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812A - 광디스크 및 그것을 재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및 그것을 재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812A
KR20040108812A KR10-2004-7018350A KR20047018350A KR20040108812A KR 20040108812 A KR20040108812 A KR 20040108812A KR 20047018350 A KR20047018350 A KR 20047018350A KR 20040108812 A KR20040108812 A KR 20040108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reas
pits
head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573B1 (ko
Inventor
야마나카유타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더 정보 판독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광디스크는 기록트랙을 구비한다.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영역,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을 식별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의 반사율보다 작은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동적 범위) 이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및 그것을 재생하는 방법{OPTICAL DISC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 SAME}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 및 그것을 판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가능 또는 기입가능 광기록 매체 및 그것의 판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기록가능 또는 기입가능 광디스크들은 현재 널리 보급되었다. CD-R (Compact Disc Recordable) 및 CD-RW (Compact Disc Rewritable) 는 전형적인 기록가능 또는 기입가능 광디스크들이다. 최근, CD-R 및 CD-RW보다 더 큰 기록 용량을 갖는 DVD-R (Digital Versatile Disk) 및 DVD-RW (DVD Rewritable) 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하다.
기록가능 광디스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은 종종 상변화 기록에 의해 수행된다. 상변화 기록은,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상변화 기록재료로 형성된 기록층을 부분적으로 변질시켜, 이로써 기록피트들을 그위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은 그 조사된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 온도의 상승은 그 조사된 부분을 변질시켜 그 조사된 부분의 반사율을 변화시킨다. 반사율이 변화된 그 조사된 부분은 기록피트들로서 이용된다. 그 조사된 부분의 반사율은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
기록피트들의 반사율을 저하시키도록 설계된 상변화 기록은 기록가능 광디스크와 판독전용의 광디스크 (즉, CD-ROM) 사이의 호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CD-ROM은, 엠보싱에 의해 반사율이 저하된 프리-피트들을 이용함으로써 그 위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설계된다. 저하된 반사율을 갖는 기록가능 광디스크 상의 기록피트들은 CD-ROM 상의 프리-피트 (pre-pit) 들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기록가능 광디스크들은 판독전용의 광디스크 (즉, CD-ROM) 와의 호환성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기록피트들의 반사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상변화 기록은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의 S/N 비를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대부분의 기록가능 광디스크에서,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크기는 스페이스 (즉,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 의 크기보다 크다. 스페이스 내에서 저하된 반사율을 갖고 기록피트들 내에서 증가된 반사율을 갖는 광디스크들은 반사된 광빔들의 레벨 평균을 감소시켜 S/N 비를 효과적으로 향상한다. S/N 비의 향상은 상업적으로 바람직한데, S/N 비의 향상이 기록밀도의 향상, 즉, 단일 광디스크에 기록가능한 데이터량의 증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도 1은 기록피트들의 반사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상변화 기록을 위한 광디스크 (101) 의 평면도이다. 나선형 기록트랙 (104) 이 광디스크 (101) 상에 형성된다. 기록트랙 (104) 은 각각 소정의 섹터 길이를 갖는 섹터들로 분할된다. 각 섹터는, 섹터 어드레스를 그 선두에 포함하는 헤더 정보 (또는 포맷 정보) 를 포함한다. 헤더정보가 기록되는 부분은 헤더 영역 (105) 이라 지칭한다. 유저 데이터는 섹터들의 나머지의 부분에 기록된다. 유저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들은 데이터 기록영역 (106) 이라 지칭한다.
도 2는 광디스크 (101) 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광디스크 (101) 는 투명기판 (l03), 그 투명기판 (103) 을 피복하는 기록층 (102) 을 포함한다. 기록층 (102) 은, 아몰퍼스상의 반사율에 비하여 저하된 결정상의 반사율을 갖는 상변화 기록재료로 형성된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106) 에는, 기록층 (102) 내의 유저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록피트들 (111) 이 제공된다. 데이터 재생에 사용되는 광빔은 투명기판 (103) 을 투과하여 기록층 (102) 에 도달하며, 그 기록층 (102) 에 의해 반사된다. 도 2의 실선은 기록피트 (111) 에 의한 광빔의 반사를 나타내며, 파선은 기록층 (102) 의 스페이스 (112) 에 의한 광빔의 반사를 나타낸다.
기록피트 (111) 는 기록층 (102) 내의 아몰퍼스상을 나타내는 부분이고, 스페이스 (112) 는 결정상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조는 기록 피트 (111) 에서의 반사율을 스페이스 (112) 에서의 반사율보다 높게 만든다.
