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112A -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및 구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및 구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112A
KR20040099112A KR1020040006169A KR20040006169A KR20040099112A KR 20040099112 A KR20040099112 A KR 20040099112A KR 1020040006169 A KR1020040006169 A KR 1020040006169A KR 20040006169 A KR20040006169 A KR 20040006169A KR 20040099112 A KR20040099112 A KR 2004009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modulation
clock
display
lumin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362B1 (ko
Inventor
아베나오토
사가노오사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modulation of the duration of a single pulse during which the logic level remains consta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G09G3/208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with combination of amplitude modulation and tim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패널(1)의 구동회로(7)에 공급되는 변조클락은, 그 고조파스펙트럼이 확산하도록 주파수변조를 행한다. 인접하는 두개의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한쪽의 화소와 다른쪽의 화소 사이에 특정기간의 표시휘도의 차이가,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치 이하가 되도록 주파수편향을 제한한다. 따라서, 화질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불요 복사의 저감을 저코스트에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및 구동제어방법{DRIVE CONTROL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FOR DISPLAY PANEL}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 TV화상신호 등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와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2. 관련기술에 대한 설명
종래, 전자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저감시키는 방법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평 (JP-A) No. 8-320665), 특허문헌 2(JP-A No. 9-98152), 특허문헌 3(JP-A No. 9-232944) 및 특허문헌 4(JP-A No.9-289527)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종래의 EMI저감방법에 의하면, 시스템클락의 고조파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시스템클락을 주파수변조시킴으로써, 비교적 넓은 대역에서 측정되는 EMI스펙트럼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디지털데이터가 평탄패털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전송에 수반되는 EMI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데이터와 그 데이터전송클락의 위상이 전환한다.
특허문헌 2는 기준주파수클락이 주파수변조하여 확산스펙트럼생성장치의 출력으로 변환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정주파수변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은, 확산스펙트럼에 있어서 동일시점에서 동기하여 주사하는 레이저빔프린터 또는 영상프린터에 각각 스윕(sweep)하는 경우 열화레벨이 적어지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그 소스클럭으로부터 출력클락(시스템클락)에 디지털적으로 주파수변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기저신호를 주파수변조하여, EMI를 저감하기 위한 시스템클락인 변조클락기준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표시부의 동기신호에 관하여, 이러한 문헌은, 주사라인마다 표시되는 수평위치의 편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표시부의 수평귀선기간에 변조파형의 주파수가 정합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특허문헌은 전자장치의 시스템클락의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방법, 데이터전송의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방법, 특히 시스템클락을 주파수변조하는 변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전송클락의 위상이 전환되는 경우라도, 표시패널로부터 방사되는, EMI에 몇몇 종류의 중대한 불요복사를 억제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후술한다.
표시패널의 구동제어방법은 신호화소에 대한 표시휘도(계조레벨)을 결정하는 몇몇 종류의 휘도변조방법을 포함한다. 그들 중 제 1방법은, 화소의 변조소자에 인가된 전압의 진폭을 변조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화소의 변조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변조하는 방법이다. 또한, 다른 방법은 이 화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발광기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은 전자의 방법과 전압 또는 전류를 변조하는 방법을 조합시키는 것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을 펄스폭변조방법이라고 칭한다.
펄스폭변조방법에 의하면, 휘도변조전용의 변조클락(PCLK)를 데이터전송클락과 별도로 준비한다. 변조신호파형의 적어도 펄스폭은, 이러한 변조클락에 동기하여 결정된다.
화상표시부의 불요복사(EMI)가, 이러한 펄스폭변조방법에 의한 표시패널인 매트릭스패널을 구동함으로써 측정되는 경우,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구성성분의 레벨은 법적기준치, 예를 들면, 정보기술장치에 의한 장해자주규제협의회(VCCI)에 의한 클라스 B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변조클락(PCLK)은 행배선을 선택하는 시간(선택시간)의 길이, 표시되는 계조량, 변조방법 등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10MHz부근에서 설정되고, 적어도 약 수 MHz - 40 MHz이다. 매트릭스패널의 스크린크기가 16:9의 약 40인치인 경우, 변조배선의 길이는 약 0.5m이며, 배선 사이의 용량을 고려하면, 수 백MHz에서 공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조파구성성분은, 직사각형파형의 푸리에변환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파에 대해서 증가한 고조파차수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결과로서 평가되는 불요 복사는, 변조클락(PCLK)의 계조파구성성분인 수십 MHz으로부터 수백 MHz로 확장된다. 실제로, 변조클락의 주파수와 매트릭스패널의 스크린크기 등의 다양한 요소가 불요복사에 관계가 있으며, 본원발명의 발명자들이 측정한 매트릭스패널화상표시에 있어서, 100MHz으로부터 400MHz의 변조클락의 고조파구성성분이 크게 검출되었다.
또한, 변조신호를 매트릭스패널에 입력하도록 휘도데이터와 변조클락의 입력을 수신하는 구동회로가, 매트릭스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검출된 대부분의 고조파구성성분은,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전송클락으로부터 기인하는 매트릭스패널로부터의 불요복사의 영향은, 변조클락에 의한 불요복사의 것에 비교하여 매우 적으며, 이것은 변조클락에 의한 것처럼 심각하지 않다.
즉, 본 발명자의 지식에 의하면, 데이터전송클락 또는 시스템클락이 종래의 EMI의 대책처럼 주파수변조을 행하는 경우라도, 매트릭스패널로부터 방출된 불요복사는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표시패널로부터 방출된 EMI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전체케이스를 도전성부재에 의하여 보호함으로써 저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전자장치는 금속부재 등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지만,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매트릭스패널의 정면의 표시부분은 그 광학특성을 희생하지 않는(즉, 무색투명임) 전기전도도가 높은 부재로 보호될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광학특성을 희생하지 않는 고전도도를 가지는 부재는 고가이다.
따라서, 발명자들은 변조기의 출력(구동회로)와 변조배선 사이의 고조파구성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 등의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구성성분을 저감하는 방법을 생각하였다. 그러나, 매트릭스패널의 스크린크기가 16 : 9의 40인치인 경우, 약 1m의 폭에 접속된 수천 변조배선의 각각에 페라이트코어를 추가하는 것은, 실장에 있어서 실제로 곤란하며 제조가격이 상승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상업적인 이유에 의하여 민생품인 TV수상기의 화상표시장치에 채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펄스폭변조신호파형과 변조클락(PCLK)의 예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휘도데이터에 대한 휘도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
도 4는 종래 구동방법에 의거하여 구동하는 EMI의 측정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도 5a는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소스클락과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 5b는 주파수변조된 변조클락(PCLK)과, PCKL에 의하여 펄스폭변조한 m행과 m + 1행의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PCLK의 주기를 직선적으로 스윕(sweep)한 경우 PCLK의 주기를 도시하는 도.
도 7a는 펄스폭변조가 소스클락에서 행해지는 경우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 7b는 변조클락(PCLK)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
도 8은 PCLK의 주가가 직선적으로 스윕하는 경우 PCLK의 주기와 소스클락의 주기를 도시하는 도.
도 9는 감마보정된 화상신호의 인접 데이터 사이의 휘도차를 도시하는 도.
도 10은 PCLK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 11은 전압제어발진기에 입력된 전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a - c는 HD신호에서 동기하여 주파수변조한 PCLK의 주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
도 13a는 소스클락과 소스클락에서 펄스폭주파수한 변조신호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13b는 기수프레임과 우수프레임의 PCLK에서 펄스폭변조한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부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15는 제 6실시예에 의한 PCLK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
도 16은 제 6실시예의 PCLK의 특성을 제거한 계조변환기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CLK의 예를 도시하는 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CLK의 예를 도시하는 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CLK의 예를 도시하는 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부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부를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표면도전형전자방출소자의 소자전압(Vf), 소자전류(If) 및 방출전류(Ie) 사이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부의 휘도데이터변환기의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24는 변조기준전압의 설정값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부의 PCLK생성부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부의 PCLK의 주파수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시패널 2: A/D변환기
3: 데이터재배열부 4: 휘도데이터변환기
5: 시프트레지스터 6: 래치회로
7: 구동회로 8: 주사드라이버
9: 변조기 17: 전원회로
40: PCLK생성부 41, 42: 발진기
43: 가산기 44, 46: 전압제어발진기
45: 삼각파발생기 81: 주사신호발생부
82: 스위치수단 1001: 화소
1002: 열배선 1003: 행배선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화질열화를 억제하면서, 펄스폭변조에 의하여 양호한 글레이데이션(gradation)표시를 행하도록, 표시패널로부터의 불요복사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의 표시패널구동제어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로서,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를 가지며,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되는 변조클락을 변조기에 공급하는 변조클락공급회로를 구비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로서,
상기 변조기는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며, 상기 변조클락공급회로는, 일정주파수의 가상의 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이탈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공급하며, 주파수편향은 두개의 인접하는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특정기간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휘도(표시밝기, 표시강도)와 특정기간의 다른 화소의 표시휘도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되는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로서,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를 가지며, 변조신호를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공급하는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변조클락을 상기 변조기에 공급하는 변조클락공급회로를 구비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로서,
상기 변조기는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며, 상기 변조클락공급회로는, 일정주파수의 가상 소스클락에 대하여, 그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공급하며, 주파수이탈은, 임의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가상소스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와 변조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를,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로서,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를 가지며,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되는 변조클락을 상기 변조기에 공급하는 변조클락공급회로를 구비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로서,
상기 변조기는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며, 상기 변조클락공급회로는, 일정주파수의 가상 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공급하며, 주파수편향에 기인하는 표시휘도레벨에서의 변화를 보충하기 위하여 휘도데이터의 글레이데이션을 변환하는 글레이데이션변환기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의한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인접하는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특정기간에서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휘도와 특정기간에서 다른 화소의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가,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주파수이탈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의한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가상소스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와 변조클락에서 얻은 특정기간의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가,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주파수이탈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1프레임기간의 휘도이거나 2이상 플레임기간의 평균휘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조클락의 위상은 주사배선의 선택기간에 동기하여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간의 미분값이 연속적이도록 변조클락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용값이 10%최대표시휘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화소의 특정기간의 표시휘도가 La이며, 다른 화소의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Lb이며, 휘도의 차이를 |La - Lb|로 한 경우, 허용값은 0.015(La + Lb)인 것이 바람직하다.
