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500A -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500A
KR20040104500A KR10-2004-7014108A KR20047014108A KR20040104500A KR 20040104500 A KR20040104500 A KR 20040104500A KR 20047014108 A KR20047014108 A KR 20047014108A KR 20040104500 A KR20040104500 A KR 20040104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de
paper
display mediu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카마키데루오
오구라유지
히가시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8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05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466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020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4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by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barcod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4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 radio frequency tag transmitter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68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by scanning marks 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7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for generating hard copies of the content, e.g. printer, electronic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보제공 시스템은 우선 예컨대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파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그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사용자의 가정 등에 송신한다. 컨텐츠는 예컨대 신문 기사 또는 기타 다른 정보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컨텐츠 코드는 그 컨텐트에 대하여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동일의 컨텐츠가 미리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매체가 판매 또는 무료 배포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페이퍼형 표시매체를 가정의 방송수신기 등에 세팅하면, 코드 판독 수단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기록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PAPER-SHAPED DISPLAY MEDIUM}
현재, 일본에서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으로서 BS 디지털 방송이 2000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다. 또,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CS 디지털 방송이 2002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의 가정에 설치되는 수신기가 방송 프로그램(방송 편성)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축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편성표를 신경쓰는 일 없이, 적당한 시간대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 재생 및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기술 언어(description language)로서는, BS 디지털 방송, 동경 110도(East-Longitude 100 degrees) CS 방송,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모두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본으로 한 BML(Broadcast Markup Language)을 사용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BML이라는 것은 XML을 기본으로 하여 데이터 방송 용도로 전용화한 기술 언어이다.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에 대응하는 수신기는 BML로 기술된 방송 프로그램의 디지털 데이터를 해독하고, 텔레비전 화면에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기술 언어로서 BML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 방송 이외에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유효한 이용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이용 방법으로서는 생활에 밀접한 친밀한 정보 공급원인 신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신문 기사의 정보를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서 수신기에 축적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때에 보통의 종이에 기록 또는 열람하는 것이 고려된다.
종래부터, 신문은 신문기사가 되는 정보를 매일 종이(페이퍼) 매체에 기록하고, 소정의 절차(신문사에 개인 정보 등록, 요금의 은행 입금 수속 등)을 행한 후에 각 가정에 배포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의 정보는 신선도가 매우 높은 것이어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 가치를 잃는 것이다. 이 때문에, 종이 매체로서 배포된 대부분의 신문은 이미 사용된 종이로서 횟수되는 것으로 되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효율적인 것은 아니다. 또, 사용자가 그 기사를 읽는지 읽지 않는지에 관계없이, 일정한 정보를 매일 일률적으로 종이 매체에 기록하고, 인간의 손에 의해(사람이 직접) 각 가정에 배포한다고 하는 종래의 방법은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고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문 기사로 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고 해도, 정보를 보통의 종이에 기록해서 열람하는 것은, 자원의 유효한 활용의 관점에서 종래의 신문에 비해 어떠한 변화도 없어, 상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또, 신문 기사의 정보요금의 징수를 어떻게 행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절차적인 관점에서의 부담이 크게 바뀌게 된다.
또,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다른 이용 방법으로서, 잡지에서의 정보의 일부를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서 수신기에 축적하고, 소정 요건을 만족한 사용자에 대해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종래부터, 각종 잡지는 정보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수단으로서 대철(袋綴) 방법[종이를 반으로 접어 접히지 않은 쪽을 철하는 제책(製冊)법]에 의해, 정보를 접어서 끼워넣은 방법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대철로 되어 있는 정보는 바로 읽을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정보에의 기대감을 부추겨서 사용자의 해당 잡지에 대한 구매 의욕을 높일 수가 있다.
그러나, 대철 등에 의한 정보의 끼워넣기 수법은, 잡지의 인쇄 및 제본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해당 정보는 매장에서 대철을 찢거나 훔쳐 보는 등 사용자의 부정 수단에 의해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많은 잡지의 정보는 통상 신선도가 높은 것이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가치를 잃게 된다. 이 때문에, 해당 잡지의 모든 정보를 보통의 종이에 인쇄하는 것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비효율적이다.
또한, 광고를 위주로 하는 잡지의 정보는 종이 매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정지화상이고, 텔레비전 등의 정보에 비해 리얼리티(reality)가 있는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또,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이용 방법으로서, 프로그램에서 방송되고 있는 영어회화 등에 부속된 어학 텍스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어학 텍스트의 정보를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서 수신기에 축적하고, 소정 요건을 만족한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교육 프로그램, 예를 들면 영어 등의 어학 프로그램에 부속된 어학 텍스트는 인쇄 회사에서 제본되어 서점 등에서 발매되고 있다. 발매 빈도는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에 맞추어 통상 1개월마다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서점 등에서 발매되고 있는 해당 어학 텍스트를 매월 구입해,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어학 학습을 진행시킨다.
그러나, 어학 텍스트는 대응하는 어학 프로그램의 진행에 맞추어 참고로 하는 것이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가치를 잃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어학 텍스트를 종이 매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자원의 유효 활용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효율적이 아니다. 또, 어학 텍스트를 인쇄 회사에서 제본하고, 매월 발매한다고 하는 종래의 방법은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현재의 어학 텍스트는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서 1개월 분량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경우, 사용자는 네이티브 스피커의 영어회화를 듣기 전에 일본어 번역을 먼저 읽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어학 프로그램의 진행에 관계없이, 구입한 텍스트를 임의의 시점에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에 텍스트를 참조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점포의 판매 상품 정보를 일반인에게 전달하는 매체로서는 이전부터 신문에 끼워넣어지는 광고지가 사용되고 있다. 또,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지 정보의 전달 시스템으로서는, 일본특허공개 2002-49831호 공보(제1 내지 8쪽, 제1 내지 4도)(이하,「선행기술 문헌 1」이라고 함)가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이 매체의 광고지는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많이 게재하기 때문에, 신문지 사이즈가 큰 종이가 사용되고 있어 필요한 상품만 구입하고 싶은 개개의 일반인에게는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소매업자의 관점에서 보면, 게재 상품의 결정을 광고지 배포일의 1일 내지 수주일 전에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문헌 1은, 취급 상품 정보와, 각 점포 마다의 판매 상품 리스트를 저장한 판매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각 점포의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편집하는 판매 안내 작성 수단을 구비하여, 각 점포의 판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판매 정보 전달 서버 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매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각 점포마다의 타임 서비스 정보를 기록하는 타임 서비스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판매 안내 작성 수단이 점포의 판매 안내를 작성할 때에 상기 타임 서비스 테이블의 내용을 조사하고, 판매 상품의 정보 뿐만이 아니라 그 가게의 당일의 타임 서비스 예정도 포함하여 게재한 안내서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전달 서버 시스템에 의해 상기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요지으로 하는 판매 정보 전달 서버 시스템이다.
선행기술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 의하면, 점포의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필요하면 구매자의 개인 속성에 합치한 것만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신문 끼워넣기 광고지에 없는 뛰어난 특징을 가진다. 선행기술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의 사용자는 정보 제공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점포로 갈 때, 스스로 메모를 작성하지 않는 경우, 게재 상품을 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에서 출력하여 내점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는, 때때로 필요 이상으로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필요분량만큼 프린트 출력했다고 해도 용지는 한번 사용으로 끝나 버리므로, 종이 자원을 필요 이상으로 소비하게 되기 쉽다. 또, 가정에 인터넷 접속 환경을 구축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고령자 세대 등은 약간 사용하기가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서의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로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의 (a), (b)는 제1 실시예에서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 및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컨텐츠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의 (a)∼(c)는 제1 실시예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구성 및 표시 매체상의 코드가 가지는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컨텐츠 축적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제1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2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의 (a)∼(c)는 제2 실시예에서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 및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컨텐츠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의 (a)∼(c)는 제2 실시예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구성 및 표시 매체상의 코드가 가지는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2 실시예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제2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제3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7의 (a), (b)는 제3 실시예에서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 및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제3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컨텐츠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의 (a)∼(c)는 제3 실시예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구성 및 표시 매체상의 코드가 가지는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0은 제3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표시 대상물을 선택할 때의 표시 화면.
도 21은 제3 실시예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는 제3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은 제4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4는 제4 실시예에서 하드 디스크의 디렉토리 구성을 모식적인 나타낸 도면.
도 25는 제4 실시예에서 컨텐츠 리스트의 설명도.
도 26은 제4 실시예에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외관도(a) 및 불변 코드의 내용 설명도(b).
도 27은 제4 실시예에서 축적 컨텐츠의 추출 결과 표시 화면.
도 28은 상품 정보가 표시·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미지도.
도 29는 제4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컨텐츠 축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30은 제4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31은 제5 실시예에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함으로써 절차의 간소화, 비용의 절감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잡지의 일부에 의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함으로써, 비용의 절감, 해당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부정 수단의 회피, 정확한 정보의 제공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텍스트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함으로써, 비용의 절감, 사용자의 부담의 감소, 텍스트의 효과적인 활용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끼워넣는 광고지를 대신하여 고객을 불러들이기 위한 저가 상품의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종이에 프린트 출력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쇼핑 메모를 작성할 수 있어 인터넷 보다도 간편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광고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전파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방송파나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및 그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고 기억한다. 컨텐츠는, 예를 들면 신문 기사나 기타 다른 정보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컨텐츠 코드는 그 컨텐츠에 대해서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동일한 컨텐츠 코드가 미리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판매 또는무료 배포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가정의 방송 수신기 등에 세팅하면, 코드 판독 수단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를 판독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정보를 반복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이용하면, 신문 기사 등의 컨텐츠를 매일 1개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자원의 절약을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신문 배달 등의 작업에 수반하는 시간이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한 횟수인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 컨텐츠를 표시한 횟수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해 두는 것으로, 컨텐츠 표시 횟수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사용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판독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 횟수가 상기 사용 제한 횟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 횟수가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에 기록되고, 사용 제한 횟수 이내에 있으면 반복해서 컨텐츠의 표시를 할 수 있다. 또, 사용 제한 횟수를 넘었을 경우에는, 컨텐츠의 표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가 유료인 것 같은 경우에, 사용 횟수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 제한 횟수 및 상기 사용 횟수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남은 사용 가능 횟수 등을 한눈에 용이하게 알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의 리스트를 제시하는 리스트 제시 수단과, 상기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싶은 컨텐츠를 임의로 선택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컨텐츠 코드의 정당하지 않은 개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사용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변경 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가변 코드기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컨텐츠 코드 및 사용 제한 횟수의 정당하지 않은 개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는, 상기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때에 필요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특성 정보가 기록된다. 이에 의하여,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적절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컨텐츠에 할당된 컨텐츠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한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해당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한가지 형태는, 기재(基材)와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는 표시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를 상기 기재와 상기 표시층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코드의 부정(不正)한 개조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는 상기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때에 필요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특성 정보가 기록된다. 이에 의하면,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적절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횟수인 사용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가 불변 코드 기록부에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되는 횟수인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가 변경 가능한 상태로 기록되는 가변 코드 기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기록된 코드만에 의해 사용 횟수와 사용 제한 횟수를 관리할 수 있고, 사용 가능 횟수내에서 반복하여 컨텐츠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는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는 상기 기재와 상기 표시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 코드 기록부 및 상기 컨텐츠 표시부를 상기 표시층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코드 및 사용 제한 횟수의 부정한 개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가정 등에 설치되어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고 기억한다. 또, 기억 수단은 컨텐츠를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소정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잡지 등의 인쇄물로부터 입수한다. 그리고, 코드 판독 수단이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의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고, 그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시켜 시청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컨텐츠는 정지화상을 대상으로 한 정지화상 컨텐츠 및/또는 동화상을 대상으로 한 동화상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정지화상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것으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달 등에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동화상 컨텐츠를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정지화상 컨텐츠 보다 많은 정보를 볼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의리스트를 제시하는 리스트 제시 수단과, 상기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해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코드를 개변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제공자가 의도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에 할당된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에 관련 있는 인쇄물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잡지 등의 인쇄물에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철하거나 붙이거나 하는 각종의 수법으로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인쇄물을 입수하는 것에 의해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입수할 수 있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의 컨텐츠와 인쇄물은 관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수한 인쇄물에 관련 있는 컨텐츠를 입수 할 수 있다. 또,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인쇄물과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는다면, 자연스러운 형태로 인쇄물과 일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사용자의 임의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임의 정보를 판독하는 임의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임의 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임의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및 컨텐츠 코드를 사용자의 가정 등에 송신한다. 컨텐츠는, 예를 들면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 또는 기타 다른 정보로 할 수 있고, 컨텐츠 코드는 그 컨텐츠에 대해서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로 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컨텐츠 코드가 미리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판매 또는 무료 배포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가정의 방송 수신기 등에 세팅하면, 코드 판독 수단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를 판독한다. 또, 임의 정보 판독 수단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 설정되어 있는 임의 정보를 판독한다. 사용자의 임의 정보는 사용자가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설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이며, 예를 들면 컨텐츠가 영어 텍스트인 경우, 사용자의 영어의 지식 레벨 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기록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임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사용자의 임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정보에 따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반복 표시 가능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이용하면, 예컨대 매일 방송되는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매일 1개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고, 종이 자원의 절약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영어 텍스트를 종이 매체에 제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를 크게 삭감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사용자의 임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설정되고, 상기 임의 정보는 재기입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정 기억 장치를 사용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임의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해당 임의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는 재기입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 정보를 1번 설정하여도, 자체의 상황 등의 변화에 수반해, 자유롭게 해당 임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사용자의 임의 정보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가지는 복수의 체크 박스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기록함으로써 설정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의 복수의 체크 박스로부터 1개를 선택하고,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해당 체크 박스에 "x"표를 기록하는 것 등에 의해, 간편하게 임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사용자의 임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임의 정보 기록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의 임의 정보 기록부에 소정의 기록을 함으로써 임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컨텐츠 코드가 불변 코드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코드의 부정한 개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수신 수단과,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는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프로그램 재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프로그램에 관한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시간 정보 산출 수단과,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표시 허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표시 허가 정보를 판독하는 표시 허가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의 유무, 상기 시간 정보 산출 수단에 의한 상기 시간 정보 및 표시 허가 시간 판독 수단에 의한 표시 허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국으로부터 전파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방송파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신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영어회화 프로그램이나 그 외의 것으로 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그 프로그램에 대해서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에 의해 전달되는 프로그램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정보 제공 시스템은, 방송국으로부터 전파 또는 케이블을 통해 송신되는 방송파나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및 그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한다. 컨텐츠는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나 그 외의 정보로 할 수 있고, 컨텐츠 코드는 그 컨텐츠에 대해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로 할 수 있다.
또, 유사한 프로그램 코드, 컨텐츠 코드, 표시 허가 정보가 미리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판매 또는 무료 배포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가정의 방송 수신기 등에 세팅하면, 해당 방송 수신기는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 및 표시 허가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 코드, 컨텐츠 코드 및 표시 허가 정보를 판독한다.
정보 제공 시스템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재생한다. 그리고, 시간 정보 산출 수단에 의해, 재생된 프로그램에 관한 시간 정보를산출한다. 또, 정보 제공 시스템은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고, 판독한 표시 허가 정보 및 시간 정보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회사가 미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이 아니고, 해당 컨텐츠 제공 회사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해당하는 컨텐츠를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후에 경과한 시간이며, 상기 표시 허가 정보는 컨텐츠의 표시를 허가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후에 경과한 일정한 시간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간 정보가 상기 표시 허가 정보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회사가 표시 허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이 아니고, 해당 컨텐츠 제공 회사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해당하는 컨텐츠를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표시 허가 정보는 1개의 컨텐츠에 대해서 복수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컨텐츠가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인 경우, 해당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프로그램 개시 5분후에 영문, 프로그램 개시 8분후에 문법, 그리고, 프로그램 개시 10분후에 일본어 번역을 해당 영어 텍스트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회사는 표시 허가 시간을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이 아니고 해당 컨텐츠 제공 회사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해당하는 컨텐츠를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프로그램 재생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은 수신한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그램 기억 수단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이미 기억되어 있으면, 언제라도 해당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프로그램 재생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수신 수단이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재생한다. 이에 의하면, 방송국이 전파 또는 케이블로 방송파나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 정보 제공 시스템은 해당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재생을 행한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 등을 정보 제공 시스템에 미리 기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당 프로그램의 재생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컨텐츠에 부여된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한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기록부와, 상기 사용자의 임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임의 정보 기록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의 임의 정보 기록부에 소정 기록을 행함으로써 임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컨텐츠 코드가 불변 코드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코드의 부정한 개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임의 정보 기록부는 체크 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임의 정보는 사용자가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체크 박스에 기록함으로써 설정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의 복수의 체크 박스로부터 1개를 선택하고,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예컨대 해당 체크 박스에 "x"표를 기록하는 것 등에 의해 간편하게 임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또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는 상기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때의 시간적 제한인 표시 허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회사가 미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이 아니라 해당 컨텐츠 제공 회사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해당하는 컨텐츠를 해당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컨텐츠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유통 가치가 있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가리키지만, 본 발명에서는 무상으로 제공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도 포함된다. 컨텐츠 코드는 그와 같은 정보의 종류를 특정한다. 정보의 종류라는 것은 정보 제공자가 편의적으로 정하는 것으로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발행일이 상이한 것의 제공 목적이 같은 정보, 제공 대상자가 같은 정보는 하나의 정보의 종류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속성 코드는 1 종류의 정보 중에서, 또한 제공 목적이나 대상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특정하고 싶은 경우에 부여하는 코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어느 정보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소유하는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것이지만, 입수자측에서 소유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되는 속성 코드에 의해, 그 속성 코드에 합치한 컨텐츠의 내용만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해 1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편집한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정보의 입수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 및 기록시킬 수가 있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접어서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적 메모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1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편집한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포인트 시스템은 점포에 설치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용의 판독 및 기입 장치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포인트 정보와 함께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포인트 시스템은 점포에 설치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용의 판독 및 기입 장치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1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편집한 컨텐츠를 포인트 정보와 함께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포인트 시스템은 점포에 설치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용의 판독 및 기입 장치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해 1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편집한 컨텐츠를 포인트 정보와 함께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즉, 포인트는 사람이 보아 알 수 있도록 표시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포인트를 표시하는 영역에는 컨텐츠 정보가 인쇄되지 않게 제어하거나, 또는 포인트를 표시하는 영역에 컨텐츠 정보를 인쇄해도, 포인트 정보를 탈색해 표시하는 등 포인트 정보가 판독될 수 있도록 표시 및 기록해야 한다. 또, 포인트는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판독 기입 장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기록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하여, 포인트 표시 영역은 사람이 판독할 수 있는 스코어를 표시함과 아울러, 기계가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등의 코드를 표시(기록)한다.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가지 형태로서, 컨텐츠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컨텐츠 수신 수단 및 컨텐츠 기억 수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될 수 있다. 또, 상기 포인트 시스템의 한가지 형태로서, 컨텐츠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컨텐츠 수신 수단 및 컨텐츠 기억 수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될 수 있다.
