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141A - 자동차의 경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141A
KR20040106141A KR1020030037371A KR20030037371A KR20040106141A KR 20040106141 A KR20040106141 A KR 20040106141A KR 1020030037371 A KR1020030037371 A KR 1020030037371A KR 20030037371 A KR20030037371 A KR 20030037371A KR 20040106141 A KR20040106141 A KR 2004010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plate
elastic member
mounting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590B1 (ko
Inventor
송태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808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1061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59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모듈이 장착된 에어백커버에 결합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혼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형성된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대향되도록 상기 혼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접촉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써,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재료의 원가를 줄임으로 써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차의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경음기{Horn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절연체로 구성된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혼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각각 접점을 형성하여, 운전자의 혼커버 작동으로 인해 경보음이 발생되는 자동차의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동차에는 타 차량 또는 보행자 등에게 자차의 근접 또는 긴급상황을 음파로 알리기 위한 혼(Horn)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혼으로는 에어 혼과 전기식 혼이 있는데, 통상 에어 컴프레셔를 갖춘 트럭이나 버스에는 공기식의 에어 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밖의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전기식 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전기식 혼에 관한 국내특허공보(등록번호10-0296525)에 보다 상세히 서술되어 있으며,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관한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soft) PVC 재질로 형성된 혼 커버(horn cover)(10)와, ABS 재질로 형성된 어퍼 혼 플레이트(upper horn plate)(11)와, ABS 재질로 형성된 로어 혼 플레이트(lower horn plate)(12)와, 상기 로어 혼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개의 콘택트 플레이트(contact plate)(13)(14)(15)(16)와, 상기 콘택트 플레이트(15)(16)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17)(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에 의하면, 혼 커버(10)와, 어퍼 혼 플레이트(11)와, 로어 혼 플레이트(12) 및 판 스프링(17)(18)이 결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혼 커버(10)를 가볍게 누르면, 어퍼 혼 플레이트(11)가 하강되면서 판 스프링(17)(또는,(18))을 콘택트 플레이트(13)(14)(15)(16)의 접점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판 스프링(17)(18)은 중심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시이소오 운동이 가능하므로 혼 커버(10)의 어느 부위를 눌러도 판 스프링(17)(18)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점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는, 로어 혼 플레이트(12)에 결합되는 콘텍트 플레이트(13)(14)(15)(16)와 상기 콘텍트 플레이트(13)(14)(15)(16)에 또 다시 판 스프링(17)(18)을 결합하므로 써, 그 구조가 복잡하며, 상기 판 스프링(17)(18)의 일단에 배선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내구성 및 재료의 원가측면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어 혼 플레이트에 4개의 콘텍트 플레이트를 조립하여야 하고, 상기콘텍트 플레이트에 판 스프링을 조립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 원가를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배선이 연결된 혼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절연체로 구성된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혼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각각의 접점을 형성하여 운전자가 혼커버를 누름으로 써, 경고음이 발생되는 간단한 구조로 인해, 조립과 생산이 편리하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차의 경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모듈화된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A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에어백커버 110 - 상측커버
110a - 내측플랜지 110b - 외측플랜지
111 - 리벳공 130 - 에어백모듈
140 - 마운팅플레이트 141 - 가동접촉자
142 -지지홈 147 - 체결공
150 - 혼플레이트 151 - 고정접촉자
152 - 홈 156 - 체결부
156a - 삽입부 156b - 걸림턱
157 - 가이드공 158 - 연장편
159 - 결합부 159' - 결합공
160 - 탄성부재 170 - 결합부재
171 - 돌기 172 - 돌출부
173 - 관통홀 180 - 볼트
190 - 너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백모듈이 장착된 에어백커버에 결합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혼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형성된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대향되도록 상기 혼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접촉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경음기 발생구조로 인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혼 플레이트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하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혼플레이트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모듈화된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경음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A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운전석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혼 구조에 적용 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에어백모듈에 장착된 운전석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경음기 발생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내지 도4와 같이, 에어백커버(100)는 상측커버(110)와 하측커버(도시하지 않음)로 구분되며, 상기 상측커버(110)는 내측플랜지(110a)와 외측플랜지(11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플랜지(110a)는 다수개의 리벳공(1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에어백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에어백모듈(130)은 마운팅플레이트(140)와 결합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는 상기 내측플랜지(110a)에 형성된 리벳공(111)과 체결된다.
여기서, 마운팅플레이트(140)는, 본래의 그 기능과 구조는 종래 기술에 설명된 로어 혼 플레이트와 다르지만, 본 발명에서는 마운팅플레이트(140)에 (+)배선을 연결하므로 써,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한편, 후술되는 혼 플레이트(150)는 스티어링 휠(도시하지 않음)의 본체와 체결되고, 상기 하측커버와도 결합되며 (-)배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와 상기 혼 플레이트(150) 사이에는 탄성부재(16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에는 가동접촉자(141)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상기 혼 플레이트(150)에는 고정접촉자(151)를 형성한다.