허용값은 인접하는 두개의 레벨의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도데이터가 작은 경우, 허용값은 작으며,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 허용값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허용값은 휘도데이터의 제곱에 비례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구동제어방법으로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변조클락이며, 일정한 주파수의 가상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며, 주파수편향은, 두개의 인접하는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특정기간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휘도와 특정기간의 다른 화소의 표시휘도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되는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단계와;
변조클럭에 동기하여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는 적어도 펄스폭을 변조함으로써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표시패널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제 5측면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구동제어방법으로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변조클락이며, 일정주파수의 가상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며, 주파수편향은, 임의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가상소스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의 표시휘도와 변조클락에 의해 얻은 특정기간의 표시휘도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되는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단계와;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는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변조클럭에 동기해서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발명의 제 6측면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구동제어방법으로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변조클락이며, 일정주파수의 가상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단계와;
주파수편향에 의하여 초래된 표시휘도레벨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휘도데이터의 글레이데이션을 변환하는 단계와;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변조클락에 동기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펄스폭변조의 변조클락은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주파수변조되므로, 표시패널로부터 불요복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불요복사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종래에 필수적이었으며, 화상표시장치의 광학특성을 희생시키지 않은 전기전기도가 높은 부재 및 고조파구성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조기의 출력및 변조배선 사이에 부착된 페라이트 등의 다른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불요복사의 저감을 저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 1실시예)
(구성)
먼저, 제 1실시예의 매트릭스패널의 구동방법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480행ㆍ640 × 3(RGB)열의 매트릭스배선인 매트릭스패널을 도시한다.
매트릭스패널(표시패널)(1)의 화소(1001)는 냉음극소자 등의 변조소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기도 하며, 변조소자는 유리 등의 기판에 형성된다. 냉음극소자를 사용하는 표시매트릭스패널의 경우에 있어서, 형광체가 도포되고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유리 등의 기판이, 화소(1001)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냉음극소자로부터 방출된 전자로 인하여 형광체가 발광하도록 된다.
(1002)는 열배선(변조배선)을 표시하고, (1003)은 행배선(주사배선)을 표시한다. 열배선(1002)과 행배선(1003) 사이의 물리적교차가 절연되어, 화소(1001)를 구성하는 냉음극소자는 매트릭스배선의 전기회로교차점에 접속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행배선(1003)은 입력된 휘도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에 대응해서 순차선택되고, 소정의 선택전위는 선택기간에 있어서 행선택회로(선택회로)(8)로부터 인가된다. 한편, 선택된 행배선의 휘도데이터에 대응하는 변조신호는, 선택기간에 있어서 열구동회로(구동회로)(7)으로부터 배선(1002)으로 인가된다. 이러한 선택을 모든 행에 대하여 행하여 수직주사기간이 종료하여 1스크린의 화상이 형성된다. 휘도데이터에 대응하는 변조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LK생성부(40)에 의하여 생성된 변조클락(PCLK)을 기준으로 펄스폭을 결정한다. 변조클락(PCLK)이 열마다 공통인 경우, 배선량이 작아서 비용이 저감되어 바람직하다. 열구동회로(7)는 각각의 열배선의 휘도데이터 변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을 변조클락(PCLK)에서 동기하여 전환(변조)할 수 있는 변조기(9)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PCLK생성부(40)는 변조클락공급회로에 상당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480행ㆍ640 × 3(RGB)열의 매트릭스패널이, NTSC시스템과 같은 표준 TV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경우, 각각의 선택시간은 입력되는 신호의 프레임시간의 1/525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TSC시스템과 같은 표준TV신호는 인터레스프로그레시브(interlace progressive)변환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525P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525P신호를 입력해서 매트릭스패널이 화상을 다음과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선택전위는 입력된 화상신호의 프레임시간의 1/525의시간단위에서 행배선(1003)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다음, 각각의 주사라인에 대응하는 변조신호는 열배선(1002)에 주어지며, 각각의 주사라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선택전위를 제 1행으로부터 480행까지 행배선에 공급하는 경우, 프레임의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 열배선에 입력되는 변조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변조방법은 펄스폭변조(PWM)이다. 즉, 변조클락(PCLK)의 계수치가, 대응열배선의 휘도데이터의 값과 동일하게 될 때까지, 펄스를 출력한다.
도 2는 출력된 변조신호파형과 변조클락(PCLK)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변조신호의 단위파형(직사각형) 내의 숫자(1-255)는 휘도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휘도데이터가 "5"인 경우, 직사각형내의 숫자가 "1" 내지 "5"에 대응하는 시간의 5개의 하이레벨의 단위파형이, 변조신호로서 연속적으로 출력되어, 그 이후의 시간의 낮은 레벨로 되어, 단위파형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의 펄스폭은 코드 PW5이다. 공급된 단위파형량은 디지털신호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파형은 경우에 따라서 시간슬롯이라고 칭한다.
도 3은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휘소의 표시휘도의 특성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표시휘도는 정규화된 형태로 표시한다. 종축의 휘도데이터와 횡축의 휘도데이터가 실제로 이산적이지만, 설명에 있어서, 점을 실선에 의하여 접속한 선에 의하여 특성이 표현된다.
제 1실시예에 의하여, 한 종류의 변조기준전위에 의거하여 펄스폭변조를 행하기 때문에, 화소의 표시휘도는 화소에 인가된 변조신호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시간에 비례한다. 즉, 휘도데이터는 휘도에 비례한다.
프레임시간에 있어서 525수평기간이 있다. 각각의 행배선은 이러한 시간에서 순차선택한다. 표시패널은 480행을 갖기때문에 45라인의 수직블랭킹기간을 갖도록 프레임주사를 행하여, 입력TV신호와 주파수정합을 확보한다. 행배선의 전환에 필요한 시간은 수평시간의 10%가 되도록 결정되고, 변조신호의 최대시간은 수평기간의 90%이다. 다음, 예를 들면, 휘도데이터로서, 8비트폭데이터, 즉, 256글레이데이션데이터에서, 변조신호 256글레이드를 얻기 위하여, 실제변조클락(PCLK)의 주파수(fPCLK)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식(1)
도 4는 매트릭스패널(1)이 구동되는 경우 EMI의 측정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 횡축은 주파수를 표시하며, 종축은 전계강도를 표시한다. 여기서 (em1)은 검출불요복사를 표시하고 (vb1)은 VCCI의 클래스 B의 기준레벨을 표시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0MH2-400MH2주파수대역에 있어서 VCCI클래스 B를 초과하는 레벨의 PCLK고조파는 매트릭스패널로부터 조사되어 검출된다.
이하,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를 표시화상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소정의 EMI레벨 이하, 예를 들면, vb1에 의하여 표시된 레벨 이하로 억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요복사의 저감)
불요복사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PCLK생성부(40)는, ±1 주파수의 변화에 의하여, 9MHz소스클락을, 변조클락(PCLK)으로 주파수변조한다. 도 5a는 일정주파수의 소스클락과 소스클락에 동기하여 펄스폭변조된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한다. 도 5b는 주파수변조의 결과로서 얻은 변조클락(PCLK)과, 매트릭스패널의 행 m, m + 1에 대하여 PCLK에 의하여 동기해서 펄스폭변조된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한다. 생성된 소스클락을 변조클락으로 주파수변조하는 방법이외에, 변조클락(PCLK)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압제어발진기를 사용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은, 일정주파수의 소스클락을 추정(가상 소스클락)하여 주파수변조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도 5b에서 도시하는 m행, m + 1행의 변조신호파형의 상승개시시각은, 도 5a에서 도시하는 소스클락에 의한 변조신호파형의 상승 개시시각과 동일 위치에서 표현하였고, 양자의 변조신호의 펄스폭이 비교를 용이하게 도시하였다. 일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의 위상은 m행, m+1행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게 되고, 1수평주사기간내에서 주파수가 이탈하고, 환언하면, 1단위주기가 편향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m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휘도데이터n에 대응하는 펄스폭과 m + 1행에 공급되는 휘도데이터 n에 대응하는 펄스폭 사이의 차는 DLn이며, m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휘도데이터 255에 대응하는 펄스폭과 m + 1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휘도데이터 255에 대응하는 펄스폭 사이의 차는 DL 255이다. 다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차이에 의존하는 화소의 표시휘도의 차는, 예를 들면, 소스클락에 의거한 휘도데이터에 대응하는 DL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휘도의 전술한 차는, 0을 제외한 n = 1, 2, 3, ...255 등의 모든 글레이데이션레벨 또는 n = 1, 2, 3, ....200 등의 주요글레이데이션레벨의 공통허용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조클락(PCLK)은 주파수변조되어 9MHz에 대한 주파수편향이 ±90kHz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변조클락(PCLK)의 11차고조파구성성분에 대하여, 주파수편향이 확대되어, 99MHz의 중심주파수에 대하여 ±1%인, 1.98MHz대역폭에 걸쳐서 확산(확대)된다. 11차 고조파구성성분인 불요복사가 EMI을 측정하는 120kHz의 측정밴드에서 1.98MHz대역폭에 걸쳐서 확산(확대)되기 때문에, 에너지가 120kHz/1.98MHz배로 되어 계측된다. 즉, 1/16.5배로 된다. 이것은 EMI복사가 약 12dB만큼 저감하는 것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에너지는 22차고조파인 198MHz의 120kHz/3.78MHz가 곱해지며, EMI복사는 약 15dB만큼 저감한다.
그러므로, EMI계측 120kHz의 밴드에서 불요복사는 크게 저감하고, 도 4의 변조클락(PCLK)의 고차 고주파는 100MHz 이상 밴드에서 120dB이상 감소한다. 다음 이러한 것은 VCCI 등의 표준 이하로 불요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소스클락을 주파수변조함으로써 변조클락(PCLK)를 얻기 위하여, 주파수변조에 의하여 얻는 변조된 클락의 에너지는 ±1% 주파수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PLCK가 랜덤하게 약 ±1%만큼 편향하도록 PCLK의 주기를 전환시킬 수 있다. PCLK의 주파수(주기)는 직선적으로 또는 곡선상으로 스윕할 수 있다.
