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229A -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229A
KR20040105229A KR10-2004-7015271A KR20047015271A KR20040105229A KR 20040105229 A KR20040105229 A KR 20040105229A KR 20047015271 A KR20047015271 A KR 20047015271A KR 20040105229 A KR20040105229 A KR 2004010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freshness
tape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819B1 (ko
Inventor
이타가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10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장해를 회피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데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부에 의해 장해 부분 직전에 기록시키는 비월(skip)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TAPE RECORD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데이터 신규도를 테이프 상의 위치에 따라 단조 비감소하도록 기록한다.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에 있어서, 기록해야 할 데이터 신규도의 값이 틀리는 장해가 발생한 경우는, 테이프 기록 매체 전체를 주사하여,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응된 데이터 신규도의 최대값을 특정하고, 그 최대값보다 큰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그러나,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가 테이프 기록 매체 전체를 주사하는 조작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에서 독립항에 기재한 특징의 조합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종속항은 본 발명의 한층 더 유리한 구체예를 규정한다.
본 발명은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록 장해를 회피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기록부(210)가 기록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록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테이프 기억 장치(10)가 기록하는 데이터 신규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해서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록부에 의해 수행된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기록부로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또한 이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록부로,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또한 이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 전술한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 모두를 열거한 것이 아니며, 이들 특징군의 부분 조합도 발명이 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와 관계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하는 특징들의 모든 조합이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없다.
도 1은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개략도이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접속된다. 네트워크란, 예컨대 IDE, SCSI 인터페이스, USB 및 파이버 채널 등의 I/O 접속용 네트워크이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를 장착하여 데이터를 판독 및 기록한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예컨대 Linear Tape Open(이하, LTO라 약칭)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다. 또한, 테이프 기억 매체(80)는, 예컨대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이다. 또, LTO 규격이란, Hewlett-Packerd사, IBM사, Seagate사의 3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 포맷의 규격이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 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에 덮어쓰기로 기록한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설치된 기록 신규도 저장부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에 이용되는 데이터 신규도인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취득한다. 그리고,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이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해서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기록한다. 그리고,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 시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장해 부분을 비월하여 기록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이미 기록된 데이터가 남은 장해 부분과 신규 데이터를 구별하여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덮어쓰기로 기록하는 데에 이용되는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가 남은 장해 부분과 신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즉,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장해 부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하여 기록한다.
도 2는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 블록도이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구동 장치(20)와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테이프 구동 장치(20)는 취득부(200)와, 기록부(210)와, 판독부(220)를 갖는다. 도 2에 있어서, 테이프 기억 매체(80)는 테이프 구동 장치(20)에 장착되어 있다. 테이프 기억 매체(80)는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를 갖는다. 기록 신규도 저장부(85)에는 기록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신규도인 기록 데이터 신규도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록 신규도 저장부(85)에는 상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복사한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가 저장되어 있다. 즉,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용장으로 저장하고 있다. 또,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는, 예컨대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이다. 예컨대,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는 플래시 메모리이어도 좋고, SRAM이어도 좋다.
취득부(20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동작으로서,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 및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200)는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에, 기록 데이터 신규도 및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보낸다. 또한, 취득부(200)는 기록부(210)에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보낸다.
또, 취득부(200)에 있어서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동작을 전술하였지만, 이 동작의 타이밍은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테이프 기억 장치(10)가 작동된 시점이나, 테이프 기억 장치(10) 전체가 리셋되었을 때,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또는 새로운 데이터군의 기록을 시작할 때라도 좋다.
또한, 취득부(200)는 기록부(210)가 테이프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취득부(200)는 기록부(210)로부터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한다. 그리고, 취득부(200)는 이 데이터 신규도의 복사물을 생성한다. 취득부(200)는 데이터 신규도 및 그 복사물을 각각 기록 데이터 신규도 및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로서, 기록 신규도 저장부(85)에 기록한다. 여기서, 데이터 신규도란 예컨대 LTO 규격의 WP(Write Pass) 정보이다.
기록부(210)는 취득부(200) 및 비월 기록부(32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한다. 기록부(210)는 비월 기록부(32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기록부(210)는 비월 기록부(32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취득부(200)로부터 수신한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기록부(210)는 이들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해서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부(210)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기록의 성공 여부, 기록하고 싶은 데이터의 종료 여부의 정보 및 최근에 기록한 데이터 신규도 등)를 판독부(220), 판단부(310) 및 비월 기록부(320)에 보낸다. 또한, 기록부(210)는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할 때마다 이 데이터 신규도를 취득부(200)에 보낸다.
