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120A -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9120A KR20040099120A KR1020040028395A KR20040028395A KR20040099120A KR 20040099120 A KR20040099120 A KR 20040099120A KR 1020040028395 A KR1020040028395 A KR 1020040028395A KR 20040028395 A KR20040028395 A KR 20040028395A KR 20040099120 A KR20040099120 A KR 200400991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sealing
- hole
- glass tube
-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65G47/29—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by temporarily stopping movement
- B65G47/295—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by temporarily stopping movement by means of at least two stopp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한 쌍의 판유리(1)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상기 한 쌍의 판유리(1) 사이의 밀폐 공극부(V)를 감압 밀폐하기 위한 흡인구(6)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쪽 판유리(1A)에 관통공(貫通孔)(3)을 형성하고, 관통공(3)에 흡인용 유리관(7)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유리관(7)의 기단부 외측에 환상(環狀)의 밀봉용 성형체(8)를 놓고, 밀봉용 성형체(8)를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밀봉용 성형체(8)를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7)와 상기 한 쪽 판유리(1A)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edge)부(1a)에 걸쳐 유동시키고 고화시켜 밀봉부(S)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의 밀봉용 성형체(8)를 유리관(7) 주위로 유도하는 경사면(K)을, 한 쪽 판유리(1A)의 관통공 에지부(1a)에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의 중공부(中空部)가 감압(또는 가스 봉입)되어 있는 유리 패널(예를 들면, 감압 복층 유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plasma display panel)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 중공부를 감압시킬 때 이용되는 흡인구를 유리 패널 본체에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한 쌍의 판유리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사이의 밀폐 공극부를 감압 밀폐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한 쪽 판유리에 관통공(貫通孔)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흡인용 유리관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 외측에 환상(環狀)의 밀봉용 성형체를 놓고,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와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edge)부에 걸쳐 유동시키고 고화시켜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구(6)가 형성되는 쪽의 판유리(1A)는 그 표면부가 관통공 에지부(1a)도 다른 부분도 평평한 상태의 것을 사용하며, 유리관(7) 외측에 놓은 밀봉용 성형체(8)를 가열 용융시키고, 상기 밀봉용 성형체(8)를 판유리 표면(1b)과 평평한 관통공 에지부(1a) 표면 상에 유동시키고 고화시킴으로써, 밀봉부(S)를 형성하였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308652호 공보(도 2참조)).
전술한 종래의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에 따르면, 도 1O(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용 성형체(8)를 가열 용융시키는 도중에는 관통공 에지부(1a) 표면상에 주로 유동하는 것만으로, 유리관(7)과의 접촉이 적은 상태에서 상기 밀봉용 성형체(8)를 고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유리관(7)과 밀봉부(S)의접착이 불량해지기 쉽고, 흡인구의 밀폐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인구로서 양호한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유리 패널을 나타내는 일부 절취 사시도.
도 2는 흡인구(evacuating hole)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유리 패널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레이저광의 조사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 사시도.