(화질의 허용조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소스클락을 랜덤하게 주파수변조하여 변조클락(PCLK)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PCLK 주기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의 레벨을 저감시키고 그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변조클락의 주파수가, 휘도에 직접 관련된 변조클락(PCLK)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표시위치 또는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경우, 일정주파수의 클락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휘도가 변화한다. 표시위치 또는 휘도데이터에 인하여 초래된 휘도의 변화는, 화질을 열화시키는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발명자는, 고조파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질이 열화하는 것이 방지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주파수 변조된 변조클락을 사용하는 매트릭스패널에 표시된 화상의 화질평가의 결과로서, 주파수편향을 제한함으로써 임의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한 인접하는 두 개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화소에 표시를 행하는 경우, 화질이 열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표시휘도의 차를 축적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표시휘도의 차를, 예를 들면, 1플레임기간내에 있어서 휘도의 차 또는 2프레임 이상의 기간내에 있어서 평균휘도의 차로서 정량화할 수 있다. 화질의 열화를 초래하지 않는 범위, 즉, 허용치는 모든 휘도레벨에 대하여 일정치일 필요가 없으나,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변조클락은 인접 행의 화소에 표시되는 표시휘도의 차에 대하여 변조된 주파수이며, 어떠한 휘도 데이터에 의하여 얻은 휘도레벨에 있어서, 인접휘도데이터에 의하여 얻은 표시휘도의 차, 즉 1글레이데이션과에 균일한 휘도의 차를 초과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화질의 변화는 고려되지 않게된다. 즉, 임의의 행인 행 m의 화소의 256에서 정규화한 휘도데이터를 n으로 하고, 동일한 256에서 정규화된 정규휘도를 L(m, n)으로 하고,
식 (2):L (m + 1, n - 1) < L(m, n) < L(m + 1, n + 1)이면, 화질의 열화가 거의 인식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하여 펄스폭변조를 행하기 때문에 변조신호의 펄스폭은 휘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조건(2)에서, 휘도는 펄스폭의 지터량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임의의 행인 행 m의 휘도데이터를 n으로 하고, 주파수변조되지 않는 경우 PCLK에 의하여 얻은 펄스폭이 휘도데이터와 동일하게 되도록 정규화한 변조신호파형의 정규화펄스폭을 T(m, n)으로 하고,
식(3) T (m + 1, n - 1) < T(m, n) < T(m + 1, n + 1)이면, 화질의 열화를 거의 인식할 수 없다.
또한, 화질의 열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두 개의 레벨의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된 표시휘도의 휘도차(1글레이데이션과 동일한 휘도의 차)를 1/2초과하지 않는 PCLK를 사용하는 경우, 화질의 열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런 경우의 조건에 의하면, 휘도는 펄스폭의 지터량에 의해 치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명한 식 (2)(3)의 조건은, 식 (2'),(3')의 조건으로 된다.
(L (m + 1, n - 1) + L(m + 1, n)/2 < L(m, n) < ((L (m + 1, n) + L (m + 1, n - 1))....식 (2')
T (m + 1, n - 1) + T(m + 1, n))/2 < T(m, n) <((T (m + 1, n) + T(m + 1, n + 1))/2.....식 (3')
이하에서 조건 (2), (3)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ft1)은 PCLK의 주파수 변화를 표시한다. 도 6에서, 횡축은 PCLK의 주기를 표시하고 종축은 PLCK의 량(휘도량)을 표시한다. 도 6은 PCLK의 주기가 직선적으로 스윕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다. 주파수편향이 작은 경우, PCLK의 주파수가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PCLK의 주기는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PCLK의 주기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스윕하는 경우, 휘도의 차는 어떠한 행에서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PCLK주기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덤하게 변화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건 (2)(3)하에서 주파수변조를 행하는 경우, 화질의 열화는 거의 없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PCLK의 주기를 스윕하는 주기는, 조건(3)으로부터 변조신호의 최대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ft1)가 행m의 PCLK의 특성이고 (ft2)가 행 (m + 1)의 PCLK의 특성이라 한다. 도 6에서, (ft1),(ft2)는, 인접하는 행배선의 휘도차가 최대인 변조클락(PCLK)의 관계를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ft2)가 (ft1)과의 역위상으로 되는 경우, 최대휘도차는 인접하는 행 사이에 발생한다.
펄스폭변조가 개시하는 경우 PCLK의주기의 편향을 0이라고 하면, PCLK의 주기의 편향(ft1, ft2)을 다시 0으로 되는 PCLK수(휘도데이터)를 k라고 하고, 주기의 최대편향을 1 ± j라고 하면, 변조클락(PLCK)의 주기는 (ft1)에서 길고 (ft2)에서짧기 때문에, 행 m의 휘도데이터 (k - 1)의 휘도(즉, 변조신호의 길이)는, 행 (m + 1)의 휘도데이터( k - 1)의 휘도(즉, 변조신호의 길이)보다 크다. 임의의 행인 행 m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변조신호파형에 대응하는 정규화펄스폭은 T(m, n)이라고 하면,
식 (4) T(m + 1, k - 1) < T(m, k - 1)이 된다.
변조신호는 휘도데이터에 대하여 단조로 증가하기 때문에,
식 (5) T(m, k - 1) < T(m, k)이 된다.
식 (3)의 화질의 열화를 초래하지 않는 조건에 대하여 좌측의 부등식은, 식 (4)(5)으로부터 항상 성립된다. 그러므로, 식(3)의 화질의 열화가 생기지 않는 조건은, 식(6): T(m, k) < T(m + 1, k + 1)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식 (6)이 성립되는 경우, 화질의 열화는 거의 없다.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행하는 경우, 임의열의 휘도데이터 k에 대응하는 펄스폭은 T(k)이며, 임의 열의 인접하는 휘도데이터의 시간차는 △T( = 1)이며, 여기서 k >> 1인 경우,
식 (7):이며,
식 (8): T(m + 1, k + 1) ∼ T(k) × (1 - j / 2) + △T가 성립된다.
식 (7)(8)을 식 (6)에 대입하면,
식: T(k) × ( 1 + j / 2) < T(k) × (1 - j/2) + △T가 성립한다.
식 (9)의 조건을 정리하면,
식 (10): T(k) × j < △T가 성립한다.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가 T(k) = △T × k이기 때문에, 주기의 최대이탈을 ±1%(j = ±0.01)로 하면, k는 100이하일 필요가 있다.
상기 설명한 조건이 성립되는 경우, 화질의 열화는 더 이상 인식할 수 없으며, 글레이데이션특성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라인사이의 휘도차에 대한 민감한 인간의 시각의 특성에 유념하여, 변조클락(PCLK)에 대한 조건을 개시하였다. 한편, 인간시각은 글레이데이션특성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제 1실시예에 있어서 글레이데이션특성으로부터의 PCLK의 조건을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글레이데이션특성이 크게 편향된 변조클락(PCLK)인 경우, 글레이데이션특성에 대해서는, 불도시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의하여 글레이데이션변환하여 글레이데이션특성을 휘도데이터에 합치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펄스폭변조의 변조클락(PCLK)을 주파수변조함으로써 표시패널로부터의 불요복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허용치 이하까지 주파수편향을 제함한으로써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다음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변조클락(PCLK)의 주파수변조에 대한 조건은, 주관평가로 문제가 되는, 인접행 사이의 휘도차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다. 제 2실시예의목적은 충실하게 휘도데이터와 휘도의 글레이데이션특성을 재현하는 데 있다. 제 2실시예의 불요복사의 동작과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질의 허용조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변조클락(PCLK)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랜덤하게 소스클락을 주파수변조함으로써 얻는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PCLK의 주기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그 고조파의 레벨을 저감시키고 그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도 7a는, 펄스폭변조를 이러한 소스클락에서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스클락과 변조신호파형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7b는, 펄스폭변조를 이러한 변조클락(PCLK)에서 행하는 경우, 임의의 행 m의 변조클락(PCLK)과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한다.
제 1실시예와 같이, 휘도에 밀접하게 관련된 변조클락(PCLK)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휘도는 표시위치와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변환한다. 표시위치 또는 휘도데이터로 인하여 초래된 휘도의 변화는 화질을 열화시키기 쉽다. 고조파를 저감시킴으로써 화질의 열화되지 않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 2실시예는, 더욱 고정밀하게 글레이데이션특성을 정합시키기 위하여 휘도데이터를 휘도특성에 정합시키는 방법에 관련있다. 펄스폭변조이 소스클락을 기준으로 행하는 경우 얻은 휘도와 주파수변조한 변조클락(PCLK)을 기준으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얻은 휘도 사이의 차이는,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행한 경우얻은 1글레이데이션의 표시휘도의 차이 보다 적은 경우, 글레이데이션특성을 충실하게 표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주파수(주기)의 소스클락과 휘도데이터 n에 의하여 펄스폭변조된 변조신호의 펄스폭과, 주파수변조된 변조클락과 휘도데이터 n에 의하여 펄스폭변조된 변조신호의 펄스폭과의 차이는 DLLn이며, 또는 일정주파수(주기)의 소스클락과 휘도데이터(255)에 의한 펄스폭변조된 변조신호의 펄스폭과, 주파수변조된 변조클락과 휘도데이터(255)에 의한 펄스폭변조된 변조신호의 펄스폭과의 차이를 DLL255으로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차에 의존하는 화소의 표시휘도차는, 소스클락에 의거한 1휘도데이터와 동일한 DL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 = 1, 2, 3, ....255 와 같이 0을 제외한 모든 글레이데이션레벨 또는 n = 1, 2, 3, ...200과 같이 주요글레이데이션레벨에 있어서, 상기 전술한 표시휘도의 차이는 허용값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행하는 경우 임의행의 휘도데이터 n에 대응하는 정규화휘도를 L(n)이라고 하고, 펄스폭변조를 주파수변조한 변조클락(PCLK)에서 행하는 경우 임의의 행으로 되는 행 m에서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대응하는 정규화휘도를 L(m, n)이라고 하면,
식 (11): L(n - 1 < L(m, n) < L(n + 1)이 성립되며, 화질의 열화는 거의 인식되지 않으며 글레이데이션특성이 충실하게 표시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의하면, 펄스폭변조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행하기 때문에 변조신호의 펄스폭은 휘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식(11)의 조건에 있어서, 휘도는 펄스폭의 지터량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즉, 임의의 행으로 되는 행 m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대응변조신호파형의 정규화펄스폭을 T(m, n)이라고 하고,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임의의 행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대응정규화펄스폭을 T(n)이라 하고, 펄스폭변조를 주파수변조한 변조클락(PCLK)에서 행하는 경우, 임의의 행으로 되는 행 m에서의 정규화펄스폭을 T(m, n)이라고 하면, 식(12):
T(n - 1) < T (m, n) < T(n + 1)이면,
화질의 열화를 거의 인식할 수 없으며, 또한, 글레이데이션특성을 충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얻을 수 있는 휘도와 주파수변조한 변조클락(PCLK)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얻은 휘도 사이의 표시휘도 차이가,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행하는 경우 얻은 휘도의 1/2보다 작은 경우, 글레이데이션특성을 더욱 충실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조건에 있어서, 휘도는 펄스폭의 지터량에 의하여 치환할 수 있다. 전술한 식 (11), (12)의 조건은 식 (11')(12')처럼 표현할 수 있다.