일본에서 디지털 방송은 2000년부터 BS 디지털 방송을, 2002년부터 CS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도 향후 예정되어 있다. 이들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고, 쌍방향 통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방송 대응 수신기의 조합에 의해, 시청자에게 대화적인 기능을 부가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CS 디지털 방송에서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통상의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하드 디스크 내장의 수신기에 자동적으로 축적 기록되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하, "축적 프로그램"이라고 한다)을 방송하는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적당한 시간에, 축적된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그 내용을 즐길 수가 있다.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기술 언어로서는 BML이 이용된다. WWW 브라우저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해석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 방송에 대응한 수신기는 BML로 기술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 데이터를 해석해 TV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BML은 데이터 방송 화면 위에서 동적인 동작을 표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ECMAScript 라고 하는 절차 기술 언어로 처리 순서를 기술할 수 있다. ECMAScript는 오프젝트 지향(object-oriented) 스크립트 언어이다. 그리고, TV 화면의 표시 제어 뿐만이 아니라 수신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 등의 유익한 여러 가지 방송 서비스용 확장 함수가 준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BML에 기술된 스크립트를 BML 스크립트라고 한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 또는 포인트 시스템에서는 이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축적형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물품으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물품이란, 사용자가 취득 및 구입 가능한 상품이나 그 포장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물품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반복 표시 가능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종이를 절약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물품으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물품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 장치상에 표시시켜 사용자가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를 표시 장치 뿐만 아니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도 표시시켜 사용자가 열람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단계와,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하기 위해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상기 컨텐츠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단계와,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하기 위해서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의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고,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한가지 형태로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상기 컨텐츠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로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ⅰ)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환경(1), 컨텐츠 제공 회사(13), 코드 관리 센터(14), 방송국(16), 인공위성(17),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 및 코드 기록 회사(18)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신문사이며,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문 기사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해당 신문 기사의 정보인 데이터 방송 컨텐츠(이하, 간단히 "컨텐츠"라고 한다)를 작성해 방송국(16)에 납품하고 있다.
한편, 코드 관리 센터(14)는 컨텐츠 제공 회사(13)로부터 신문 기사의 정보인 컨텐츠에 포함되는 속성 데이터를 받아, 해당 속성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의 식별 정보가 되는 컨텐츠 코드를 작성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13)를 통하여 방송국(16)에 납품된다. 또, 컨텐츠 코드는 코드 기록 회사(18)에 통지된다. 그리고, 코드 관리 센터(14)는 컨텐츠 제공 회사(13)로부터 받은 속성 데이터 및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세트로 관리 데이터 베이스(이하, 간단히 "DB"라고 한다)(15)에 기억시킨다.
코드 기록 회사(18)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코드 관리 센터(14)로부터 통지된 컨텐츠 코드를 기록한다. 또한, 코드 기록 회사(18)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를 사용자에게 판매 가능하도록 유통기구에 싣는다.
한편,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13)에 납품된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는 컨텐츠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신 장치(2)에 의해, 방송국(16)으로부터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제공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5)상에서 시청 및 열람할 수 있다. 수신 장치(2)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기록하여 축적하고 있다.
또, 사용자는 코드 기록 회사(18)가 제조하고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코드 기록을 완료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이하, 간단히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라 한다)(19)를 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환경(1)에서 표시 제어장치(4)에 의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1)은 수신 장치(2), 리모콘(3), 표시 제어장치(4) 및 디스플레이(5)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환경이란, 본 발명에 있어서 정보 제공을 받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의 구성이다. 즉, 사용자 환경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각가정이나 차량 안의 환경이다.
수신 장치(2)는 안테나(10)를 구비하고, 하드 디스크(6), 튜너(7), 컨트롤러(8) 및 컨텐츠 리스트(9)를 내장하고 있으며, 리모콘(3)이 부속되어 있다. 안테나(10)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안테나이다. 또,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임의의 수신 장치(2)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신문 기사의 정보 선택 등을 행하는데,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하드 디스크(6)는 사용자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영역은 디지털 방송의 시청자인 사용자가 임의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등을 행할 수 있는 영역이다. 한편, 서비스 영역은 축적형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축적할 수 있는 영역이다.
컨텐츠는 신문이나 잡지의 기사, 삽화나 사진 등의 화상 데이터, 음성 파일,영화 등을 전자 데이터화한 유통 가치가 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디스플레이(5)상에서 열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신문 기사의 정보는 컨텐츠로서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된다.
튜너(7)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의 전파를 수신하고,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로서 디스플레이(5)에 접속하기 위한 영상과 음성을 출력한다.
컨트롤러(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주체로 한 CPU로 구성되어 있고, 수신 장치(2)의 전체를 제어한다.
컨텐츠 리스트(9)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컨텐츠명 및 백 넘버로 구성되어 있고,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된 컨텐츠의 정보를 리스트화해 기억하고 있다.
표시 제어장치(4)는 식별 컨트롤러(11) 및 코드 리더(12)를 내장하고 있다. 식별 컨트롤러(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주체으로 한 CPU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 제어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드 리더(12)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식별 정보인 컨텐츠 코드를 판독한다. 즉, 표시 제어장치(4)는 먼저 코드 리더(12)에 의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식별 정보에 따라 식별 컨트롤러(11)가 표시 제어장치(4)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장치(4)는 식별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9)를 참조한 후, 하드 디스크(6)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장치(4)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5)는 튜너(7)를 통하여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의 영상, 화상 또는 음성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5)는 전형적으로는 각 가정에서의 텔레비전 모니터이다.
(ii) 컨텐츠
도 2의 (a)는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를 나타낸다. 컨텐츠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이며, 컨텐츠로서 제공되는 정보는 컨텐츠 코드,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편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컨텐츠 폴더라는 것은 사용자 환경(1)에서 수신 장치(2)가 방송국(16)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 후, 하드 디스크(6)내에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는 폴더이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수신 장치(2)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한다.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축적되는 축적 프로그램이 복수개 기록되어 있다. 또, 복수의 축적 프로그램과 같은 계층에 동화상 이외의 부속적인 데이터, 예를 들면 컨텐츠 등의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서비스 디렉토리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로 컨텐츠나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싶은 경우에는 하드 디스크(6)의 사용자 영역내에 기록한다.
서비스 디렉토리는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컨텐츠 폴더 A를 시작으로 하는 복수개의 컨텐츠 폴더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는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컨텐츠 폴더 아래에 복수개의 컨텐츠 데이터가 날짜 정보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도 2의 (b)는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는 본 실시예에서 신문 기사 정보인 것으로 한다.
컨텐츠는 속성 데이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어 있고,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회사(13)가 작성하고, 컨텐츠 코드는 코드 관리 센터(14)가 작성한다. 속성 데이터는, 컨텐츠명, 기사 장르, 지역 장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명은 컨텐츠의 일반 명칭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정보가 신문 기사의 정보이므로, "A 신문"으로 한다. 기사 장르는 신문 기사의 정보를 신문의 지면 단위로 세분화한 정보이며, "경제", "사회", "스포츠"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사용자는 신문 기사에서의 모든 정보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사 장르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른 신문 기사의 정보만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지역 장르는 신문 기사에서의 지역면의 정보이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지역 장르에 따라 사용자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신문 기사의 정보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13)가 통지한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코드 관리 센터(14)가 작성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는 "001A"로 한다.
컨텐츠 데이터는 신문 기사의 내용에 근거한 정보이며, 날짜 정보를 가진다. 즉, "컨텐츠 데이터_3/1"은 3월 1일분의 신문 기사의 내용에 근거한 정보이다.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컨텐츠 데이터를 매일 작성하기 때문에, 방송국(16)을 통하여, 컨텐츠 폴더 A에 매일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다. 관리의 편의상, 하드 디스크(6)에서의 컨텐츠 데이터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폴더 A 아래에 날짜별로 기록된다.
또, 컨텐츠 데이터는 속성 데이터에 따라 세분화되어 기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데이터_3/1"은 3월 1일분의 신문 기사의 내용에 기초를 둔 정보이지만, 추가로 기사 장르나 지역 장르별로 세분화되어 컨텐츠 폴더 A내에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사용자가 신문 기사에 있는 모든 정보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날짜나 기사 장르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른 신문 기사의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할 때, 신속하게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취득하여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13)의 요청에 의해,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동시에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는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의 정보를 데이터로서 첨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소정 컨텐츠의 정보가 컨텐츠 제공 회사(13)가 요구하는 기록 장소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 컨텐츠의 정보 및 기록 장소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변조 방지를 위해 기호화되어 있어, 사용자는 해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2)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는,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를 구입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불문하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회사로부터 방송국(16)을 통하여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복수의 컨텐츠가 기록 및 축적되어 있다.
(iii) 컨텐츠 리스트
컨텐츠 리스트(9)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컨텐츠명, 백 넘버 및 비고로 구성되어 있고,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기록되고, 축적된 컨텐츠를 리스트화해 기억하고 있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컨텐츠 폴더에 축적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의 정보로서 컨텐츠 코드가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코드 관리 센터(14)가 작성하는 것이며, 컨텐츠는 컨텐츠 코드에 의해 고유하게 특정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리스트(9)는 컨텐츠 코드를 키(key)로서 이용하여,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컨텐츠 폴더에 축적된 컨텐츠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명, 백 넘버 및 비고를 기억한다. "백 넘버"는 소정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이다. 또, "비고"는 소정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더 세분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넘버는 복수의 신문 기사의 내용에 근거한 컨텐츠 데이터이다. 또, 비고는 신문 기사의 정보를 세분화한 기사 장르 또는 지역 장르이며,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컨텐츠 리스트(9)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인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또는 컨텐츠 코드가 제공될 때에 갱신된다.
이에 의하면, 하드 디스크(6)에서의 서비스 영역 내의 서비스 디렉토리에는 복수의 컨텐츠가 기록되고, 또한 1개의 컨텐츠에 복수의 백 넘버 또는 비고가 존재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컨텐츠 리스트(9)를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현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ⅳ) 페이퍼형 표시 매체
도 4의 (a)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의 구성을 나타낸다.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라는 것은 후술하는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가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말하며, 코드 기록 회사(18)에 의해 사용자에게 판매된다. 또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라는 것은 종이와 같이 얇고,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 몇 번이라도 재기입 가능한 표시 매체이며, 일반적으로 "전자 페이퍼" 또는 "디지털 페이퍼" 등으로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재기입 가능"하다라는 것은 로이코(leuco)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可逆性 感熱 記錄方式)이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열처리 등을 가하는 것이며, 1번 표시한 내용을 소거한 다음, 새로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데이터_3/1에 기초하여 3월 1일의 신문 기사를 표시한 후, 같은 표시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_3/2에 기초하여 3월 2일의 신문 기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3월 1일의 신문 기사는 해당 표시 매체 상에는 일체 남지 않는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예를 들면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의 것이면, 500회 정도는 재기입 가능하기 때문에, 보존은 할 수 없지만, 1매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 1년 이상 신문 기사를 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서는,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고분자 분산형 액정, 카이럴(chiral) 네마틱 액정에 의한 표시체 또는 전기 영동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등 여러 가지의 표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는 불변 코드(31), 가변 코드(32), 사용 제한 횟수(33), 사용 횟수(34) 및 컨텐츠 표시 영역(35)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변 코드(31)라는 것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서 몇번 재기입을 행하여도, 절대 변화하지 않는 불변인 정보이다. 도 4의 (b)에 불변 코드(31)가 가지는 정보를 나타낸다. 불변 코드(31)는 컨텐츠 코드, 사용 제한 횟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코드 기록 회사(18)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13)가 통지한 속성 데이터에 따라 코드 관리 센터(14)가 작성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코드 기록 회사(18)는 자세한것은 후술하지만, 코드 관리 센터(14)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통지를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코드는 "OO1A"이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무료 컨텐츠 이외에는,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 제한 횟수(33)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횟수이다. 사용자가 무제한으로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요금의 징수가 복잡하게 되므로, 일정의 사용 제한 횟수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 제한 횟수를 넘으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의 표시는 할 수 없게 되지만, 무료 컨텐츠의 표시는 가능하다. 즉, 사용 제한 횟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어느 기간 동안의 사용가능 횟수와는 무관하다. 이에 의하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는 불변 코드(31)에 포함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표시를 할 수 없게 되어도, 어느 기간 동안 사용가능 횟수 이상이 아니면, 무료 컨텐츠의 표시를 하는 표시 매체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또, 사용 제한 횟수(33)는 컨텐츠 제공 회사(13)가 설정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코드 기록 회사(18)나 방송국(16)이 설정하여 코드 기록 회사(18)에 통지해도 된다.
불변 코드에 포함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는 해당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제조업자(메이커)나 표시 제어 특성과 같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감열(heat-sensitive)하는 것에 의해 표시를 행하는 경우는, 감열 헤드(thermal head)의 설정 온도 등이 불변 코드(31)에 정보로서 포함된다.
가변 코드(32)라는 것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이며,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화하는 사용 횟수 등이다. 가변 코드(32)는 코드 기록 회사(18)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다. 사용 횟수는 사용자가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한 횟수이다. 즉, 무료 컨텐츠를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한 횟수는 포함되지 않고,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면 사용 횟수는 증가한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되는 사용 제한 횟수(33)는 불변 코드(31)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 제한 횟수이며, 사용 횟수(34)는 가변 코드(32)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 횟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 제한 횟수는 "50"으로 한다.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는 사용자에 의한 변조 방지를 위해 기호화되어 있어, 사용자는 해독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사용 제한 횟수(33) 및 사용 횟수(34)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고 있다. 사용 횟수는 가변 코드(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컨텐츠 표시 영역(35)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무료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리고, 불변 코드(31) 또는 가변 코드(32)에서의 코드로서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또는 RFl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조합시킨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v) 코드의 기록
다음으로,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의 기록에 대해 도 5의 (a)∼(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c)는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의 기록 후에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가 바코드(2차원 바코드 포함)인 경우,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基材: base material)(40)상에 불변 코드(31)를 기록하고, 로이코 염료 등의 감열 발색제(41)를 코팅한다. 그리고, 가변 코드(32)는 감열 발색제(41)에 의해 코팅된 면위에 기록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가 RFID인 경우,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40)에 불변 코드를 기억한 칩(31a)을 내장하고, 로이코 염료 등의 감열 발색제(41)를 코팅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코드(32)는 감열 발색제(41)에 의해 코팅된 면위에 기록될 수 있다. 또, 가변 코드를 RFID로 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코드를 기억한 칩(32a)은 기재(40)에 내장된다. 또한, 도 5의 (c)에서, 불변 코드용RFID(31a)와 가변 코드용 RFID(32a)를 1개의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소정 컨텐츠 등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되는 재기입 가능한 정보는 코팅되어 있는 감열 발색제(41)상에 표시된다. 즉, 정보는 기재(40)가 아니라, 감열 발색제(41)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감열 발색제(41)에 기록된 가변 코드(32)도 재기입 가능한 코드로 된다.
한편, 불변 코드(31)는 기재(40)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감열 발색제(41)에서, 몇번 정보가 재기입되더라도 불변 코드(31)가 변화하지는 않는다. 또, 칩(31a) 등에 기억된 불변 코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로이코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 감열 발색제(41)의 코팅층은 로이코 염료와, 로이코 염료를 가열하여 발색(發色)시키는 산성기 및 로이코 염료를 가열함으로써 소색(消色)시키는 염산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들 산성기 및 염산기를 가지는 양성화합물과 물 또는 유기용제에 용해하는 고분자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결합제)로 구성할 수 있다.
