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300B1 - 화상 단말기 - Google Patents

화상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300B1
KR100501300B1 KR10-2002-0018929A KR20020018929A KR100501300B1 KR 100501300 B1 KR100501300 B1 KR 100501300B1 KR 20020018929 A KR20020018929 A KR 20020018929A KR 100501300 B1 KR100501300 B1 KR 10050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ain body
angle adjustment
video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347A (ko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3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부재의 개폐 각도를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동영상 시청 등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화상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의 본체 케이스에 액정표시화면이 부착된 폴더 부재의 폴더 케이스가 힌지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폴더부재 또는 본체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이 형성된 화상 단말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폴더 케이스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연에 소정 간격으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하향 경사면과 피트로 이루어진 수평면을 갖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각도 조절버튼과;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게 폴더 케이스에 내장되어 각도 조절버튼의 가이드홈의 하향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수평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슬라이딩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부재에 의한 상기 폴더부재의 개폐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개폐 각도 조절수단이 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화상 단말기{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화상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표시화면이 구비된 폴더부재의 회전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 시청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화상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 메시지(SMS)전송 중심의 서비스에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압축시켜 무선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점차 다양한 VOD 등의 동영상/그래픽/오디오 전송 서비스로 그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송화자와 수화자 양방간에 이루어지는 음성 통화에서 양방간 상대의 화상을 보면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화상 통화가 가능하고, 동영상/그래픽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화상 단말기라 약칭함)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화상 단말기는 기존 음성 통화 중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단말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그 외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상된 영상을 부호화하여 무선 데이터 송신하거나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액정표시화면(LCD)에 출력하고, 또한 영상 데이터와 함께 마이크 유닛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부호화하여 무선 데이터 송신하거나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스피커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일련의 화상 통화 동작을 제어하는 칩 등이 부가된다.
그러나, 종래 화상 단말기 중 폴더 타입의 화상 단말기는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 등의 시청에 있어 불편함이 있어왔다.
좀더 구체적으로 종래 폴더 타입의 화상 단말기는 본체 케이스와 폴더 케이스가 힌지부재에 의해 체결된 구조로 화상 통화 또는 동영상 등의 시청시 폴더 케이스를 회전시켜야 개폐가 이루어지지만, 힌지부재에 의한 폴더 케이스의 개폐 각도는 매우 제한적이다.
즉, 종래 폴더 타입의 화상 단말기는 음성 통화시 단말기 사용자의 귀와 입 근처에 각각 스피커 유닛과 마이크 유닛이 근접되게 위치되도록 힌지부재에 의한 폴더 케이스의 개폐각도가 고정되게 설정되기 때문에 임의의 장소에 화상 단말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과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면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화상 통화 및 동영상 시청에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폴더부재의 개폐 각도를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동영상 시청 등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화상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단말기 본체의 본체 케이스에 액정표시화면이 부착된 폴더 부재의 폴더 케이스가 힌지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폴더부재 또는 본체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이 형성된 화상 단말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폴더 케이스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연에 소정 간격으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하향 경사면과 피트로 이루어진 수평면을 갖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각도 조절버튼과; 상기 폴더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각도 조절버튼의 본체 케이스에 돌출된 부분을 상기 일단 방향으로 누루면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하강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수평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버튼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폴더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폴더부재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타단 방향으로 반발하는 상기 각도 조절버튼의 상기 하향 경사면을 따라 상승 슬라이딩 이동 및 이탈하여 상기 폴더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딩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부재에 의한 상기 폴더부재의 개폐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개폐 각도 조절수단이 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4 는 각도조절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상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 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 및 음성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이크 유닛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10)의 본체 케이스(11)에 액정표시화면이 형성된 폴더부재(20)의 폴더 케이스(21)가 힌지 부재(30)를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 부재(30)는 통상적인 단말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힌지 하우징, 힌지 커버, 힌지 샤프트, 힌지 스프링, 힌지 캠 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져 폴더 부재를 음성 통화모드 상태에 적합하게 개폐시킨다.
즉, 힌지 부재(30)는 마이크 유닛을 단말기 사용자의 입 주위에 위치시키고, 스피커 유닛을 단말기 사용자의 귀 주위에 위치시키기 적합하게 폴더부재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폴더 케이스 또는 본체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 화상 통화시 단말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40)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11)에 형성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힌지 부재에 의해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폴더 부재가 음성 통화모드 이외에 화상 통화모드, 동영상 시청모드 등 단말기 모드 상태에 따라 개폐각도가 가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개폐 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개폐 각도 조절수단은 도 3,4을 참조하면, 본체 케이스(11)와 폴더 케이스(21)의 결합부분 중에서 힌지 부재(30)가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분에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개폐 각도 조절수단은 일단이 폴더 케이스(21)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52)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본체 케이스(11)를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연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가이드홈(54)이 형성된 각도 조절버튼(50)과,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탄성 지지되게 폴더 케이스(21)에 내장되어 각도 조절버튼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도 조절버튼의 가이드 홈(54)은 나선형으로 외주연에 일정하게 다수개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에서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버튼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55)및 수평면(56)이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수평면(56)에는 슬라이딩핀(60)의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피트(pit, 58)를 형성한다.
슬라이딩핀(60)은 선단부의 형태를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가이드 홈의 하향 경사면(5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평면(56)에 위치되면 피트(58)에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음성 통화모드, 화상 통화모드, 동영상 시청모드에 따라 폴더부재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최적화된 위치에서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음성 통화모드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체 케이스(11)와 폴더 케이스(21)는 힌지부재(30)에 의해 마이크 유닛은 단말기 사용자의 입에 근접되게 하고 스피커 유닛은 단말기 사용자의 귀에 근접되게 위치되도록 개폐된다.
이때, 폴더 케이스의 슬라이딩핀(50)은 선단부가 각도 조절버튼(50)의 외주연 중 가이드홈(5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핀의 후단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52)이 압축된 상태이다.
그리고, 화상 통화모드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여야 하므로 폴더 케이스(21)를 힌지부재(30)를 중심으로 최적화된 위치, 즉 단말기 사용자가 액정표시화면을 바라보기 가장 좋은 위치, 까지 회전시킨 다음 돌출된 각도 조절버튼(50)을 누르면 된다.
각도 조절버튼(50)이 눌려지면 버튼은 본체 케이스(11)내부로 밀려 이동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핀(60)은 다수개의 가이드홈(54)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홈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각도 조절버튼(50)이 눌려지는 동안 슬라이딩핀(60)은 가이드홈(54)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코일 스프링(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선단부가 하향 경사면(55)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평면(56)까지 이동하면 피트(58)에 끼워져 고정된다.
반대로 피트에 끼워진 슬라이딩핀(60)의 이탈은 폴더 케이스(21)를 본체 케이스(11)의 키패드면으로 회전시키면 피트(58)에서 이탈하여 하향 경사면(55)을 따라 상승하고, 압축 스프링(52)은 재압축된다.
따라서, 폴더 케이스(21)는 힌지부재(30)의 캠운동에 관계없이 폴더 케이스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기에 최적화된 위치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는 개폐 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화상 통화모드, 동영상 시청 모드 상태에서 폴더 케이스의 개폐 각도를 단말기 사용자가 액정표시화면을 주시하기에 최적화된 위치에 놓여지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에서 각도조절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에서 각도조절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단말기에서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 본체 11 : 본체 케이스
20 : 폴더 부재 21 : 폴더 케이스
30 : 힌지 부재 40 : 카메라 모듈
50 : 각도조절 버튼 54 : 가이드 홈
60 : 슬라이딩핀