(L(n - 1) + L(n))/2 < L(m, n) < (L(n) + L(n + 1))/2.....식 (11')
(T(n - 1) + T(n))/2 < T(m, n) < (T(n) + T(n + 1))/2.....식 (12')
이하, 식 (11)(12)의 조건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다음, 도 8은 주파수가 변화된 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8에서, 종축은 PCLK의 주기를 표시하고, 횡축은 PCLK(휘도데이터)의 수를 표시한다. 도 8은 PCLK의 주기를 직선적으로 스윕하는 경우를 표시한다. 주파수편향이 작은 경우, PCLK의주기의 변화는 PCLK의주파수를 직선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직선적인 변화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PCLK의 주기가 직선적으로 스윕하는 주기가, 도 8에서의 변조시간의 최대시간보다 짧은 경우, 식 (12)의 조건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도 8에서, (ft1)은 행 m의 PCLK의 주기의 변화를 표시하고, (ft0)는 소스클락의 주기를 표시한다.
펄스폭변조가 개시하는 경우, PCLK의 주기의 편향을 0이라고 하면, PCLK의 주기의 편향이 다시 0으로 되는 PCLK(휘도데이터)의 수를 k라고 하고, 주기의 최대편향을 1 ±j이며,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임의의 행 의 휘도데이터 k에 대응하는 펄스폭은 T(k)이다. 그러므로, 식(13):
T(m, k) = T(k) × (1 + j / 2)가 성립한다.
또한,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행하는 경우 식 (14):
T(k) = △T × k가 성립하며,
식 (12)의 조건과 식 (13), (14)으로부터 식 (15)
- △T < △T × k (j / 2) < + △T가 성립한다.
예를 들면, 주기의 최대편향을 ± 1%(j = ±0.01)이라고 하면, k는 200 이하일 필요가 있다.
상기 설명한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 화질의 열화는 거의 인식되지 않으며 글레이데이션특성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고화질에 의하여 고글레이데이션특성을 유지하면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변조클락(PCLK)를 주파수변조함으로써, 불요복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주관평가에서 문제가 되는, 인접하는 행 또는 소스클락의 휘도에 대한 상대성 사이의 휘도차이에 대한 변조클락(PCLK)의 주파수변조의 조건이 표시된다. 제 3실시예에 의하면, 더욱 우수한 화질을 얻기 위하여, 표시휘도의 전술한 차이는 공통 허용값 이하로 설정하지 않지만, 0을 제외한 n = 1, 2, 3....255와 같은 모든 글레이데이션레벨의 각각의 글레이데이션레벨에 따라서 상이한 허용값 이하로 한다. 화상표시장치의 구성과 불요복사저감방법에 대해서는 제 1실시예와 동이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질의 허용조건)
입력된 화상신호로서 TV와 같은 CRT의 감마특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마보정된 화상신호(미리 0.45승되어 있는 신호)를 8비트에 의하여 양자화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상표시장치에 입력된 감마보정된 화상신호는, 역γ변환기(예를 들면, RO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 2승의 특성을 가지는 룩업테이블)에서 휘도와 비례하는 선형 특성을 가지는 휘도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제 1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데이터에 대응해서 매트릭스패널이 구동된다.
감마보정된 화상신호는, 휘도가 직선특성으로 되는 고휘도측에 대해서 7비트상당의 계조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고휘도측에 있어서, 7비트에 상당하는 인접하는 행 사이의 휘도차를 허용할 수 있다. 더욱 저휘도측에 있어서는, 직선적인 특성에 있어서 8비트보다 큰 계조를 필요로 한다.
발명자 등이 검토한 결과,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조건(소스클락 또는 PCLK의 1계조에 상당하는 휘도차 이하)에 대해서, 감마보정된 화상신호에 있어서, 입력신호인 감마보정되어 있는 화상신호의 인접하는 데이터보다 낮은 휘도차를 가지는 PCLK는, 더욱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조건은 저휘도측에서는 엄격하고 고휘도측에서는 완화된다. 환원하며, 허용할 수 있는 휘도데이터는, 휘도데이터가 작은 때에는 작고,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에는 크게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9는 감마보정된 화상신호의 인접데이터의 휘도차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9에서, 종축은 인접화상데이터의 정규화휘도허용량을 표시하고, 그 횡축은 정규화휘도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데이터는, 각각의 휘도데이터(즉, PCLK의 수)에 대한 특정한 허용값으로 말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9에서 허용값의 곡선은 f(n)이라고 하면, f(n)을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휘도데이터와 마찬가지로 256에 의하여 정규화된 감마보정된 화상신호를 N이라고 한다.
휘도데이터와 감마보정된 화상신호 N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N/256) ⌒γ = n/256....식 (16)
⌒는 제곱을 의미하고, γ는 역γ변환기의 특성으로부터 1.8 내지 2.8이며, 표준적으로는 2.2라는 값이다. 식 (16), 식 (17)로부터, 식 (17)
(n/256) ⌒(1/γ) = n/256이 성립한다.
감마보정된 화상신호의 1글레이데이션부에 대응하는 휘도데이터는 허용값이라고 간주되므로, 휘도데이터의 허용값을 △n이라고 하면, 식(18)
((n + △n))/256) ⌒(1/γ) -(n/256) ⌒(1/γ) = ((N + 1) / 256) - (
N/256)이 성립한다.
식 (18)를 테일러전개하여 근사시키면, 식 (19)
(1/γ) × (n/256) ⌒((1/γ) - 1) × △n = 1이 성립한다.
휘도데이터에 대한 허용값 △n은, 식(19)로부터, 식 (20) △n =γ ×(n/256) ⌒(1-(1/γ))으로 표현된다.
휘도데이터에 대한 허용값 △n의 n에 대한 감마(함수)곡선을 f(n)이라고 하면, 식(20)의 △n을 f(n) 이기 때문에 식 (21) f(n) = γ × (n/256) ⌒(1 -(1/γ)가 성립한다.
도출한 허용치f(n)을 이용해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파수이탈을 제한하는 경우,
L ( m + 1, n - 1) = L (m + 1, n) - f(n) 및
L ( m + 1, n + 1) = L (m + 1, n) + f(n)이 되기 때문에, 제 1실시예에 의하여 표현되는 조건(식 2)는 다음과 같다.
즉, 임의의 행으로 되는 행 m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대응하는 정규화휘도를 L(m, n)이라고 하면
식 (22) | L(m, n) - L(m + 1, n)| < f(n)이 성립한다.
여기서 | |는 절대값을 의미한다.
펄스폭변조에 있어서, 펄스폭과 변조신호의 휘도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비례한다. 따라서, 식(22)의 조건에 있어서, 휘도는 펄스폭의 지터량에 의하여 치환할 수 있다. 즉, 임의의 행인 행 m에 대한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대응하는 변조신호파형의 정규화펄스폭을 T(m, n)이라고 하면, 여기서 | |는 절대값을 의미하며, 휘도와 펄스폭이 256에서 정규화되므로,
식(23):| T(m, n) - T(m + 1, n)| < f(n)이 성립한다.
다음,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주파수이탈을 제한하는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한 경우, 임의의 행의 휘도테이터 n에 대응하는 정규화휘도를 L(n)에 대해서,
L(n -1) = L(n) -f(n),
L(n + 1) = L(n) + f(n)
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조건(식 (11))은 다음과 같다.
즉, 주파수변조를 행한 변조클락(PCLK)에 의한 펄스폭변조를 행한 때의 임의의 행의 휘도테이터 m행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대응하는 정규화휘도를 L(m, n)으로 하면,
식 (24): |L(n) - L(m, n) < f(n) ......(여기서 ||는 절대값)이 된다. 식 (22) 식 (23)의 조건이면, 화질의 열화를 거의 인식할 수 없다.
펄스폭변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변조신호의 펄스폭과 휘도는 비례한다. 이 때문에 식 (24)의 조건은, 휘도를 펄스폭의 지터량과 치환할 수 있다. 즉, 소스클락에 의한 펄스폭변조를 행한 경우, 임의의 행의 휘도데이터 n에 대응하는 정규화펄스폭을 T(n), 변조클락(PCLK)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한 때의, 임의의 행인 행 m의 휘도데이터 n이라고 하고, 대응하는 정규화펄스폭을 T(m, n)이라고 하면, 휘도 및 펄스폭은 256에서 정규화되므로, |T(n) - T(m, n)| < f(n) ......식 (25)(여기서 ||는 절대값)이 된다. 식 (24), 식 (25)의 조건이면, 화질의 열화를 거의 인식할 수 없다.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화상신호는 감마보정된 신호이지만,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는 휘도데이터와 휘도가 서로 비례하는 경우에 대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서 표시되는 허용값은, 전술한 γ가 1인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용치 f(n)을 인접하는 휘도데이터의 휘도(1글레이데이션에 해당하는 휘도)의 1/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 또한, 화질의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허용값 f(n)을 f(n)/2f로 치환하면 바람직하다.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화상신호가 TV신호와 같이 감마보정된 신호라는 조건하에서 설명한다.