로이코 염료로서는, 3-인돌리노-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 아미노프탈라이드,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2-(2-플루오로페닐아미노)-6-디-n-부틸아미노플루오란, 2-(2-플루오로페닐아미노)-6-디에틸 아미노 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시닐로헥실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5-메틸-7-t-부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p-부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 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아닐리노-3-메틸-6-(N-에틸-p-톨루이디노)-플루오란, 3-피로리지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 3-피로리디노-7-시클로헥실아미노플루오란, 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 3-N-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로이코 염료를 가열하여 발색시키는 산성기로서는 페놀성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로이코 염료를 가열함으로써 소색시키는 염산기로서는 아미노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성기 및 염산기를 가지는 양성 화합물으로서는 2-아미노페놀, 3-아미노페놀, 4-아미노페놀 등의 아미노페놀 2-아미노벤조산(아미노 안식향산); 3-아미노벤조산, 4-아미노벤조산 등의 아미노벤조산; 2-히드록시-3-아미노벤조산, 2-아미노-3-히드록시벤조산, 2-아미노-4-히드록시벤조산, 2-아미노-4-아미노벤조산, 2-히드록시-6-아미노벤조산, 3-아미노-4-히드록시벤조산, 3-히드록시-5-아미노벤조산 등의 히드록시 아미노벤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산성기를 가지는 화합물으로서는, 2-히드록시벤조산, 3-히드록시벤조산 등의 히드록시벤조산; 4-히드록시살리실산, 5-히드록시살리실산 등의 히드록시살리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염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으로서는, 토치클아민, 노닐아민, 벤질아민, 2-페닐 에틸아민, 6-페닐헥실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메틸 알코올, 폴리비닐 알코올, 에틸 셀룰로오스, 초산셀룰스, 니트로셀룰로스, 폴리스티렌, 폴리염화 비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표시부에서의 상기의 각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양성화합물 1중량부에 대해, 로이코 염료 0.1~1 중량부, 바인더 2 중량부 이하를 혼합한다. 그리고, 예컨대, 물 또는 유기용제에 상기 양성화합물, 로이코 염료, 바인더를 용해 또는 분산 하여,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요철판 인쇄 등의 방법으로 지지체상에 인쇄한다.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표시부에 있어서, 화상 표시 및 화상 소거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표시부에 대해, 써멀 헤드(thermal head)로부터 비교적 저온 가열함으로써, 그 열에너지에 의해, 페놀성 화합물은 무색의 로이코 염료의 락톤 고리를 개방하여, 무색으로부터 유색으로 색 변화시키고 각종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표시시킨다. 또, 세라믹 바(ceramic bar)에 의해 고온 가열함으로써, 그 열에너지에 의해, 락톤 고리를 폐쇄하여 무색의 화합물로 되돌릴 수가 있다. 즉, 열의 작용에 의해 산의 성질을 나타내거나, 염기의 성질을 나타내는 위해 로이코 염료에 대해서, 현색제(顯色劑)가 되거나 감색제(減色劑)가 되는 것이다.
다음에, 가역성 표시부를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사용하는 가역성 표시부로 한 경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가역성 표시부에 전계 또는 열에 대해 응답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정보의 표시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사용하여, 정보를 기입할 때에는 열의 인가에 의해 기입을 행하고, 또 정보를 소거할 때에는 전압의 인가에 의해 소거하도록 하여도 된다.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의 가역성 표시부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전극으로 되는 도전층과 고분자 분산형 액정이 적층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 위에 보호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에는 매트릭스 수지(matrix resin)중에 액정의 입자가 독립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또, 상기 고분자분산형 액정으로서는 연속 다공질(多孔質) 구조를 갖는 폴리머 박막의 공극(다공질 부분; 통상 셀이라고 칭해진다) 안에 액정을 충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매트릭스로서 사용하는 연속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 박막은 폴리머 박막 중에 존재하는 많은 미세 기공(氣孔)이 연통한 것이며, 적당한 공극율로 적당한 사이즈의 공극을 가지는 연속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 박막이면, 폴리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속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 박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을 연신(延伸) 가공한 것, 미세한 구멍을 다수 가지는 필러(filler)를 첨가한 것, 폴리머 박막에 천공(穿孔) 가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연속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 박막의 공극 중에 충전하는 액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어느 액정이라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메모리성이 뛰어난 스메틱 액정(smetic liquid crysta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메틱 액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팬 에너지사(Japan Energy Co. Ltd.)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각종의 스메틱 액정이 사용된다. 그리고, 액정 조성물 입자가 연속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 박막 중의 공극에 충전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한쌍의 도전성 기판 사이에 형성하여 가역성 표시 매체를 제작하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일부에 형성하여 가역성 표시부로 한다.
상기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사용한 가역성 표시부에의 정보 기록 및 소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의 소거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을 필요에 따라 가열한후, 전계를 인가하고, 액정 분자를 전계 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행한다. 전계를 인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코로나 대전(帶電)법이 특히 유효하다. 또, 정보의 기록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에 필요한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부분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산란시키는 것에 의해 행한다.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써멀 헤드(thermal head)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대로, 기록을 전계에서 그리고 소거를 열로 행하여도 된다.
(ⅵ) 정보 제공 처리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정보 제공 처리의 메인 루틴이며, 도 7는 도 6에서의 컨텐츠 축적 처리의 서브루틴이다. 또, 도 8은 도 6에서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의 서브루틴이며, 도 9는 도 6에서의 표시 제어 처리의 서브루틴이다.
도 6에 의하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먼저 컨텐츠 축적 처리를 한다(단계 S1). 컨텐츠 축적 처리는, 컨텐츠 제공 회사(13)에 의해 작성된 속성 데이터가 코드 관리 센터(14)에 의해 작성된 컨텐츠 코드와 함께 컨텐츠로서 방송국(16)에 납품되고, 또한 컨텐츠가 방송국(16)을 통하여 사용자 환경(1)에서의 수신 장치(2)에 있는 하드 디스크(6)내에 기록되는 처리이며, 그 상세한 내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에 따라 속성 데이터를 작성하고, 코드 관리 센터(14)에 통지한다(단계 S10). 코드 관리 센터(14)는속성 데이터를 받아, 해당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인 컨텐츠 코드를 작성한다(단계 S11). 또한, 코드 관리 센터(14)는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키(key)로 하여 해당 속성 데이터를 대응시켜, 관리 DB(15)에 기록한다(단계 S12). 이에 의하면, 코드 관리 센터(14)는 관리 DB(15)의 정보에 기초하여, 지금까지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속성 데이터와 대응시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관리 센터(14)는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컨텐츠 제공 회사(13)에 통지한다(단계 S13).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코드 관리 센터(14)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받는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단계 S10에서 작성한 속성 데이터 및 코드 관리 센터(14)로부터 받은 컨텐츠 코드를 방송국(16)에 납품한다(단계 S14). 방송국(16)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컨텐츠 제공 회사로부터 접수한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를,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단계 S15).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수신 장치(2)는 안테나(10)를 통해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를 포함하는 방송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방송파 중에서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를, 도 2의 (a)에 나타내는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에 기록한다(단계 S16). 또한, 컨트롤러(8)는해당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9)를 작성하고, 컨텐츠 코드 및 컨텐츠명을 기록한다(단계 S17).
한편,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하고, 방송국(16)에 납품한다(단계 S18).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는 신문 기사의 정보이므로, 컨텐츠 제공 회사(14)에서 컨텐츠 데이터가 매일 작성된다. 즉, 방송국(16)에는 매일 컨텐츠 데이터가 제공된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는 신문 기사의 내용에 근거하는 정보이며 날짜 정보를 가진다.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13)로부터 매일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를 접수하고(단계 S19), 축적형 데이터 방송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단계 S20). 사용자 환경(1)에서, 수신 장치(2)는 매일 안테나(10)로부터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도 2의 (a)에 나타내는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 아래에 날짜마다 기록한다(단계 S21). 컨텐츠 데이터는 날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매일 컨텐츠 폴더 아래에에 기록 및 축적되는 것이므로, 관리상의 편의 때문에 컨텐츠 폴더 아래에 날짜마다 기록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8)는 매일 컨텐츠 폴더 아래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9)에서의 백 넘버를 기록한다. 그리고, 단계 S18~S21의 처리는 컨텐츠 제공 회사의 서비스가 종료할 때까지 반복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메인 루틴에 따르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를 한다(단계 S2).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는 코드 관리 센터(14)가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코드 기록 회사(18)에 통지하고, 또한 코드 기록 회사(18)가 해당 컨텐츠 코드나 사용 횟수 제한 등의 정보를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하고,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로서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처리이며, 그 상세한 설명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코드 관리 센터(14)는 도 7에서의 단계 S11에서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코드 기록 회사(18)에 통지하고(단계 S31), 코드 기록 회사(18)는 해당 컨텐츠 코드를 수신한다(단계 S32).
코드 기록 회사(18)는 해당 컨텐츠 코드, 사용 제한 횟수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를 불변 코드(31)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단계 S33). 또한, 코드 기록 회사(18)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 정보를 가변 코드(32)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단계 S34).
그리고, 코드 기록 회사(18)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를 판매하고(단계 S35), 사용자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를 구입한다(단계 S36).
컨텐츠 축적 처리(단계 S1)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단계 S2) 이후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표시 제어 처리를 한다(단계 S3). 표시 제어 처리는, 사용자 환경(1)에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처리이며, 그 상세한 설명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환경(1)에서, 사용자는 도 8에 있어서 단계 S36에서 구입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를 표시 제어장치(4)에 세팅한다(단계 S40). 표시 제어장치(4)의 코드 리더(12)는 코드 기록을 마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를 판독한다(단계 S41). 코드 리더(12)가 판독한정보는 불변 코드(31)에 대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사용 제한 횟수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이다. 한편, 가변 코드(32)에 대해서는,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횟수 등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 정보이다. 코드 리더(12)가 판독한 불변 코드(31) 및 가변 코드(32)의 정보는 표시 제어장치(4)내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텐츠 리스트(9)를 확인한다(단계 S42).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단계 S41에서 기록한 컨텐츠 코드를 표시 제어장치(4)로부터 추출하고,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에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3). 단계 S41에서 기록한 컨텐츠 코드는 사용자가 구입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불변 코드(31)로부터 판독한 컨텐츠 코드이다. 즉, 단계 S43에서는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별한다.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제어장치(4)상에「기록불가」라고 표시한다(단계 S44). 한편,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기록된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와 일치했을 경우에는, 단계 S41에서 기록한 불변 코드(31)에 포함되는 사용 제한 횟수와 가변 코드(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를 표시 제어 장치(4)로부터 추출하여 비교한다(단계 S45).
사용 횟수가 사용 제한 횟수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많은 경우는, 표시 제어 장치(4)상에서「기록불가」라고 표시한다(단계 S44). 한편, 사용 횟수가 사용 제한 횟수보다 적은 경우에, 식별 컨트롤러(11)는 해당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9)를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한다(단계 S46).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한다(단계 S47).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 코드가 "001A"인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점선 70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의 표시에 따라, "A 신문"의 백 넘버로부터 어느 일자의 신문 기사를 표시하는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사 장르 및 지역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하는 것보다 세분화한 신문 기사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를 통하여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가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 장치(2)에서의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48).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한다(단계 49).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선택한 컨텐츠의 정보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 제한 횟수내라면, 몇 번이라도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하는 것보다 세분화한 신문 기사의 정보를, 도 3에 나타낸 정보로 하였지만, 신문의 면(1면~20면) 등, 세분화하는 정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의 사용 제한으로서 사용 제한 횟수를 설정하고 있지만, 횟수가 아니라 기한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 환경(1)에서의 수신 장치(2)내의 하드 디스크(6)에는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를 구입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불문하고 복수의 컨텐츠가 축적되어 있다. 각각의 컨텐츠 정보를 어느 정도의 빈도로 삭제 또는 갱신하는지는, 하드 디스크(6)에서의 서비스 디렉토리의 용량이나 각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 제공 회사(13) 또는 방송국(16)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컨텐츠의 정보, 즉 속성 데이터나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갱신은 컨텐츠 리스트(9)에 반영된다. 또, 소정 컨텐츠의 삭제, 갱신 빈도는 컨텐츠 데이터와 함께 컨텐츠 제공 회사(13) 또는 방송국(16)으로부터 코드 관리 센터(14)에 통지되고, 코드 관리 센터(14)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따라 관리 DB(15)에 삭제, 갱신 빈도를 기록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의 컨텐츠 축적 처리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회사(13)는, 먼저 컨텐츠 코드 및 속성 데이터를 방송국(16)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후는 매일 작성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 코드, 속성 코드 및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를 해당하는 디렉토리의 내용 전체를 갱신하는 형식으로 매일 제공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 기록 회사(13)와 코드 관리 센터(14)가 별개의 기관으로 되어 있지만, 1개의 기관으로서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ⅶ) 변형예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에 필요한 정보가 정해져 있는 경우는, 필요한 정보를 수신 장치(2)에 미리 설정함으로써,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자동적으로 필요한 정보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도 9에서의 단계 S47 및 S48에서, 사용자에 의한 대상물 선택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필요한 정보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하는 것이 신속하게 될 수 있다.
또, 수신 장치(2)에 사용자의 우편번호나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설정하여 두는 것으로, 컨텐츠의 지역 정보(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의 지역 장르 등)를 해당 개인 정보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장치(2)가 우편번호와 전화번호간의 대응 테이블을 기록하고 있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서의 우편번호에 따라, 사용자의 거주 지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가 특정 사용자의 거주 지역에 따라 자동적으로 컨텐츠의 지역 정보를 선택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수고가 줄어들어, 신속하게 지역 정보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9)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구입하는 것으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 코드가 해당 표시 매체의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를 해당 표시 매체에 표시할 수 있다.즉, 컨텐츠 요금에 상당하는 요금의 사용자에 의한 입금 절차 등은 필요 없으며, 컨텐츠 제공 회사는 간편하게 요금을 회수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간편하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구입을 사용자가 편의점 등에서 행하는 것으로 하면, 종래의 신문과 같이 사람이 손으로 각 가정에 배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재기입 가능하고, 신문 기사의 정보이면, 1매의 표시 매체로 1년 이상 기사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신문과 같이 옛날 신문의 자원 쓰레기가 쌓이는 일이 없으며, 신문 기사의 컨텐츠와 같은 유료 컨텐츠에는, 해당 표시 매체의 사용 제한이 있지만, 사용 제한을 넘어도 해당 표시 매체를 어느 기간 동안 사용가능 횟수를 넘지 않으면, 무료 컨텐츠의 표시 등 재이용이 가능하고, 환경 문제를 고려한 자원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신문보다도 신속하게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필요한 정보를 수신 장치에 설정하여 두면, 자동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도 있어 사용자가 매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ⅰ)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10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환경(1), 컨텐츠 제공 회사(113), 코드 관리 센터(114), 방송국(16), 인공위성(17),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 인쇄 회사(118), 판매점(21) 및 광고주(22)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출판사이며, 광고주(22)로부터 광고 표시료를 징수해 광고나 기사를 주로 하는 잡지의 본문을 작성하고, 인쇄 회사(118)에 납품하고 있다. 또,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잡지의 일부의 정보(이하, "컨텐츠용 정보"라고 한다)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용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작성하여 방송국(16)에 납품하고 있다. 여기서, 컨텐츠용 정보란, 종래 끼워넣기 방법에 의해 대철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서서 읽는 것 등으로는 볼 수가 없는 부가가치 있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특집 기사, 광고, 연재 만화의 최종 페이지, 다음 호의 예고, 신제품 발표 예고 또는 이벤트 개최 예고 등 상품, 서비스의 구매를 촉진하여 이익을 보는 정보이다.
코드 관리 센터(114)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로부터 잡지 정보인 컨텐츠에 포함되는 속성 데이터를 받아, 해당 속성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의 식별 정보로 되는 컨텐츠 코드를 작성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를 통하여 방송국(16)에 납품된다. 또, 컨텐츠 코드는 인쇄 회사(118)에도 통지된다. 그리고, 코드 관리 센터(114)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로부터 받은 속성 데이터 및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세트로 관리 DB(115)에 기억시킨다.
인쇄 회사(118)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코드 관리 센터(114)로부터 통지된컨텐츠 코드를 기록하고,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작성한다. 또, 인쇄 회사(118)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로부터 납품된 잡지의 본문을 인쇄하고, 인쇄한 잡지의 본문 및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일체화하여 잡지(120)를 제본한다. 또한, 인쇄 회사(118)는 제본한 잡지(120)를 유통기구에 싣기 위해 판매점(21)에 납품한다. 여기서, "일체화"라는 것은, 예를 들어 잡지(120)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가 절취 가능한 형식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판매점(또는 점포, 21)은, 예를 들면 서점이나 편의점이며, 잡지(120)를 매장에 두고 사용자에게 판매한다.
