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384A -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384A
KR20040098384A KR1020030030707A KR20030030707A KR20040098384A KR 20040098384 A KR20040098384 A KR 20040098384A KR 1020030030707 A KR1020030030707 A KR 1020030030707A KR 20030030707 A KR20030030707 A KR 20030030707A KR 20040098384 A KR20040098384 A KR 20040098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uxiliary
injection pipe
fuel ta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384A/ko
Publication of KR2004009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03D27/08Terry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연료탱크 외에 별도로 연료를 저장하는 보조통을 설치하고, 필요할 때 보조통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에 보충하여 줌으로서 연료보충미비로 인한 차량의 정지 또는 엔진의 파손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ASSISTANCE FUEL TANK IN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연료탱크 외에 별도로 연료를 저장하는 보조통을 설치하고, 필요할 때 보조통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에 보충하여 줌으로서 연료보충미비로 인한 차량의 정지 또는 엔진의 파손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는 보조 연료탱크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연료탱크 내부 또는 연료 공급라인에 설치된 연료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고 연소되어 동력으로 전환된다.
도 1은 종래의 연료탱크 및 연료라인의 위치도로서 자동차 연료가 연료 주입구(101)로부터 주입되어 엔진 내부로 분사되기까지의 계통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후측면 패널의 외부면에 설치된 연료주입구(101)는 연료 주입관(115)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차체내부 하부면에 형성된 연료탱크(103)내부로 이어진다.
따라서 연료주입구(101)를 통하여 연료를 주입하면 연료탱크(103) 내부로 연료가 저장된다.
자동차의 내부에 형성된 연료탱크(103)는 차종에 따라 연료펌프를 탱크내부에 내장시킨 형식과 연료 공급라인의 선상에 설치한 형식으로 구분된다.
연료펌프의 구동으로 연료탱크(103)내의 연료는 적정압력을 형성하여 연료라인(110)을 통하여 연료필터(105)를 거쳐 인젝터(107)에 공급된다.
또한, 필터내부로 공급된 연료는 연료필터(105)를 통하여 수분과 이물질이 제거되어져 연료공급레일(113)의 내부에 적정압력을 형성하며 공급된다.
공급된 연료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며 연료 공급레일(113)에 체결되어 있는 각각의 인젝터(107)의 개폐에 의하여 엔진내부 연소실로 공급되어 연소된다.
또한, 연료공급레일(113)의 일단은 연료의 압력을 적정압력으로 조정하는 레귤레이터(109)와 연결된다.
따라서, 연료의 압력이 과다할 경우 연료를 연료탱크(103)와 연결된 바이패스 라인(111)으로 흐르도록 하여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는 연료량이 항상 일정하도록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료탱크(103)의 내부에 저장된 연료의 공급과 연소를 통해서 자동차 엔진에서는 동력이 발생되며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구동된다.
그러나, 기존 자동차는 하나의 연료탱크가 구비되어 연료탱크의 저장연료를 모두 소비하게 되면 연료를 다시 급유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방법을 취할 수밖에 없는데, 차량의 출발 전에 운전자의 착오로 인하여 연료탱크에 연료를 충분하게 채우지 않고 장거리 운행을 하거나 주유소가 없는 지역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연료가 부족하여 자동차가 정지되거나 엔진의 정지로 인하여 엔진 각 부품에 심각한 결함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역을 운행중 연료의 부족을 운전자가 인지하였다 하더라도 엔진의 손상을 방지키 위해서 차량의 운행을 정지 시켜야만 했으며 이로 인하여 정지된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서 차량의 운전자나 동승자는 연료를 구하기 위한 수고와 불편을 겪어야만 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연료탱크 외에 별도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통을 설치하여 연료탱크에 부족한 연료를 공급함으로서, 장거리 운행시 연료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연료탱크 및 연료라인의 위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연료탱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연료탱크 12 : 연료주입관
15 : 보조주입관 16 : 제1개폐밸브
17 : 보조통 18 : 보충관
19 : 제2개폐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연료탱크로 안내하는 연료주입관과; 상기 연료주입관에서 분기되는 보조주입관과; 상기 연료주입관과 보조주입관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보조주입관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보조통과; 상기 보조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보충관과; 상기 보충관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연료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연료탱크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하나의 연료탱크에 부가적으로 일정량의 연료를 비축하는 보조통을 설치하여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료주입구와 연결되어 연료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연료탱크(11)로 안내하는 연료주입관(12)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주입관(12)에서 분기되는 보조주입관(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주입관(12)과 보조주입관(15)이 분기되는 관 내부에는 상기 