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031A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031A
KR20040103031A KR1020030034913A KR20030034913A KR20040103031A KR 20040103031 A KR20040103031 A KR 20040103031A KR 1020030034913 A KR1020030034913 A KR 1020030034913A KR 20030034913 A KR20030034913 A KR 20030034913A KR 20040103031 A KR20040103031 A KR 2004010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mera
cam plate
ball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002B1 (ko
Inventor
서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002B1/ko
Priority to JP2004155358A priority patent/JP3908239B2/ja
Priority to AT04012580T priority patent/ATE375682T1/de
Priority to EP04012580A priority patent/EP1492332B1/en
Priority to US10/856,634 priority patent/US7443446B2/en
Priority to DE602004009369T priority patent/DE602004009369T2/de
Priority to CNB2004100473020A priority patent/CN1306858C/zh
Publication of KR2004010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는 폴더의 케이스(101)에 형성된 카메라 안착홈(102)에 설치되는 카메라(103)와, 그 카메라(103)가 고정되는 캠 플레이트(104)와, 그 캠 플레이트(104)의 캠면(104a)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돌출캠(107)과, 그 돌출캠(107)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텝 모터(105) 및 상기 돌출캠(107)과 캠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108)로 구성되어, 버튼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로 카메라(103)의 각도를 변화시켜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편리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CAMERA ANGLE CONTROL APPARATU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영상을 촬영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영상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영상촬영을 위하여 카메라가 단말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2)와, 그 단말기 본체(2)에 힌지결합되어 단말기 본체(2)에 대하여 개,폐되며 단말기 본체(2)를 보호하고 상대방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화면(3a)을 내,외측에 구비하는 폴더(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면에는 충방전을 위한 배터리(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일측 상단부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더(3)의 외측면 상단부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6)가 설치되어 있다. 그 카메라(6)는 폴더(3)의 케이스(7)에 음형지도록 형성된 카메라 안착홈(8)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1)에 덮어있는 폴더(3)를 열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때는 폴더(3)를 열고 얼굴 측면에 단말기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화상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1)에 설치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화상 송수신을 위한 메뉴선택을 한 다음, 카메라(6)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하고, 상대방에게서 수신되는 영상은 화면(3a)으로 확인하면서 상대방과 대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6)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피사체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는 카메라(6) 전체를 움직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가 움직이거나 다른 피사체를 촬영할 때 간편하게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변경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캠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돌출캠과 연결볼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볼 조인트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의 각도조정동작을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케이스 102 : 카메라 안착홈
103 : 카메라 104 : 캠 플레이트
104a : 캠면 106 : 스텝 모터
106a : 모터축 107 : 돌출캠
108 : 볼 조인트 111 : 볼 결합홈
112 : 연결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카메라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의 후면에 고정되는 캠 플레이트와,
그 캠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스텝 모터와,
그 스텝 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며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플레이트의 캠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돌출캠과,
그 돌출캠이 상기 캠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캠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돌출캠과 연결볼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는 단말기 폴더의 케이스(101)에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안착홈(102)의 내측에 설치된 카메라(103)의 후면에 고정되는 캠 플레이트(104)와, 그 캠 플레이트(104)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스텝 모터(106)와, 그 스텝 모터(106)의 모터축(106a)에 고정되며 모터축(106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플레이트(104)의 캠면(104a)에 접촉된상태로 회전되는 돌출캠(107)과, 그 돌출캠(107)과 캠 플레이트(104)가 연결된 상태로 돌출캠(107)이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볼 조인트(10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캠 플레이트(104)는 원형 판체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위치에 따라 높이차가 다른 캠면(10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 조인트(10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플레이트(104)의 캠면(104a) 중앙부에 형성되는 볼 결합홈(111)과, 상기 돌출캠(107)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볼 결합홈(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모터축(106a)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볼(1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볼 결합홈(111)의 입구부(111a)의 직경(d)은 볼 결합홈(111)의 직경(D)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112)의 직경(D')는 볼 결합홈(111)의 입구부 직경(d) 보다는 크고 볼 결합홈(111)의 직경(D)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연결볼(112)이 볼 결합홈(111)에 일정힘을 가하여 삽입된 상태에서는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의 동작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화상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화상 송수신을 위한 메뉴선택을 한 다음, 폴더에 설치된 카메라(103)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적정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하고, 상대방에게서 수신되는 영상은 화면을 확인하면서 상대방과 대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카메라(103)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가 이동되거나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키를 조작하면 프로그래밍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텝 모터(106)가 회전을 하고, 그 모터축(106a)에 설치된 돌출캠(107)이 회전을 하며, 돌출캠(107)에 캠면(104a)이 밀착되어 있는 캠 플레이트(104)의 각도가 변화되어 캠 플레이트(104)에 결합된 카메라(103)의 촬영각도가 변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103)가 설치된 캠 플레이트(104)는 캠면(104a) 중앙부에 형성된 볼 결합홈(111)에 돌출캠(107)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볼(112)이 삽입결합되어 있어서, 돌출캠(107)의 회전에 따라 소정각도로 변화됨과 아울러 연결상태가 해체되지 않도록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는 카메라가 고정되는 캠 플레이트와, 그 캠 플레이트의 캠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돌출캠과, 그 돌출캠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텝 모터 및 상기 돌출챔과 캠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로 구성되어, 버튼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로 카메라의 각도를 변화시켜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편리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카메라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의 후면에 고정되는 캠 플레이트와,
    그 캠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스텝 모터와,
    그 스텝 모터의 모터축에 고정되며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플레이트의 캠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돌출캠과,