광고주(22)는, 예를 들면 화장품, 자동차, PC의 제조업자 등이며, 잡지(120)에 해당 제조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의 광고나 기사를 탑재하는 일로 해당 제품의 판매촉진을 도모하고, 그 대가로서 컨텐츠 제공 회사(113)에 출고료(advertisement fee)를 지불한다.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해당 출고료 등에 의해, 코드 인쇄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잡지(120)와 일체화시켜 사용자에게 판매 할 수 있다.
한편,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113)에 납품된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는 컨텐츠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신 장치(2)에 의해, 방송국(16)으로부터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제공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5)상에서 시청 및 열람할 수 있다. 수신 장치(2)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를 기록 및 축적한다.
또, 사용자는 인쇄 회사(118)가 제조하고 판매점(21)에서 판매하고 있는 잡지(120)를 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표시 제어장치(4)에 의해, 잡지(120)와 일체화되어 있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초하여,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환경(1)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또는 디스플레이(5)상에서 열람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표시 제어장치(4)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잡지(120)에 관련된 컨텐츠이며,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에 축적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리스트(9)는 도 12에에 나타낸 것으로 한다.
(ⅱ) 컨텐츠
도 11의 (a)는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위치)를 나타낸다. 컨텐츠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이며, 컨텐츠로서 제공되는 정보는 컨텐츠 코드,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편집을 마친 것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또, 컨텐츠에 포함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와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2종류를 가지고 있으며,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는 정지화상이고,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 가능하다. 한편,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화상이므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는 표시할 수 없다.
컨텐츠 폴더라는 것은 사용자 환경(1)에서 수신 장치(2)가 방송국(16)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 후, 하드 디스크(6)내에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는 폴더이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수신 장치(2)에 제공된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에 축적한다.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축적 프로그램이 복수개 기록되어 있다. 또, 복수의 축적 프로그램과 동일 계층에는, 예를 들어, 잡지에 관한 컨텐츠 등, 축적 프로그램과 상이한 부속적인 데이터를 기록하는 서비스 디렉토리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로 컨텐츠 및/또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싶은 경우는, 하드 디스크(6)의 사용자 영역 내에 기록한다.
서비스 디렉토리는,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컨텐츠 폴더 A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폴더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도,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각각 기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고, 컨텐츠 폴더 아래에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도 11의 (b)는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는, 본 실시예에서 잡지(120)에 관한 컨텐츠인 것으로 한다.
컨텐츠는 속성 데이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어 있고,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가 작성하고, 컨텐츠 코드는 코드 관리 센터(114)가 작성한다. 속성 데이터는 컨텐츠명, 컨텐츠 종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명은 컨텐츠의 일반 명칭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컨텐츠가 잡지(120)에 관한 것이므로「잡지 A_5월호」라고 한다.
컨텐츠 종류는 해당 컨텐츠에 포함되는 컨텐츠 데이터가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인가 또는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인가에 따라 세분화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는「잡지 A_5월호」의 특집인「염가판매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또,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는「잡지 A_5월호」에 광고로서 게재되어 있는 자동차의「차내 영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컨텐츠 리스트(9)에 있어서,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가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 가능한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인가 또는 디스플레이(5)상에 동화상으로서 열람 가능한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인가를 간단하게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가 통지한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코드 관리 센터(114)가 작성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는 "1005A"로 한다.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가 잡지(120)에 관한 컨텐츠용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와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2종류를 가진다.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하면, 방송국(16)을 통하여,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폴더 A내에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컨텐츠 데이터는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폴더 A 아래에 세분화되어 기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폴더 A 아래에는, 정지화상 컨텐츠 폴더 및 동화상 컨텐츠 폴더로 세분화되어 있고, 컨텐츠 데이터는 각 종류에 대응하는 컨텐츠 폴더에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리스트(9)에,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상에서 표시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할 때, 표시 제어장치(4)는 신속하게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113)의 요청에 의해,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동시에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는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의 정보를 데이터로서 첨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정 컨텐츠의 정보가 컨텐츠 제공 회사(113)가 원하는 기록 장소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 컨텐츠의 정보 및 기록 장소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변조 방지를 위해 기호화되어 있어, 사용자에게는 해독 불능으로 되어 있다. 또, 수신 장치(2)에서의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회사(113)로부터 방송국(16)을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잡지(120)를 구입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잡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도 기록되어 있다.
(ⅲ) 컨텐츠 리스트
컨텐츠 리스트(9)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컨텐츠명, 백 넘버 및 비고로 구성되어 있고,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기록되며, 축적된 컨텐츠를 리스트화해 기억하고 있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의 컨텐츠 폴더에 축적되면,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9)에 컨텐츠의 정보로서 컨텐츠 코드가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코드 관리 센터(114)가 작성하는 것이며, 컨텐츠는 컨텐츠 코드에 의해 고유하게 정해져 있다.
그러므로, 컨텐츠 리스트(9)에는 컨텐츠 코드를 키로 하고,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의 컨텐츠 폴더에 축적된 컨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명, 백 넘버 및 비고가 기억된다. 백 넘버란, 소정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백 넘버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잡지(120)에 연재되고 있는 만화 α의 예고 등, 잡지(120)에 관한 컨텐츠 데이터이다. 또, 비고란 소정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에 따라 정보를 추가로 세분화한 것이며, 예를 들면 컨텐츠 종류 등이다.
그리고, 컨텐츠 리스트(9)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인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또는 컨텐츠 코드가 제공될 때마다 갱신된다.
(ⅳ) 페이퍼형 표시 매체
도 13의 (a)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의 구성을 나타낸다.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란, 후술하는 불변 코드(131) 및 가변 코드(132)가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말하며, 잡지(120)와 일체화하여 판매점(21)에서 판매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란, 종이와 같이 얇고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 몇 번이라도 재기입 가능한 표시 매체이며, 일반적으로 "전자 페이퍼" 또는 "디지털 페이퍼" 등으로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재기입 가능"하다는 것은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인 경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열처리 등을 가하는 것으로, 한번 표시한 내용을 소거한 다음, 새로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_01에 기초하여 잡지(120)의 이번 달의 특집인「염가판매 정보」를 표시한 후, 같은 표시 매체에,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_02에 기초하여 잡지 A에 연재되고 있는「만화 α의 예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염가판매 정보」는 해당 표시 매체상에는 일체 남지 않는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예를 들어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의 경우, 500회 정도는 재기입 가능하기 때문에, 무료 컨텐츠의 표시 등에 의한 재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서는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고분자 분산형 액정, 카이럴(chiral) 네마틱 액정에 의한 표시체 또는 전기 영동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등 여러 가지의 표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는 불변 코드(131), 가변 코드(132), 사용 횟수(134) 및 컨텐츠 표시 영역(135)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변 코드(131)란,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몇번 재기입을 행하여도 전혀 변화하지 않는 불변인 정보이다. 도 13의 (b)는 불변 코드(131)가 갖는 정보를 나타낸다. 불변 코드(131)는 컨텐츠 코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인쇄 회사(118)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113)가 통지한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코드 관리 센터(114)가 작성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인쇄 회사(118)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코드 관리 센터(114)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통지를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코드는「1005A」라고 한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무료 컨텐츠 이외에서는 기록된 불변 코드(1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만을 표시할 수 있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는 해당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제조업자나 표시 제어 특성이라고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감열 발색·감열 소색함으로써 재기입 표시를 행하는 경우, 감열 헤드의 설정 온도 등이 불변 코드(131)에 정보로서 포함된다.
가변 코드(132)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이며,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화하는 사용 횟수 등이다. 가변 코드(132)는 인쇄 회사(118)에 있어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다. 사용 횟수는 사용자가 불변 코드(1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 또는 무료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표시한 횟수이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되는 사용 횟수(134)는 가변 코드(1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이다. 불변 코드(131) 및 가변 코드(132)는 사용자에 의한 변조 방지를 위해 기호화되어 있어, 사용자에게는 해독 불능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 횟수(134)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고 있다. 사용 횟수(134)는 가변 코드(1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컨텐츠 표시 영역(135)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불변 코드(1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무료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리고, 불변 코드(131) 또는 가변 코드(132)에서의 코드로서는, 페이퍼형 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또는 RFID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내장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v) 코드의 기록
불변 코드(131) 및 가변 코드(132)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의 기록은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불변 코드(31)는 본 실시예에서 불변 코드(131)로 치환한 것이며, 가변 코드(32)는 본 실시예에서 가변 코드(132)로 치환한 것으로 한다.
(ⅵ) 정보 제공 처리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정보 제공 처리의 메인 루틴이며, 도 7은 도 6에서의 컨텐츠 축적 처리의 서브 루틴이다. 또, 도 14는 도 6에서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의 서브 루틴이며, 도 15는 도 6에서의 표시 제어 처리의 서브 루틴이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광고주(22)로부터 의뢰를 받은 광고나 기사를 게재한 잡지(120)를 작성하는 출판사인 것으로 한다. 또,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내는 컨텐츠 축적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대략 유사하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신문 기사의 정보로 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잡지(120)에 관련되는 컨텐츠용 정보이다. 따라서, 단계 S18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는 잡지(120)에 관련되는 컨텐츠용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되어 방송국(16)에 납품된다. 또, 단계 S20에 있어서, 방송국(16)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간격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 또한, 단계 S21에 있어서,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도 11의 (a)에 나타내는,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 아래에 컨텐츠 종류에 따라기록한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는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 및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2종류를 가지고 있으며, 수신 장치(2)는 관리상의 편의 때문에 컨텐츠 폴더 아래를 정지화상 컨텐츠 폴더 및 동화상 컨텐츠 폴더의 2개 부분으로 나눠, 각각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메인 루틴에 의하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를 한다(단계 S2).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는 인쇄 회사(118)가 컨텐츠 코드 등을 기록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및 컨텐츠 제공 회사(113)로부터 받은 잡지의 본문에 따라 잡지(120)를 작성하고, 해당 잡지(120)를 판매점(21)에 판매함으로써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이며, 그 상세 내용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광고주(22)로부터 의뢰받은 광고나 기사 등, 잡지(120)의 본문을 작성하고, 인쇄 회사(118)에 납품한다(단계 S131). 인쇄 회사(118)는 해당 잡지의 본문을 받아 인쇄한다(단계 S132).
한편, 코드 관리 센터(114)는 도 7에 있어서 단계 S11에서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인쇄 회사(118)에 통지하고(단계 S133), 인쇄 회사(118)는 해당 컨텐츠 코드를 받는다(단계 S134).
인쇄 회사(118)는 해당 컨텐츠 코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를 불변 코드(131)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단계 S135). 또한, 인쇄 회사(118)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를 가변 코드(132)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단계 S136).
그리고, 인쇄 회사(118)는 작성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와 단계 S132에서 인쇄한 본문을 일체화시켜, 잡지(120)를 제본한다(단계 S137). 사용자는 판매점(21) 등을 통하여 잡지(120)를 구입하는 것으로, 해당 잡지(120)와 일체화되어 있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취득한다(단계 S138).
컨텐츠 축적 처리(단계 S1)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단계 S2)의 다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단계 S3). 표시 제어 처리는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처리이며, 그 상세 내용을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 14에 있어서 단계 S138에서 취득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표시 제어장치(4)에 세팅한다(단계 S140). 표시 제어장치(4)의 코드 리더(12)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된 불변 코드(131) 및 가변 코드(132)를 판독한다(단계 S141). 코드 리더(12)가 판독한 정보는, 불변 코드(131)에 대하여는,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이다. 한편, 가변 코드(132)에 대하여는,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횟수 등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 정보이다. 코드 리더(12)가 판독한 불변 코드(131) 및 가변 코드(132)의 정보는 표시 제어장치(4)내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텐츠리스트(9)를 확인한다(단계 S142).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단계 S141에서 기억한 컨텐츠 코드를 표시 제어장치(4)로부터 추출하고,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에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43). 단계 S141에서 기억한 컨텐츠 코드는 사용자가 입수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된 불변 코드(131)로부터 판독한 컨텐츠 코드이다. 즉, 단계 S143에서는,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 표시 매체(119)에 기록된 불변 코드(1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된 불변 코드(1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제어장치(4)상에「표시불가」라고 표시한다(단계 S144). 한편,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된 불변 코드(1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와 일치했을 경우, 식별 컨트롤러(11)는 해당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9)를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한다(단계 S145).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한다(단계 S146).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 코드가「1005A」인 경우, 도 12에 나타낸, 점선(170)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의 표시에 따라,「잡지 A_5월호」의 백 넘버로부터 어느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는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 및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2종류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정지화상컨텐츠 데이터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및 디스플레이(5)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어디까지나 정지 화상이라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5)에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화상이기 때문에 정지화상보다 리얼리티가 있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특징으로 갖는다.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표시 대상물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종류도 고려하여 해당 표시 대상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를 통하여,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가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 장치(2)에서의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147).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가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한다(단계 S148). 한편,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가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5)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로 동화상의 데이터를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컨텐츠에 포함되는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를 도 12에 나타낸 정보로 하였으나, 이들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회사의 임의로 또한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속성 데이터와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회사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제한 횟수나 사용기한을 설정하지 않았지만,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잡지(120)와 일체화되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는 1매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복수 매로 해도 된다.
그런데, 사용자 환경(1)에서의 수신 장치(2)내의 하드 디스크(6)에는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를 구입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복수의 컨텐츠가 축적되어 있다. 각각의 컨텐츠 정보를 어느 정도의 빈도로 삭제, 갱신하는지는 하드 디스크(6)에서의 서비스 디렉토리의 용량 및/또는 각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 제공 회사(113) 또는 방송국(16)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그리고, 컨텐츠의 정보, 즉 속성 데이터나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갱신은 컨텐츠 리스트(9)에 반영된다. 또, 소정 컨텐츠의 삭제, 갱신 빈도는 컨텐츠 데이터와 함께 컨텐츠 제공 회사(113) 또는 방송국(16)으로부터 코드 관리 센터(114)에 통지되고, 코드 관리 센터(114)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리 DB(115)에 삭제, 갱신 빈도를 기록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광고주(22)는 자동차의 제조업자이며,「잡지 A_5월호」에는 차의 광고가 게재되어 있고,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로서 해당 차의「차내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주(22)에 따라 여러 가지의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주(22)가 화장품 제조업자(메이커)로서 해당 화장품의 광고를 소정 잡지에 게재했을 경우,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 또는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로서, "매일의 자외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 회사는 매일의 자외선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로서 작성하여, 방송국(16)을 통해 사용자 환경에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외선 정보를 취득하고 싶은 임의의 시점에서, 해당 잡지와 일체로 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에 기록되는 코드인 따라,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상에 해당 자외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사(118)와 코드 관리 센터(114)가 별개의 기관으로 되어 있지만, 1개의 기관으로서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ⅶ) 변형예 1
또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의 레이아웃은 괘선이나 스크린으로 설계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창작적인 것으로 되어 있지는 않지만, 해당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잡지(120)와 일체로 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인 경우, 해당 표시 매체(119)의 레이아웃을 해당 잡지(120)의 페이지에 공통되는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잡지(120)에 연재되고 있는 만화의 최종 페이지가 정보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잡지(120)의 본체에 인쇄되지 않고, 해당 표시 매체(119)로만 읽을 수 있는 경우, 해당 잡지(120)와 해당 표시 매체(119)의 레이아웃이 공통하고 있는 것에 의해, 잡지(120)의 일부로 하여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ⅷ) 변형예 2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119)가 일체로 되어 있는 잡지(120)가 월 1회 발행되는 경우라도,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해당 잡지(120)에 관한 컨텐츠의 제공을 월 1회의 갱신으로 할 필요는 없다. 즉,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컨텐츠용 정보를 임의의 간격으로 작성하여, 방송국(16)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회사(113)는 매일 컨텐츠용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하여 방송국(16)에 납품한다. 이 때, 컨텐츠 데이터는 날짜 정보를 갖는다. 그리고,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113)부터 매일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를 받고,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수신 장치(2)는 매일 안테나(10)로부터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 아래에 컨텐츠의 종류 및 날짜별로 기록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한달에 1회 발행되는 잡지로부터 매일 내용이 갱신되는 광고 등의 컨텐츠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즉, 잡지(120)에 관한 컨텐츠 라도 갱신되는 빈도를 해당 잡지보다 많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대철 등에 의한 끼워넣기보다도, 해당 컨텐츠용 정보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잡지(120)에 대한 구매의욕도 높일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잡지에 관한 정보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의한 컨텐츠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 및 열람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끼워넣기 수법과 달리, 사용자가 서서 읽는다거나 대철을 파손시키는 등의 부정 행위에 의해, 정보의 가치가 손상되는 일도 없다. 또한, 잡지에 관련된 컨텐츠라도 갱신하는 빈도를 해당 잡지보다 많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대철 등에 의한 끼워넣기 수법보다도 당해 컨텐츠로서 제공되는 정보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잡지에 대한 구매의욕도 높일 수 있다.