인간의 밝기에 대응하는 감각은, Log특성이기 때문에, 등자극치로 되는 휘도차를 g(n)으로 하면, 식(22)내지 식(25)의 f(n)의 대신에 g(n)으로 함으로써, 입력된 신호에 의하지 않고,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보다도 더욱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g(n)이 f(n)과 마찬가지의 경향(휘도데이터가 작을 때에는 허용할 수 있는 휘도차가 작고,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에는 허용할 수 있는 휘도차가 크다는 조건으로 된다.)이 있기 때문에, f(n)의 대신 g(n)을 조건으로서 감마보정되어 있지 않은 신호를 표시하여도,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보다도 더욱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변조할 수 있는 글레이데이션의 수가, 예시한 바와 같이, 8비트 또는 256글레이데이션이면,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서 표시하는 조건은 변조기의 출력을 충실하게 표시하는 관점으로부터 적절한 조건이다. 그러나, 변조할 수 있는 글레이데이션의 수가 12 비트 처럼 큰 경우,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서 표시하는 조건이 엄격하여, 조건을 초과하는 주파수변조가 PCLK에서 행하는 경우라도 화질의 열화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변조할 수 있는 계조의 수가 4비트 처럼 작은 경우,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서 표시하는 조건이 완화되어,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라도 방해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은 입력된 화상신호를 충실하게 표시하도록 요구되므로 인간의 시각으로 화질열화가 없도록 요구되는 제 3실시예에서 표시한 조건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계조레벨(휘도데이터) n이 1 내지 7의 경우는, 허용값 X1, 계조레벨(휘도데이터)n이 8 내지 15의 경우는, 허용값 X2 ≠X1, 계조레벨(휘도데이터)n이 16 내지 31의 경우는 허용값 X3 ≠X1, X3 ≠X2이도록, 계조레벨의 군마다 상이한 허용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불요복사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 제 2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고화질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제 4실시예)
다음, 제 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실시예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서 개시한 PCLK의 조건을 간단하게 실현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10은 PCLK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고, (41)은 1행의 선택시간에서, 상세하게는 변조신호파형의 상승타이밍에 동기하는 신호(HD)의 입력에 의한 전위(E0)로 리세트되는 발진기, (42)는 미소전압에서 발진하는 발진기, (43)은 가산기, (44)는 입력된 전압에 따른 주파수에서 발진하는 전압제어발진기이다. 도 10에 있어서, HD신호의 타이밍에서 발진기(41)은 전위(E0)에 리세트되어 발진한다(S41). 발진기(42)의 출력(S42)은 가산기(43)에서 가산되는 가산결과(S43)을 전압제어발진기에 출력한다. 도 11에서, 횡축은 시간, 종축은 전압을 표시하며, (S41)로부터 (S43)의 전위를 표시한다. 횡축(HD)에서 표시하는 시간은, HD신호의 타이밍을 표시한다.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발진기(41)는 변조신호파형의 상승타이밍(HD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에 의하여 리세트되고 어떠한 행에 대해서 동일한 전압(E0)를 출력한다. 발진기(42)의 출력과 가산기(43)가 가산되어 (S43)을 출력한다. (S43)은 변조신호파형의 상승타이밍에서 거의 동일한 전압으로 되어, 전압제어발진기(44)는 변조신호파형의 상승타이밍에서 거의 동일한 주파수의 PCLK를 출력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는 PCLK수에 대한 PCLK의 주기의 일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그래프의 종축은, 소스클락의 주기를 1로 정규한 한 경우의 PCLK의 주기, 횡축은 PCLK수(즉, 휘도데이터)를 표시한다. 첫번째 PCLK의 주기는 1이며, PCLK의 수처럼 증가하며, 주기가 크게 편향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PCLK의 주기는 각각의 행에 대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첫번째 PCLK의 주기는 1이며 PCLK의 수와 마찬가지로 증가하고, 각각의 행에 대하여 주기가 변화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 3실시예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다.
도 12b에서 도시하는 특성은, 주기의 미분값은 글레이데이션특성에 연속하지 않는 PCLK의 수의 몇몇 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에 의하여 위화감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a, 도 12c와 같이 미분값이 연속하는 특성이 있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제 3실시예의 PCLK를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불요복사를 저감함과 동시에, 고화질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제 5실시예)
다음은 제 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실시예는, 인간의 시각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이며, 상술한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제 3실시예와, 휘도차의 정의는 상이하다. 화상표시장치의 구성, 불요복사의 저감작용에 대해서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질의 허용조건)
인간의 시각은, 잔상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 5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잔상을 이용한 허용조건을 완만하게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은, 소스클락과,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한 경우의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한다. 도 13b에 있어서, 기수·우수프레임의 임의의 m행의 행배선의 변조클락(PCLK)과 이러한 변조클락(PCLK)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한다. 인간시각특성의 하나인 잔상현상때문에, 정지상은 복수프레임의 평균휘도로 간주한다. 예를 들면, 2프레임의 평균휘도를 허용값 이하로 조정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기수프레임에 있어서 휘도데이터 n에 의한 변조신호의 펄스폭, 또는, 화소의 발광기간(표시휘도)를 no라고 하고, 우수프레임에 있어서 휘도데이터n에 의한 변조신호의 펄스폭, 즉, 화소의 발광기간(표시휘도)를 ne라고 하면, 2프레임의 평균휘도 na는 no와 ne의 평균이다. 이러한 평균값에 의하여 표시휘도를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 1 내지 제 4의 실시예는 성립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수프레임의 임의의 열 m행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휘도데이터와 동일한 256에서 정규화한 정규화휘도를 Le(m, n), 기수프레임의 임의의 열 m행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휘도데이터와 동일한 256에서 정규화한 정규화휘도를 Lo(m, n)이라 하고, 우수프레임과 기수프레임의 평균정규화휘도를 LL(m, n)이라고 하면,
식(26):LL(m,n)=(1/2)×(Le(m,n)+Lo(m,n))이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펄스폭변조가 제 5실시예에서 행하기 때문에, 변조신호의 펄스폭과 휘도는 서로 비례한다. 따라서, 식(26)의 조건하에서, 휘도는 펄스폭변조의 지터량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이때, 우수프레임의 임의의 행인 m행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변조신호파형의 정규화펄스폭을 Te(m,n)이라고 하고, 기수프레임의 임의의 행인 m행의 휘도데이터를 n이라고 하고, 변조신호파형의 정규화펄스폭을 To(m, n)이라고 하고, 우수프레임과 기수프레임의 평균정규화펄스폭을 TT(m, n)이라고 하면,
식 (27) TT(m, n) = (1/ 2) × (Te(m, n) + To (m, n))으로 된다.
제 5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의 평균정규화휘도 LL(m, n) 및 평균정규화펄스폭 TT(m, n)을, 제 3실시예의, 정규화휘도 L(m, n) 및 정규화펄스폭 T(m, n)으로 대입한 조건으로 하는 방법이다. 제 5실시예에 있어서 우수프레임과 기수프레임의 평균으로부터 조건을 결정하지만, 3이상의 프레임의 평균으로부터 조건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프레임레이트가 높은 구동에는 유효한 방법으로 된다.
이와 같이, 제 5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수프레임과 기수프레임의 평균으로부터 조건을 결정하기 때문에, 제 1실시예로부터 제 3실시예엥 비하여,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지만, 주파수편향이 증가할 수 있다.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가 크고, 보다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한 경우에 제 5실시예는 유효하다.
또한, 제 5실시예의 특수한 예로서, 임의의 m행의 행배선의 변조클락(PCLK)의 소스클락에 대한 우수프레임과 기수프레임에서의 지터 합이, 모든 행에서 동일한 값이도록 변조클락(PCLK)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의의 m행의 행배선의 변조클락(PCLK)이, 소스클락에 대해서 동일 크기이며 역방향의 지터량으로 되도록 변조클락(PCLK)를 설정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의하면, 화질열화가 거의 없이,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의 PCLK의 주파수편향을 더욱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불요복사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 6실시예)
다음은 제 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실시예에서는,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가 크며, 고조파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변조클락(PCLK)의 주파수편향을 더욱 증가할 필요가 있으며,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의 조건을 실현할 수 없는 경우의 대책이다.
도 14는, 제 6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4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있어서 (1040)은 글레이데이션변환기이다. 글레이데이션변환기(1040)은 1개 이상의 글레이데이션를 변환하는 테이블, 및 계조변환을 스윕하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글레이데이션변환기(1040)은 휘도데이터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글레이데이션변환을 행하며, 구동데이터로서 열구동회로(7)에 출력한다.
PCLK생성부(40)은,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를 저감하기 위하여, 도 15에서 도시하는 특성(fd1, fd2)을 얻도록 주파수변조를 행한다. 도 15에 있어서, 종축은 정규화휘도, 횡축은 정규화구동데이터이다. 임의의 m행의 PCLK에 의한 특성을 (fd1)이라고 하고, (m + 1)행의 PCLK에 의한 특성을 (fd2)라고 한다. 도 15의 (fd0)는,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한 경우의 특성이며, 참고로 도시하였다.
도 15에서 도시하는 특성 (fd1)(fd2)사이의 휘도차는, 제 1실시예에서 양호하게 된 허용값을 만족하지 않는 큰 값이다. 즉, 인접휘도차가 크게된다. 제 6실시예에 있어서는, 글레이데이션변환기(1040)에 의하여, 그 휘도차를 각각의 행단에서 변환하는 방법이다. 글레이데이션변환기(1040)은, PCLK생성부(40)으로부터 PCLK의 주파수변조조건(PCLK의 주파수의 특성)을 수신하여, 대응하는 글레이데이션변환테이블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PCLK주파수변조조건에 의하여 복수의 글레이데이션변환테이블(ROM 등의메모리)을 가지며, 주파수변조조건을 상위 어드레스에 입력하여 변환테이블의 변화를 행하고, 하위어드레스에 휘도테이블을 입력하여, 데이터선의 출력을 구동테이더로서 취급한다.
