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237A - 차량용카메라 - Google Patents

차량용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237A
KR20040099237A KR1020040089707A KR20040089707A KR20040099237A KR 20040099237 A KR20040099237 A KR 20040099237A KR 1020040089707 A KR1020040089707 A KR 1020040089707A KR 20040089707 A KR20040089707 A KR 20040089707A KR 20040099237 A KR20040099237 A KR 2004009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frame
photograph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성
Original Assignee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102004008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237A/ko
Publication of KR2004009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기능을 가지고 있는 차량용카메라에 관한 것으로,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회전수단;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좌우회전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좌우회전수단에 부착되고 좌우회전수단이 회전할 때 좌우회전수단의 좌우회전력을 수직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수직회전수단; 사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회전수단에 의하여 전환된 수직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좌우회전수단이 좌우로 회전할 때 수직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촬영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차량용카메라는 종래의 차량용카메라가 다수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을 할 수 있었던 구역을 한 개의 카메라만으로 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카메라의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촬영범위가 한층 확되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카메라{Camera for vehicle}
본 발명은 회전기능이 있는 차량용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회전수단과 동력발생수단과 수직회전수단과 촬영수단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차량용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카메라는 주로 차량의 후방에 부착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이며, 통상적으로는 한 개의 카메라를 차량의 후방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한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더라도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을 할 수 있는 차량용카메라가 제안되어 일반에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카메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특허 등록번호 제 10-0179651호와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2-0033133호에서 고정식 차량용카메라에 관한 것을 제안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들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명은 차량용카메라를 차량에 고정하는 방법이 다를 뿐 이들은 모두 차량에 설치시 고정된 위치에서 고정된 지점을 촬영하는 차량용카메라를 개시한 것이다.
또한 특허 등록번호 제 10-0233773호와 특허 공개번호 제 10-1997-0061634호는 차량용카메라가 차량에 부착된 후 회전되는 구조의 발명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고안 역시 차량용카메라가 좌우 또는 상하로만 회전이 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발명들을 보안하기 위하여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2-0033816호와 실용 등록번호 제 20-0288817호는 다수 개의 차량용카메라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에 소개된 차량용카메라들은 차량에 단순히 고정되어 사용되거나 회전기능이 있어도 상하 또는 좌우의 회전만이 가능한 것이며, 차량용카메라를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개의 차량용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기능이 우수하나 별도의 영상수집장치를 구입해야 하고 차량용카메라 비용 역시 장착되는 차량용카메라의 수 만큼 더 들어갈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은 성능면에서는 우수하다 할 수 있으나 비용의 부담이 크며 장비를 사용하면서도 구성품이 많아지므로 고장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그에 따르는 유지비의 상승도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부착되어 진행방향의 범퍼를 포함하는 하부와 수평방향의 좌측과 우측을 한 개의 차량용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용카메라의 촬영범위를 확대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 발생이 적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싱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작동상태는 나타내는 주요부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구성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측면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평면 사용상태도.
* 도면 주요부에 대한 부호설명*
촬영수단: 100 영상추출부: 100a
고정장치: 110 프레임: 200
상부프레임: 230 하부프레임: 240
좌우히전수단: 300 프레임측기어: 410
수직회전력발생기어: 420 회전력전환부: 430
기어트레인: 440 촬영수단측기어: 450
기어박스: 460 동력발생수단: 500
동력전달수단: 600 구동기어: 610
종동기어: 620 브래킷:800
투명커버: 700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회전수단(300); 과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500); 과 상기 동력발생수단(500)으로부터 상기 좌우회전수단(30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00); 과 상기 좌우회전수단(300)에 부착되고 좌우회전수단(300)이 회전할 때 좌우회전수단(300)의 좌우회전력을 수직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수직회전수단(400); 과 사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회전수단(400)에 의하여 전환된 수직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좌우회전수단(300)이 좌우로 회전할 때 수직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촬영수단(1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싱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제 2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작동상태는 나타내는 주요부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구성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측면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실시예의 평면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창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 구성 및 작동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상부프레임(230)과 하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체결홈(221,231)에 의하여 볼트등의 결합구(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체결이 되는 구조이고, 상기 상부프레임(230)과 하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00)에서 상부프레임(230)은 내부에 위치하는 후술할 촬영수단(100)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00)의 내부에는 동력발생수단(500)이 하부프레임(22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좌우회전수단(300)은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회전판(310), 회전축(320), 베어링(340) 등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판(310)의 내부에는 촬영수단(100)과 수직회전수단(400)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회전수단(300)의 베어링(340)과 회전축(320)은 원할한 회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며, 베어링(340)은 상부프레임(230)과 하부프레임(220)에 설치되고 회전축(320)이 이들 베어링(340)의 중공부에 결합이 되는 구조이다.