판독부(22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판독부(22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에서 장해 발생의 판단을 나타내는 장해 통지를 판단부(31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판독부(220)는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수신하고, 또한 장해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테이프 기억 매체(80)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부(220)는 장해부 신규도를 비월 기록부(320)에 보낸다.
또한, 판독부(220)는 기록부(210)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수신한다. 그리고, 판독부(220)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해석하여, 기록부(210)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록된 최후의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독부(220)는 기록부(210)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최후의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 테이프 기억 매체(80) 상에서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지점 앞에 있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의 데이터 신규도인 종단부 신규도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부(220)는 이 종단부 신규도를 비월 기록부(320)에 보낸다. 여기서, 데이터가 기록된 지점으로부터 앞에 있는 미리 정해진 범위란, 테이프 기억 장치(10)가 테이프 기억 매체(80)로부터 마지막으로 기록한 데이터를 판독한 후에, 여전히 새로운 데이터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의 탐색을 계속하는 범위이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동작으로서, 기록 데이터 신규도 및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취득부(200)로부터수신한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와,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비교함으로써,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 및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고,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판독부(220) 및 비월 기록부(320)에 보낸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 및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지만, 기록 데이터 신규도의 오류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러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지만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판단부(310)는 기록부(210)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수신한다. 그리고, 판단부(310)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해석함으로써, 기록부(210)에 의해 수행된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에서의 장해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31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판독부(220) 및 비월 기록부(320)에 장해 통지를 보낸다.
비월 기록부(320)는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로부터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수신하다. 또한, 비월 기록부(320)는 판단부(310)로부터 장해 통지를 수신한다. 비월 기록부(320)는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수신하고, 또한 장해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부(22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비월 기록부(320)는 기록부(210)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수신한다. 비월 기록부(320)는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해석함으로써, 장해 발생 이전에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가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가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한다.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가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되면,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 데이터 신규도로서 기록부(210)에 보낸다.
계속해서,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 이상의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부(210)에 보내고, 기록부(210)로 하여금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한다. 이와 같이, 비월 기록부(320)는 기록부(210)로 하여금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한다. 따라서, 비월 기록부(32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 상의 장해 부분의 후속 부분에 데이터 및 데이터 신규도를 계속해서 기록하게 한다.
또한, 비월 기록부(320)는 판독부(220)로부터 종단부 신규도를 수신한 경우에, 종단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 데이터 신규도로서, 기록부(210)에 보낸다. 그리고, 비월 기록부(320)는 최종 데이터가 기록된 지점의 앞에 있는 미리 정해진 범위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이와 같이, 비월 기록부(320)는 새롭고 유효한 데이터를 최종 데이터 앞에 이미 기록되었던 데이터와 구별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 비월 기록부(320)에 있어서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동작을 전술하였지만, 이 동작의 타이밍은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테이프 기억 장치(10)가 기동된 시점이나, 테이프 기억 장치(10) 전체가 리셋되었을 때,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또는 새로운 데이터군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간이라도 좋다.
도 3은 기록부(210)가 기록하는 데이터의 일례이다. 횡축은 테이프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테이프 상에 제1 데이터(500), 제1 데이터 신규도(505), 세퍼레이터(510), 제2 데이터(520) 및 제2 데이터 신규도(525)가 순차 기록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기록부(210)는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기록한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기록부(210)는 제1 데이터 신규도(505)인 16진수의 100의 값을 제1 데이터(500)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기록부(210)는 제1 데이터(500) 및 제1 데이터 신규도(505)를 기록한 후에, 데이터군과 데이터군의 경계를 나타내는 세퍼레이터(510)를 기록한다. 계속해서, 기록부(210)는 제2 데이터 신규도(525)인 16진수의 200의 값을 제2 데이터(520)에 대응시켜 기록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기록부(210)는 기록해야 할 데이터가 종료할 때나, 테이프 기록 매체(80)가 종료할 때까지, 데이터 및 데이터 신규도의 기록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기록부(210)는 데이터 신규도를 테이프 상의 위치에 따라 단조 비감소하도록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즉, 기록부(210)는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대응된 데이터 신규도보다,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규도가 높아지도록 데이터 및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할 수 있다.