Claims (4)

  1. 단말기 본체의 본체 케이스에 액정표시화면이 부착된 폴더 부재의 폴더 케이스가 힌지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폴더부재 또는 본체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이 형성된 화상 단말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폴더 케이스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며, 외주연에 소정 간격으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하향 경사면과 수평면을 갖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각도 조절버튼과;
    상기 폴더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각도 조절버튼의 본체 케이스에 돌출된 부분을 상기 일단 방향으로 누루면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하강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수평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버튼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폴더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폴더부재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타단 방향으로 반발하는 상기 각도 조절버튼의 상기 하향 경사면을 따라 상승 슬라이딩 이동 및 이탈하여 상기 폴더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딩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부재에 의한 상기 폴더부재의 개폐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개폐 각도 조절수단이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에 피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단말기.
KR10-2002-0018929A 2002-04-08 2002-04-08 화상 단말기 KR10050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29A KR100501300B1 (ko) 2002-04-08 2002-04-08 화상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29A KR100501300B1 (ko) 2002-04-08 2002-04-08 화상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347A KR20030080347A (ko) 2003-10-17
KR100501300B1 true KR100501300B1 (ko) 2005-07-18

Family

ID=3237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929A KR100501300B1 (ko) 2002-04-08 2002-04-08 화상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75A (ko) * 2002-07-30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카메라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655U (ko) * 1997-07-07 1999-02-05 구자홍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KR19990026978U (ko) * 1997-12-22 1999-07-15 구자홍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20049395A (ko) * 2000-12-19 2002-06-26 송문섭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 각도 조절장치
KR20020072828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KR20020078768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20080086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KR20020091639A (ko) * 2001-05-31 2002-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앵글 힌지캠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655U (ko) * 1997-07-07 1999-02-05 구자홍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KR19990026978U (ko) * 1997-12-22 1999-07-15 구자홍 통신단말기용 커버의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20049395A (ko) * 2000-12-19 2002-06-26 송문섭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 각도 조절장치
KR20020072828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KR20020078768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20080086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KR20020091639A (ko) * 2001-05-31 2002-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앵글 힌지캠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347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9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pening mechanism
EP1484920B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180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조정장치
KR20050066596A (ko)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US20060160582A1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20090045791A (ko) 휴대 단말기
US9237212B2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swing type mobile terminal
US711982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1177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KR20070073252A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01300B1 (ko) 화상 단말기
KR100810229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가이드 장치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US8521241B2 (en) Slid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JP2002125031A (ja) 撮像手段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JP2003258955A (ja) 情報端末装置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56880B1 (ko)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13352B1 (ko)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KR200170119Y1 (ko) 휴대폰용 커버 개방장치
JPH06292197A (ja) 携帯無線式tv電話
KR100600702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100929076B1 (ko)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슬라이딩/회전 타입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