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939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939A
KR20040098939A KR1020030031270A KR20030031270A KR20040098939A KR 20040098939 A KR20040098939 A KR 20040098939A KR 1020030031270 A KR1020030031270 A KR 1020030031270A KR 20030031270 A KR20030031270 A KR 20030031270A KR 20040098939 A KR20040098939 A KR 2004009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response
answer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270B1 (ko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3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2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270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회신 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통화 종료 후 그 단문 메시지의 회신 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옵션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중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그 메시지를 저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응답통화와 관련된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응답통화 방식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응답통화 이벤트에 따라, 전화번호나 지연시간 및 원하는 통화시간 등을 설정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통화 이벤트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와 시간에 따라, 통화 종료 후 자동으로 응답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이 응답통화 방식이 설정된 단말기의 통화 종료를 검출하여 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호가 해제되면 응답통화 할 대상 전화번호 목록을 획득하고, 설정된 응답통화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응답통화 방식에 따라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로 설정된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통화 목록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는,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서,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해당 예약통화 시간이 되면,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RESPONSE TELEPHON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회신 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통화 종료 후 그 단문 메시지의 회신 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옵션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데이터 호 통화중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사용자는 현재 진행 중인 음성/데이터 호를 종료하고 즉시 응답통화를 하거나, 아니면 통화가 종료된 후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여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단문 메시지에는 송신자의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기능이 있고, 그 회신 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간단히 회신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가 통화중일 경우, 확인 절차가 복잡한 음성 메시지를 남기는 것보다는, 간단한 내용과 회선 번호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를 확인한 상대가 통화를 종료하는 즉시 응답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도1은 종래의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동작 과정은 단말기 내부적으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를 눌렀을 때, 이를 인지하여 어떤 키가 눌렸는지를 검출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부와, 단문 메시지와 같은 각종 정보들을 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메시지를 포함한 각종 정보와 메뉴들을 시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출력 처리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법은 통화 중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이 사실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면, 사용자는 즉시 현재의 통화를 종료하고 회신 번호로 새로운 통화를 시도하거나,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SMS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으로 동작을 완료한다.
즉, 단말기는 새로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S101) 이를 'SMS 저장부'에 저장함과 아울러(S102), 그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시청각적 형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시킨다(S103).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는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키 패드를 눌러 다음 처리 절차를 결정하고(S104),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를 인지하여 그 키 입력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S105), 새로운 전화 연결(호 연결)을 시도하거나(S106 ~ S110), 현재 통화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한다(S111).
여기서, 상기 새로운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름에 의해 시작되며(S106), 'SMS 저장부'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를 획득한 후(S107) 호 처리 과정이 진행됨으로써(S108), 현재 통화중인 호를 해제하고(S109) 상기 획득한 번호로 새로운 호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S110).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통화를 즉시 수행하지 않고 추후에 수행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을 일일이 조회하여야 하며 또한,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한 후, 어느 시점에 단문 메시지 수신내역의 조회를 통해 응답통화를 결정한 경우에도, 이 사실을 잊을 수 있어 응답 통화를 시도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종래의 방법은 상대의 통화가 길어질 경우, 통화를 종료한 후에도 단문 메시지의 회신 번호로 전화를 걸어야 하는 사실을 잊는 경우가 발생하여, 통화 종료 후 너무 늦게 통화를 시도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통화의 의미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회신 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통화 종료 후 그 단문 메시지의 회신 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옵션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화 중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그 메시지를 저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응답통화와 관련된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응답통화 방식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응답통화 이벤트에 따라, 전화번호나 지연시간 및 원하는 통화시간 등을 설정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통화 이벤트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와 시간에 따라, 통화 종료 후 자동으로 응답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응답통화 방식이 설정된 단말기의 통화 종료를 검출하여 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호가 해제되면 응답통화 할 대상 전화번호 목록을 획득하고, 설정된 응답통화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응답통화 방식에 따라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로 설정된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통화 목록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는,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서,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해당 예약통화 시간이 되면,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의 전화 연결 설정을 위한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데이터 호 통화 중 수신된 회신 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에 대해서,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 '사용자 지정시간 응답통화' 등의 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답 통화를 위해 현재 통화중인 호를 종료하거나 추후 단문 메시지 재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번거로움 없이, 통화 종료 후 자동으로 전화 통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는 현재의 통화가 종료된 직후 바로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이고,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는 현재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이고, '사용자 지정시간 응답통화' 는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에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은 종래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단말기 내부에 단문 메시지 저장을 위한 공간 이외에, 전화번호 및 예약 통화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더 구비해야 하며, 상기 저장 공간은 별도의 메모리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블록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의 전화 연결 설정을 위한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단말기는 새로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S201) 이를 'SMS 저장부'에 저장함과 아울러(S202), 그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시청각적 형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시킨다(S203).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는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키 패드를 눌러 다음 처리 절차를 결정하고(S204),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를 인지하여 그 키 입력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S205), 새로운 전화 연결(호 연결)을 시도하거나(S206 ~ S209), 현재 통화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한다(S210).
여기서, 상기 새로운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름에 의해 시작되며(S206), 'SMS 저장부'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를 획득한 후(S207), 현재 통화중인 호를 해제하고(S208) 상기 획득한 번호로 새로운 호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S209). 여기까지의 과정은 종래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정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S205) 응답통화와 관련된 메뉴를 출력하도록 한다(S211).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메뉴를 출력하는 대신 적절한 핫키(hot key)를 추가하여, 그 핫키를 누름에 따라 응답통화 절차를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메뉴를 참조하여 응답통화 방식을 결정하게 되는데,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를 선택한 경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응답통화 할 회신 전화번호를 획득하여(S214) 이를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한다(S215).