도 4는 기록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테이프 기억 장치(10)가 기록하는 데이터 신규도의 일례이다. 횡축은 테이프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종축은 데이터 신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최초에 테이프 기억 장치(10)가 데이터 및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 후, 그 기록이 행해진 테이프 상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덮어쓰기로 기록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우선,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제1 그래프(700)로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신규도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예컨대, 장해 발생(1) 부분에 있어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부분을 뛰어넘어 장해 부분 앞 부분에 기록을 계속한다. 따라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발생(1)의 부분에 있어서, 제1 그래프(700)의 데이터 신규도가 기록되기 이전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 신규도를 그대로 남기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데이터 판독시에, 장해 발생(1)의 부분에 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는 제1 그래프(700)가 나타내는 데이터 신규도의 기록 후에, 제1 그래프(700)의 최대값 이상의 데이터 신규도인, (a)의 값의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저장한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다음 번의 기록에 있어서, (a)에서 나타내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한다.
다음에,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상기한 기록이 행해진 테이프 상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덮어쓰기로 기록한다.
본 도면의 예에 있어서,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는 오류가 있는 기록 데이터신규도인 (b)를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즉, 기록부(210)가 제1 그래프(700)의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 후에, 기록 신규도 저장부(85)가 저장하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의 값이 변경되었다고 가정한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제1 그래프(700)가 나타내는 데이터 신규도에 덮어쓰기로 기록함으로써, 제2 그래프(710)가 나타내는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다. 장해 발생(2)의 부분에 있어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발생(2)의 부분을 뛰어넘어 기록을 계속한다. 그러나,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만일, 단순히 장해 발생(2)의 부분을 뛰어넘어 기록을 계속하는 경우, 데이터 신규도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없다. 즉, 테이프 기록 매체 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데이터 신규도, 예컨대 제1 그래프(700)는 새로운 데이터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값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뛰어넘어 기록을 계속하면, 비월한 후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신규도는 장해 발생에 의해 뛰어넘은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낮아진다. 그 결과, 뛰어넘은 후에 기록된 새로운 데이터는, 판독에 있어서, 구 데이터라고 간주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도면의 예와 같이,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2)의 직전 부분에 장해 발생(2)의 부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다. 그리고,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상기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장해 발생(2)의 부분을 뛰어넘어 기록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와 새로운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데이터 신규도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도 5는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흐름도이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0).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없는 경우(S410: "아니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통상의 기록 동작을 한다(S420).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S410: "예"),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기록부(210)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에 대응시킨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다(S430).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부(210)는 데이터 신규도의 초기값으로서,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한다. 또한,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기록부(210)는 데이터 신규도를 테이프 상의 위치에 따라 단조 비감소하도록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또, 기록부(210)는 데이터 신규도의 초기값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판독부(220)는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35). 기록해야 될 데이터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435: "예"), 판독부(220)는 최후의 데이터가 기록된 부분으로부터 앞에 있는 소정 범위의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한다. 그리고, 비월 기록부(320)는 이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최후의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록한다(S437).
기록해야 될 데이터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S435: "아니오"), 판단부(310)는 데이터의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40). 데이터의 기록에 장해 발생을 판단하면(S440: "예"), 판독부(220)는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한다(S450). 계속해서, 판단부(31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의 데이터 신규도가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60). 장해 부분 바로 앞의 데이터 신규도가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S460: "아니오"),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의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다(S470).