좌우회전수단(300)은 동력발생수단(500)과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하여 회전이 되는데 이를 위하여 동력발생수단(5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좌우회전수단(300)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수단(600)은 동력발생수단(500)과 연결되는 구동기어(610)와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기어(610)로 이루어지며 동력발생수단(500)에서 발생된 동력을 좌우회전수단(300)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수직회전수단(400)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200)측기어,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 회전력전환부(430), 기어트레인(440), 촬영수단측기어(450) 및 기어박스(46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프레임측기어(410)는 프레임(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회전력발생기어(420)는 상기 프레임측기어(410)와 치합되어 있으면서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력전환부(430)는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로부터 전달받은 좌우회전력을 수직회전력으로 변환을 시키는 부분이고, 기어트레인(440)은 변환된 회전력을 촬영수단(100)이 회전하는데 적절한 회전비와 회전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능과 회전비를 맞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촬영수단측기어(450)는 촬영수단(100)의 회부에 형성이 되며 기어트레인(440)에 의하여 적절한 회전비로 변환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촬영수단(1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촬영수단(1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회전수단(400)에 의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고정장치(11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도 2와 도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차량용카메라(10)는 도 1에서와 같이 브래킷(800)에 의해서 차량에 고정이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결합부(710)에 의하여 삽입홈(830)에 끼워진 후 나사로 고정이 되고 차량에는 브래킷(800)으로 고정이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같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차량용카메라(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에 본 장치를 설치하였다고 한다면, 차량을 후진방향으로 진행을 하고자 할 때 차량의 후방 직진방향으로 차량용카메라(10)의 촬영수단을 위치하게 하고 후진을 행할 것이다. 차량이 원하는 일정거리만큼 이동이 완료되었다면 운전자는 차량을 도로에 진입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차량용카메라(10)가 차량의 직진방향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도로의 좌측과 우측을 확인할 수 있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선회를 하여 도로 상황을 확인한 후 촤측 또는 우측 중에서 차량이 진행해야 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킨 후 도로상황을 확인하면서 도로에 차량을 진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촬영수단(100)에 절달되는 회전방향과 회전력은 차량용카메라(10)가 차량에 부착될 때 부착되는 기울기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지는 것으로, 차량용카메라(10)가 지면을 향하여 X˚만큼의 기울기를 가지고 차량에 부착이 될 때,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이 좌측으로 90˚회전을 한다면 수직회전수단(400)에 의하여 변환되는 회전력은 반시계방향으로 촬영수단(100)을 회전시키며 회전량은 90˚-X˚만큼 회전을 하여야만 차량용카메라(10)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우측으로 차량용카메라(10)를 회전시킨다면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작동이 되는 것이다.
도 4, 도 5,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차량용카메라(10)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과 투명커버(7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과 투명커버(700)의 내부에는 동력발생수단(500), 동력전달수단(600), 좌우회전수단(300), 수직회전수단(400) 및 촬영수단(100)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동력발생수단(500)은 프레임(200)의 하측에 부착이 되어있으며,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은 프레임(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들 동력발생수단(500)과 좌우회전수단(300)은 동력전달수단(600)인 구동기어(610)와 종동기어(6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310)은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340)에 회전축(320)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축(320)의 중심은 후술할 촬영수단(100)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게이블홀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회전수단(400)은 프레임측기어(410),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 기어트레인(440), 촬영수단측기어(450) 및 기어박스(460)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측기어(410)는 프레임(2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들은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력전환부(430)가 별도로 있었으나 제 2실시예에서는 프레임측기어(410)와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가 회전력전환부(430)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촬영수단(100)은 랜즈를 포함하는 영상추출부(100a)와 기판(100b)으로 분리되며, 영상추출부(100a)는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에 부착이 되고 기판(100b)은 프레임(200)의 일측에 부착이 된다. 