이러한 기록층 (102) 의 설계는 S/N 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기록층 (102) 의 결정 부분은, 기록층 (102) 의 결정 부분이 미세 결정의 그룹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미세한 비균질성을 나타낸다. 반사율의 미세한 차이는 노이즈를 야기시킨다. 한편, 아몰퍼스 부분은 감소된 노이즈를 나타낸다. 아몰퍼스 부분의 반사율이 높고 결정 부분의 반사율이 낮은 구성은, 큰 노이즈를야기시키는 부분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레벨을 저감하여, 이로써 S/N 비를 향상한다.
헤더 영역들 (105) 에는, 헤더정보에 대응하는 프리-피트들이 제공된다. 엠보싱된 패턴들이 프리-피트들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 엠보싱된 패턴들은 프리-피트들의 반사율을 헤더 영역들 (105) 의 나머지 부분들의 반사율 아래로 저감시킨다.
이러한 상변화 기록의 하나의 과제는 헤더정보의 판독에 있어서의 신뢰성이다. 기록피트들의 반사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상변화 기록을 위한 광디스크 (101) 는, 기록층 (102) 의 결정의 부분 (즉, 반사율이 낮은 부분) 에 형성되는 헤더 영역 (105) 을 갖는다. 헤더 영역 (105) 의 반사율의 저감은 헤더 영역 (105) 에 형성된 프리-피트들의 반사율을 더욱 저감시킨다. 이것은, 헤더 영역 (105) 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을 감소시켜, 헤더정보의 판독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3은 헤더 영역 (105) 및 데이터 기록영역 (106) 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들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들의 아이-패턴의 예이다. 이 재생신호는 광신호들을 전기신호들로 변환하고, 그 전기신호들의 직류성분들을 제거하고, 교류성분만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아이-패턴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헤더 영역 (105) 으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의 레벨의 진폭은 데이터 기록영역 (106) 으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의 레벨의 진폭보다 작다. 이것은, 헤더 영역 (105) 에 기입되어 있는 헤더정보의 판독에 있어 신뢰성을 열화시킨다.
헤더정보 (또는 포맷정보) 는 프리-피트들 대신에, 트래킹용 워블 그루브에기록될 수 있다. 헤더정보를 워블 그루브에 기록하는 것은 헤더정보에 응답하여 워블 그루브의 워블 패턴을 변조함으로써 성취된다. 이런 방법은 워블 변조라고 지칭되며, CD-R에 적용된다. 그러나, 워블 변조는, 워블 패턴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본래 감소된 S/N 비를 나타낸다. 또한, 기록피트들의 반사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상변화 기록에서는, 워블 그루브가 결정 부분 (즉, 반사율이 작은 부분) 에 형성되기 때문에, S/N 비의 감소가 현저하다.
헤더정보의 판독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하는 기술은 일본 공개 특허출원 (2000-311343A호) 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은, 데이터 영역 (즉, 데이터 기록영역) 의 재생에 사용되는 광빔의 레벨보다 어드레스 영역 (즉, 헤더 영역) 의 재생에 사용되는 광빔의 레벨을 강하게 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함으로써, 어드레스신호 (즉, 헤더정보) 의 재생 진폭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또한, 프리-피트 부분들의 변조도를 개선하는 기술이 일본 공개 특허출원 (2000-339690A호) 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은, 광디스크의 제조공정동안 기록층내의 프리-피트부분들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프리-피트부분들이 기록상태로 변경되도록 함에 따라 변조도를 개선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헤더정보의 판독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개선된 광디스크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헤더정보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서, 광디스크는 기록트랙을 구비한다. 그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및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을 식별하는 헤더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의 반사율보다 큰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동적 범위) 이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기록층의 반사율이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내의 상기 기록피트들,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 내의 상기 스페이스, 상기 헤더 영역들내의 상기 프리-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헤더 영역들내의 스페이스의 반사율은, 동일한 강도를 갖는 광빔들이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과 상기 헤더 영역들에 조사되는 경우에, 상기 헤더 영역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 레벨의 진폭이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이상으로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프리-피트들이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이 내부에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프리그루브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프리-피트들의 깊이는 상기 프리그루브의 깊이보다 깊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리-피트들의 깊이가 상기 프리그루브의 깊이보다 2배 깊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록피트들 및 프리-피트들은, 프리-피트들로서 기록된 헤더정보의 검출 동안 에러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광디스크는 기록트랙을 구비하며,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및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을 식별하는 헤더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의 반사율보다 큰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의 신호 변조도가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신호 변조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더 영역들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신호 변조도는, 광신호들이 최고 반복 속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영역들로부터 얻어진 광신호들의 레벨들의 진폭들을, 그 광신호들이 최저 반복 속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대한 광신호들의 레벨들의 진폭들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헤더 영역들의 신호 변조도를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신호 변조도보다 증가시키는 것은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S/N 비를 전체적으로 향상하여, 따라서, 헤더정보의 검출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한다.