상기한 가동접촉자(141)와 고정접촉자(151)는, 일측의 접점은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의 접점은 평면으로 구성된 판스프링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동접촉자(141)는 마운팅플레이트(14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결합되도록 하여 평면을 갖도록 한다.
또한, 고정접촉자(151)는 혼 플레이트(15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결합하여 돌출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자(141)의 경우, 일단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40)에 접합되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고정접촉자(151)와 인접되도록 위치하여, 중단부에는 경사부를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동접촉자(141)와 상기 고정접촉자(151)는 복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60)는, 절연체로 써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각, 또는 중공부를 갖는 원형의 기둥 등으로 구성하되, 전기가 통하지 않고 탄력을 갖는 어떠한 재질로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60)가 체결력을 갖도록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에는 지지홈(14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홈(142)의 중심부에는 체결공(147)을 형성한다.
만약, 상기 탄성부재(160)를 금속재로 구성할 경우, 탄성부재(160)와 상기 혼플레이트(150) 사이에 결합부재(170)를 배치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5, 또는 도6과 같이 상기 결합부재(170)에는, 혼플레이트(150)와 밀착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기(17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면에는 돌출부(172)를 형성한다.
또한, 그 중심부에 관통홀(173)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171)와 대응되는 혼플레이트(150)에는 홈(15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72)에는 탄성부재(160)가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혼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체결공(147), 관통홀(173)과 같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가이드 공(157)을 형성한다.
전술한 상기 혼 플레이트는(150)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그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 "U"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본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156)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156)는, 혼플레이트(150)의 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스티어링 휠의 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156a)와, 상기 삽입부(156a)와 연장되어 외측으로 경사를 갖도록 하는 걸림턱(156b)을 형성한다.
상기 혼플레이트(15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57)이 형성되고, 마운팅플레이트(140)와 결합되는 내측플랜지(110a)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58)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편(158)은 내측플랜지(110a)의 중단부 위치까지 형성하고, 그 끝단에서 외측으로 절곡하여 결합공(159')을 갖는 결합부(159)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동차의 경음기 발생구조는, 에어백모듈(130)과 결합된 마운팅플레이트(140)가 상측커버(110)의 내측플랜지(110a)에 형성된 리벳공(111)과 리벳팅되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혼플레이트(150)를 배치하며, 마운팅플레이트(140)와 상기 혼플레이트(150) 사이에 절연체를 갖는 탄성부재(160) 및 결합부재(170)를 배치한다.
한편, 상기 혼플레이트(150)에 형성된 가이드 공(157)에 볼트(180)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180)의 몸체부가 결합부재(170)에 형성된 관통홀(173)에 삽입되도록 하고, 마운팅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체결공(147)을 관통하여 너트(190)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측커버(110)에는, 에어백모듈(130)과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접촉자(141)와 고정접촉자(151)가 결합된 마운팅플레이트(140)와 혼 플레이트(150)가 결합되어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모듈화 된 에어백커버를 갖는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측커버(110)를 가볍게 누르면, 상측커버(110)와 결합되고 가동접촉자(141)가 형성된 마운팅플레이트(1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하측커버(120)와 결합되어 혼플레이트(150)에 형성된 고정접촉자(151)에 상기 가동접촉자(141)가 접촉하게 되어 경보음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상측커버(11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가동접촉자(141)와 고정접촉자(151)는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측커버(11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써, 상기 가동접촉자(141)와 고정접촉자(151)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가동접촉자(141)와 고정접촉자(151)를 다수개 형성하여, 운전시 조향핸들의 회전으로 인해 상측커버(110)의 중심부에 외력을 가할 수 없을 때에도, 상측커버(110)의 일측을 누르게 되면 경보음이 발생 되어진다.
한편, 혼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접촉자와 상기 혼플레이트 사이에 절연체를 배치하여 구성하는 경우, 배선을 고정접촉자에 연결해야 되므로 써, 추가 배선 및 내구성이나 재료등의 원가 측면에서 불리한 면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곳에 절연체를 배치하여 배선을 혼플레이트에 직접 연결하므로 써, 불필요한 배선을 제거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의 경음기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배선이 연결되는 혼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절연체로 구성하고, 상기 혼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접점을 형성하여 운전자의 상측커버 작동으로 인해 상기 접점이 닿게되어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써,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두 번째, 탄성부재를 절연체로 구성하므로 써, 혼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별도의 절연부재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세 번째, 탄성부재를 스프링으로 구성할 경우,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경보음 발생을 할 수 있다.
네 번째, 혼플레이트와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절연체를 갖는 결합부재를 배치하므로 써, 탄성부재를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포괄적인 재료를 선택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다섯 번째, 결합부재 상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혼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하고,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요동을 최소화 하므로 써,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안정적인 접점이 되도록 하였다.
여섯 번째, 상측커버에는 에어백모듈과 함께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마운팅플레이트와 고정접촉자가 배치된 혼 플레이트가 결합되므로 써,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모듈화 된 에어백커버를 갖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의 경음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재료의 원가를 줄임으로 써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5)