그리고 이들 영상추출부(100a)와 기판(100b)은 상술한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축(320)에 형성된 케이블홀(330)을 관통하는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이되어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차량용카메라(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브래킷(800)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이 되는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부(710)에 의하여 브래킷(800)의 삽입부에 끼워진 후 나사로 고정이 되고 차량에는 브래킷(800)으로 고정이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같는 제 2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6a와 도 6b에 보이는 바처럼 동력발생수단(500)에서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동력은 동력전달수단(600)인 구동기어(610)와 종동기어(620)에 의해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회전판(310)이 회전을 하게 되면 도 7a와 도 7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판(310)이 회전할 때 회전판(3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수직회전수단(400)의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는 프레임(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측기어(410)의 반발에 의하여 회전이 되고, 이렇게 발생된 회전력을 기어박스(460)에 구비된 기어트레인(440)에 의하여 적절한 회전비와 회전방향으로 변환되어 촬영수단(100)에 형성되어 있는 촬영수단측기어(45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촬영수단(100)에 절달되는 회전방향과 회전력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것으로, 차량용카메라(10)가 차량에 부착될 때 부착되는 기울기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지는 것으로, 차량용카메라(10)가 지면을 향하여 X˚만큼의 기울기를 가지고 차량에 부착이 될 때,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이 좌측으로 90˚회전을 한다면 수직회전수단(400)에 의하여 변환되는 회전력은 촬영수단(1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며 회전량은 90˚-X˚만큼 회전을 하여야만 차량용카메라(10)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우측으로 차량용카메라(10)를 회전시킨다면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작동이 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용카메라(10)가 좌측과 우측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면 차량용카메라(10)를 차량에 설치시 차량의 후방범퍼를 포함하는 진행방향 하부를 실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상하로만 이동이 되는 경우에는 좌측과 우측으로 회전이 되지 않으므로 도로에 진입시 좌측과 우측으로부터 진행하는 차량의 상황을 확인 할 수 없기에 쉽게 도로에 진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좌측과 우측 그리고 하측을 모두 촬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차량용카메라(10)의 제 3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2실시예의 계량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 3실시예의 구조를 살펴보면 회형은 프레임(200)과 투명커버(7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과 투명커버(700)의 내부에는 동력발생수단(500), 동력전달수단(600), 좌우회전수단(300), 수직회전수단(400) 및 촬영수단(100)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동력발생수단(500)은 프레임(200)의 하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수단의 회전판(310)은 프레임(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이들 동력발생수단(500)과 좌우회전수단(300)은 동력전달수단(600)인 구동기어(610)와 종동기어(6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310)은 프레임(200)에 고정되어있는 베어링(340)에 회전축(320)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축(320)의 중심은 후술할 촬영수단(100)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홀(330)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회전수단(400)은 프레임측기어(410),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 기어트레인(440), 촬영수단측기어(450) 및 기어박스(460)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측기어(410)는 프레임(2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들은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3실시예역시 제 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측기어(410)와 수직회전력발생기어(420)가 회전력전환부(430)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촬영수단(100)은 랜즈를 보함하는 영상추출부(100a)와 기판(100b)으로 분리되며, 영상추출부(100a)는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판(310)에 부착이 되고 기판(100b)은 프레임(200)의 일측에 부착이 된다. 그리고 이들 영상추출부(100a)와 기판(100b)은 상술한 좌우회전수단(300)의 회전축(320)에 형성된 케이블홀(330)을 관통하는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이되어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지금가지 설명한 주요구성품은 제 2실시예의 그것과 모두 동일하다.
제 3실시예가 제 2실시예와 다른 점은 프레임(20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서는 브래킷(800)을 차량에 부착하고 브래킷(800)의 삽입홈(830)에 결합구를 삽입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서 차량용카메라(10)가 차량의하부에 위치한 범퍼를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장착을 한 후 고정하는 구조였으나, 제 3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하여 프레임(200)의 일측에 차량에 직접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차량결합홈(240)을 구비하였다. 또한, 차량용카메라(10)가 일정한 기울기로 차량의 범퍼를 포함하는 하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프레임(200)측의 좌우회전수단(300)과 결합되는 부분을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미리 성형을 하여서 부착시에 일일이 정해진 기울기에 맞추는 번거로움 또한 없애것이 제 3실시예가 다른 실시예들과 다른 점이다.