상기 헤더 영역들의 신호 변조도를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신호 변조도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헤더 영역들의 선기록밀도 (linear recording density) 를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선기록밀도 아래로 감소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상기 헤더 영역들의 선기록밀도가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선기록밀도보다도 크게 구성된 경우,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가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의 n배 (n은 2이상의 정수) 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더 영역들의 선기록밀도가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의 선기록밀도보다도 큰 것은 채널클럭의 주기의 차이로 귀착한다. 채널 클럭들의 다른 주기를 나타내는 영역들로부터 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는 것은, 클럭들의 동기에 시간을 필요로 하며, 이것은 그 영역들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할 수 없는 기간을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를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의 n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채널클럭의 동기를 쉽게 한다.
내부에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워블 그루브가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프리-피트들 및 상기 워블 그루브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가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의 n배 (n은 2이상의 정수) 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광디스크는 기록트랙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및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을 식별하는 헤더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의 반사율보다 큰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프리-피트들중 상기 헤더 영역들의 선두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 프리-피트는 상기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규격에 의해 결정되는 최장 피트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긴 프리-피트는 헤더 영역들을 명확히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헤더 영역들은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 (內周) 영역에 배치된 상기 기록트랙의 선두 부분에 집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판독방법은, 전술한 광디스크를 갖는 신호 재생회로를 구비한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헤더 영역들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헤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을,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에 사용되는 특성과 다르게 구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 광디스크 판독방법은 헤더 영역들을 위해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들의 최적화 및 광디스크의 구조의 최적화의 조합은 헤더정보의 검출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광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디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광디스크의 헤더 영역들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들의 각각의 아이-패턴 (eye-pattern) 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기록트랙의 확대도, 및 그 기록트랙으로부터 얻어진 광신호의 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기록트랙으로부터 얻어진 재생 신호의 아이-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기록트랙으로부터 얻어진 재생 신호의 아이-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기록트랙의 확대도, 및 그 기록트랙으로부터 얻어진 광신호의 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광디스크 (1) 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기록트랙 (4) 을 구비한다. 그 기록트랙 (4) 은 소정의 섹터길이를 갖는 섹터들로 분할된다. 섹터들의 각각은 헤더 영역 (5) 과 데이터 기록영역 (6) 을 포함한다. 헤더 영역들 (5) 은 섹터들의 선두에 위치되며,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은 그 헤더 영역들 (5) 의 둘레에 인접하여 있다. 섹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헤더정보는 헤더 영역들 (5) 에 기록되며, 유저 데이터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에 기록된다.
도 5는 광디스크 (1) 의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광디스크 (l) 는 투명기판 (3), 및 그 투명기판 (3) 을 피복하는 기록층 (2) 을 포함한다. 투명기판 (3) 은 전형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고분자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기록층 (2) 은 결정상의 반사율보다 아몰퍼스상에서 더 높은 반사율을 갖는 상변화 기록재료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기록층 (2) 은, 투명기판 (3)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 1 ZnS-SiO2막, Ge2Sb2Te5막, 제 2 ZnS-SiO2막, 및 Al-Ti 막을 포함한다. 제 1 ZnS-SiO2막, Ge2Sb2Te5막, 제 2 ZnS-SiO2막, 및 Al-Ti 막의 막두께는 각각 125 nm, 13 nm, 5O nm, 및 200 nm 이다. 충분히 두꺼운 제 1 ZnS-SiO2막을 투명기판 (3) 위에 형성하는 것은 아몰퍼스상의 반사율을 결정상의 반사율보다 높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기록트랙 (4) 의 확대도이다. 트래킹용 프리그루브 (10) 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에 형성된다. 유저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피트들 (1l) 은 프리그루브 (10) 의 내부에 형성된다.