도 5는 유리 패널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밀폐 공극부의 감압 상황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유리 패널의 흡인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밀봉부의 형성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인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밀봉부의 형성 상황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적인 구성에서, 본 발명은,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한 쌍의 판유리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사이의 밀폐 공극부를 감압 밀폐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쪽 판유리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흡인용 유리관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 외측에 환상의 밀봉용 성형체를 놓고,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와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edge)부에 걸쳐 유동시키고 고화시켜 밀봉부를 형성하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으로서, 가열에 의해 용융 상태에 있는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상기 유리관 주위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부에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 형성부의 외측 직경을 상기 밀봉용 성형체의 외측 직경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가열에 의해서 용융 상태에 있는 상기 밀봉재를 상기 유리관 주위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부에 미리 형성해 두기 때문에, 유리관 주위에 배치한 밀봉용 성형체를 가열 용융시키는 경우, 가열 용융에 의해 유동하는 밀봉용 성형체가 상기 경사면으로 유도되어 상기 유리관 주위에 널리 퍼지기 쉽게 되고, 판유리 표면뿐 아니라 유리관 외주면과의 접착 성능도 향상되어 양호한 밀봉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동하는 밀봉재를 유리관 주위에 널리 퍼지기 쉽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측 직경을 상기 관통공에 놓인 유리관의 외측 직경보다 상당량 크게 설정하여, 관통공의 내주벽과 유리관 외주면 전체 둘레(全周)와의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하고, 그 간극에 유동하는 밀봉재가 침입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설치한 유리관이 관통공 내에서 편심 할 위험성이 있어 밀봉 효과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아울러, 밀봉재가 침입하는 공간이 커지기 쉽고 다량의 밀봉재가 필요한 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공 내에서의 유리관 위치를 결정하기 쉬우므로, 유리관 외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밀봉 효과를 얻기 쉽고, 아울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는 밀봉재를 유리관 주위로 유도하는 기능을 다하면서, 밀봉재가 침입하는 공간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밀봉용 성형체를 최소 한도의 용량으로 할 수 있어, 밀봉 효과와 경제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 에지부의 경사면 형성부의 외측 직경을 상기 밀봉용 성형체의 외측 직경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밀봉용 성형체의 하방에는 보다 확실하게 경사면이 위치하게 되고, 가열 용융된 밀봉재가 상기 경사면을 보다 확실한 상태로 덮는 동시에 그 주위의 판유리 표면과도 접하여, 밀봉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경사면을 가공함으로써 경사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도, 요철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해서 판유리 표면을 상기 밀봉재로 완전히 덮을 수 있으므로, 양호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이 밀봉재로 완전히 덮여 있으면, 경사면이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어, 흡인구 주위를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적인 구성에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이 상기 관통공 에지부를 챔퍼링(chamfering)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관통공 개구 에지부를 절삭이나 연마 등의 수단만으로 챔퍼링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공 시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관통공 개구 에지부의 내측 직경은 관통공의 심부(深部)에 비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에 유리관을 삽입하는 경우, 유리관의 삽입이 더욱 용이해짐에 따라, 유리관 삽입 작업을 포함하는 유리 패널 형성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예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부분은 동일 또는 그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형성한 유리 패널(P)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유리 패널(P)은, 한 쌍의 판유리(1) 사이에 판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페이서(2)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유리 패널 본체(P1)에 대하여,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밀폐 공극부(V)를 감압 밀폐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판유리(1)는 각각 두께가 3 ㎜(JIS 규격에서 말하는 3 ㎜ 판유리로서, 실질적으로 두께 오차를 고려하면 2.7∼3.3 ㎜의 두께임)이고 투명한 플로트(float) 판유리로 구성되며, 양 판유리(1)의 외측 에지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저융점 유리(예를 들면, 땜납 유리)로 이루어진 밀봉부(4)를 설치하여 상기 밀폐 공극부(V)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폐 공극부(V)는 한 쪽 판유리(1A)에 형성된 흡인구(6)로부터의 흡인 방법에 따라서, 약 1.33 ㎩(1.0×10-2Torr) 이하의 감압 환경을 나타낸다.
또한, 양 판유리(1)의 외주 에지부는 한 쪽 판유리(1A)가 판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5)에 의해 상기 밀봉부(4)의 형성 시에, 상기 돌출부(5)에 밀봉부재(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저융점 유리)를 탑재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밀폐 공극부(V) 외주부를 밀폐할 수 있다.