또한, 주파수편향이 작아서 글레이데이션변환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전술한 스위치에서 글레이데이션변환을 스윕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하여, PCLK생성부의 주파수변조조건을 선택함과 동시에, 행마다 글레이데이션변환테이블을 제어기의 저속메모리로부터, 글레이데이션변환기(1040)의 테이블에 기입을 행하여, 글레이데이션변환테이블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이 경우 테이블메모리는 RAM이면 바람직하다). 글레이데이션변환기(1040)은, 도 16에 도시한 특성이며, m행의 휘도데이터에 대해서 cd1의 특성을 변환하고, 구동데이터로 출력한다. 다음, m + 1행의 휘도데이터에 대한 cd2의 특성을 변환하고, 구동데이터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해서, 모든 행의 변환을 행한다. 변환을 행한 결과의 인접휘도는, 인접휘도차가 1글레이데이션의 것보다 이하이거나 펄스폭변조를 소스클락에서 행한 경우로부터의 휘도차가 1글레이데이션의 것보다 작은 계조변환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글레이데이션변환테이블은, 제 3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허용값에 의거하여 작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글레이데이션변환테이블을 제 5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의 평균휘도가 휘도허용값 이하로 되도록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6실시예에 의하면,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의 PCLK주파수이탈을 화질의 열화없이 더욱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불요복사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요복사를 저감하기 위하여 종래 필수적이었던, 화상표시장치의 광학특성을 희생하지 않고 전기전도도가 높은 부재 및, 변환기(구동드라이버)의 출력과 변환배선 사이에 부가된, 고조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페라이트코어 등의 부재가 불요하게 된다. 즉, 불요복사의 저감을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변조방식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펄스폭만이 변조되고, 변조신호의 전압진폭이나 전류진폭은 변화하지 않는 파형이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변조방식은,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펄스폭이 변조됨과 동시에 전압진폭 또는 전류진폭도 변조되는 다중값 PWM변조방식이다.
도 17에 다중값 PWM변조방식에 의한 변조클락(PCLK)와 변조신호파형을 도시한다. 도 17에서 도시하는 변조방법은,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진폭방향을 확대하고, 확대가 불가능한 경우, 시간방향의 타임롯트가 증가한다.
변조신호파형(OUT)의 직사각형상내의 숫자(1 내지 1023)은 휘도데이터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휘도데이터가 "12"인 경우, 변조신호파형은 직사각형상내의 숫자가 "12"이하의 숫자가 기입되어 있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글레이데이션를 표시하는 직사각형상에서 표현되는 각각의 롯트는, 기준클락인 PCLK의 상승파형에 동기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은 변조신호파형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기준클락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슬롯폭단위의 펄스폭제어이다. 각각의 슬롯에 있어서, 최상값은 적어도 A1 내지 An의 n단계(단 n은 2이상의 정수이며, 0 < A1 < A2 <....An)에서 제어되고, 제어되는 파형은, 최상값 A1 으로부터 최상값 Ak - 1까지의 각각의 최상값을 순서대로 적어도 1슬롯씩 통과하여 소정의 최고값 Ak(k는 2이상의 정수)까지 상승하는 인출부분과, 소정의 최고값 A1으로부터, 전술한 최고값 Ak - 1으로부터 A1까지 순서대로 1슬록씩 통과하는 하락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변조신호가 전압파형이고, 이러한 전압은 기준전위인 GND에 관하여 4단계 V1 - V4의 최고값으로 구성된다.
변조파형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조클락(PCLK)에서 동기하여 결정되고,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는 펄스폭변조처럼 발생한다.
도 17에서 도시한 파형이어도, 상기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8은 본 발명의 다중값 PWM변조방법의 또 다른 예에 의한 PCLK와 변조신호파형(OUT)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한 변조방법에 의하면, 휘도데이터범위는 각각의 진폭값에 의하여 분할되고 각각 분할된 휘도데이터범위에 있어서, 펄스폭변조는 대응특정값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바꿔말하자면, 시간 방향은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확장되고, 이러한 확장이 불가능한 경우, 진폭방향은 증가한다.
변조파형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클락(PCLK)에 동기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는 펄스폭변조와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도 18에서 도시한 파형인 경우라도, 상기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변조신호파형의 직사각형에서의 숫자 (1 - 1024)는 휘도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휘도데이터가 "9"이면, 변조신호파형은, "9"이하의 숫자가 기입된 직사각형을 구성한다. 글레이데이션를 도시하는 직사각형에 의하여 표시되는 각각의 슬롯은, 기준클락인 PCLK의 상승파형에 동기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변조신호제어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기준클락이 산출되고, 펄스폭제어는 산출값과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슬록 폭 △t의 단위에서 행하며 슬롯 마다의 최고값은 적어도 n등급 A1 - An(n은 2이상의 정수이며 0 < A1 < A2 <....An)에서 제어된다. 다음, 변조신호의 소정파형에 대하여 계조를 증가시키는 파형은, 최고값 An - 1n - 1.... 또는 A2 - A1 또는 A1과 발광소자의 구동한계값인 최고값 사이의 최고값 차와, 슬록폭 △t에 의하여 결정되는 단위블록을, k = 1을 포함하는 최대 최고값 Ak이 보다 낮고 또한 최대최고값이 우선적으로 연속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파형으로 된다. 여기에서, 변조신호는 전압파형이며 이러한 전압은, 기준전위 GND에 대하여 최고값 V1 - V4로의 4단계로 구성된다.
도 19에서 도시하는 파형은, 시간방향이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증가하는 변조방법에 의거하며 확장이 불가능한 경우, 진폭방향은 증가한다. 또한, 이것은 링잉(ringing)에 대한 대책으로서 상승부분과 하락부분을 원활하게 하는 방법이다.
변조신호에 대한 제어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기준클락은 산출되며, 산출값과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펄스폭은 슬롯폭 △t의 단위로 제어된다. 또한, 각각의 슬롯에 있어서 최고값은 적어도 A1 - An의 단계(단, n은 2이상의 정수이며, 0 < A1 < A2 <....An)에서 제어된다. 또한, 변조신호의 소정의 파형에 대해서 계조를 증가시키는 파형은, 최고값 An - An-1, ... 또는 A2 - A1 최고값 A1과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한계값인 최고값사이의 최고값 차, 및 k = 1을 함유하는 최대최고값 Ak가 보다 낮게 되고 또한, 최대최고값이 연속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슬롯폭△t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에서, 변조신호는 전압파형이며, 그 전압은, 기준전위 GND에 대한 V1 내지 V4의 4단계의 최고값으로 구성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 클락(PCLK)에 동기하여 변조파형이 결정되기 때문에, 펄스폭변조와 마찬가지로,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가 발생한다.
도 19와 같은 파형에서도, 전술한 방법에서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조방식은 유럽 특허 공개 공보 EP 1,267,3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표시패널로서는, 표면도전형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하는 매트릭스패널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대면적의 매트릭스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이면, FED(스핀트형 또는 MIM형방출소자, CNT나 GNF라고 하는 탄소섬유를 전자방출체로서 이용하는 형식의 전계방출냉음극소자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EL디스플레이, LED디스플레이 등의 표시패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열배선의 전부의 변조기에는 공통의 변조클락(PCLK)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시간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해서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동회로(7)의 구동드라이버IC단위의 블록 또는 열배선단위에서 위상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되고, 주파수변조되며, 복수의 변조클락(PCLK)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인접행간의 휘도차의 허용치는, 블록마다 또는 열마다 정해져서, 이들의 허용치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복수의 PCLK의 주파수편향량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실시예에 의하면, 허용값은 인접하는 휘도데이터 사이의 휘도차( 1계조와 동일한 휘도의 차)로 결정된다. 다음에, 인접하는 행배선에 대응하는 변조클락에 의하여 얻은 어떠한 휘도데이터에 대하여 그 표시휘도의 차이가 허용값 이하가 되도록 PCLK의 주파수편향을 제한한다.
또한,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행하는 경우, 허용값은 얻은 표시휘도의 인접휘도데이터 사이의 휘도차(1글레이데이션와 동일한 휘도의 차)로 결정한다. 다음, 특정 주파수의 소스클락에서 펄스폭변조를 동기하여 행하는 경우 얻은(또는 얻어질 수 있는) 표시휘도와 주파수변조된 변조클락(PCLK)에서 펄스폭변조를 동기하여 행하는 경우 얻은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가 허용값 이하가 되도록 PCLK의 주파수 편향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의 식별력은 휘도차 1-3%이기 때문에 허용값은 전술한 값으로 제한할 필요성은 없으며, 예를 들면, 제 1내지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하는 행의 화소간의 표시휘도차가 3%이하로 되도록 변조클락(PCLK)의 지터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조클락(PCLK)에 의하여 초래되는 고조파를 화질에 따라서 억제할 필요성이 있는 특정용도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허용값을 확장함으로써 변조클락(PCLK)의 고조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화상데이터의 총 계조수의 10%, 즉, 피크휘도의 10%에 상당하는 계조수(표시휘도차)를 허용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매트릭스패널의 화상표시장치의 기본구조와 구동제어방법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패널(1)은, 기판상에 복수의 전자원,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냉음극소자(1001)로 이루어진 멀티전자원과 전자를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형광체 등의 화상형성부재로 이루어진다. 화소를 구성하는 냉음극소자(1001)는 행배선(1002)과 열배선(1003)의 교차점 마다 근접하여 배치되어 양배선에 접속한다.
냉음극소자(1001)는, 예를 들면 광리소그라피에칭 등의 제조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상에 정밀하게 위치결정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미소 간격에서 다수개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로부터 CRT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열음극과 비교하면, 냉극자신 또는 주변부가 비교적 저온인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미세한 배열피치의 멀티전자원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냉음극소자로서는, 특개평 10-03982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표면도전형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표면도전형전자방출소자의 소자전압(Vf)와 소자전류(If), 방출전류(Ie)의 관계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22에 있어서, 횡축은 표면도전형방출소자의 소자전압(Vf)를, 종축은 소자전류(If) 및 방출전류(Ie)를 표시한다. 도 2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한계전압(약 7.5V)는 방출전류(Ie)에 존재하고 전압이 한계전압 이하이면 방출전류(Ie)는 흐르지 않는다. 그 이상의 전압에서는 인가하는 소자전압에 따라서 방출전류(Ie)가 흐른다. 그 특성을 이용해서 이하에 표시하는 단순매트릭스구동을 행한다.
도 20에 있어서, 매트릭스패널(1)은 박편진공용기내의 기판상에 배치된 냉음극소자(1001)로 구성된 멀티전자원을 구비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패널(1)에 있어서, 3840소자, 즉 1280화소(RGB) X 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720 소자는 매트릭스패널(1)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소자수는, 필요에 따라서, 제품용도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그 제한은 없다. 매트릭스패널(1)은, 예를 들면, RGB스트라이브배열의 화소배치를 갖는다.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변환기)(2)는 불도시의 MPEG(2) 데코더에 의하여, 예를 들면, 720P화상의 RGB신호에 데코드된 아날로그RGB구성성분신호(신호명을 S0라고 한다)을, 각각 8비트폭을 가지는 디지털RGB신호(S1)로 변환한다.