기록피트들 (11) 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부분들에는 기록층 (2) 이 아몰퍼스로 되고, 반면 나머지 부분에는 기록층 (2) 이 결정으로 된다. 기록층 (2) 의 아몰퍼스의 부분의 높은 반사율에 기인하여, 기록피트들 (11) 에서의 반사율은 높다. 한편, 스페이스라 지칭되는 기록피트들 (11) 이외의 부분 (스페이스) 은 데이터 기록 영역들 (6) 내의 결정이고, 이것은 데이터 기록영역 (6) 의 스페이스에서의 반사율을 저하시킨다. 프리그루브 (10) 의 형성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에서의 반사율을 기록층 (2) 의 결정상의 인트린식 반사율 아래로 저하시킨다. 도 6에서, 데이터 기록영역 (6) 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은 화살표 (13) 로 표시되었다.
프리-피트들 (12) 은 헤더 영역들 (5) 내에 형성된다. 기록층 (2) 에서, 헤더 영역들 (5) 의 스페이스들 (즉, 프리-피트들 (1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은 결정상이다. 따라서, 헤더 영역들 (5) 의 스페이스들은 기록층 (2) 의 결정상의 인트린식 반사율을 갖는다. 한편, 엠보싱된 패턴들이 프리-피트들 (12) 의 내부에 형성된다. 엠보싱된 패턴들은 간섭에 의해 프리-피트들 (12) 의 반사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프리-피트들 (12) 은 헤더 영역들 (5) 의 스페이스보다도 낮은 반사율을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에 형성된 기록피트들 (11) 은 가장 높은 반사율을 갖고, 헤더 영역들 (5) 의 스페이스들은 2번째로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은 3번째로 높은 반사율을 갖고, 헤더 영역들 (5) 내에 형성된 프리-피트들 (12) 은 가장 낮은 반사율을 갖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에 형성된 기록피트들 (11)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이 가장 높고, 헤더 영역들 (5) 의 스페이스들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이 2번째로 높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은 3번째로 높고, 헤더 영역들 (5) 내에 형성된 프리-피트들 (12)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이 가장 낮다.
기록피트들 (11) 및 프리-피트들 (12) 은, 동일 레벨의 광빔들이 헤더 영역들 (5) 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에 조사된 경우에, 헤더 영역들 (5) 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즉, 헤더 영역들 (5) 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동적 범위) 이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즉, 데이터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동적 범위) 이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의 진폭을 충분히 크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들의 아이-패턴의 예이다. 이 재생신호는,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들을 전기신호들로 변환하고, 그 전기신호들의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교류성분들만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들 아이-패턴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의 진폭은 충분히 증가되었다.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의 충분히 큰 진폭은 헤더 영역들 (5) 내에 기록되어 있는 헤더정보의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한다.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들의 진폭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기록피트들 (11), 프리-피트들 (l2), 및 스페이스들의 반사율들은 헤더 영역들 (5) 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에서 적당히 조절된다.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은 헤더 영역들 (5) 내의 프리-피트들 (12) 과 스페이스의 반사율들에 의존하며,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의 기록피트 (11) 와 스페이스의 반사율들에 의존한다. 따라서, 기록피트들 (11), 프리-피트들 (12), 및 헤더 영역들 (5) 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의 반사율들을 조절하는 것은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의 기록피트들 (11) 과 스페이스들 사이의 반사율들간의 큰 차이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상에 유저데이터를 기록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충분히 증가시키기 위해서,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의 반사율을 과도하게 감소시키지 않은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의 반사율이 과도하게 낮으면,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이 작아진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의 반사율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에 기초하여 적절히 선택될 필요가 있다. 만일, 통상적인 상변화 재료가 기록층 (2) 을 위해 사용되면,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의 스페이스들의 반사율은 5-l5 % 사이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헤더 영역들 (5) 의 프리-피트들 (12) 의 깊이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프리그루브 (10) 의 깊이보다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이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프리그루브 (10) 는, 트래킹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푸시-풀 신호가 최대가 되는 파장의 약 1/8의 깊이로 형성된다. 신호 진폭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프리-피트들 (12) 은 가능한 그 파장의 약 1/4의 깊이에 가까운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프리-피트들 (12) 의 깊이의 최적화는 프리-피트들 (12) 의 반사율을 실질적으로 0에 근접하도록 하며, 이로써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의 최대화를가능하게 한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 기록피트들 (11) 및 프리-피트들 (12) 은, 헤더 영역들 (5) 의 신호 변조도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신호 변조도보다 크게 형성되며, 일정 영역의 신호 변조도는, 규격에 의해 결정된 최단의 피트 길이와 최단의 스페이스 길이를 각각 갖는 피트들 및 스페이스가 특정 영역에 교대로 배치된 경우에 그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그 규격에 의해 결정된 최장의 피트 길이와 최장의 스페이스 길이를 각각 갖는 피트들 및 스페이스가 그 영역에 교대로 배치된 경우에 그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값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광디스크들에 기록될 때에는, 피트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는 특정 범위로 제한된다. 예를들어, DVD에 적용되는 8/16 코드에 대하여, 최단 피트 길이는 3T로 규정되고, 최장 피트 길이는 11T로 규정되며, 여기서 T는 채널클럭의 주기에 대응하는 피트 길이이다. 