스페이서(2)는 압축 강도가 약 4.9×108㎩(5×103㎏f/㎠) 이상인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SUS304)을 사용하고, 직경이 0.3 ㎜∼1.0 ㎜ 정도이며 높이가 0.15 ㎜∼1.0 ㎜ 정도인 원주형이 바람직하고, 각 스페이서(2) 사이의 간격은 20 ㎜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밀폐 공극부(V)의 감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판유리(1) 중 어느 한쪽의 판유리(1A)에는 상기 밀폐공극부(V)를 감압시키기 위한 흡인구(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인구(6)는, 상기 한 쪽 판유리(1A)에 형성한 관통공(3)에 흡인용 유리관(7)을 배치하고, 관통공(3) 주벽(周壁)과 유리관(7) 사이를 저융점 유리(밀봉용 성형체에 해당함)(8)로 밀폐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유리관(7)의 선단부(7a)는 감압 후에 가열 용융하여 폐쇄시킨 폐쇄부(H)에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관(7)을 관통공(3)에 연달아 관통되도록 판유리(1A)에 설치하는 동시에, 유리관(7) 설치부 주위에 유리관(7)보다도 저융점인 저융점 유리(8)를 배치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은, 직경 약 3 ㎜ 정도의 대직경공(大直徑空)(3a)과 직경 2 ㎜ 정도의 소직경공(小直徑空)(3b)이 한 쪽 판유리(1A)에서 동일축심 상에 연결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직경공(3a)의 개구에지부, 즉, 판유리(1A)의 관통공 에지부(1a)는 전체 둘레에 걸쳐 챔퍼링(chamfering)되어 있고, 챔퍼링된 부분은 경사면(K)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직경공(3a)에는 유리관(7)을 설치하는 동시에, 두께가 1 ㎜, 외측 직경 φ 6 ㎜, 내측 직경 φ 2.3 ㎜인 도너츠 형태로 성형된 저융점 유리(8)를 외측에서 유리관(7)에 삽입하여 배치시킨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 에지부(1a)의 경사면 형성부 외측 직경(L0)은 상기 저융점 유리(8)의 외측 직경(L1)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융점 유리(8)를 가열 용융시킴에 따라,유동하는 저융점 유리는 상기 경사면(K)에 의해 대직경공(3a) 내로 유도되어, 유리관(7)과 관통공 에지부(1a)에 걸쳐 충분히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리관(7)과 판유리(1A) 사이의 밀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유리관(7)의 외측 직경 φ 2.3 ㎜, 높이가 6 ㎜ 이하인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두께는 0.1∼1.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께가 1.0 ㎜을 초과하는 유리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단부(7a)의 폐쇄 시에 승온부터 자기 융착 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주위에 불필요한 부위까지 온도가 상승하고, 심한 경우에는 그 결과 발생하는 온도 구배로 인해 판유리(1) 또는 저융점 유리(8)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유리관의 두께가 0.1 ㎜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승온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유리관이 자기 융해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고, 강도가 약하므로 파손되기 매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유리관(7) 및 저융점 유리(8)를 설치한 후, 유리 패널(P) 전체를 200∼300℃로 예비 가열한 다음, 저융점 유리(8) 부근에 탄산가스 레이저광(9)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저융점 유리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동시에, 유리관(7) 및 저융점 유리(8)의 인접 지역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가열 공정의 개념도를 도 4에 나타낸다.
즉, 탄산가스 레이저 장치(L)로부터 조사된 탄산가스 레이저광(9)을 판유리(1A)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예비 가열된 저융점 유리(8) 부근으로 조사한다. 그리고, 탄산가스 레이저광(9)은, 저융점 유리(8)가 가열되어 연화 변형하고 용융하여 관통공(3)과 유리관(7)을 충분히 밀착 접촉시킬 정도로 조사하고, 이 후, 저융점 유리(8)를 밀착 접촉시킨 부분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고화시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관(7)을 판유리(1A)에 접착 고정한 밀봉부(S)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탄산가스 레이저광(9)을 저융점 유리(8) 전체에 걸치도록 하는 레이저 스폿 직경으로 조사할 수도 있고, 비교적 작은 레이저 스폿 직경을 이용하여 저융점 유리(8) 전체를 스캔할 수도 있으나, 유리관과 판유리의 접착 고정에 있어서 충분한 접촉 강도를 확보하여, 최종적으로 밀폐 공극부(V)의 감압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탄산가스 레이저광(9)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레이저 스폿 직경: φ 6 ㎜, 레이저 출력: 5∼10 W의 조건으로 조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확인되었다. 즉, 레이저 스폿 직경을, 유리관(7)의 주위에 배치되는 환상의 저융점 유리(8) 외측 직경과 거의 동등한 크기로 함으로써, 유리관(7) 및 저융점 유리(8)의 인접 지역을 국부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승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사 효율이 양호하다.