데이터재배열부(3)는 A/D변환기(2)의 디지털RGB신호(S1)을 입력해서, 매트릭스패널(1)의 화소배열에 해당하는 각각의 컬러의 디지털데이터를 재배열하고 화상데이터(S2)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휘도데이터변환기(4)는, 화상데이터(S2)를 입력해서 소망의 휘도특성의 휘도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테이블이다. 휘도데이터변환기(4)는, 예를 들면, 표시계의 특성으로서 CRT용으로 감마보정된 신호의 역변환을 행하는 휘도데이터(S3)으로 변환한다. 데이터재배열부(3)와 휘도데이터변환기(4)의 처리순서는 역이어도 된다.
시프트레지스터(5)는, 휘도데이터변환기(4)로부터 출력된 10비트폭의 휘도데이터(S3)을 시프트클락(SCLK), 예를 들면, 36.9MHz에 합치시켜서 순차적으로 시프트전송하고, 매트릭스패널(1)의 각각의 소자에 대응하는 휘도데이터를 평행하게 출력한다.
래치회로(6)는, 시프트레지스터(5)로부터의 휘도데이터를 수평동기신호에 동기하는 로드신호(LD)에 래치하여, 다음의 로드신호(LD)가 입력될때까지의 기간을 유지한다.
열구동회로(7)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 7실시예에서 표시한 변조신호파형을 출력한다. 열구동회로(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휘도데이터에 따라서 펄스폭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9)를 갖으며, 이 변조기(9)로부터 직접 또는 출력버퍼을 통하여, 매트릭스패널(1)의 열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여, 모든 열배선을 각각 구동한다.
전원회로(17)는, 변조용 기준전압(V1, V2, V3, V4, GND)를, 상기열구동회로(7)에 공급한다.
행선택회로로서의 주사드라이버(8)는, 매트릭스패널(1)의 행배선(1003)에 접속된다. 주사신호발생부(81)는, 입력화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VD)에 동기한 YST신호를, 타이밍제어부(10)에 의하여 결정된 신호(HD)에서 순차적으로 시프트하고, 선택/비선택신호를 행배선수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출력한다. MOS트랜지스터등으로 구성되는 스위치수단(82)은, 주사신호발생부(81)의 선택/비선택신호의 출력레벨에 의하여 스위치를 절환하여, 선택전위(-Vss)·비선택전위(GND)를 출력한다.
변조용의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변조클락(PCLK)생성부(40)은, 전술한 조건에서, 예를 들면, 13.65MHz의 소스클락을 주파수변조하여, 변조클락(PCLK)를 얻는다. 변조클락생성부(40)는, 전술한 공지의 방법에서 변조클락(PCLK)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클락을 절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단,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한 허용값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매트릭스패널의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타이밍챠트이다.
도 21에 있어서, A/D변환기(2)는 불도시의 MPEG(2)데코더에 의하여, 예를 들면, 720P상의 RGB신호로 데코드된 아날로그RGB구성성분신호(S0)을, 예를 들면, 8비트폭의 디지털RGB신호(S1)로 변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샘플링클락(DCLK)은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재배열부(3)는, A/D변환기 (2)의 출력인 디지털RGB신호(S1)을 입력한다. 이때, 1주사라인(1H)의 데이터수는, 매트릭스패널(1)의 열배선측의 화소수로 결정하면 처리가 간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매트릭스패널(1)의 열배선측의 화소를 1280으로 결정된다. A/D변환기(2)의 출력인 디지털RGB신호(S1)은 데이터샘플링클락(DCLK)(도시하지 않음)와 동기해서 출력된다.
데이터재배열부(3)의 입력신호(S1)은, RGB병렬신호(S0)을, 데이터샘플링클락 (DCLK)의 3배의 주파수의 클락인 클락(SCLK)(도시하지 않음)의 타이밍에서 절환되어, 매트릭스패널(1)의 RGB화소배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데이터재배열부(3)의 출력신호(S2)는, 휘도데이터변환기(4)에 입력된다. 휘도테이터변환기(4)는, 미리, 소망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변환테이블ROM에 의하여, 예를 들면 데이터재배열부(3)의 8비트의 폭의 출력신호(S2)를, 예를 들면, 표시계의 특성이 CRT의 감마특성과 동일한 휘도특성이 되도록 10비트폭의 휘도데이터(S3)로 변환한다. 변환테이블의 특성은 2. 2제곱의 특성, 예를 들면, 도 23과 같은 특성을 사용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데이터변환기(4)의 출력인 휘도데이터 (S3)는, 시프트레지스터(5)에 출력된다. 시프트레지스트(5)에 송부된 휘도데이터(S3)는, 시프트클락(SCLK)에서 순차적으로 시프트전송되고, 매트릭스패널(1)의 각각의 소자에 대응하는 10비트의 휘도데이터가 직렬병렬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래치(6)는 HD신호에 동기한 로드신호(LD)의 상승에서 직렬병렬변환된 휘도데이터를 래치하여, 다음의 로드신호(LD)가 입력될때가지 데이터를 유지하여, 출력한다.
휘도데이터와 동기하는 시프트클락(SCLK)를 공급하는 전송클락공급회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프트블록(SCLK)은, 데이터샘플링클락(DCLK)를 PLL 등에서 점진적으로 3배까지 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시프트클락(SCLK)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락이므로 전송클락이라고도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클락은 데이터샘플링클락(DCLK)과 동기해서 생성되고, 주파수변조를 행하는 변조클락(PCLK)와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신호(LD)의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구동회로(7)는 변조클락(PCLK)에 동기해서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하는 변조신호를 열배선 X1 ∼X3840으로 출력해서, 매트릭스패널(1)을 구동한다. 도 21에 있어서, VX1(3), VX2(1023)의 괄호안의 숫자는 휘도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주사드라이버(8)는, 주사개시시각을 결정하는 신호, 즉 도 21의 입력화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VD)에 동기하는 신호(YST)를, HD에 동기해서 순차전송함으로써 행배선을 구동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행배선을 주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드라이버(8)는, HD에 동기해서, 1번째(Y1)로부터 720번째(Y720)까지의 행배선을, 선택전압(-Vss)(예를 들면, -7.5V)에서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이 때, 주사드라이버(8)는, 선택하고 있지 않는 다른 행배선의 전압을 비선택전압 0V ∼+8.5V로부터 선택되는 값으로 유지해서 구동한다(VY1, VY2 참조).
주사드라이버(8)가 선택한 행배선을 통하여, 변조신호가 구동회로(7)에 의해서 선택한 열의 냉음극소자(1001)에, 방출전류(Ie)가 흐른다. 한편, 구동신호가 구동회로(7)에 의하여 출력되지 않는 열배선에 대응하는 소자에 소자전류(If)가 흐르지 않으며, 방출전류(Ie)도 흐르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이들 소자에 대응하는 화소는 발광하지 않는다. 주사드라이버는 HD에 동기해서 1번째로부터 720번째까지의 행배선을 선택전압에서 순차적으로 구동해서, 구동회로(7)는, 휘도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신호(S17)에서, 대응하는 열배선을 구동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주사드라이버(8)는,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시에 2개 이상의 행배선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변조기준전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조기준전압(V1, V2, V3, V4 및 GND)을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한다. 즉, 전압 +Vs +V4에 의하여 방출된 방출전류를, 3/4의 방출전류가 되도록 (V3)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V2는 2/4의 방출전류가 되도록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1/4의 방출전류가 되도록 (V1)을 결정한다. 그 결과, 도 19의 변조신호파형(구동파형)에 있어서, 그 휘도는 휘도데이터에 대해서 휘도가 거의 직선적인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실제변조클락(PCLK)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블랭킹기간을 함유하는 750수평기간을 포함하고, 각각의 행배선은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행배선의 전환에 필요한 시간을 수평기간의 10%로 결정하면, 변조신호의 최대의 시간의 수평기간의 90%로 된다. 그리고, 도 19의 변조신호파형에서는 1023글레이데이션의 휘도의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하여, 259 PCLK가 필요하다. 실제 변조클락(PCLK)의 주파수(fPCLK)는,(식 28)이다.
변조클락(PCLK)를 변조하지 않는 경우에 EMI의 계측을 행한 결과, 베이스레벨보다, PCLK의 고조파는 100MHz로부터 500MHz의 주파수에서, 10으로부터 20dB정도크게 관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PCLK를 전압제어발진기에서 작성하여, 전압제어발진기의 제어전압을 HD신호에서 동기한 삼각파로 한다. 전압제어발진기의 중심주파수는 약 13.65MHz로 하고, 주파수이탈을 3%가 되도록 결정한다. 그리고, 수평기간의 90%에 있어서, PCLK수가 259클락이 되도록 한다. 그 결과 8차 고조파인 104MHz의 고조파를 14dB만큼 낮출 수 있으며, 거의 베이스레벨로 낮출 수 있다
도 25는, 변조클락(PCLK) 생성부(40)의 구성의 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26은, 전압제어발진기(46)가 출력하는 PCLK의 주파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5에 있어서, (45)는 삼각파발생기, (46)은 전압제어발진기(VCO)이며, 삼각파발생기(45)의 주기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HD신호의 주기를 갖도록 설계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정발진자를 이용한 발진기와 카운터 및 D/A변환기 등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전압제어발진기(46)은 삼각파발생기(45)의 출력전위에 따른 주파수(주기)의 변조클락(PCLK)를 출력한다.
변조클락(PCLK)가 HD신호와 동기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의 행선택기간에 있어서, 주파수는 PCLK의 동일수에 대해서 약간 상이하다. 그러나, 제 1실시예에서 도시한 인접간의 허용값에 의하면, 충분히 작은 값으로 되어, 화질의 열화는 거의 없다.