또, 해당 컨텐츠에 포함되는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경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컨텐츠 코드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디스플레이상에서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 매체인 잡지의 광고 또는 기사보다도 리얼리티가 있는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는 부가가치가 있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잡지에 대한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서, 광고주는 컨텐츠 제공 회사에 대해서 잡지 등에 광고를 게재하는 것을 의뢰하고, 그 대가로서 컨텐츠 제공 회사에 출고료를 지불한다. 컨텐츠 제공 회사는 해당 출고료 등에 의해 코드 인쇄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단독으로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잡지 등과 일체화시켜, 해당 잡지를 판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코드 인쇄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단독으로 구입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잡지의 부록이라고 하는, 대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형태로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사용자에게 널리 제공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재기입 가능하고, 해당 표시 매체의 어느 기간 동안 사용에 사용가능 횟수를 넘지 않으면, 무료 컨텐츠의 표시 등재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 문제를 고려한 자원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잡지의 일부를 이용한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 수단으로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용의 절감, 해당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부정 수단의 회피, 정확한 정보의 제공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i)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환경(1), 컨텐츠 제공 회사(213), 코드 관리 센터(214), 방송국(16), 인공위성(17),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 및 코드 기록 회사(218)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회사(213)는 교육 프로그램 제작 회사이며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국(16)에 납품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이란, 예를 들어 영어나 프랑스어 등의 어학 프로그램인 것으로 한다. 또, 컨텐츠 제공 회사(213)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소정 어학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어학 텍스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해당 어학 텍스트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작성해 방송국(16)에 납품하고 있다.
한편, 코드 관리 센터(214)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로부터 어학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속성 데이터를 받아, 해당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식별 정보로 되는 컨텐츠 코드를 작성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를 통해 방송국(16)에 납품된다. 또, 컨텐츠 코드는 코드 기록 회사(218)에도 통지된다. 그리고, 코드 관리 센터(214)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로부터 받은 속성 데이터 및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세트로 관리 DB(215)에 기억시킨다.
코드 기록 회사(218)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코드 관리 센터(214)로부터 통지된 컨텐츠 코드를 기록한다. 또한, 코드 기록 회사(218)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사용자에게 판매 가능하도록 유통기구에 싣는다. 예를 들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는 서점이나 복합매장에서 판매될 수 있다.
한편,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213)에 납품된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는 컨텐츠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 또,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213)에 납품된 어학 프로그램을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으로 하여 사용자 환경(1)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신 장치(2)에 의해 방송국(16)으로부터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23)를 통하여 제공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5)상에서 시청 및 열람할 수 있다. 수신 장치(2)는 수신한 어학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기록 및 축적하고 있다.
또, 사용자는 코드 기록 회사(218)가 제조하고 서점이나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환경(1)의 표시 제어장치(4)에 의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사용자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정보를 해당 컨텐츠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1)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제3 실시예에서의 축적형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어학 프로그램이며, 정기적으로 서비스 영역에 축적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드 디스크(6)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영역, 서비스 영역 또는 다른 영역 등으로 구성되는 하드 디스크로서, 소정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어느 영역에 녹화 및 축적하는가는 임의사항이다.
또, 컨텐츠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학 텍스트의 정보이며,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터치 패널 등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어학 텍스트의 정보 선택 등을 행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환경(1)은 기록 장치(21)를 포함한다. 기록 장치(21)는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가 갖는 체크 박스를 선택하고, 표시를 할 때에 사용한다. 여기서,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 박스(236)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레벨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임의 정보로서 설정할 때에, 사용자가 표시해서 기록하는 부분이다. 기록 장치(21)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특성에 기초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체크 박스(236)에 표시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가,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인 경우, 기록 장치(21)는 열처리를 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 장치(21)에 의해 기록된 표시는 표시 제어장치(4)에서 소거 가능하고, 사용자는 다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ⅱ) 컨텐츠
도 17의 (a)는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를 나타낸다. 컨텐츠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이며, 컨텐츠로서 제공되는 정보는 컨텐츠 코드,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이다. 여기서, 컨텐츠 코드는 소정 컨텐츠에 대하여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 정보이다. 또, 컨텐츠 코드는 해당 컨텐츠의 속성 데이터에 따라 코드 관리 센터(214)가 작성하는 것이며,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불변 코드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편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컨텐츠 폴더라는 것은 사용자 환경(1)의 수신 장치(2)가 방송국(16)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 후, 하드 디스크(6)내에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는 폴더이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를 수신 장치(2)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한다.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에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루트디렉토리 아래에 축적 프로그램이 복수개 기록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회사(213)로부터 방송국(16)으로 납품된 어학 프로그램이 서비스 영역에 축적된다. 그리고, 축적 프로그램은 고유한 식별 정보인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고 있다.
또, 복수의 축적 프로그램과 동일 계층에, 동화상 이외의 부속적인 데이터, 예를 들면 컨텐츠 등의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서비스 디렉토리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로 컨텐츠 및/또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싶은 경우는, 하드 디스크(6)의 사용자 영역에 기록한다.
서비스 디렉토리는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컨텐츠 폴더 A를 시작으로 하는 복수의 컨텐츠 폴더가 기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어학 텍스트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텐츠 폴더 A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컨텐츠 폴더 아래에 수강용 컨텐츠 폴더 및 복습용 컨텐츠 폴더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명은 컨텐츠 코드로 하는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학 텍스트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코드가「001A」인 경우, 컨텐츠 폴더 A의 명칭을 「0O1A」로 해도 된다.
어학 텍스트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대응하는 어학 프로그램과 함께 참조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해당 어학 프로그램을 사용자 환경(1)에서 열람하고 있는 경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는 수강용 컨텐츠 데이터이다. 한편, 사용자가 해당 어학 프로그램을 사용자 환경(1)에서 열람하고 있지 않는 경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는 복습용 컨텐츠 데이터이다. 이에 의하면, 어학 프로그램을 열람하고 있을 때 참조하는 텍스트와 어학 프로그램을 열람한 후에 참조하는 텍스트가 상이하고, 각각 적합한 텍스트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같은 어학 프로그램을 열람하는 사용자라도 해당 어학의 지식 레벨이 상이하므로, 어학 텍스트의 정보를 가지는 컨텐츠는, 해당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상급, 중급 및 초급의 3개 텍스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강용 컨텐츠 폴더 및 복습용 컨텐츠 폴더는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각각의 아래에 상급, 중급 및 초급의 3개의 레벨에 대응하는 컨텐츠 폴더가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강용 컨텐츠 폴더 아래에는 컨텐츠 폴더 수강용 상급, 컨텐츠 폴더 수강용 중급 및 컨텐츠 폴더 수강용 초급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복습용 컨텐츠 폴더 아래에는 컨텐츠 폴더 복습용 상급, 컨텐츠 폴더 복습용 중급 및 컨텐츠 폴더 복습용 초급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 수강용 상급의 컨텐츠 폴더는 또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어 각각의 컨텐츠 폴더 아래에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날짜 정보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학 프로그램이 매일 방송되는 경우, 5월 1일 분의 어학 텍스트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사용자의 레벨이 상급이었을 경우, 컨텐츠 데이터_5/1_수강 상급 및 컨텐츠 데이터_5/1_복습 상급으로서 해당하는 컨텐츠 폴더 아래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어학 텍스트의 정보를 가지는 컨텐츠는 수강용인지 아니면 복습용인지의 컨텐츠 종류, 사용자의 레벨 및 일자(날짜)에 근거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 폴더 A 아래를 또한 계층 구조로 하는 것으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17의 (b)는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정보는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의 정보로 한다.
컨텐츠는 속성 데이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어 있고,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작성하고, 컨텐츠 코드는 코드 관리 센터(214)가 작성한다. 속성 데이터는 컨텐츠명, 대응 프로그램 코드, 컨텐츠 종류 및 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명은 컨텐츠의 일반 명칭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정보가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 정보이므로「영어회화 A」라고 한다.
대응 프로그램 코드는 해당 컨텐츠의 이용인 맞춰 열람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이다. 즉, 대응 프로그램 코드는 해당 컨텐츠의 이용에 맞춰 열람하는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정보가 영어회화 프로그램이므로, 해당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인 프로그램 코드「O01」이 대응 프로그램 코드로 된다. 그리고, 컨텐츠 식별 정보인 컨텐츠 코드와 대응 프로그램 코드의 관계는 반드시 1 대 1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1개의 컨텐츠 코드에 복수의 대응 프로그램 코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컨텐츠 종류는 해당 컨텐츠에 포함되는 컨텐츠 데이터가 수강용 컨텐츠 데이터인가 아니면 복습용 컨텐츠 데이터인가에 따라 세분화한 정보이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할 때, 표시 제어장치(4)는 컨텐츠 종류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 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레벨은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열람하고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여 어학 텍스트를 참조하는 사용자의 영어의 지식 레벨이며, 상급, 중급, 초급의 3개의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해당 영어 텍스트의 정보는 각각의 레벨에 따라 작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초급 레벨의 경우, 영어회화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고 있는 영어단어가 모두 열거되어 있으며, 또한 모두 일본어 번역이 붙어 있다. 한편, 상급 레벨인 경우, 사용하고 있는 영어단어 중에서도 어려운 숙어 및 유사어나 반의어가 열거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영어회화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사용자는 레벨에 따라 상이한 텍스트를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할 때, 표시 제어장치(4)가 레벨인 따라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통지한 속성 데이터에 따라 코드 관리 센터(214)가 작성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츠 폴더 A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는「OO1A」이다.
컨텐츠 데이터는 영어 텍스트의 내용에 근거한 정보이며, 컨텐츠 종류, 레벨 및 일자 정보를 가진다. 즉, 「컨텐츠 데이터_5/1_수강 상급」은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열람하면서 참조하는 5월 1일분의 영어 텍스트이며, 또한 사용자의 지식 레벨이 상급인 정보이다. 예를 들면, 영어회화 프로그램이 매일 방송되고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회사(213)는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인 맞추어 컨텐츠 데이터를 매일 작성하기 때문에, 방송국(16)을 통하여, 컨텐츠 폴더 A내에 매일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러므로, 관리의 편의상,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데이터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폴더 A의 아래에 컨텐츠 종류, 레펠 및 일자에 기초하여 정리 및 기록된다.
그리고,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213)의 요청에 의해,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동시에 컨텐츠의 정보를 기록하는 컨텐츠 폴더의 기록 장소의 정보를 데이터로서 첨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소정 컨텐츠의 정보가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원하는 기록 장소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 컨텐츠의 정보 및 기록 장소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변조 방지를 위해 기호화되어 있어, 사용자(1)에게는 해독 불능으로 되어 있다.
또, 수신 장치(2)의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는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구입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회사로부터 방송국(16)을 통해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기록 및 축적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영어회화 프로그램은 컨텐츠 제공 회사(213)로부터 방송국(16)을 통하여, 예를 들면 매일 축적된다.
(ⅲ) 컨텐츠 리스트
컨텐츠 리스트(9)는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컨텐츠명, 백 넘버 및 비고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리스트(9)는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축적된 컨텐츠를 관리의 편의상 리스트화해 기억하고 있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의 컨텐츠 폴더에 축적되면,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의 정보로서 컨텐츠 코드가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코드 관리 센터(214)가 작성하는 것이며, 컨텐츠는 컨텐츠 코드에 의해 고유하게 정해져 있다.
그러므로, 컨텐츠 리스트(9)는 컨텐츠 코드를 키로서 구성하며,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의 컨텐츠 폴더에 축적된 컨텐츠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명, 백 넘버 및 비고를 기억한다. "백 넘버"란, 소정 컨텐츠 코드(12)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이다. 또, "비고"란, 소정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에 따라 정보를 더 세분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넘버는 영어회화의 텍스트이며, 또한 컨텐츠 종류, 레벨 및 일자에 따라 세분화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이다. 또, 비고는 대응 프로그램 코드, 컨텐츠 종류 및 레벨이며, 속성 데이터에 따라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컨텐츠 리스트(9)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인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또는 컨텐츠 코드가 제공될 때마다 갱신된다.
(ⅳ) 페이퍼형 표시 매체
도 19의 (a)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구성을 나타낸다.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란, 후술하는 불변 코드(231) 및 가변 코드(232)가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말하며, 코드 기록 회사(218)에 의해 유통기구에 탑재되어 서점이나 편의점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판매된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란, 끈과 같이 얇고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 몇 번이라도 재기입 가능한 표시 매체이며, 일반적으로 "전자 페이퍼" 또는 "디지털 페이퍼" 등으로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재기입 가능"하다라는 것은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인 경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열처리 등을 가하는 것으로, 한번 표시한 내용을 소거한 다음, 새로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데이터_5/1_수강 상급에 기초하여 5월 1일의 상급 레벨의 영어회화 텍스트를 표시한 후, 같은 표시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_5/2_수강 상급에 기초하여 5월 2일의 상급 레벨의 영어회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5월 1일의 영어회화 텍스트는 해당 표시 매체상에는 전혀 남지 않는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예를 들면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의 것으로 하면, 500회 정도는 재기입 가능하기 때문에, 보존은 할 수 없지만, 재이용에 의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서는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고분자 분산형 액정, 카이럴 네마틱 액정에 의한 표시체 또는 전기 영동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등 여러 가지의 표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는 불변 코드(231), 가변 코드(232), 사용 제한 횟수(233), 사용 횟수(234), 체크 박스(236) 및 컨텐츠 표시 영역(235)로 구성되어 있다.
불변 코드(231)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있어서 몇번 재기입을 행하여도, 전혀 변화하지 않는 불변인 정보이다. 도 19의 (b)에 불변 코드(231)가 갖는 정보를 나타낸다. 불변 코드(231)는 컨텐츠 코드, 사용 제한 횟수, 대응 프로그램 코드, 표시 허가 시간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코드 기록 회사(218)에 의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통지한 속성 데이터에 따라, 코드 관리 센터(214)가 작성하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이다. 코드 기록 회사(218)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코드 관리 센터(214)에 의해 컨텐츠 데이타의 통지를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영어 텍스트에 대한 컨텐츠 코드는「0OlA」이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무료 컨텐츠 이외에서는, 기록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 제한 횟수(233)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횟수이다. 사용자가 무제한으로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요금의 징수가 복잡하게 되므로, 일정한 사용 제한 횟수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 제한 횟수를 넘으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의 표시는 할 수 없게 되지만, 무료 컨텐츠의 표시는 가능하다. 즉, 사용 제한 횟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어느 기간 동안 사용 가능 횟수와는 무관하다. 이에 의하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는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표시를 할 수 없게 되어도, 어느 기간 동안 사용 가능 횟수 이상이 아니면, 무료 컨텐츠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매체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또, 사용 제한 횟수(233)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설정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코드 기록 회사(218)나 방송국(16)이 설정하고, 코드 기록 회사(218)에 통지해도 된다.
대응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정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과 연동해 이용하는 경우의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의 정보를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대응 프로그램 코드는 해당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인「001」이 된다.
표시 허가 시간은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열람하고 있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설정되어 있고,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시간 정보이다. 예를 들면,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15분간의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데,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상 개시 8분간은 네이티브 스피커의 회화인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회화의 종료까지 아무것도 참조시키지 않고 히어링을 시키기 위해서는 개시 10분 후에 당해 컨텐츠의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하면 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에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생각하는 효과적인 학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습용의 컨텐츠 데이터는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을 열람하고 있지 않을 때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므로, 표시 허가 시간에 무관하게 표시할 수 있다.
불변 코드에 포함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는 해당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제조업자나 표시 제어 특성이라고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감열 발색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경우, 감열 헤드의 설정 온도 등이 불변 코드(231)에 정보로서 포함된다.
가변 코드(232)라는 것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 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이며,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화하는 사용 횟수 등이다. 가변 코드(232)는 코드 기록 회사(218)에 의해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다. 사용 횟수는 사용자가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횟수이다. 즉, 무료 컨텐츠를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한 횟수는 포함되지 않고,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면 사용 횟수는 증가한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되는 사용 제한 횟수(233)는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 제한 횟수이며, 사용 횟수(234)는 가변 코드(2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사용 제한 횟수는 "50"으로 한다. 불변 코드(231) 및 가변 코드(232)는 사용자에 의한 변조 방지를 위해 기호화되어 있어, 사용자에게는 해독 불능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사용 제한 횟수(233) 및사용 횟수(234)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고 있다. 사용 횟수는 가변 코드(2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의 변화에 수반하여 변화한다.
체크 박스(236)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레벨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임의 정보로서 설정할 때에 표시하여 기록하는 부분이다. 기록 장치(21)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특성에 기초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체크 박스(236)에 표시하여 기록할 수 있다.
컨텐츠 표시 영역(235)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무료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리고, 불변 코드(231) 또는 가변 코드(232)를 기록하기 위하여,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또는 RFID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내장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ⅴ) 코드의 기록
불변 코드(231) 및 가변 코드(232)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의 기록은 제1 실시예와 대략 같으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불변 코드(31)는 본 실시예에서 불변 코드(231)로 치환한 것이며, 가변 코드(32)는 본 실시예에서 가변 코드(232)로 치환한 것으로 한다.
(ⅵ) 정보 제공 처리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사용자가 표시 대상물을 선택할 때의 표시 화면이며, 도 18에 나타낸 컨텐츠 리스트에 따라 사용자 환경(1)내의 디스플레이(5)에 표시된다. 또, 도 6은 정보 제공 처리의 메인 루틴이며, 도 7은 도 6에서의 컨텐츠 축적 처리의 서브 루틴이다. 또, 도 21은 도 6에서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의 서브 루틴이며, 도 22는 도 6에서의 표시 제어 처리의 서브 루틴이다.