    그 돌출캠이 상기 캠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상기 캠 플레이트의 캠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볼 결합홈과, 상기 돌출캠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볼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모터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KR10-2003-0034913A 2003-05-30 2003-05-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KR10051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913A KR100518002B1 (ko) 2003-05-30 2003-05-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JP2004155358A JP3908239B2 (ja) 2003-05-30 2004-05-25 モバイル通信装置のカメラモジュール回転角度調節装置
AT04012580T ATE375682T1 (de) 2003-05-30 2004-05-27 Vorrichtung zur rotationswinkeleinstellung eines kameramoduls in einem mobilgerät
EP04012580A EP1492332B1 (en) 2003-05-30 2004-05-27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 angle of a camera modul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856,634 US7443446B2 (en) 2003-05-30 2004-05-27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 angle of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602004009369T DE602004009369T2 (de) 2003-05-30 2004-05-27 Vorrichtung zur Rotationswinkeleinstellung eines Kameramoduls in einem Mobilgerät
CNB2004100473020A CN1306858C (zh) 2003-05-30 2004-05-31 用于控制移动通信设备相机模块转动角度的仪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913A KR100518002B1 (ko) 2003-05-30 2003-05-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031A true KR20040103031A (ko) 2004-12-08
KR100518002B1 KR100518002B1 (ko) 2005-09-30

Family

ID=3341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913A KR100518002B1 (ko) 2003-05-30 2003-05-30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43446B2 (ko)
EP (1) EP1492332B1 (ko)
JP (1) JP3908239B2 (ko)
KR (1) KR100518002B1 (ko)
CN (1) CN1306858C (ko)
AT (1) ATE375682T1 (ko)
DE (1) DE6020040093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5100B2 (en) 2005-10-06 2008-09-16 Motorola, Inc. Integrated selectively angled camera for clam style products
WO2007045261A1 (en) * 2005-10-20 2007-04-26 Asulab S.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functions and/or data of a vehicle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TWI386009B (zh) * 2007-01-22 2013-02-1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照相功能之便攜式電子裝置
WO2008141335A1 (en) 2007-05-15 2008-11-20 Xm Satellite Radio, Inc. Vehicle message addressing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CN101997940B (zh) * 2009-08-19 2014-07-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9071740B1 (en) 2011-10-28 2015-06-30 Google Inc. Modular camera system
US9197686B1 (en) 2012-01-06 2015-11-24 Google Inc. Backfill of video stream
US9544485B2 (en) 2015-05-27 2017-01-10 Google Inc. Multi-mode LED illumination system
US9454820B1 (en) 2015-06-12 2016-09-27 Google Inc.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for depth determination
US9626849B2 (en) 2015-06-12 2017-04-18 Google Inc. Using scene information from a security camera to reduce false security alerts
US9554063B2 (en) 2015-06-12 2017-01-24 Google Inc.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windows
US9235899B1 (en) 2015-06-12 2016-01-12 Google Inc. Simulating an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construct a lookup table for depth determination
US9613423B2 (en) 2015-06-12 2017-04-04 Google Inc. Using a depth map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loors, walls, and ceilings
US9386230B1 (en) 2015-06-12 2016-07-05 Google Inc. Day and night detection based on one or more of illuminant detection, lux level detection, and tiling
US9886620B2 (en) 2015-06-12 2018-02-06 Google Llc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camera
CN106534648B (zh) * 2015-06-30 2019-08-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装置及具有该摄像装置的终端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US10317779B2 (en) * 2016-08-16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US10180615B2 (en) 2016-10-31 2019-01-15 Google Llc Electrochromic filtering in a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414A (en) * 1994-03-03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mera apparatus for electronic conference
JP2848263B2 (ja) * 1994-03-03 1999-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会議用カメラユニット
US6141052A (en) * 1996-04-15 2000-10-31 Sony Corporation Portable personal computer and electronic camera
JPH1051665A (ja) * 1996-04-15 1998-02-20 Sony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電子カメラ
AU696473B3 (en) * 1998-03-19 1998-09-10 Umax Data Systems Inc. Extended adjusting mechanism for the lens set of an imaging system
JP2001245267A (ja) * 2000-02-28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付き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US6628974B1 (en) * 2000-06-27 2003-09-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r operat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JP3630096B2 (ja) * 2000-11-30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US6948240B2 (en) * 2001-10-05 2005-09-27 Benq Corporation Method for shaping an object
KR100471148B1 (ko) * 2002-06-05 2005-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구동장치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KR100463432B1 (ko) * 2002-12-10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08239B2 (ja) 2007-04-25
CN1575116A (zh) 2005-02-02
EP1492332A3 (en) 2005-04-13
JP2004364284A (ja) 2004-12-24
CN1306858C (zh) 2007-03-21
ATE375682T1 (de) 2007-10-15
US7443446B2 (en) 2008-10-28
EP1492332B1 (en) 2007-10-10
KR100518002B1 (ko) 2005-09-30
EP1492332A2 (en) 2004-12-29
DE602004009369T2 (de) 2008-07-10
DE602004009369D1 (de) 2007-11-22
US20040252227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0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JP4546503B2 (ja) 向上した画像通信性能を有する携帯用通信装置
EP1553749B1 (en) Sliding mobile phone with camera
EP1684491A2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KR20040090135A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조립체 구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0372675Y1 (ko) 자동 회전식 카메라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005017A (ja) 携帯端末装置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200401108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5113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연결장치
KR100556880B1 (ko)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KR100368572B1 (ko) 화상통신용 단말기의 촬상각 변환장치
KR1009809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4242202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200333896Y1 (ko)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조정 장치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05857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장치
KR100492557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26816Y1 (ko) 자동 회전형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28156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착 구조
JP2004015673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100631677B1 (ko) 스위블형 폴더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5005470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및 플래쉬방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