이와 같이,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데이터의 기록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어도, 장해 부분을 회피하여 계속해서 기록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흐름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 블록도는 도 2에서 도시한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 블록도와 동일하다. 또한, 제1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은 판단부(310)를 제외하고, 도 2에 있어서의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6에 있어서, 판단부(310)의 기능을 설명한다. 본 도면에서 도시하는 S510, S520, S530, S535, S537, S540, S550 및 S560의 동작은 도 5에 도시한 S410, S420, S4350, S435, S437, S440, S450 및 S460과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단부(310)에 있어서, 장해 부분 바로 앞의 데이터 신규도가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되면(S560: "아니오"), 본 변형예에 관한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보다 낮은 데이터 신규도를 장해 부분에 기록한다(S570). 이와 같이, 비월 기록부(320)는 장해 발생이 판단된 경우에, 장해부 신규도에 기초하여 장해 부분을 제외하고 데이터를 덮어쓰는 것을 나타내는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부분 바로 앞까지 테이프를 되감는 일없이, 장해 부분에 추가하여 기록함으로써, 장해 부분을 회피할 수 있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구동 장치(20)와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테이프 구동 장치(20)는 취득부(230)와, 기록부(240)를 갖는다. 제어 장치(30)는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와, 판단부(340)와, 비월 기록부(350)를 갖는다. 테이프 기억 매체(80) 및 기록 신규도 저장부(85)는 도 2의 테이프 기억 매체(80) 및 기록 신규도 저장부(85)와 동일하다. 또한, 취득부(230)의 동작은 도 2의 취득부(200)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록부(240)는 취득부(230) 및 비월 기록부(35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한다. 기록부(240)는 비월 기록부(35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기록부(240)는 비월 기록부(35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취득부(230)로부터 수신한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기록부(240)는 이들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부(240)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기록의 성공 여부 및 기록하고 싶은 데이터가 종료되었는지 등)를 판단부(340) 및 비월 기록부(350)에 보낸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가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동작으로서, 취득부(230)로부터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수신한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비월 기록부(350)에 보낸다.
판단부(340)는 기록부(240)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수신한다. 그리고, 판단부(340)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해석함으로써, 기록부(240)에 의해 수행된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340)는 테이프 기억 매체(80)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비월 기록부(350)에 장해 통지를 보낸다.
비월 기록부(350)는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로부터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수신한다. 또한, 비월 기록부(350)는 판단부(340)로부터 장해 통지를 수신한다. 비월 기록부(350)는 기록 신규도 오류 통지를 수신하고, 또한 장해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기록부(240)로부터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수신한다. 비월 기록부(350)는 데이터의 기록 상태를 해석함으로써,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를 특정한다. 그리고, 비월 기록부(35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보다 낮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 데이터 신규도로서 기록부(240)에 보내고, 장해 부분에 기록시킨다.
따라서, 비월 기록부(350)는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기록부(240)로 하여금 테이프 기억 매체(80)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월 기록부(350)는 장해 부분에 기록되는 값으로서,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보다 낮은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였지만, 장해 부분에 기록되는 값은 이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비월 기록부(350)는 장해 부분에 미리 정해진 데이터 패턴을 기록하여도 좋다. 예컨대, 비월 기록부(350)는 유효 데이터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도 2의 세퍼레이터(510) 등의 값을 기록하여도 좋다. 비월 기록부(350)는 세퍼레이터(510)로서, LTO 규격에 따른 DSS(Data Signal Separator)를 기록하여도 좋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흐름도이다.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는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10).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없는 경우(S710: "아니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통상의 기록 동작을 한다(S720).
계속해서,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 경우(S710: "예"),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기록부(240)는 데이터 및 이 데이터에 대응시킨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다(S730).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부(240)는 데이터 신규도의 초기값으로서,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한다. 또한, 기록부(240)는 복사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기록부(240)는 데이터 신규도를 테이프 상의 위치에 따라 단조 비감소하도록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또, 기록부(240)는 데이터 신규도의 초기값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기록부(240)는 기록해야 될 데이터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35). 기록해야 될 데이터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S735: "아니오"), 판단부(340)는 데이터의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40). 데이터의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비월 기록부(350)는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표시하는 소정의 패턴을 기록한다(S750).