피트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에 대한 제한은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재생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최단 피트 길이를 갖는 피트들과 최단 스페이스 길이를 갖는 스페이스들을 교대로 특정 영역에 배치하는 것은 최고반복 속도를 갖는 광신호가 그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최장 피트 길이를 갖는 피트들과 최장 스페이스 길이를 갖는 스페이스들을 특정 영역에 교대로 배치하는 것은 최저반복 속도를 갖는 광신호가 그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고반복 속도를 광신호에 제공하기 위한 피트들 및 스페이스들의 배치는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최소화하고, 최저반복 속도를 광신호에 제공하기 위한 피트들 및 스페이스들의 배치는 반사된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을 최대화한다. 도 8은, 다양한 피트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를 갖는 피트들 및 스페이스들이 배치된 영역들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들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들의 아이-패턴이다. 변수 a로 표시된 재생신호의 최소 진폭 및 변수 b로 표시된 최대 진폭 사이의 비 a/b는 그 영역의 신호 변조도에 대응한다. 신호 변조도의 증가는 재생신호의 S/N 비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높은 신뢰도를 갖는 데이터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신호 변조도들은 기록피트들 (11) 과 프리-피트들 (12) 의 폭 및 길이에 의해서 조절가능하다. 또한, 짧은 피트 길이를 갖는 기록피트들 (11) 및 프리-피트들 (12) 의 폭과 긴 피트 길이를 갖는 기록피트들 (11) 및 프리-피트들 (12) 의 폭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헤더 영역들 (5) 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신호 변조도가 조절 가능하다.
헤더 영역들 (5) 의 신호 변조도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신호 변조도보다도 크게 설계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가 재생되는 경우,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들을 수신하는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이득은,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들의 진폭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된다.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의 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그 이득을 조절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회로에 의해서 쉽게 성취될 수 있다.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얻어진 재생신호들의 진폭이 거의 일정하게 제어되는 조건하에서, 헤더 영역들 (5) 의 신호 변조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헤더 영역들 (5) 에 기록되어 있는 헤더정보의 판독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헤더 영역들 (5) 의 신호 변조도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신호 변조도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헤더 영역들 (5) 의 선기록밀도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선기록밀도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헤더 영역들 (5) 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에 동일한 코딩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에, 선기록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신호 변조도가 증가된다. 헤더 영역들 (5) 의 선기록밀도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선기록밀도 아래로 감소시키는 것은 바람직한데, 헤더 영역들 (5) 의 신호 변조도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신호 변조도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채널클럭이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재생되는 경우, 헤더 영역들 (5) 의 기록 선 밀도 (record line density) 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기록 선 밀도가 상이하다는 사실은, 이들 영역들 사이에서 채널클럭들의 주기가 다르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채널클럭의 주기가 헤더 영역들 (5) 의 채널클럭의 주기와 상이한 경우에, 데이터가 재생되는 영역이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 전환되는 때에,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시간이 관측될 수 있다. 유사하게, 헤더 영역들 (5) 의 채널클럭의 주기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채널클럭의 주기와 상이한 경우에, 데이터가 재생되는 영역이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헤더 영역들 (5) 로 전환되는 때에,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시간이 관측될 수 있다. 이것은, 채널클럭 주기의 차이가 클럭들의 동기를 확립하는 데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클럭의 비동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의 정수배만큼 길게 설정된다. 즉,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는 nT로 설정되며, 여기서 T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이며, n은 2이상의 정수이다. 채널클럭들의 주기들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는 2T로 설정된다.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 주기의 정수배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재생이 비동기 없이 성취된다.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는, 각각, 헤더 영역들 (5) 의 프리-피트들 (12) 의 배치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기록피트 (11) 의 배치에 기초하여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워블 그루브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프리그루브 (10) 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그 워블 그루브의 워블링 주기는,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워블 그루브는 채널클럭의 주기의 정수배에 대응하는 주기로 워블되며, 채널클럭은 워블된워블 그루브로부터 재생된다. 이 경우,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내에 형성되는 프리그루브 (10) 의 워블링 주기를 헤더 영역들 (5) 의 채널클럭의 주기에 대응하 도록 조정하는 것은, 헤더 영역들 (5) 과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양쪽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프리그루브 (10) 로부터 재생된 클럭을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가 헤더 영역들 (5) 을 명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헤더 영역들 (5) 의 선두에 긴 프리-피트들 (인식피트들; 7) 이 형성된다. 인식피트들 (7) 은 엠보싱되고, 따라서 프리-피트들 (11) 의 경우와 같이, 인식피트들 (7) 의 반사율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의 스페이스들의 반사율보다도 낮다.