연료주입관(12)과 보조주입관(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주입관(15)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통(17)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통(17)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연료탱크(11)에 연결되는 보충관(1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충관(18)의 내부에는 관의 개폐를 위한 제2개폐밸브(19)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개폐밸브(16,19)는 운전석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통해 작동되도록 하고, 보조통(17)의 연료가 효과적으로 연료탱크(11)에 주입되도록 보조통(17)의 설치위치가 연료탱크(11) 보다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조통(17)의 설치위치가 연료탱크(11)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펌프가 구비되어 보조통(17)의 연료를 연료탱크(11)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일단, 제1개폐밸브(16)가 연료주입관(12)을 개방시키고, 보조주입관(15)을 폐쇄시키며, 제2개폐밸브(19)가 보충관(18)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보조통(18)에 연료를 저장하고자 하면, 운전자는 연료탱크(11)에 연료 주입시 스위치를 작동하여 제1개폐밸브(16)가 보조주입관(15)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서, 연료는 보조주입관(15)을 통해 보조통(17)에 저장된다.
이때, 계기판에는 보조통(17)의 유량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유량측정장치가 장착됨으로서, 보조통(17)에 연료가 채워졌을 때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1개폐밸브(16)가 보조주입관(15)을 폐쇄하여 주입되는 연료가 연료주입관(12)을 통해 연료탱크(11)로만 유입되게 한다.
한편, 자동차의 운행중 연료탱크(11)의 연료가 다 소진되면, 운전자는 스위치를 작동하여 제2개폐밸브(19)가 보충관(18)을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하면, 보충관(18)을 통해 여분의 연료가 연료탱크(11)에 유입되어 차량이 일정거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로 연료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장거리 운행을 할 경우에 연료가 부족하더라도 부족한 연료를 보충할 수 있어서 차량의 운행정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연료탱크로 안내하는 연료주입관과;
    상기 연료주입관에서 분기되는 보조주입관과;
    상기 연료주입관과 보조주입관을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보조주입관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보조통과;
    상기 보조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보충관과;
    상기 보충관을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KR1020030030707A 2003-05-14 2003-05-14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KR20040098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707A KR20040098384A (ko) 2003-05-14 2003-05-14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707A KR20040098384A (ko) 2003-05-14 2003-05-14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384A true KR20040098384A (ko) 2004-11-20

Family

ID=3737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707A KR20040098384A (ko) 2003-05-14 2003-05-14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3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340B1 (ko) 연료 탱크
ITMI20060826A1 (it) Sistema di 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per motore a iniezione di gas liquido di petrolio (lpi)
KR20040098384A (ko) 자동차 보조 연료탱크
KR100834774B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공급장치
KR100412593B1 (ko) 보조연료탱크가 장착된 차량의 경사길 주행시연료공급차단 방지장치
KR100467857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유출 방지장치
KR20020076527A (ko) 펌프 외장형 가스연료 공급장치
KR0137527Y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200174839Y1 (ko) 상용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 흐름 제어장치
KR20090100032A (ko) 자동차의 연료 누설 방지 방법 및 장치
KR970009790B1 (ko) 차량의 연료공급모듈
KR19990024848U (ko) Lpg 엔진의 흡기장치
KR100957276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KR960008159B1 (ko) 차량엔진의 엔진오일주입시스템
KR19990040119A (ko) 자동차용 보조 연료탱크
KR200319803Y1 (ko)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KR100273175B1 (ko) 자동차의 보조 연료 공급장치
KR200415652Y1 (ko) 자동차의 안전 시동 제어 장치
KR970069508A (ko)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KR100245183B1 (ko) 바이패스 연료공급라인을 갖는 천연가스차량
JP2021032084A (ja)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KR20130059983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역류방지구조
KR19980030185A (ko) 보조연료탱크가 설치된 차량용 연료탱크
ITTO960983A1 (it)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con sistema di alimentazione a gpl
KR970046884A (ko) 자동차의 엔진 오일 자동 급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