또, 도 6 및 도 7이 나타내는 컨텐츠 축적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대략 같으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신문 기사의 정보로 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매일 방송되는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의 정보이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회사(213)에서 컨텐츠 데이터가 매일 작성되어 방송국(16)에 매일 해당 컨텐츠 데이터가 납품된다. 또, 단계 S21에서,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도 17에 나타낸, 컨텐츠 종류, 레벨 및 날짜에 근거하여,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 A 아래에 해당하는 컨텐츠 폴더에 기록한다. 그리고, 영어회화 프로그램도 매일 컨텐츠 제공 회사(213)로부터 방송국(16)에 납품되며,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환경(1)에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해당 프로그램을, 도 17의 (a)에 나타내는,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 프로그램 "001"로서 기록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메인 루틴에 의하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를 행한다(단계 S2).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는 코드 관리 센터(214)가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코드 기록 회사(218)에 통지하고, 또한 코드 기록 회사(218)가 해당 컨텐츠 코드나 사용 횟수 제한 등의 정보를 불변 코드(231) 및 가변 코드(232)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하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로서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처리로서, 그 상세 내용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코드 관리 센터(214)는 도 7에서의 단계 S11에서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코드 기록 회사(218)에 통지하고(단계 S231), 코드 기록 회사(218)는 해당 컨텐츠 코드를 수령한다(단계 S232).
코드 기록 회사(218)는 해당 컨텐츠 코드, 사용 제한 횟수, 대응 프로그램 코드, 표시 허가 시간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를 불변 코드(231)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단계 S233). 그리고, 코드 기록 회사(218)는 사용자의 사용 횟수라고 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 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 정보를 가변 코드(232)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단계 S234). 또한, 코드 기록 회사(218)는 사용자의 영어의 지식 레벨이라고 하는 임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체크 박스(236)를 기록한다(단계 S235).
그리고, 코드 기록 회사(218)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판매하고(단계 S236), 사용자는 서점이나 편의점 등을 통하여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구입한다(단계 S237).
컨텐츠 축적 처리(단계 S1)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처리(단계 S2) 후에,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단계 S3). 표시 제어 처리는 사용자 환경(1)에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처리이며. 그 상세 설명을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 21의 단계 S237에서 구입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체크 박스(236)를 선택하고, 기록 장치(21)를 사용하여 표시를 한다(단계 S240).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영어의 지식 레벨이 상급인 경우, 도 19의 (a)에 나타내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체크 박스(236)에서「상급」을 선택하여 표시를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체크 박스(236)를 선택하고, 표시를 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표시 제어장치(4)에 세팅한다(단계 S241). 표시 제어장치(4)의 코드 리더(12)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 가변 코드(232) 및 체크 박스(236)를 판독하여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42). 코드 리더(12)가 판독한 정보는 불변 코드(231)에 대해서는,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사용 제한 횟수, 대응 프로그램 코드, 표시 허가 시간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이다. 또, 가변 코드(232)에 대하여는,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횟수 등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 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이다. 또, 체크 박스(236)에 대하여는 사용자의 영어의 지식 레벨이며, 본 실시예에서는「상급」이라고 한다. 코드 리더(12)가 판독한 불변 코드(231), 가변 코드(232) 및 체크 박스(236)의 정보는 표시 제어장치(4)내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텐츠 리스트(9)를 확인한다(단계 S243).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단계 S242에서 기록한 컨텐츠 코드를 표시 제어장치(4)로부터 추출하고,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에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44). 단계 S242에서 기록한 컨텐츠 코드는 사용자가 구입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로부터 판독한 컨텐츠 코드이다. 즉, 단계 S244에서는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 표시 매체(219)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제어장치(4)상에「표시불가」라고 표시한다(단계 S245). 한편,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와 일치했을 경우에는, 단계 S241에서 기록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사용 제한 횟수와 가변 코드(232)에 포함되는 사용 횟수를 표시 제어장치(4)로부터 추출하여 비교한다(단계 S246).
사용 횟수가 사용 제한 횟수와 같거나 많은 경우에는 표시 제어장치(4)상에「표시불가」라고 표시한다(단계 S245). 한편, 사용 횟수가 사용 제한 횟수보다 작은 경우,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를 추출한다(단계 S247).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추출한 프로그램 코드와 해당 코드 기록된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기록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대응 프로그램 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48).
먼저, 추출한 프로그램 코드와 대응 프로그램 코드가 일치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별 컨트롤러(11)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가 수강용 컨텐츠라고 인식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단계 S242에서 취득한 컨텐츠 데이터 및 체크 박스(236)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컨텐츠 종류가 수강용이며, 또한 레벨이 상급인 백 넘버를 추출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백 넘버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표시 대상물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270)으로서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한다(단계 S249).
사용자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 화면(270)으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대상을 표시 대상물로서 선택한다(단계 S250). 예를 들면, 화면(270)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 코드「001A」, 컨텐츠명「영어회화 A」의 백 넘버로부터 몇월 몇일의 영어 텍스트를 표시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를 통하여,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가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 장치(2)에서의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 A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251). 또,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이 개시 후 몇분 경과하고 있는지를 시간 정보로서 취득한다(단계 S252).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취득한 시간 정보 및 단계 S242에서 취득한 불변 코드(231)에 포함되는 표시 허가 시간의 정보를 비교한다(단계 S253). 사용자의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 개시 시간이 표시 허가 시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식별 컨트롤러(11)는 단계 S252 및 S253를 반복한다. 한편, 사용자의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 개시 시간이 표시 허가 시간을 경과했을 경우,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한다(단계 S254).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한 컨텐츠의 정보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 제한 횟수내이면 몇 번이라도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출한 프로그램 코드와 대응 프로그램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별 컨트롤러(11)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컨텐츠는 복습용 컨텐츠라고 인식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단계 S242에서 취득한 컨텐츠 데이터 및 체크 박스(236)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컨텐츠 종류가 복습용이며, 또한 레벨이 상급인 백 넘버를 추출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해당 백 넘버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표시 대상물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270)으로서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한다(단계 S255).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 화면(270)으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대상을 표시 대상물로서 선택한다(단계 S256).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 장치(2)에서의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 A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257).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한다(단계 S258). 이로부터, 사용자는 선택한 컨텐츠의 정보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사용 제한 횟수이내이면, 몇 번이라도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제어 처리는 표시 제어장치(4)에 미리 내장된 해당 처리를 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며, 또는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컨텐츠의 기술 언어인 BML 내의 스크립트 처리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254 또는 S258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면, 식별 컨트롤러(11)는 표시 제어 처리를 종료하고, 도 6에 나타낸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사용 제한으로서 사용 제한 횟수를 설정하고 있지만, 횟수가 아닌 기한 등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사용자 환경(1)에서의 수신 장치(2)내의 하드 디스크(6)에는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구입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복수의 컨텐츠가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어 텍스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를 구입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불문하고, 영어회화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또, 각각의 컨텐츠의 정보를 어느 정도의 빈도로 삭제, 갱신하는지는 하드 디스크(6)에서의 서비스 디렉토리의 용량이나 각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 제공 회사(213) 또는 방송국(16)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그리고, 컨텐츠의 정보, 즉 속성 데이터나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갱신은 컨텐츠 리스트(9)에 반영된다. 또, 소정 컨텐츠의 삭제, 갱신 빈도는 컨텐츠 데이터와 함께 컨텐츠 제공 회사(213) 또는 방송국(16)으로부터 코드 관리 센터(214)에 통지되고, 코드 관리 센터(214)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에 따라 관리 DB(215)에 삭제 및 갱신 빈도를 기록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인공위성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를 통하여 방송파에 의해 사용자 환경에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를 통신케이블을 매체로 하는 CATV(Community Antenna TV)의 방송이나 인터넷 등의 전달에 의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와 방송국(16)이 개별 기관으로 되어 있지만, 1개의 기관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어학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어학 텍스트의 정보를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어학 프로그램을 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고 있는 컨텐츠라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ⅶ) 변형예 1
상기의 실시예에서, 표시 허가 시간은 1개의 컨텐츠에 대해서 1개 설정되어 있지만, 1개의 컨텐츠에 대해서 복수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제공하는 15분간의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프로그램 개시 5분 후에는 영문, 프로그램 개시 8분 후에는 문법 그리고 프로그램 개시 10분 후에는 일본어 번역을,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영어 텍스트 1 페이지에 상당하는 정보마다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이 아니라, 컨텐츠 제공 회사(213)가 의도하는 임의의 타이밍에 영어 텍스트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영어의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타이밍에 사용자에게 영어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1개의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진행에 맞추어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ⅷ) 변형예 2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의 불변 코드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표시 허가 시간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간을 제어하고 있지만, 마찬가지의 제어를, 데이터 방송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트리거 정보(trigger in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트리거 정보란 방송국(16)으로부터 사용자 환경(1)의 수신기(2)에 제공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표시 허가 타이밍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이다. 이 트리거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방법으로서는, 이미 수신기(2)의 하드 디스크(6)내에서 서비스 영역에 축적된 축적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것으로 시청하는 방법, 또는 컨텐츠 제공 회사(213)로부터 방송국(16)을 통하여 제공되는 해당 대응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안테나(10)에 의해 수신하여 시청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실시간으로 해당 대응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방법에서는, 수신 장치(2)가 해당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방송국(16)으로부터 트리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5분간의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프로그램 개시 5분 후에 영문, 프로그램 개시 8분 후에 문법, 그리고 프로그램 개시 10분 후에 일본어 번역을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219)에 표시를 할 수 있도록, 방송국(16)이 표시 허가 타이밍을 나타내는 트리거 정보를 제공한다.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해당 트리거 정보에 따라 표시 허가를 표시 제어장치(4)에 제공하고, 식별 컨트롤러(11)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인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에 의하면, 표시 허가 시간을 불변 코드내에 미리 기록하는 방법과 상이하고, 시청 개시 시간과 표시 허가 시간의 비교를 표시 제어장치(4)가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 제어장치(4)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이 외에도, 트리거 정보를 미리 컨텐츠에 설정하는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고려된다. 즉, 영어회화 프로그램으로서 방송되는 컨텐츠에, 트리거 정보를 미리 내장한 다음 방송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 장치(2)의 하드 디스크(6)내에 축적된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나중에 재생하는 경우라도, 그 영어회화 프로그램의 컨텐츠 안에 트리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영어 텍스트 등의 컨텐츠의 표시 허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구입하는 것으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 코드가 해당 표시 매체의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를 해당 표시 매체에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의 정보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매월 서점 등에 해당 텍스트를 구입하러 갈 필요가 없으며,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1번 구입하면, 사용 횟수나 사용 기한의 범위내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에 맞추어 자유롭게 해당 텍스트의 내용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컨텐츠 제공 회사는 매월 해당 텍스트를 인쇄 회사에서 종이 매체로 제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재기입 가능하고, 매일 갱신되는 영어 텍스트의 정보를 1매의 표시 매체로 1년 이상 표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제본된 종이 매체와 같이 자원 쓰레기가 되지 않는다. 또, 영어 텍스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같은 유료 컨텐츠에는 해당 표시 매체의 사용 제한이 있지만, 사용 제한을 넘어도 해당 표시 매체의 어느 기간 동안 사용 가능 횟수를 넘지 않으면, 무료 컨텐츠의 표시 등 재이용이 가능하고, 환경 문제를 고려한 자원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컨텐츠에 대해서 사용자의 임의 정보를 복수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제공 회사는 사용자의 지식 레벨에 맞추어 상급, 중급 및 초급이라고 하는 복수 레벨의 임의 정보를 설정하고, 각 임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한다. 즉, 동일한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라고 하더라도, 지식 레벨에 맞추어 내용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1개의 컨텐츠 중에서 자신의 지식 레벨에 맞는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고,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할 수 있다.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정보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임의 정보의 선택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체크 박스에 기록 장치로 표시하는 것으로 행한다. 예를 들면,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가 컨텐츠로서 제공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영어의 지식 레벨에 따라 해당 체크 박스에 표시를 함으로써, 해당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자신의 지식 레벨에 부합하는 컨텐츠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록 장치에 의한 표시는 소거 가능하고 사용자가 몇번이라도 임의로 정보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영어 지식의 상승에 맞추어 해당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을 진행시킬 수가 있다.
또, 1개의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대응 프로그램을 열람 중인지 아닌지를 조건으로 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의 컨텐츠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사용자의 임의의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을 열람 중이면, 수강용의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을 열람하고 있지 않으면, 복습용의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회사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표시에 대해, 일정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컨텐츠에 포함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회사가 생각하는 가장 효과적인 상황에서 사용자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회사의 제어에 따라, 수강용 컨텐츠 데이터나 복습용 컨텐츠 데이터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학습을 진행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임의의 타이밍이 아니라, 컨텐츠 제공 회사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해당 컨텐츠에 포함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회사가 생각하는 가장 효과적인 타이밍에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1개의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표시 허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편성표의 프로그램에 맞추어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회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를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영어회화 프로그램 시청 중에 컨텐츠 제공 회사가 가장 영어 학습에 있어서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타이밍에서, 해당 영어 텍스트를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학습을 진행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텍스트의 사용자에게로의 정보 제공으로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비용의 절감, 사용자의 부담의 감소, 텍스트의 효과적인 활용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ⅰ)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2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800)(이하, "시스템(800)"이라고도 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23에 있어서, 시스템(800)은 사용자 환경(100), 방송국(200), 컨텐츠 제작 회사(300), 코드 센터(500), 중계 위성(317),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320) 및 컨텐츠 제공 회사(400)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800)은 광고지 정보의 배포 수단으로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컨텐츠 제공 회사(400)는 본 실시예에서는 몇개의 소매점포를 갖고 있는 소매업자이다. 컨텐츠 제작 회사(300)는 소매업자(400)로부터 광고지 게재 상품의 정보를 받아 이것을 가공 편집해 디지털 방송의 축적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고, 이것을 방송국(200)에 납입한다.
방송국(200)은 컨텐츠 제작 회사(300)가 제작한 프로그램을 디지털 방송의 축적 프로그램으로 방송한다. 방송파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BS 또는 CS에 의한 방송 서비스의 경우, 중계 위성(317)을 경유하거나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경우,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320)를 경유하여 시청자 자택에 설치된 수신 안테나(10)에 수신된다.
사용자 환경(100)은 수신 장치(2), 리모콘(3), 표시 제어장치(4), 디스플레이(5)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800)은 광고지 정보의 배포 수단으로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 환경(100)은 각 시청자 자택에 설치되는 수신 재생 기기의 환경이다.
수신 장치(2)는 안테나(10)를 구비하며, 하드 디스크(6), 튜너(7), 컨트롤러(8) 및 컨텐츠 리스트(9)를 내장하고 있고, 리모콘(3)이 부속되어 있다. 안테나(10)는 중계 위성(317)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320)로부터 보내 오는 방송파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의 화면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임의로 수신 장치(2)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수신기(2)에는 컨텐츠 선택 편집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6)의 기록 공간은, 논리적으로는, 사용자 영역과 서비스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된다. 사용자 영역은 디지털 방송의 시청자인 사용자가 임의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한편, 서비스 영역은 축적형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축적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축적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억 공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매업자의 판매 상품 정보가 정기적으로 서비스 영역에 축적된다.
튜너(7)는 축적형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 전파를 수신하고, 통상적으로, 방송 또는 축적 프로그램을 재생한 때의 영상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또, 컨트롤러(8)는 CPU를 내장하고 있어 수신 장치(2) 전체를 제어한다. 또, 표시 제어장치(4) 내장의 식별 컨트롤러(11)로부터 요청을 받아, 컨텐츠 리스트(9)나 하드 디스크(6)의 내용을 참조하여 그 기록 내용을 표시 제어장치(4)에 응답으로서 돌려주는 동작도 행한다.
코드 센터(500)는 컨텐츠 제공 회사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각 컨텐츠 제공 회사가 제공하는 축적 컨텐츠에 컨텐츠 코드를 고유하게 할당한다. 할당된 코드는 코드 센터(500)가 관리하는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컨텐츠 코드는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가 컨텐츠 리스트(9)를 참조하여 여러 가지 컨텐츠 제공 회사가 제공하는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컨텐츠 리스트(9)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코드, 컨텐츠명, 백 넘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영역내에 축적된 프로그램(이것의 컨텐츠)의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기억하고 있다.
표시 제어 수단(4)은 식별 컨트롤러(11) 및 코드 리더(12)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 컨트롤러(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주체로 한 CPU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 제어장치(4)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드 리더(12)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에 기록된 식별 정보인 컨텐츠 코드와 점포 코드를 판독한다. 점포 코드에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표시 제어장치(4)는 먼저 코드 리더(12)에 의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에 기록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거나, 해당 식별 정보에 따라 식별 컨트롤러(11)가 표시 제어장치(4)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장치(4)는 식별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9)를 참조한 후, 하드 디스크(6)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 실제로 이들 동작은 식별 컨트롤러(11)가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에 대해서 요청 메시지를 보내 컨트롤러(8)가 그 요청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9)나 하드 디스크(6)에 액세스한 결과를 식별 컨트롤러(11)에 응답으로서 돌려주는 것으로 된다. 외관상으로는, 표시 제어장치(4)가 수신 장치(2)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를 직접 호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동작한다.