탄산가스 레이저광(9)을 조사하여 저융점 유리(8)를 용융시킴으로써, 저융점 유리(8)의 형태는 도 8(a)∼(c)에 나타낸 순차에 따라 변화한다. 이렇게 하여, 저융점 유리(8)가 도 8(c)의 상태가 되면 레이저광의 조사를 정지하고 냉각시킨다.
표 1
레이저 출력(W) | 5∼30 |
레이저 스폿 직경(㎜) | φ 2∼20 |
조사 시간(초) | 10∼60 |
그런 다음, 유리관(7)을 통해 밀폐 공극부(V)를 적절히 흡인하고, 밀폐 공극부(V)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유리관(7)의 선단부(7a)를 가열 융해함으로써, 상기 폐쇄부(H)가 형성된다(도 7 참조).
밀폐 공극부(V)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는 일례를 나타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B) 내에 유리 패널(P)을 판유리(1A)가 윗측이 되도록 수평으로 지지시키고, 판유리(1A)의 판면에 흡인 밀봉 장치(A)의 흡인컵(A2)을 탑재하여 유리관(7)을 덮는다.
흡인 밀봉 장치(A)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흡인컵(A2)의 횡측부에 밀폐 공극부(V) 내의 기체를 흡인 배출하는 플렉시블(flexible) 파이프(A3)가 연결, 접속되어 있고, 흡인컵(A2)의 선단에는 판유리(1A) 판면과의 틈을 밀폐하는 탄성 O링(A4)이 설치되어 있고, 흡인컵(A2) 저부의 내측에는 유리관(7)의 선단부(7a)를 가열 용융시키는 전기 히터(A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O링(A4)을 통해 흡인컵(A2)의 선단을 판유리(1A)의 판면에 밀착시키고, 예를 들면, 200℃ 정도로 가열하여 밀폐 공극부(V) 내부를 활성화시키면서, 플렉시블 파이프(A3)를 통해 밀폐 공극부(V) 내의 기체를 흡인 배출하여, 밀폐 공극부(V)를 감압한다.
이어서, 전기 히터(A5)를 이용하여 유리관(7)의 선단부(7a)를 국부적으로 가열(약 1000℃)하고 용융시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3)을 밀봉하고, 밀봉한 상태로 냉각시킨 뒤, 판유리(1A)에 용융한 유리관(7)을 덮는 보호용 캡(10)을 접착한다.
선단부(7a)의 폐쇄 시에는 선단부(7a)를 국부적으로 가열(약 1000℃)하기는하나, 소결한 상기 밀봉부(S)에 열선이 직접 닿아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S)를 완전히 덮은 상태로 차열판(11)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열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유리 패널은 다양한 종류의 용도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축용·교통수단용(자동차 창유리, 철도차량의 창유리, 선박의 창유리)·기기 요소용(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소자 패널의 표면 유리나 냉장고의 개폐 도어나 벽부, 보온 장치의 개폐 도어나 벽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2) 상기 판유리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두께가 3 ㎜인 판유리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다른 두께의 판유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리의 종류는 임의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형판(型板) 유리, 불투명 유리(표면 처리하여,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한 유리), 철망 유리, 강화 유리, 열선 흡수, 자외선 흡수, 열선 반사 등의 기능을 부여한 판유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유리의 조성에 따라서는, 소다 규산 유리(소다 석회 실리카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또는 각종 결정화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3) 상기 판유리는, 한 쪽 판유리와 다른 쪽의 판유리가 길이나 폭 치수가 다른 것을 사용하는 데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양 판유리를 겹치는 방법으로는, 단연부(端緣部)끼리 모은 상태로 겹쳐 놓아도 된다. 또한, 한 쪽 판유리와 다른 쪽의 판유리의 두께가 다른 것을 조합하여 유리 패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4) 상기 스페이서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테인레스 스틸 스페이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코넬(inconel), 그 외의 다른 금속·석영 유리·세라믹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요컨대, 외력을 받아서 양 판유리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이 원주형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주형 등인 것도 이용할 수 있고, 각 스페이서 간의 간격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다.
