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5037025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ポリシロキサン塗料組成物
KR10179625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 방지 공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를 방지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
JP6007276B1 (ja) 放射線遮蔽材
JP2018123251A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
JP2006052297A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JP2004307790A (ja) 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