(ⅱ) 컨텐츠
도 24는 하드 디스크(6)의 디렉토리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4에 의해 서비스 디렉토리(서비스 영역의 최상위 디렉토리) 이하에 어떻게 축적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컨텐츠 코드를 할당한 축적 프로그램 컨텐츠는 서비스 데렉토리의 바로 아래에 각 코드마다 폴더를 형성한다. 이 계층의 폴더를 "컨텐츠 폴더"라고 한다. 이들 각 폴더에 해당하는 축적 프로그램이 과거의 백 넘버도 포함하여 기록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컨텐츠 코드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불변 코드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설명 중에서 "프로그램" 또는 "축적 프로그램"과 "컨텐츠"는 대략 같은 의미이다. 전자는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기술상의 용어이며, 후자는 제공받는 사람에게 있어가치가 있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국(200)은 컨텐츠 제공 회사(400)의 요청에 의해, 축적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컨텐츠의 기록 장소를 지정하는 정보를 데이터로서 첨부한다. 이 데이터는 당연하게 컨텐츠 코드에 상당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 데이터에 따라, 축적 프로그램으로서 방송되는 컨텐츠가 소정 폴더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하드 디스크(6)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는,「007A」 이외의 컨텐츠 코드를 가지는 다른 축적 프로그램도 컨텐츠의 기록 장소를 지정하는 정보를 따라 방송되고 각각 이 소정 폴더에 수납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디렉토리가 채워지는 경우는, 오래된 컨텐츠가 지워지고, 그 공간이 새로운 컨텐츠의 기록 공간으로서 할당된다.
(ⅲ) 컨텐츠 리스트
도 25는 컨텐츠 리스트(9)를 나타낸다. 컨텐츠 리스트(9)는 컨텐츠 코드, 컨텐츠명, 백 넘버 및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리스트(9)는 하드 디스크(6)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아래에 축적된 컨텐츠를 관리의 편의상 리스트화해 기억하고 있다.
(ⅳ) 페이퍼형 표시 매체
도 26의 (a)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의 외관을 나타낸다.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는 후술하는 불변 코드(331) 및 가변 코드(332)가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말한다.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는 불변 코드(331), 가변 코드(332), 포인트수 표시 영역(334), 컨텐츠 표시영역(33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 회사인 소매업자(400)가 불변 코드(331) 및 가변 코드(332)를 기록하여, 이것을 고객에게 대여한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라는 것은 끈처럼 얇고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 재기입 가능한 표시 매체이며, 일반적으로 "전자 페이퍼" 또는 "디지털 페이퍼" 등으로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재기입 가능"하다는 것은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의 경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열처리 등을 가하는 것으로, 한번 표시한 내용을 소거한 다음 새로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예를 들면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의 경우, 500회 정도는 재기입 가능하기 때문에, 보존은 할 수 없지만, 재이용에 의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서는 로이코계 가역성 감열 기록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고분자 분산형 액정, 카이럴 네마틱 액정에 의한 표시체 또는 전기 영동 방식에 의한 표시 매체 등 여러 가지의 표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불변 코드(331)라는 것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서 몇번 재기입을 행하여도 변화하지 않은 고정적인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① 컨텐츠 코드(007A), ② 사용 횟수 상한치(예컨대, 100회), ③ 대응 프로그램 코드(007), ④ 점포 코드, ⑤ 미디어의 데이터(제조업자, 표시 제어 특성, 기타)가 불변 코드(331)로서 기록된다.
가변 코드(332)라는 것은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이다.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사용 횟수 등은 가변 코드(332)의 일부이다.또, 도 26의 (a)의 334, 336은 사용자가 판독 가변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가변 코드(332)에 기록되는 정보의 일부가 334, 336에 인간이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 컨텐츠 표시 영역(335)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불변 코드(331)에 수납되는 정보는 기계가 판독 가능한 정보가 아니면 안된다. 따라서 불변 코드(331)는, 예를 들면 고정 정보의 내용을 가지는 인쇄된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로 해도 된다. 또는 고정 정보를 기억시킨 RFID를 표시 매체에 내장하여 실현해도 된다. 같은 가변 코드(332)에 수납할 수 있는 정보도 기계가 판독 가능한 정보로 해야 된다. 따라서, 컨텐츠 표시 영역(335)와 동일한 재기입 가능 영역에 가변 정보의 내용을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로 인쇄해 실현해도 되고, 표시 매체에 내장된 RFID에 가변 정보를 기록시켜 실현해도 된다.
(v) 코드의 기록
불변 코드(331) 및 가변 코드(332)의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의 기록은 제1 실시예와 거의 같기 때문에,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 불변 코드(31)는 본 실시예에서 불변 코드(331)로 치환한 것으로, 가변 코드(32)는 본 실시예에서 가변 코드(332)로 치환한 것으로 한다.
(ⅵ) 정보 제공 처리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800)의 개략 구성,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페이퍼형 표시 매체와 매체에의 코드의 기록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시스템(800)을 사용한 정보 제공 처리를, 처리의 흐름에 따라, 컨텐츠 축적의 처리, 미디어 작성 배포의 처리, 미디어 사용의 순서로 설명한다.
(ⅶ) 컨텐츠 축적
도 29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축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컨텐츠 축적 처리의 흐름을 도 29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제공 회사(400)는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코드를 코드 관리 센터(500)에 신청한다. 코드 관리 센터(500)는 이미 발행한 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코드를 할당하고, 이것을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동시에 이것을 컨텐츠 제공 회사(40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컨텐츠 코드가 결정된다(단계 S310). 컨텐츠 제공 회사(400)는 컨텐츠 코드나 속성 항목의 내용을 방송국에게 전달한다(단계 S314). 방송국(200)은 특별한 축적형 프로그램에 의해, 컨텐츠 제공 회사로부터 받은 컨텐츠 코드 및 속성 데이터를 방송하고, 그 정보를 수신 장치(2)에게 전달한다(단계 S315).
사용자 환경(100)에 있어서, 수신 장치(2)는 상기 특별한 축적형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수신기(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프로그램에 첨부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 및 속성 데이터를 도 24에 나타낸 하드 디스크내의 서비스 디렉토리 바로 아래의 새로운 폴더에 기록한다(단계 S316). 또한, 컨트롤러(8)는 컨텐츠 코드 및 속성 데이터에 따라 도 25에 나타낸 컨텐츠 리스트(9)를 작성하고, 컨텐츠 코드 및 컨텐츠명을 기록한다(단계 S317). 간단히 말하면, 이 특별한 축적형 프로그램은 "007A"의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기록 매체가 표시 제어장치(4)에 삽입되었을 때에, 식별 컨트롤러(11)가 정확하게 컨텐츠 코드 "007A"의 축적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 이들 설정 처리는 특별한 축적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BML의 스크립트를 포함시켜 방송하고, 컨트롤러(8)가 이 스크립트를 해석함으로써 실행되도록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컨텐츠 제공 회사, 즉 소매업자(400)는 불변 코드(331) 및 가변 코드(332)를 기록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이하, 미디어)를 준비하고, 각 점포에서 내점자에게 배포한다(단계 S336). 불변 코드(331)에는 컨텐츠 코드와 점포 코드가 포함된다. 가변 코드(332)에는 사용 횟수(초기값은 0), 획득 포인트수의 초기값이 기록된다.
컨텐츠 제작 회사(300)는 컨텐츠 제공 회사(400)로부터 필요한 지시와 필요한 데이터의 공급을 받고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하여 방송국(200)에 납품한다(단계 S318).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문에 끼워넣은 광고지의 발행 빈도, 예를 들면 매주 금요일 등과 동일한 간격으로 컨텐츠 데이터가 제작되고 방송국에 납품된다.
방송국(200)은 받은 컨텐츠 데이터에 컨텐츠 코드 등 필요한 데이터를 부가하고, 축적형 프로그램으로서의 형식을 정비하여 방송한다(단계 S319). 사용자 환경(100)에서,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해당하는 컨텐츠 코드의 폴더에 저장한다(단계 S321).
도 29에서, 단계 S310로부터 단계 S317은 1회 처리하면 된다. 말하자면, 초기설정의 처리이다. 단계 S318 → S319 → S321은 매회(예컨대, 매주) 반복되는 루틴 작업이다.
(ⅷ) 미디어 작성 배포의 처리
상기 단계 S336의 처리이다.
(ⅸ)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사용
도 30은 미디어의 사용시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미디어(319)를 표시 제어장치(4)에 세팅한다(단계 S340). 표시 제어장치(4)의 코드 리더(12)는 미디어(319)에 기록되어 있는 불변 코드(331) 및 가변 코드(332)를 판독한다(단계 S342). 판독한 정보(컨텐츠 코드와 점포 코드)는 표시 제어 처리의 요청메시지에 첨부되어 수신기(2)의 컨트롤러(8)에 송부된다.
다음으로, 수신기(2)의 컨트롤러(8)는 컨텐츠 리스트(9)를 판독하고, 미디어가 기록하고 있던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리스트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S344). 일치하는 컨텐츠 코드의 기록이 컨텐츠 리스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표시 제어장치(4)상에「표시불가」라고 표시한다(단계 S345).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에 그 취지를 회답한다. 한편, 일치하는 컨텐츠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8)가 그 컨텐츠 코드와, 첨부되어 수취한 점포 코드를 키로 하고, 해당하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한 컨텐츠 폴더에 수납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점포 코드에 맞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TV 모니터(5)에 표시한다(단계 S349).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같은 리스트로 하여 표시한다. 이 후, 컨텐츠 선택 편집 수단으로서 동작하는, 상품의 선택과 편집을 행하는 상품 선택 편집 프로그램이 기동하여, 사용자의 리모콘 입력 대기로 된다(단계 S350). 사용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TV 모니터 화면으로부터 상품을 선택한다. 상품 선택 편집 프로그램의 사양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미디어의 1화면에 포함되도록 사이즈의 변경도 포함한 편집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선택 편집 종료를 의미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품의 선택과 편집을 행하는 프로그램은, 선택된 상품 데이터와 레이아웃 데이터를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에 반송한다. 식별 컨트롤러(11)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TV 모니터상에 표시한 상품 정보를 그 외관으로 미디어상에 표시(기록)한다(단계 S352). 도 28은 그와 같이 하여 상품 정보가 표시·기록된 미디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개의 상품이 선택되고 1화면에 편집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상품 정보만을 도 28에 나타낸 것과 같이 1매의 미디어에 집약하여 점포로 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신문에 끼워넣는 광고지와 같은 기능을 보다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선택 편집 프로그램은 매회 축적 프로그램 데이터에 BML 스크립트로서 포함시켜 수신기(2)에 저장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소매업자(400)는 상품 정보가 표시·기록된 미디어에 게재된 상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인쿠폰권으로 하는 것으로 고객의 미디어 이용을 촉구할 수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점포에의 내점 촉진을 촉구한다. 도 28은 그와 같은 경우의 상품 정보가 표시·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미지도이다. 영역 339는 쿠폰권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쿠폰 대상 상품의 인쇄 내용에 상품의 JAN 코드 등의 상품을 특정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 불변 코드(331) 및 가변 코드(332)가 기록된 미디어 자체를 포인트 카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변 코드(332)의 내용 누적 획득 포인트를 포함하면 된다. 소매업자(400)의 각 점포에는 리더-라이터(reader-writer) 장치(323)을 준비해 두면 된다. 리더-라이터 장치(323)는 로이코 염료를 주원료로 하는 감열 발색제를 사용하는 리라이트(rewrite) 카드용의 리더-라이터 장치와 마찬가지의 판독 헤드 및 인쇄 헤드를 구비하여 실현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319)를 쿠폰권으로 사용하거나 포인트 카드로서 사용하면, 미디어의 이용이 촉진되어 생활자는 편리하게 되며, 동시에, 결과적으로 끼워넣은 광고지의 작성 배포나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광고지 정보를 종이에 인쇄하는 것에 의한 종이 자원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의 끼워넣은 광고지 대신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고객과 소매업 점포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1회 한정의 종이에의 인쇄가 아니라, 필요한 상품의 정보만을 선택하여 간단하게 쇼핑 메모를 작성할 수 있으며, 또한 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에 의한 정보 제공 시스템과 비교하여 간편하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제5 실시예]
(ⅰ)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3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31에 있어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환경(1), 방송국(16), 인공위성(17),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320), 네트워크(402),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470), 컨텐츠 제공 회사(413), 코드 관리 센터(414), 제조업자(460) 및 소매업자 점포(480)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제조업자(460)가 제조하는 상품의 취급 설명서의 정보나, 그 상품의 오락편 최신 정보, 다음에 진행하는 상품 정보, 버전업 정보 또는 정보 가전의 연계 정보, 메인트넌스 정보(이하,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라고 한다)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제조업자(460)에게 납품하고 있다. 또,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해당 취급 설명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작성하고, 방송국(16) 및 ISP(470)에 납품하고 있다.
코드 관리 센터(414)는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인 컨텐츠에 포함되는 속성 데이터를 받고, 해당 속성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의 식별 정보가 되는 컨텐츠 코드를 작성한다. 컨텐츠 코드는 컨텐츠 제공 회사(413)를 통하여 방송국(16) 및 ISP(470)에 납품된다. 또, 컨텐츠 코드는 제조업자(460)에게도 통지된다. 그리고, 코드 관리 센터(414)는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 받은 속성 데이터 및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세트로 관리 DB(415)에 기억시킨다.
제조업자(46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취득 또는 구입하는 상품(461)을 제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은 가정용 전자제품, 일용품, 화장품, 완구, 식품 재료, 가구, 사무기기, 자동차 등을 들 수 있다. 제조업자(460)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코드 관리 센터(414)로부터 통지된 컨텐츠 코드를 기록하고,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작성한다. 또, 제조업자(460)는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납품된 취급 설명서의 정보에 따라 취급 설명서를 제본한다. 이 때,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일체화시킨다. 여기서, "일체화"란, 예를 들면 취급 설명서인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절취 가능 형식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제조업자(460)는 제조한 상품(461) 및 제본한 취급 설명서를 유통기구에 싣기 위해, 소매업자 점포(480)에 납품한다.
소매업자 점포(480)는 판매점이며, 상품(461)을 매장에 두고, 사용자에게 판매한다. 통상, 취급 설명서는 상품(461)에 부속되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판매된다. 그리고,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소매업자 점포(480)는 사용자 환경(1)과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 표시 제어장치(4), 리모콘(3), 디스플레이(5) 및 안테나(10)를 구비한다.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 납품된 속성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로 구성되는 컨텐츠를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320)를 통해 사용자 환경(1)이나 소매업자 점포(480)에게 제공한다.
또, ISP(470)는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 납품된 컨텐츠를 컨텐츠 코드를 키(key)로 하여 모두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 환경(1)이나 소매업자 점포(480)가 가지는 수신 장치(2)가 요구하는 소정 컨텐츠의 컨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402)를 통하여 송신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일반적으로 방송국(16)이 제공하고, 수신 장치(2)의 하드디스크(6)내에 축적되는 컨텐츠는 일정한 기한이 설정된다. 하드 디스크(6)내에 기억되는 컨텐츠는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인 컨텐츠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인 컨텐츠가 최신판만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도 고려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신판로부터 오래된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인 컨텐츠 데이터를 요구했을 경우, 수신 장치(2)는 ISP(47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한다.
사용자 환경(1) 및 소매업자 점포(480)는 수신 장치(2)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된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5)상에서 시청 및 열람할 수 있다. 수신 장치(2)는 수신한 컨텐츠를 기록 및 축적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조업자(460)가 제조하고, 소매업자 점포(480)로 판매하고 있는 상품(461)을 구입하며, 이와 동시에 부속된 취급 설명서를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환경(1)에 있어서 표시 제어장치(4)에 의해 취급 설명서와 일체화되어 있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환경(1)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또, 컨텐츠, 컨텐츠 리스트,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 코드의 기록에 대하여는, 제2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5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상품(461)에 관한 취급 설명에 관련되는 일부의 정보이며,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와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2종류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또, 컨텐츠 리스트에 있어서, 백 넘버가 기억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신판 이외의 취급 설명에 관한 컨텐츠 데이터는 ISP(470)가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ⅱ) 정보 제공 처리
다음으로, 도 31에 나타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제공 처리는 컨텐츠 축적 처리, 코드 기록 처리 및 표시 제어 처리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컨텐츠 축적 처리인 대하여 설명한다. 컨텐츠 축적 처리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컨텐츠용의 상품(461)에 관한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에 따라 속성 데이터를 작성하고, 코드 관리 센터(414)에 통지한다. 코드 관리 센터(414)는 속성 데이터를 받아, 해당 속성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의 식별 정보인 컨텐츠 코드를 작성한다. 또한, 코드 관리 센터는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키로 하여 해당 속성 정보에 대응시켜 관리 DB(415)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코드 관리 센터(414)는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컨텐츠 제공 회사(413)에 통지한다.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코드 관리 센터(414)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받는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속성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코드를 방송국(16) 및 ISP(470)에 납품한다. 방송국(16)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 받은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를 인공위성(17)이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지(320)를 통하여 사용자 환경(1)이나 소매업자 점포(480)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1)이나 소매업자 점포(480)(이하, "사용자 환경(1) 등"이라고한다)에 있어서, 수신 장치(2)는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를 포함하는 방송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수신한 방송파 중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를 하드 디스크(6)내의 컨텐츠 폴더에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러(8)는 해당 속성 데이터 및 컨텐츠 코드에 기초하여 컨텐츠 리스트(9)를 작성하고, 컨텐츠 코드 및 컨텐츠명을 기록한다.