이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는 일없이, 장해 부분에 추가 기록함으로써, 신규의 데이터를 장해 부분에 기록된 구 데이터와 구별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 9는 이상에서 나타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관한 테이프 기억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테이프 구동 장치(20)와,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30)의 기능은 CPU(800), ROM(802), RAM(804) 및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I/F; 806)를 포함하는 계산기와, 이 계산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의 연동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 장치(30)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기록 신규도 판단 모듈과, 판단 모듈과, 비월 기록 모듈을 포함한다. 이들 모듈은 계산기를 기록 신규도 판단부(300),판단부(310), 비월 기록부(320), 기록 신규도 판단부(330), 판단부(340) 및 비월 기록부(350)로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전술한 프로그램 또는 모듈은 외부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기억 매체로서는, 디스켓(812), CD-ROM(810) 외에, DVD나 PD 등의 광학 기록 매체, MD 등의 광자기 기록 매체, 테이프 매체, IC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버 등을 통해 제어 장치(30)에 제공된다. 또한, 전용 통신 네트워크나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등에 설치한 하드디스크 또는 RAM 등의 기억 장치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제어 장치(30)에 제공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데이터 신규도에 장해가 있고, 또한 데이터의 기록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테이프 기록 매체에 판독이나 기록을 조작하여 장해 부분을 회피한다. 예컨대,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에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한다. 그리고,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장해 부분을 뛰어넘어 계속해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경우,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장해 부분 바로 앞의 데이터 신규도를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덮어쓰기로 기록하는 데에 이용되는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도, 이미 기록된 데이터가 남은 장해 부분과 신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이상에 나타낸 기록 조작을 테이프 상의 장해 부분이나 그 장해 부분의 주변이라는 좁은 범위로 한정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테이프 기억 장치(10)는 효율적으로 장해를 회피하여 기록을 계속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각 항목에 나타내는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가 실현된다.
(항목 1)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2)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 발생 이전에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신규도가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장해 발생 이전에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신규도를 변경하지 않고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3)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신규도 이상의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후속 부분에 데이터 및 데이터 신규도를 계속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4) 상기 판독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최후의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최후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지점 앞에 있는 미리 정해진 범위의 상기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고,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기록부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의 상기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5)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 신규도인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록 신규도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판독부는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기록에서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며,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6)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록부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7)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보다 낮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6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8)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장해 부분의 데이터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부 신규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데이터를 덮어쓰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6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9)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테이프 기억 장치.
(항목 10)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판독부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판단부와,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항목 11)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록부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항목 12)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항목 13)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항목 14)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2 또는 항목 13에 기재한 제어 방법.
(항목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한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항목 16)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항목 17)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5 또는 항목 16에 기재된 프로그램.
(항목 18)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항목 19)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한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록 매체.
(항목 20)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8 또는 항목 19에 기재한 기록 매체.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이 이루어진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해를 회피할 수 있다.

Claims (20)

  1.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 발생 전에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가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장해 발생 전에 상기 장해 부분의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를 변경하지 않고서 유지하는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신규도 이상의 데이터 신규도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후속 부분에 데이터 및 데이터 신규도를 계속해서 기록하는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최후의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에서 상기 최후의 데이터가 기록된 지점 앞에 있는 미리 정해진 범위의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고,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기록부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의 데이터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록하게 하는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 신규도인 기록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기록 데이터 신규도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록 신규도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신규도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기록에서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며,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6.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록부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된 데이터 신규도보다 낮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에 기록하는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월 기록부는 상기 장해부 신규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 부분을 제외하고 데이터를 덮어쓰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규도를 기록하게 하는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인 테이프 기억 장치.
  10.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판독부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판단부와,
    상기 기록부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1.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데이터 신규도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기록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록부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비월 기록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2.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인 제어 방법.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16.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인 프로그램.
  18.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 상의 장해 부분의 데이터 신규도인 장해부 신규도를 판독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장해부 신규도보다 높은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장해 부분 바로 앞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기록 매체.
  19.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테이프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이미 기록된 구 데이터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되는 신규 데이터의 신규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데이터 신규도를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시켜 테이프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에 장해가 발생했는지의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로,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의 장해 부분이 오래된 무효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기록 매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억 장치는 LTO 규격의 테이프 드라이브이며, 상기 테이프 기록 매체는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매체인 것인 기록 매체.