(5) 상기 밀봉용 성형체(8)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저융점 유리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땜납이나 용가재(brazing filler metal)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총칭하여 밀봉용 성형체(8)라고 한다.
(6) 상기 경사면(K)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직경공(3a)의 개구 에지부(판유리(1A)의 관통공 에지부(1a))를 전체 둘레에 걸쳐 챔퍼링하여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 에지부(1a)의 둘레 방향에서 일부를 잘라낸 상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이런 경우, 노치 부분의 경사면(K)을 따라 유동하는 밀봉재는 관통공 내로 유도되어, 흡인구(6)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컨대, 상기 경사면은 가열에 의해 용융 상태가 된 밀봉용 성형체(8)를 유리관(7) 주위로 유도하는 것이면 되고, 이러한 예를 포함하여 경사면(K)이라 총칭한다.
(7) 레이저광(9)은, 조사 부분을 특정 부분에 위치 고정하여 조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조사 부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한층 더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저융점 유리(8), 레이저광(9)을 스캔 조사하면, 용융시킨 저융점 유리(8) 부분에 약간의 유동성이 발생하고, 저융점 유리(8)에서의 전열성(傳熱性)이 향상되어 용융이 한층 더 촉진되기 때문에, 유리관(7)을 판유리(1A)에 접착 고정시키는 작업 시간이 단축화되어, 결과적으로 제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9)의 조사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는 데 있어서는, 판유리(1)를 움직여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장치(L)에서 조사된 레이저광(9)을 반사 미러(M)에서 반사시켜, 판유리(1A)의 상방으로부터 저융점 유리(8) 부근으로 조사하도록 구성하면, 반사 미러(M)을 구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그 조사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편리하다.
(8)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나타낸 탄산가스 레이저는 레이저광(9)의 일례이며,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탄산가스 레이저에 한정되지 않고, YAG 레이저 등 기타 레이저광을 레이저광(9)으로서 적절히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광(9)에 의해 밀봉용 성형체(8)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풍 히터, 가스 버너, 할로겐 램프 히터, 금속 발열체에 의한 복사 가열 등에 의해 밀봉용 성형체(8)를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아울러, 밀봉용 성형체(8)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것 대신, 예를 들면, 상기 유리 패널(P) 전체를 가열로 내에 두고 밀봉용 성형체(8)가 용융하는 온도 환경에서 용융시켜 밀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리 패널의 외주 밀봉부재로서, 밀봉용 성형체(8)와 동일한 저융점 유리를 사용하면, 외주 밀봉과 함께 유리관 주위의 밀봉을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양호한 밀폐성이 확보된 흡인구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
-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한 쌍의 판유리 중 어느 한 쪽의 판유리에,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사이의 밀폐 공극부를 감압 밀폐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쪽 판유리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흡인용 유리관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 외측에 환상(環狀)의 밀봉용 성형체를 놓고,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상기 유리관의 기단부와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edge)부에 걸쳐 유동시키고 고화시켜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으로서,가열에 의해 용융 상태에 있는 상기 밀봉용 성형체를 상기 유리관 주위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상기 한 쪽 판유리에 형성된 관통공 에지부에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 형성부의 외측 직경을 상기 밀봉용 성형체의 외측 직경보다 작게 설정하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경사면이 상기 관통공 에지부를 챔퍼링(chamfering)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38485A JP2004339010A (ja) | 2003-05-16 | 2003-05-16 | ガラスパネルの吸引口形成方法 |
JPJP-P-2003-00138485 | 2003-05-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9120A true KR20040099120A (ko) | 2004-11-26 |
Family