도 10과 도 11은 상술한 차량용카메라(10)의 제 1실시예를 차량에 부착한 것을 측면과 평면에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 도 10은 차량용카메라(10)를 차량의 후방에 부착 하였을 때 후진을 위하여 차량용카메라(1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이때 차량용카메라(10)의 촬영각(θ)은 노면을 촬영하는 실제 촬영각(θa)과 차량의 범퍼부분을 촬영는 비촬영각(θb)으로 나뉘어지며, 도 11은 차량용카메라(10)를 차량의 후방에 부착한 후 후진을 하면서 차량의 좌측또는 우측을 감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이때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을 촬영시 차량용카메라(10)의 촬영각(θ)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접근하는 물체나 주변을 촬영하는 실제 촬영각(θa)과 차량의 일부지역을 촬영는 비촬영각(θb)으로 나뉘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제 2실시예와 제 3실시예 또한 기능상에 구조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차량용카메라(10)의 촬영각(θ) 실제 촬영각(θa)과 비촬영각(θb)으로 나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촬영각(θ)의 일부를 차량의 차체에 가려지도록 하는 것은 차량(A)이 이동할때 운전자로 하여금 자신이 운전 중인 차량이 어느 정도 이동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차량용카메라(10)는 그 특징부가 차량용카메라(10)를 회전시킬 때 촬영 고각을 수평방향과 차량의 하부방향으로 변환되면서 촬영되게 하는 것이 주요 특징부 중에 하나로서,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력전환부(430)가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며 제 2실시예와 제 3실시예에서는 회전력전환부(430)를 크라운 기어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이들에만 국한되지 않고 웜기어를 비롯한 회전력을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깝게 변환할 수 있는 기어들은 모두 본 발명에 변형실시예에 포함이 되는 것이다. 이 외의 다른 부분들 또한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차량용카메라는 종래의 차량용카메라가 한 개의 차량용카메라로 촬영하기에 곤란한 차량의 좌측과 우측 그리고 범퍼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부를 모두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차량용카메라에 비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많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한 개의 차량용카메라만으로 다수 개의 차량용카메라를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카메라의 생산비용 절감과 이 차량용카메라를 차량에 설치 시 한 개의 카메라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여러 대의 차량용카메라를 차량에 부착하는 것에 비하여 한 개의 차량용카메라만을 사용하므로 고장이 발생할 여지를 줄였으며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수리가 더욱 용이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회전기능을 갖는 차량용 카메라에 있어서,
    프레임(20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회전수단(300);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500);
    상기 동력발생수단(500)으로부터 상기 좌우회전수단(30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00);
    상기 좌우회전수단(300)에 부착되고 좌우회전수단(300)이 회전할 때 좌우회전수단(300)의 좌우회전력을 수직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수직회전수단(400);
    사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회전수단(400)에 의하여 전환된 수직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좌우회전수단(300)이 좌우로 회전할 때 수직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촬영수단(1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카메라(10).
KR1020040089707A 2004-11-05 2004-11-05 차량용카메라 KR20040099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707A KR20040099237A (ko) 2004-11-05 2004-11-05 차량용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707A KR20040099237A (ko) 2004-11-05 2004-11-05 차량용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237A true KR20040099237A (ko) 2004-11-26

Family

ID=3737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707A KR20040099237A (ko) 2004-11-05 2004-11-05 차량용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2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643A (zh) * 2019-04-22 2019-06-25 浙江众泰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车载智能机器人结构
KR20230006351A (ko) 2021-07-02 2023-01-10 (주)파트론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643A (zh) * 2019-04-22 2019-06-25 浙江众泰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车载智能机器人结构
KR20230006351A (ko) 2021-07-02 2023-01-10 (주)파트론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1682B1 (en) Combined camera
US20060098118A1 (en) Pan head device
CN108900737B (zh) 一种摄像装置及电子设备
CN208094671U (zh) 一种双目摄像机
CN208094668U (zh) 一种摄像机
CN110320730A (zh) 一种双目摄像机
CN208190773U (zh) 一种双目摄像机
KR20040099237A (ko) 차량용카메라
CN201097083Y (zh) 可转动摄影机的固定架
US6266090B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rotation of a lens in a digital camera
US20080266392A1 (en) Infra-red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adjusting distance and focus by one element
CN211378112U (zh) 一种智慧城市车辆进出可移动抓拍摄像装置
KR100717894B1 (ko) 팬/틸트 카메라
CN210670352U (zh) 监控装置
CN219919046U (zh) 摄像装置
CN214675293U (zh) 摄像组件和电子设备
KR101974954B1 (ko)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멀티 카메라 장착 구조
CN213036096U (zh) 一种测绘无人机多源相机安装固定装置
CN112145916B (zh) 云台摄像机
CN210555615U (zh) 一种无人机摄像云台结构
JP2000098457A (ja) 視野切替え装置付き電子カメラ装置
KR20070011925A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감시카메라장치
CN215371621U (zh) 一种摄像结构
CN213177464U (zh) 通过相机扫描光源获取数据的可见光应用装置
CN216083274U (zh) 一种目镜总成及光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