KR1020047015271A 2002-04-03 2003-02-13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3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0863 2002-04-03
JP2002100863 2002-04-03
PCT/JP2003/001516 WO2003083866A1 (fr) 2002-04-03 2003-02-13 Appareil d'enregistrement de bande, appareil de commande, procede de commande,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229A true KR20040105229A (ko) 2004-12-14
KR100734819B1 KR100734819B1 (ko) 2007-07-06

Family

ID=2867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271A KR100734819B1 (ko) 2002-04-03 2003-02-13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43624B2 (ko)
EP (1) EP1508900B1 (ko)
JP (1) JP3813153B2 (ko)
KR (1) KR100734819B1 (ko)
CN (1) CN1643606B (ko)
AT (1) ATE472155T1 (ko)
AU (1) AU2003211972A1 (ko)
DE (1) DE60333093D1 (ko)
WO (1) WO2003083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72155T1 (de) * 2002-04-03 2010-07-15 Ibm Bandaufzeichnungsvorrichtung, steuervorrichtung, steuerverfahren und programm
GB2412226A (en) * 2004-03-20 2005-09-2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etecting tampering with write once tapes using write pass counts
WO2007102434A1 (ja) * 2006-03-03 2007-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読み出しエラーを処理する読出装置、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73269B2 (ja) 2008-07-16 2014-04-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ープ媒体に記録されたデータを読み出す装置及び方法
CN102216985B (zh) 2008-11-21 2014-04-09 国际商业机器公司 磁带记录装置中的数据覆写控制方法以及磁带记录装置
US8760781B2 (en) * 2012-05-07 2014-06-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utility for controling data synchronization in a tape data storage system
JP2014115807A (ja) * 2012-12-10 2014-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schines Corporation ファイルを複数のメディアに書込む方法、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466B2 (ja) * 1988-04-15 1996-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H0444688A (ja) * 1990-06-12 1992-02-14 Ricoh Co Ltd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H04307476A (ja) * 1991-04-05 1992-10-29 Nec Corp 磁気テープ装置
JPH076572A (ja) * 1993-06-15 1995-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記録再生方法
US6226441B1 (en) * 1996-01-26 2001-05-01 Exabyte Corporation Multipurpose digit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a therefor
EP0936617A1 (en) * 1998-02-12 1999-08-18 Hewlett-Packard Company Write pass identifier
EP0936618A3 (en) * 1998-02-12 2005-04-13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Write pass identifier
US6532128B1 (en) * 1999-05-19 2003-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et to recording media registration and synchronization
US6288862B1 (en) * 1999-07-30 2001-09-1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mechanism to distinguish valid from outdated recording blocks in a tape drive
JP4247650B2 (ja) * 2000-03-08 2009-04-02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バッドスポットの処理方法
US6693755B2 (en) * 2001-07-31 2004-0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C. Data storage
US6883122B2 (en) * 2001-07-31 2005-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rite pass error detection
ATE472155T1 (de) * 2002-04-03 2010-07-15 Ibm Bandaufzeichnungsvorrichtung, steuervorrichtung, steuerverfahren und program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8900A1 (en) 2005-02-23
CN1643606A (zh) 2005-07-20
DE60333093D1 (de) 2010-08-05
JPWO2003083866A1 (ja) 2005-08-04
AU2003211972A1 (en) 2003-10-13
ATE472155T1 (de) 2010-07-15
KR100734819B1 (ko) 2007-07-06
EP1508900B1 (en) 2010-06-23
JP3813153B2 (ja) 2006-08-23
US7443624B2 (en) 2008-10-28
CN1643606B (zh) 2010-06-30
US20070177293A1 (en) 2007-08-02
WO2003083866A1 (fr) 2003-10-09
EP1508900A4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483B2 (ja) 隣接トラックデータの保証処理方法及びデイスク装置
JPH06510154A (ja) ビデオ・テープ・カセットのプログラム・ディレクトリ
WO2010016365A1 (ja) テープ媒体にデータを書き込む装置及び方法
KR100734819B1 (ko) 테이프 기억 장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7120100B2 (en) Method for preventing an optical recording device from erroneous defect detecting during writing
US7164636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data
US66652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compact disc at a sub-1X speeds
US20090251819A1 (en) Hard disk drive and method of setting a write-verify temperature thereof
US6975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ing/moving data on optical recording medium
US7222267B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errors of hard disk drive, hard disk drive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JPH03116566A (ja) 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制御方法
US6622223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signal source
US5991222A (en) Method for writing and searching on a tape for a digital signal writing and reproducing device
JP4621666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ビデオ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
JP3842543B2 (ja) 不良区域処理装置、不良区域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録装置
US6483984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JPH09305969A (ja) 光ディスク装置の誤消去防止装置
JP313357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2216426A (ja) 情報記録システム
CN101589435A (zh) 在光盘上的可靠视频记录
JPH05189890A (ja) 光学式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KR970007628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에러복구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폴트 재현방법
JP200111834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141448A (ja) 隣接トラックデータの保証処理方法及びデイスク装置
JPH1011883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