ID=3352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8395A KR20040099120A (ko) | 2003-05-16 | 2004-04-23 |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4339010A (ko) |
KR (1) | KR20040099120A (ko) |
CN (1) | CN155047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3744B1 (ko) * | 2009-12-30 | 2013-07-08 | (주)엘지하우시스 |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49341B2 (ja) * | 2007-04-17 | 2012-01-1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基板 |
KR101191608B1 (ko) | 2010-01-05 | 2012-10-15 | (주)엘지하우시스 | 유리 패널의 배기구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리 패널 제품 |
JP2011187330A (ja) * | 2010-03-09 | 2011-09-22 |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用チャンバー |
US8742287B2 (en) * | 2011-12-15 | 2014-06-03 | Guardian Industries Corp. | Lighting solution for apparatuses for vacuum insulating glass (VIG) unit tip-off, and/or associated methods |
CN103000447B (zh) * | 2012-11-28 | 2015-04-01 | 厦门顶科电子有限公司 | 一种密封型继电器的透气孔结构及其封透气孔方法 |
JP2015129061A (ja) * | 2014-01-07 | 2015-07-16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材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材の製造装置 |
CN107265889A (zh) * | 2017-06-15 | 2017-10-20 | 朱盛菁 | 一种真空玻璃的抽真空方法 |
EP4183755A1 (en) * | 2019-04-10 | 2023-05-24 |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 Glass unit |
-
2003
- 2003-05-16 JP JP2003138485A patent/JP2004339010A/ja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04-23 KR KR1020040028395A patent/KR200400991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5-17 CN CNA2004100447505A patent/CN1550472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3744B1 (ko) * | 2009-12-30 | 2013-07-08 | (주)엘지하우시스 |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550472A (zh) | 2004-12-01 |
JP2004339010A (ja) | 2004-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71253T3 (es) |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a pieza moldeada de vidrio con al menos una rama doblada en ángulo. | |
KR100598706B1 (ko) | 유리 패널 및 그 형성 방법 | |
KR20040094666A (ko) |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유리 패널 | |
CA2165198C (en) | Methods of construction of evacuated glazing | |
KR20040099120A (ko) | 유리 패널의 흡인구 형성 방법 | |
JPH102161A (ja) | 真空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EP1298102A1 (en) | Glass panel | |
TWI812769B (zh) | 玻璃板的製造方法 | |
JP2002226235A (ja) | 低圧複層ガラス | |
JP2000313630A (ja) | ガラス融着方法、ガラス融着装置、融着ガラスおよび融着ガラスの製造方法 | |
US20030108692A1 (en) | Glass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lass panel | |
KR20220019095A (ko) | 진공 단열 유리(vig) 유닛의 배기 및 기밀 밀봉을 위한 플랜지형 튜브, 플랜지형 튜브를 포함하는 vig 유닛, 및 연관된 방법 | |
KR100461089B1 (ko) | 유리 패널 | |
US20220065029A1 (en) | Vacuum insulated glazing unit with dense side seal material | |
JP2004168627A (ja) | 遮熱器具 | |
CN112839914A (zh) | 玻璃单元 | |
EP1211377A2 (en) | Glass panel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 |
KR20060006833A (ko) | 유리 패널 | |
JPWO2003000613A1 (ja) | 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 |
JP2002167246A (ja) | 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 |
JP2002255594A (ja) | 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 |
JP2002241149A (ja) | ガラスパネル | |
JP2002255593A (ja) | 低圧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 |
JP2002308652A (ja) | ガラスパネル | |
KR100442891B1 (ko) | 가스 방전 램프 및 그 제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