  1. 에어백모듈이 장착된 에어백커버에 결합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지지되는 혼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형성된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대향되도록 상기 혼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접촉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혼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절연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절연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발생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하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혼플레이트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KR1020030037371A 2003-06-11 2003-06-11 자동차의 경음기 KR10054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371A KR100542590B1 (ko) 2003-06-11 2003-06-11 자동차의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371A KR100542590B1 (ko) 2003-06-11 2003-06-11 자동차의 경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141A true KR20040106141A (ko) 2004-12-17
KR100542590B1 KR100542590B1 (ko) 2006-01-11

Family

ID=3738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371A KR100542590B1 (ko) 2003-06-11 2003-06-11 자동차의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55A (ko) * 2017-11-29 2019-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혼 작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55A (ko) * 2017-11-29 2019-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혼 작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590B1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8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rn contact mechanism
US20030184062A1 (en) Horn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61308A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5765860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CA1226606A (en) Switch assemblies
US5950494A (en) Steering wheel
CN110116749B (zh) 用于机动车的方向盘总成及其装配方法和结构组件
JP3572697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456680A (ja) ホーンスイッチ
KR10054259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US6501035B2 (en) Switching unit for steering wheel in motor vehicle
JP2827547B2 (ja) エアバツ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8318806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04664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装置
GB2188779A (en) Horn button switch contact assembly
JPH0748437Y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6270816A (ja) 各種スイッチ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24043027A1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への取り付け構造
JP401884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011978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197174B2 (ja) スイッチ装置
CN212447297U (zh) 喇叭组件
JP304215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装置
JP346814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0306073B1 (ko) 자동차의경음기스위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35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824

Effective date: 2016091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8377;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140;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1201

Effective date: 201703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837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111

Effective date: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