종래, 소정 길이를 갖는 고반사율의 스페이스들이 광디스크의 헤더 영역들에 형성되고, 디스크 드라이브들은 그 고반사율의 스페이스들을 검출함으로써 헤더 영역들을 검출한다. 그러나, 고반사율의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광디스크들에서, 스페이스들의 반사율이 항상 최고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고반사율의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광디스크에는 적용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헤더 영역들 (5) 의 선두에 긴 인식피트들 (7) 이 형성되어, 이 인식피트들 (7) 이 헤더 영역들 (5) 을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인식피트들 (7) 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코딩하는데사용되는 규격에 의해 결정되는 최장 피트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인식피트들 (7) 이 최장 피트 길이보다 길다는 사실은, 인식피트들 (7) 이 데이터를 나타내는 피트들로부터 구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인식피트들 (7) 을 포함하는 헤더 영역들 (5) 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은, 일정 듀레이션의 기간 (A1) 동안의 재생 신호가 인식피트들 (7) 과 연관되어 감소된 레벨을 갖도록 허락한다. 이는 헤더 영역들 (5) 의 인식을 쉽게 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의 광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호 재생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재생가능하다. 헤더정보의 재생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서, 헤더 영역들 (5) 에 기록되어 있는 헤더정보의 재생에 사용되는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은 데이터 기록영역들 (6) 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에 사용되는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드라이브의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은, 헤더 영역들 (5) 및 데이터 기록영역들 (6) 로부터 얻어지는 재생신호 진폭들간의 차이, 신호 변조도들간의 차이, 및 채널클럭들간의 주기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디스크의 특성의 개선과 동시에 신호 재생회로 특성의 최적화는, 헤더정보의 재생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한다.
이상,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이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변경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들어, 기록트랙은 프리그루브의 내부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트랙은 그루브들, 및 이들 그루브들 사이의 랜드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기록트랙이 그루브와 랜드 모두에 형성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 기록트랙의 헤더 영역들 (5) 내에 형성된 프리-피트들 (12) 은 그루브 기록트랙의 헤더 영역들 (5) 내에 형성된 프리-피트들 (12) 로부터 디스플레이스 (displace) 될 수 있다. 이것은 인접하는 기록트랙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피트들 (7) 은 헤더 영역들 (5) 의 선두에 정렬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피트들 (7) 은 헤더정보를 나타내는 프리-피트들 (12) 의 선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정보를 나타내는 프리-피트들 (12) 은 한 쌍의 랜드 기록트랙 및 그루브 기록트랙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더정보는 랜드 기록트랙과 그루브 기록트랙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프리-피트들 (12) 이 랜드 기록트랙 및 그루브 기록트랙과 오버랩되는 경우, 인식피트들 (7) 도 랜드 기록트랙 및 그루브 기록트랙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인식피트들 (7) 은 각 기록트랙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고, 헤더정보를 나타내는 프리-피트들 (12) 은 랜드 기록트랙 및 그루브 기록트랙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어떤 한 쌍의 랜드 기록트랙 및 그루브 기록트랙의 헤더 영역 (5) 이 다른 한 쌍의 랜드 기록트랙 및 그루브 기록트랙의 헤더 영역 (5) 으로부터 디스플레이스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DVD-R의 경우와 같이, 프리-피트들이 그루브 기록트랙의 옆에 제공된 랜드 내에 이산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프리피트들이 기록트랙의 중심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헤더정보는 반사되는 광신호의 변화 대신에, 푸시-풀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판독될 수 있다. 이 경우,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는 2개의 광검출기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들의 레벨들의 진폭에 관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록 데이터는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에 다중적으로 기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런 구성에 적용된다. 기록피트들이 헤더 영역들 내에 형성되는 경우, 유효한 신호는 기록피트들 사이의 스페이스들로부터 얻어지는 프리-피트 재생신호 등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비록, 전술한 설명은 짧은 헤더 영역들이 기록트랙 내에 주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제하지만, 헤더 영역들은 전체 광디스크 상의 기록트랙의 선두부분인 광디스크의 내주 영역에 집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더 영역들은 내주 영역을 제외한 기록트랙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대신,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짧은 헤더 영역이 주기적으로 남겨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 영역들이 내주 부분에 집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이 부분은 감소된 반사율을 갖는 기록매체로 피복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안정적인 정보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1)

  1. 기록트랙을 구비하는 광디스크로서,
    상기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들;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을 식별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보다 더 큰 반사율을 갖고,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동일한 강도를 갖는 광빔들이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과 상기 헤더 영역들에 조사되는 경우에, 상기 헤더 영역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이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이상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광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 내의 상기 기록피트들,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 내의 상기 스페이스, 상기 헤더 영역들 내의 상기 프리-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헤더 영역들의 스페이스의 반사율들은, 동일한 강도를 갖는 광빔들이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과 상기 헤더 영역들에 조사되는 경우에, 상기 헤더 영역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이 상기 데이터 기록영역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레벨의 진폭 이상으로 되도록 조정되는, 광디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은, 내부에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프리그루브 (pregroove) 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피트들의 깊이는 상기 프리그루브의 깊이보다 깊은, 광디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들의 깊이는 상기 프리그루브의 깊이보다 2배 깊은, 광디스크.