그리고,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 방식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응답통화 할 회신 전화번호와 지연시간을 저장한다(S215). 이때, 지연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나 디폴트로 설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지정시간 응답통화' 방식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통화를 원하는 시간을 입력받아 '예약통화 목록 저장부'에 저장한다(S216). 여기서, '전화번호 저장부'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로부터 응답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웨어적 메모리가 아니고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2에 의한 과정은 통화 종료 후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설정 과정을 보인 것으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옵션 설정이 완료되면, 도3에 도시된 과정에 의해 자동 전화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해 통화 중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통화종료 후 응답통화 절차'는 현재 통화중인 전화가 '종료' 버튼 입력과 같은 소정의 절차를 통해 종료됨으로써 시작된다.
즉, 사용자는 '통화 종료키'를 누르거나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발생시켜 음성/데이터 호 해제를 시도한다(S301 ~ S304).
상기 이벤트 처리에 의해 호 해제가 이루어지면, '전화번호 저장부'로부터 응답통화 대상 전화번호 목록을 획득한다(S305).
다음, 상기 획득한 전화번호 목록 중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로 설정된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예약통화 목록 저장부'에 저장한다(S306).
이때, 상기 "예약통화 목록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는,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서,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S309), 응답통화를 시도한다는 메시지를 시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S308).
즉, 일부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도 자동으로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에게 응답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할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해당 예약통화 시간이 되면,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응답통화 시도 여부를 묻는 메시지에 취소(종료(END))키나 확인(통화(SEND))키를 누름으로써(S310, S311), 응답통화 시도를 해제하거나(S312, S313) 응답통화 연결을 하도록 한다(S314, S315).
참고로, 상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부는 통화종료 후 응답통화를 시도할 전화번호와 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예약통화 목록 저장부는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지연 후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해서 예약 통화번호로 지정하고, 예약통화가 이루어져야 할 시간 등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회신 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통화 종료 후 그 단문 메시지의 회신 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옵션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해 통화 후 응답통화를 설정함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통화를 지속할 수 있으며, 응답통화를 위한 기존의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 조회 회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통화 중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그 메시지를 저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응답통화와 관련된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응답통화 방식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응답통화 이벤트에 따라, 전화번호나 지연시간 및 원하는 통화시간 등을 설정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통화 이벤트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와 시간에 따라, 통화 종료 후 자동으로 응답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통화 방식에는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 '사용자 지정시간 응답통화' 방식이 있으며, 그 중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는 현재의 통화가 종료된 직후 바로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이고,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는 현재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이고, '사용자 지정시간 응답통화'는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에 응답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통해 선택한 사용자의 응답통화 방식이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인 경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통화 방식이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인 경우, 응답통화 할 회신 전화번호와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통화 방식이 '사용자 지정시간 응답통화'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통화를 원하는 시간을 입력받아 예약통화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4. 응답통화 방식이 설정된 단말기의 통화 종료를 검출하여 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호가 해제되면 응답통화 할 대상 전화번호 목록을 획득하고, 설정된 응답통화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응답통화 방식에 따라 '통화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응답통화'로 설정된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통화 목록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는, '통화종료 후 즉시 응답통화'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서,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통화 목록으로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해당 예약통화 시간이 되면, 전화 발신 이벤트를 수행하여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의 검출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종료키'가 입력되거나, 폴더를 닫는 등의 종료키 입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의해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발신 이벤트는 설정에 따라서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지 않고, 응답통화를 시도한다는 메시지를 시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통화 시도 메시지의 출력에 의해, 이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취소(종료(END))키나 확인(통화(SEND))키를 입력받아 응답통화 시도를 해제하거나 응답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KR20030031270A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KR10056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1270A KR100565270B1 (ko)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1270A KR100565270B1 (ko)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39A true KR20040098939A (ko) 2004-11-26
KR100565270B1 KR100565270B1 (ko) 2006-03-30

Family

ID=3737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1270A KR100565270B1 (ko)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26B1 (ko) * 2006-08-11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종료 지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26B1 (ko) * 2006-08-11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종료 지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270B1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75B1 (ko) 통신기기
US612234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announcing a caller of an incoming telephone call
CN101415041A (zh) 一种自动拒接来电的方法
US67043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all interruptions on a telephone
CN107018227A (zh) 来电处理方法及装置
CN108924335B (zh) 一种呼叫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WO2007091261A1 (en) Non-linear voicemail
GB2317784A (en) A telephone for automatically dialling a telephone number at a predetermined time
KR1005652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전화 통화 방법
US200500594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mart replies to a dispatch call
KR100752849B1 (ko) 부재 모드 설정 방법
JP4421796B2 (ja) 電話装置、サーバ、電話装置の応答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応答制御装置
KR10063168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거부 및 그 의사 전송 방법
JP2003078608A (ja) 電話装置、サーバ、電話装置の応答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664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EP1775922A1 (en) Methods for allowing or barring incoming calls and for managing subscriber contact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terminal
TW532031B (en) Incoming call deni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phone
JP3696120B2 (ja) 電話機
KR2005009857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JP4561435B2 (ja) 電話装置
KR1008398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선택 방법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100223162B1 (ko) 호출기의 음성녹음에 대한 응답녹음확인방법
JP2004242203A (ja) 移動通信端末
KR100451195B1 (ko)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