여기에서, 삼각파발생기(45)에 의하여 형성된 삼각파를 전압제어발진기(46)에 입력하고 있지만, 전압제어발진기(46)에 입력된 전위파형은, 제 4의 실시예에 개시한 바와 같이, 주기의 미분값이 연속하지 않는 PCLK수의 점이 존재하지 않도록, 삼각파보다는 사인파와 같은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조클락(PCLK)를 변조하지 않은 경우의 EMI는, 케이스나 매트릭스패널의 정수((사이즈나 배선간용량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이 때문에, 필요한 주파수편향은 실제의 불요복사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이탈이 적어도 좋은 경우에는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제 3실시예 등이 유효하며, EMI가 크고, 주파수이탈을 크게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제 6실시예에서 개시한 형태가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값비싼 페라이트코아 또는 저저항인 투명판 등을 이용하지 않고 EMI 대책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CCI클라스 B규격 등을 깨끗하게하기 위한 구성을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변조된 PCLK에 의거한 변조신호파형을 제 7실시예와 동일하게 결정함으로써, 화질열화 없이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36)

  1.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를 가지며,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변조클락을 변조기에 공급하는 변조클락공급회로
    를 구비하는 표시패널구동제어장치로서,
    상기 변조기는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며,
    상기 변조클락공급회로는, 일정주파수의 가상의 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공급하며,
    주파수이탈은, 두개의 인접하는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특정기간의 한쪽의 화소의 표시휘도와 특정기간의 다른 쪽 화소의 표시휘도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를 가지며,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되는 변조클락을, 변조기에 공급하는 변조클락공급회로를 구비하는 표시패널구동제어장치로서,
    상기 변조기는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며,
    상기 변조클락공급회로는, 일정주파수의 가상의 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공급하며,
    주파수이탈은, 임의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가상소스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와 변조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를,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3.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펄스폭이 변조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를 가지며,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되는 변조클락을 변조기에 공급하는 변조클락공급회로를 구비하는 표시패널구동제어장치로서,
    상기 변조기는 변조클락에 동기해서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며,
    상기 변조클락공급회로는, 일정주파수의 가상의 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공급하며, 주파수편향에 기인하는 표시휘도레벨에서의 변화를 보충하기 위하여 휘도데이터의 글레이데이션를 변환하는 글레이데이션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구동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편향은, 인접하는 2개의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특정기간에서의 한쪽의 화소의 표시휘도와 특정기간에서의 다른쪽 화소의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가,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편향은, 임의화소가 임의의 동일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가상소스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와 변조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에서의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1 프레임기간의 휘도이거나, 또는 2 이상의 프레임기간의 평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1프레임기간의 휘도이거나 또는 2이상의 프레임기간의 평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1프레임기간의 휘도이거나 또는 2이상의 프레임기간의 평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1 프레임기간의 휘도이거나 또는 2이상의 프레임기간의 평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클락의 위상은 주사배선의 선택기간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클락의 위상은 주사배선의 선택기간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클락의 위상은 주사배선의 선택기간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클락은 그 주기의 미분값이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클락은 그 주기의 미분값이 연속하도록 구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클락은 그 주기의 미분값이 연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10%최대표시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10%최대표시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10%최대표시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1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10%최대표시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화소의 특정기간의 표시휘도가 La이며, 다른쪽 화소의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Lb이며, 휘도의 차이를 |La - Lb|인 경우, 허용값은 0.015(La + L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화소의 특정기간의 표시휘도가 La이며, 다른쪽 화소의 특정기간의 표시휘도는 Lb이며, 휘도의 차이를 |La - Lb|인 경우, 허용값은 0.015(La + L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인접하는 두개의 레벨의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인접하는 두개의 레벨의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인접하는 두개의 레벨의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인접하는 두개의 레벨의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표시휘도 사이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휘도데이터가 작은 경우 허용값이 작으며,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 허용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7. 제 2항에 있어서,
    휘도데이터가 작은 경우 허용값이 작으며,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 허용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8. 제 4항에 있어서,
    휘도데이터가 작은 경우 허용값이 작으며,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 허용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29. 제 5항에 있어서,
    휘도데이터가 작은 경우 허용값이 작으며, 휘도데이터가 큰 경우 허용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휘도데이터의 제곱에 비례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3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휘도데이터의 제곱에 비례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3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휘도데이터의 제곱에 비례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3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값은, 휘도데이터의 제곱에 비례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34.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인 변조클락이며, 일정한 주파수의 가상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며, 주파수이탈은, 인접하는 두개의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화소가 임의의 동일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특정기간의 한쪽의 화소의 표시휘도와 특정기간의 다른쪽 화소의 표시휘도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되는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단계와;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는 적어도 펄스폭을 변조함으로써 변조신호를 변조클락에 동기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선택배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구동제어방법.
  35.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인 변조클락이며, 일정한 주파수의 가상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며, 주파수이탈은, 인접하는 두개의 임의의 동일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경우, 가상의 소스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의 표시휘도와 변조클락에 의하여 얻은 특정기간의 표시휘도 차이는,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값 이하이도록 제한하는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단계와;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는 적어도 펄스폭을 변조함으로써 변조신호를 변조클락에 동기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구동제어방법.
  36. 변조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는 변조클락이며, 일정한 주파수의 가상소스클락에 대하여 고조파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하여 주파수편향을 가지는 변조클락을 생성하는 단계와;
    주파수이탈에 의하여 초래된 표시휘도레벨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휘도데이터의 글레이데이션를 변환하는 단계와;
    입력된 휘도데이터에 의거하는 적어도 펄스폭을 변조함으로써 변조신호를 변조클럭에 동기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선택배선을 선택하는 단계와;
    표시패널의 변조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구동제어방법.
KR1020040006169A 2003-05-16 2004-01-30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및 구동제어방법 KR100579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9501 2003-05-16
JP2003139501A JP3880540B2 (ja) 2003-05-16 2003-05-16 表示パネルの駆動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12A true KR20040099112A (ko) 2004-11-26
KR100579362B1 KR100579362B1 (ko) 2006-05-12

Family

ID=3302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69A KR100579362B1 (ko) 2003-05-16 2004-01-30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및 구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4489B2 (ko)
EP (1) EP1477956A3 (ko)
JP (1) JP3880540B2 (ko)
KR (1) KR100579362B1 (ko)
CN (1) CN1003611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08B1 (ko) * 2003-10-09 2009-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휘도제어방법 및 장치
KR100997477B1 (ko) * 2004-04-29 2010-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변의 계조 표현력을 가진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2658B1 (ko) * 2004-05-31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신호 지연 저감형 전자 방출 장치 구동방법
KR100911005B1 (ko) * 2004-05-31 2009-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부 압력에 따라 휘도가 조정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47997A (ja) * 2004-06-30 2006-02-16 Canon Inc 変調回路、駆動回路および出力方法
JP2006259663A (ja) * 2004-06-30 2006-09-28 Canon Inc 画像処理方法、画像表示装置、映像受信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561002B1 (en) * 2005-04-26 2009-07-14 Pulsecor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modulating a periodic signal of varying duty cycle
US8144350B2 (en) 2007-02-15 2012-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502868B2 (ja) * 2009-07-31 2014-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階調調整装置、画像表示装置、テレビ受像機、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5534968B2 (ja) * 2010-06-15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5665388B2 (ja) 2010-06-28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40340431A1 (en) * 2011-11-30 2014-11-20 SHARP KABUSHIKI KAISHA a corporation Control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US20180040267A1 (en) * 2016-08-04 2018-02-08 Raydium Semiconductor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circuit thereof
KR20200000313A (ko) * 2018-06-22 2020-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9599054B (zh) * 2019-01-17 2020-05-29 硅谷数模半导体(北京)有限公司 显示面板亮度的控制方法及装置
CN112309309B (zh) * 2019-07-25 2021-08-06 米彩股份有限公司 显示器驱动模组及其控制方法与显示器驱动系统
CN110969999B (zh) * 2019-11-25 2021-09-0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电磁干扰削弱电路、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4018431A4 (en) * 2020-01-03 2022-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CN115985223B (zh) * 2023-03-21 2023-08-25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890A (en) 1981-03-13 1982-09-17 Ricoh Kk Electrochromic display detection system
JPS6371889A (ja) 1986-09-16 1988-04-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362094A (ja) 1989-07-31 1991-03-18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の階調表示駆動回路
US5459495A (en) * 1992-05-14 1995-10-17 In Focus Systems, Inc. Gray level addressing for LCDs
US5631920A (en) 1993-11-29 1997-05-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US5659339A (en) 1994-09-30 1997-08-19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adiated by flat panel display systems
US5736893A (en) 1996-01-29 1998-04-07 Hewlett-Packard Company Digit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MI emissions in digitally-clocked systems
JPH09232944A (ja) 1996-01-29 1997-09-05 Hewlett Packard Co <Hp> デジタル分周方法とデジタル分周装置
JPH1039825A (ja) 1996-07-23 1998-02-13 Canon Inc 電子発生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駆動回路、駆動方法
TW522354B (en) * 1998-08-31 2003-03-0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326200B1 (ko) * 1999-04-12 2002-02-27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데이터 중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패널 구동장치, 모니터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3421988B2 (ja) * 1999-10-27 2003-06-30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クロック間干渉による影響の防止方法
TW556143B (en) * 2000-02-03 2003-10-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to reduce EMI intensity for liquid crystal display circuit
JP3681121B2 (ja) * 2001-06-15 2005-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US6873308B2 (en) 2001-07-09 2005-03-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US6985141B2 (en) * 2001-07-10 2006-01-1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riv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7009627B2 (en) * 2001-11-21 2006-03-07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driv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7956A2 (en) 2004-11-17
US7154489B2 (en) 2006-12-26
KR100579362B1 (ko) 2006-05-12
CN1551061A (zh) 2004-12-01
JP2004341360A (ja) 2004-12-02
CN100361174C (zh) 2008-01-09
US20050001827A1 (en) 2005-01-06
EP1477956A3 (en) 2008-05-07
JP3880540B2 (ja)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362B1 (ko) 표시패널의 구동제어장치 및 구동제어방법
US742366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39687B1 (ko) 구동회로,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0559267B1 (ko) 표시 장치
US20050206660A1 (en)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731531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567503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に表示するビデオ画像の処理方法
JP2000221945A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0586142B1 (ko) 매트릭스 패널의 구동 제어장치 및 구동 제어방법
KR100655783B1 (ko)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4560445B2 (ja) 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JP2002311885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040454B2 (ja) 画像表示装置
US2006006652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0475721B1 (ko) 템포럴 효과를 이용한 오차확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JP2004020706A (ja) 画像表示素子の変調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505815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駆動するための回路
JP4453136B2 (ja) マトリクス型画像表示装置
JP2000148074A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096557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4838431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0267623A (ja) 表示装置の画像表示方法とその駆動装置
KR20060104117A (ko) 전자방출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JP2004252289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