  5. 기록트랙을 구비하는 광디스크로서,
    상기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들;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을 식별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의 반사율보다 큰 반사율을 갖고,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의 신호 변조도가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의 신호 변조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광디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들의 선기록밀도는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의 선기록밀도보다 더 낮은, 광디스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피트들 및 상기 프리-피트들은,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가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보다 n배 만큼 더 길게 형성되며, n은 2이상의 정수인, 광디스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은, 내부에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워블 (wobble)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피트들 및 상기 워블 그루브는, 상기 헤더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가 상기 데이터 영역들로부터 재생되는 채널클럭의 주기보다 n배 만큼 더 길게 형성되며, n은 2이상의 정수인, 광디스크.
  9. 기록트랙을 구비하는 광디스크로서,
    상기 기록트랙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피트들이 형성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들; 및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을 식별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프리-피트들이 형성되는 헤더 영역들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피트들은 상기 기록피트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스의 반사율보다 더 큰 반사율을 갖고,
    상기 프리-피트들 중 상기 헤더 영역들의 선두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 프리-피트는 상기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규격에 의해 결정되는 최장 피트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광디스크.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들은 상기 광디스크의 내주 (內周) 에 배치된 상기 기록트랙의 선두 부분에 집단적으로 형성되는, 광디스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디스크를 갖는 신호 재생회로를 구비하는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헤더 영역들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헤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이 상기 데이터 기록 영역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특성과 상이하도록 상기 신호 재생회로의 특성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판독 방법.
KR1020047018350A 2002-05-13 2003-05-13 광디스크 및 그것을 재생하는 방법 KR100697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6898A JP4273705B2 (ja) 2002-05-13 2002-05-13 光ディスク媒体
JPJP-P-2002-00136898 2002-05-13
PCT/JP2003/005921 WO2003107333A1 (ja) 2002-05-13 2003-05-13 光ディスク及びそれを再生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812A true KR20040108812A (ko) 2004-12-24
KR100697573B1 KR100697573B1 (ko) 2007-03-22

Family

ID=2969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350A KR100697573B1 (ko) 2002-05-13 2003-05-13 광디스크 및 그것을 재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1708B2 (ko)
EP (1) EP1505577A4 (ko)
JP (1) JP4273705B2 (ko)
KR (1) KR100697573B1 (ko)
CN (1) CN1326123C (ko)
WO (1) WO2003107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5228A1 (en) * 2003-12-02 2005-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ent protection on a record carrier
JP2005209322A (ja) 2003-12-26 2005-08-04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JP4102775B2 (ja) 2004-04-23 2008-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KR100717854B1 (ko) * 2005-06-24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장 방식 및 원격장 방식 호환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광 디스크 매질 확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 디스크 장치
WO2009145787A1 (en) * 2008-05-30 2009-1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data recording media
JP2010244672A (ja) * 2009-03-16 2010-10-28 Sony Optiarc Inc ディスク状記録媒体、光スポット位置制御装置、光スポット位置制御方法
US10102875B1 (en) * 2017-07-31 2018-10-1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rvo pattern for precise tracking in optical tapes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026A (ja) 1981-10-26 1983-05-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溝付光デイスク
JPS58102347A (ja) * 1981-12-11 1983-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イスク記録担体
JPS5996546A (ja) 1982-11-25 1984-06-04 Sony Corp 反射型光学記録体
JPH0746429B2 (ja) * 1985-06-21 1995-05-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S6228944A (ja) 1985-07-31 1987-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再生デイスク
JPH01258243A (ja) 1988-04-08 1989-10-16 Fujitsu Ltd 互換型書き換え可能光ディスク
US4940618A (en) * 1988-07-30 1990-07-10 Taiyo Yuden Company,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5274623A (en) * 1990-07-19 1993-12-28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high modulation degree
JP2959588B2 (ja) * 1991-02-14 1999-10-06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及びそのセクタ管理情報の記録方法ならびに再生方法
US5592446A (en) * 1993-06-14 1997-01-07 Sony Corporation Dual mod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wo recording regions using differing reproduction principles