한편,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컨텐츠용 상품(461)에 관한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하고, 방송국(16) 및 ISP(470)에 납품한다. 방송국(16)은 컨텐츠 제공 회사(413)로부터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받아,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환경(1) 등에 제공한다. 사용자 환경(1) 등에 있어서, 컨트롤러(8)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하드디스크(6)내의 소정 컨텐츠 폴더 아래에 컨텐츠 종류에 따라 기록한다.
다음에, 코드 기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드 기록 처리에 있어서, 먼저,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를 제조업자(460)에게 납품한다. 한편, 코드 관리 센터(414)는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제조업자(460)에게 통지하고, 제조업자(460)는 해당 컨텐츠 코드를 받는다.
제조업자(460)는 해당 컨텐츠 코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데이터를 불변 코드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제조업자(460)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이용과정에서 변화하는 가변인 정보를 가변 코드로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한다. 이로써,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작성된다.
그리고, 제조업자(460)는 취급 설명의 정보에 따라 취급 설명서를 제본하고,작성한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와 절취 재봉틀눈이나, 임시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일체화시킨다. 또한, 제조업자(460)는 상품(641) 및 취급 설명서를 소매업자 점포(480)에 납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매업자 점포(480) 등을 통하여 상품(641)을 구입하는 것으로, 해당 상품(461)에 부속된 취급 설명서와 일체화되어 있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제어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 환경(1)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표시 제어장치(4)에 세팅한다. 표시 제어장치(4)의 코드 리더(12)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불변 코드 및 가변 코드를 판독한다. 코드 리더(12)가 판독한 불변 코드 및 가변 코드의 정보는 표시 제어장치(4)내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텐츠 리스트(9)를 확인한다.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표시 제어장치(4)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추출하고,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에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표시 제어장치(4)내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코드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이다.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하드 디스크(6)내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표시 제어장치(4)상에서「표시불가」라고 표시한다. 한편,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고, 일치한 경우, 식별 컨트롤러(11)는 해당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9)를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한다. 여기서, 컨텐츠 리스트(9)에 표시하는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하드디스크(6)내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매우 오래된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인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고 싶은 경우 등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는 네트워크(402)를 통하여 ISP(47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요구하는 컨텐츠 데이터가 하드디스크(6)내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디스플레이(5) 등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1SP(470)로부터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는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 및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의 2종류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 디스플레이(5)에 표시할 수 있는 정지 화상이라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5)에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화상이므로 정지화상보다도 리얼리티가 있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표시 대상물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종류도 고려하여, 해당 표시 대상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의입력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를 통하여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가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페이퍼형 표시 매체의 특성에 의해서는, 입력 수단이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예를 들면 입력키 등 상태에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 장치(2) 또는 ISP(47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가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한다. 한편,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가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취급 설명서의 제본은 제조업자(460)가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업자(460)와는 별개의 인쇄 회사 등이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에 있어서는 통상의 종이 매체에 의한 정지화상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해, 동화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동화상과 정지화상을 끼워넣은 취급설명 등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입장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SP(470)에 지금까지의 취급 설명에 관한 컨텐츠 데이터가 모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2)가 가지는 하드디스크(6)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득하고, 디스플레이(5) 등을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소매업자 점포(480)에 있어서도, 사용자 환경(1)과 동일하게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5)에 의해 상품의 취급 설명을 동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ⅲ) 변형예 1
상기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에 부속되는 취급 설명서에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일체화시켜, 해당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품 자체 또는 상품의 포장 등에 컨텐츠 코드를 기록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하여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품에 기록되는 컨텐츠 코드는 사용자가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 환경(1) 등에서 표시 제어장치(4)는 사용자가 수동 입력 등에 의해 입력하는 컨텐츠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범용적인 것이며(이하, "범용 페이퍼형 표시 매체"라고 한다), 사용자 환경(1) 등이 이미 가지고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요구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가능하다고 한다.
정보 제공 처리는 컨텐츠 축적 처리, 코드 기록 처리 및 표시 제어 처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컨텐츠 축적 처리는 상술한 것과 대략 동일하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변형예 1에 있어서, 취급 설명서는 제본되지 않고, 모두 컨텐츠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 회사(413)는 상품에 관한 취급 설명이나, 그상품의 오락편 최신 정보, 다음 진행의 상품 정보, 버전업 정보, 또 정보 가전의 연계 정보, 메인트넌스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하여 방송국(16) 및 ISP(470)에 납품한다.
다음에, 코드 기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드 기록 처리에 있어서, 먼저 코드 관리 센터(414)는 작성한 컨텐츠 코드를 제조업자(460)에게 통지하고, 제조업자(460)는 해당 컨텐츠 코드를 받는다. 그리고, 제조업자(460)는 제조한 상품(462)의 포장에 해당 컨텐츠 코드를 기록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제어 처리에서, 사용자 환경(1)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범용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표시 제어장치(4)에 세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품(462)의 포장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를 수동 입력 등에 의해 표시 제어장치(4)에 입력한다. 이로써, 컨텐츠 코드는 표시 제어장치(4)에 기억된다. 한편,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는 수신 장치(2)의 컨텐츠 리스트(9)를 확인한다.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표시 제어장치(4)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추출하고, 컨텐츠 리스트(9)의 컨텐츠 코드에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표시 제어장치(4)로부터 추출한 컨텐츠 코드는 상품(462)의 포장지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이다.
상품(462)의 포장지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하드디스크(6)내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표시 제어장치(4)상에서「표시불가」라고 표시한다. 한편, 상품(462)의 포장지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가 컨텐츠 리스트(9)내에 존재하고, 일치한 경우, 식별 컨트롤러(11)는 해당 컨텐츠 코드와 일치하는 컨텐츠 리스트(9)를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된 컨텐츠 리스트(9)로부터 범용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콘(3) 또는 디스플레이(5)상의 화면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는 수신 장치(2)의 컨트롤러(8)를 통해 표시 제어장치(4)의 식별 컨트롤러(11)에 의해 인식된다.
그리고, 식별 컨트롤러(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 장치(2) 또는 ISP(47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식별 컨트롤러(11)는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가 정지화상 컨텐츠 데이터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코드 범용 페이퍼형 표시 매체 또는 디스플레이(5)에 표시한다. 한편,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가 동화상 컨텐츠 데이터이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5)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품에 통상의 종이 매체에 의해 제본된 취급 설명서를 부속시키지 않아도, 사용자는 범용 페이퍼형 표시 매체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관한 취급 설명의 관련 정보도 취득할 수 있어 열람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업자는 통상의 취급 설명서를 작성하지 않는 것으로 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버전업 상품의 추천이나 관련되는 자사 제품의 선전도 된다. 또, 종이 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되므로 자원의 유효 활용이 된다.
(ⅳ) 변형예 2
상기 예에 있어서는, 표시 제어장치(4)가 컨텐츠 코드를 식별하고 해당 컨텐츠 코드에 따라 수신 장치(2)내의 하드디스크(6) 또는 ISP(470)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능을 리모콘이 가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코드가 바코드에 의해 상품의 포장 등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리모콘은 바코드 리더를 가진다. 또, 컨텐츠 코드가 RFID에 의해 상품 자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리모콘은 RFID에 기록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의 제5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장치(4)가 행하고 있던 처리를 리모콘이 행하는 는 것으로 하기 위해, 도 31에서 표시 제어장치(4)를 대신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소정 컨텐츠의 재기입 표시 기능을 갖는 구동 장치가 있으면 된다.
(ⅴ) 변형예 3
상기의 예에 있어서는, 코드 기록된 페이퍼형 표시 매체나 상품의 포장 등에 기록된 컨텐츠 코드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5)나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하는 컨텐츠를 동화상, 정지화상에 의하지 않고, 모두 디스플레이(5)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코드가 상품 자체나 상품의 포장 등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개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 환경(1) 등에 있어서 페이퍼형 표시 매체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응용예]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컨텐츠나 프로그램은 방송파를 통해서 송신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방송파는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방송국으로부터 전파나 케이블 등을 통해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나 프로그램이 인터넷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컨텐츠나 프로그램은 반송파를 이용하여 송신 가능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또, 그 송신·전송 방법의 어느 것에도 구속되지 않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적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절차의 간소화, 비용의 절감 및 환경 문제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대해, 신문이나 텍스트의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거나 광고선전을 행할 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9)

  1.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컨텐츠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되는 횟수에 해당하는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사용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판독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 횟수가 상기 사용 제한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 제한 횟수 및 상기 사용 횟수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의 리스트를 제시하는 리스트 제시 수단과;
    상기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사용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변경 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가변 코드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때에 필요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특성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9. 컨텐츠에 부여된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는 표시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는 상기 기재와 상기 표시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때에 필요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자체의 특성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는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 가능한 횟수인 사용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기록하고,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되는 횟수인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코드를 변경 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가변 코드 기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는 표시층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는 상기 기재와 상기 표시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 코드 기록부 및 상기 컨텐츠 표시부는 상기 표시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14.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표시 장치상에 표시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정지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정지화상 컨텐츠 및/또는 동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상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의 리스트를 제시하는 리스트 제시 수단과;
    상기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 및/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에 할당된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인쇄물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인쇄물과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1. 컨텐츠에 할당된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인쇄물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22.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사용자의 임의의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임의의 정보를 판독하는 임의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를, 상기 임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임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임의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설정되며, 상기 임의의 정보는 재기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임의의 정보는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가 갖는 복수의 체크 박스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기록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사용자의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임의 정보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6.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수신 수단과;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는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프로그램 재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프로그램에 관한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시간 정보 산출 수단과;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표시 허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표시 허가 정보를 판독하는 표시 허가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의 유무, 상기 시간 정보 산출 수단에 의한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표시 허가 시간 판독 수단에 의한 상기 표시 허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이후 경과한 시간이며, 상기 표시 허가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허가하기 위해 설정된 상기 프로그램의 재생 개시 이후에 경과한 일정한 시간이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시간 정보가 상기 표시 허가 정보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허가 정보는 1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재생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재생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수신 수단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1. 컨텐츠에 할당된 컨텐츠 코드를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는 불변 코드 기록부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기록부와;
    사용자의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임의 정보 기록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32. 제31에 있어서,
    상기 임의 정보 기록부는 체크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임의 정보는 사용자가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체크 박스에 기록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불변 코드 기록부에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할 때의 시간적 제한을 나타내는 표시 허가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
  34.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5.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1 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선택 및 편집한 컨텐츠를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6.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1 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편집한 컨텐츠를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되며,
    상기 컨텐츠 수신 수단 및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8. 점포에 설치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용의 판독 및 기입 장치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포인트 정보와 함께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시스템.
  39. 점포에 설치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용의 판독 및 기입 장치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1 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이 편집한 컨텐츠를 포인트 정보와 함께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시스템.
  40. 점포에 설치되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용의 판독 및 기입 장치와;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컨텐츠를 기억하는 컨텐츠 기억 수단과;
    컨텐츠 코드 및 속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를 판독하는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상기 컨텐츠 코드 및 상기 속성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컨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1 화면에 편집하는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과;
    상기 컨텐츠 선택 및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컨텐츠를 포인트 정보와 함께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시스템.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되며,
    상기 컨텐츠 수신 수단 및 상기 컨텐츠 기억 수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시스템.
  42.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물품으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3.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물품으로부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 수단과;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표시 장치상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코드 판독 수단이 판독한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5.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상에 표시하기 위해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상기 컨텐츠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7.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코드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하기 위해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컨텐츠 코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9. 제47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코드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퍼형 표시 매체에 상기 컨텐츠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10-2004-7014108A 2002-03-08 2003-03-07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KR20040104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4261 2002-03-08
JPJP-P-2002-00064261 2002-03-08
JPJP-P-2002-00160493 2002-05-31
JP2002160493 2002-05-31
JP2002198450A JP4450546B2 (ja) 2002-07-08 2002-07-08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ペーパー状表示媒体
JPJP-P-2002-00198450 2002-07-08
JPJP-P-2002-00264669 2002-09-10
JP2002264669A JP4220204B2 (ja) 2002-09-10 2002-09-10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トシステム
PCT/JP2003/002747 WO2003077171A1 (fr) 2002-03-08 2003-03-07 Systeme de fourniture d'informations et support de presentation en format pap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500A true KR20040104500A (ko) 2004-12-10

Family

ID=2780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108A KR20040104500A (ko) 2002-03-08 2003-03-07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14882A1 (ko)
EP (1) EP1489540A4 (ko)
KR (1) KR20040104500A (ko)
WO (1) WO20030771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31B1 (ko) * 2005-04-07 2007-11-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속도로 통행권 및 고속도로 통행권 발행 및 회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3388B2 (en) * 2003-05-29 2008-12-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 of image formation using read information
JP4418183B2 (ja) * 2003-06-26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7150785A (ja) * 2005-11-29 2007-06-14 Sony Corp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887800B2 (ja) * 2006-01-24 2012-02-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システム
KR20080042356A (ko) * 2006-11-09 2008-05-15 추유신 디지털 복합도서 시스템
US20100223660A1 (en) * 2009-02-27 2010-09-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with time limit restrictions
US8806529B2 (en) 2012-04-06 2014-08-12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Variability in available levels of quality of encoded content
JP6479473B2 (ja) * 2012-11-26 2019-03-0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受信表示方法
US9491522B1 (en) 2013-12-31 2016-11-08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relating to media content on a content interface based on state information that indicates a subsequent visit to the content interface
JP2020071764A (ja) * 2018-11-01 2020-05-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指示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4677B (en) * 1988-01-26 1991-06-2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ecoding transmitted scrambled signals
JP2865217B2 (ja) * 1991-05-21 1999-03-08 共同印刷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US7044395B1 (en) * 1993-11-18 2006-05-16 Digimarc Corporation Embedding and reading imperceptible codes on objects
JP3395863B2 (ja) * 1994-08-10 2003-04-14 富士通株式会社 ソフトウエア管理モジュール、ソフトウエア再生管理装置およびソフトウエア再生管理システム
TW387181B (en) * 1995-07-10 2000-04-11 Hitachi Ltd Electronic press information dispatching system
US5903729A (en) * 1996-09-23 1999-05-11 Motorola, Inc. Metho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navigating to a resource in an electronic network
US6432518B1 (en) * 1998-12-28 2002-08-13 Ricoh Company, Ltd. Erasable recording material capable of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written thereon and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ing the recording material
US6728000B1 (en) * 1999-05-25 2004-04-2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a document
US6347319B1 (en) * 1999-06-04 2002-02-1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s of obtaining listings of information from databases
JP4416980B2 (ja) * 1999-10-25 2010-02-17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JP2001167285A (ja) * 1999-12-09 2001-06-22 Toshiba Corp 電子紙面作成システム及び電子紙面作成方法
JP3578057B2 (ja) * 2000-07-06 2004-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d管理システム
JP2002024178A (ja) * 2000-07-11 2002-01-25 Web I Inc コンテンツ認証システム、コンテンツ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24570A (ja) * 2000-07-12 2002-01-25 Fuji Xerox Co Ltd コンテンツ情報出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31B1 (ko) * 2005-04-07 2007-11-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속도로 통행권 및 고속도로 통행권 발행 및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9540A1 (en) 2004-12-22
US20050114882A1 (en) 2005-05-26
WO2003077171A1 (fr) 2003-09-18
EP1489540A4 (en)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mer et al. Digital newspapers explore marketing on the Internet
US68301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electronic data via a familiar printed medium
Lee Bookmaking: editing, design, production
Govoni Dictionary of marketing communications
US20060229940A1 (en) Method of distributing printed advertising
EP0624268A4 (en) INFORMATION PUBLISH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501768A (ja) 印刷装置上で文書を自動プリントするための文書配信システム
KR20040104500A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페이퍼형 표시 매체
US7578429B2 (en) System for writing information and method of writing information
JP2000285174A (ja) 文字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文字コンテンツ開示装置
AU2001282683B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product supplier and a potential buyer
JP42202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トシステム
AU2001282683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product supplier and a potential buyer
JP4245378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ペーパー状表示媒体及び情報提供方法
US20040128620A1 (en) Web portal
JP445054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ペーパー状表示媒体
JP200406474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ペーパー状表示媒体
TW480422B (en) A system fo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closed loop response architecture for electronic commerce
JP2007305103A (ja) 広告媒体および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JP2008135050A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
JP200900385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N116823347A (zh) 一种网站广告位及广告的管理系统及方法
JP2004109501A (ja) オリジナルメディアソフト作成サービス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044614A (ja) 展示物説明システム
US20060173737A1 (en) Business card CD that contains an e-brochure that is simultaneously published on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