US5548573A (en) * 1993-11-04 1996-08-20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laser power control means for detecting reflected light from data region
US5581539A (en) 1994-08-12 1996-12-0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JP2788022B2 (ja) * 1995-02-14 1998-08-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記録媒体
JPH09274770A (ja) 1996-04-03 1997-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10112166A (ja) 1996-10-04 1998-04-28 Sony Corp 光ディスクのファイナライゼーション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のファイナライゼーション装置
JP2001202621A (ja) 1997-07-15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その記録方法、その記録装置、その再生方法及びその再生装置
EP0903743B1 (en) 1997-09-17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JP3743178B2 (ja) * 1998-10-05 2006-02-08 ヤマハ株式会社 記録可能型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0311343A (ja) 1999-04-28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媒体とそ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
JP3783909B2 (ja) 1999-05-20 2006-06-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カッティング方法
JP2000339690A (ja) 1999-06-02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57029A (ja) 1999-08-19 2001-02-27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記録メディア、並びに記録メディアのためのフォーマット方法
DE60043564D1 (de) 1999-09-10 2010-02-04 Pioneer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formationsaufzeichnung und -wiedergabe
JP2001110055A (ja) 1999-10-05 2001-04-20 Yamaha Corp 記録完結処理済み書換型光ディスクの追記方法および書換型光ディスク記録装置
CN100336113C (zh) 1999-10-20 2007-09-05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只读型的记录载体和读设备
US6804189B2 (en) * 2000-04-07 2004-10-12 Tosoh Corporation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1291245A (ja) 2000-04-10 2001-10-19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媒体
JP2001312879A (ja) 2000-04-28 2001-11-09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2001319370A (ja) * 2000-05-11 2001-11-16 Nec Corp 相変化光ディスク
JP3954280B2 (ja) 2000-05-23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と再生方法と再生装置
JP2002015549A (ja) 2000-06-26 2002-01-18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806839B2 (ja) 2000-07-19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
JP4226204B2 (ja) * 2000-09-14 2009-02-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記録媒体、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2208139A (ja) 2001-01-11 2002-07-26 Ricoh Co Ltd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475604B1 (ko) 2001-03-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전용 광디스크 장치에서의재생방법
US7023775B2 (en) 2001-03-22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to or reproducing data from a write once ty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write once ty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551619B2 (ja) 2001-04-24 2010-09-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情報を記録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716962B1 (ko) 2001-09-29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JP3699926B2 (ja) * 2001-12-03 2005-09-2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
BR0303350A (pt) 2002-03-05 2004-03-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e método para gravar informação em uma trilha de uma portadora de gravação, e, portadora de gravação
JP2003331430A (ja) 2002-05-14 2003-11-21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dvd−r記録装置
US7313066B2 (en) 2003-03-13 2007-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rite once disc allowing management of data area, method of managing the data area,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 once disc
JP2005122774A (ja) 2003-10-14 2005-05-12 Nec Corp 記録型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媒体
JP4237092B2 (ja) 2004-04-23 2009-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573B1 (ko) 2007-03-22
CN1653526A (zh) 2005-08-10
EP1505577A4 (en) 2008-01-09
US20050174916A1 (en) 2005-08-11
JP2003331432A (ja) 2003-11-21
EP1505577A1 (en) 2005-02-09
US7391708B2 (en) 2008-06-24
WO2003107333A1 (ja) 2003-12-24
CN1326123C (zh) 2007-07-11
JP4273705B2 (ja)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918B1 (en) Method of reproducing data with respect to an optical disc, optical disc and appar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an optical disc
JP4226204B2 (ja) 光学式記録媒体、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697573B1 (ko) 광디스크 및 그것을 재생하는 방법
KR100727920B1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KR20010076260A (ko) 기록용 광 디스크 및 그 디스크 상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813992B1 (ko) 광디스크 재생 방법
KR100828373B1 (ko) 광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0850720B1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