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803Y1 -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803Y1
KR200319803Y1 KR20-2003-0012421U KR20030012421U KR200319803Y1 KR 200319803 Y1 KR200319803 Y1 KR 200319803Y1 KR 20030012421 U KR20030012421 U KR 20030012421U KR 200319803 Y1 KR200319803 Y1 KR 200319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or
fuel injector
auxiliary
distribu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중
Original Assignee
박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중 filed Critical 박희중
Priority to KR20-2003-0012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803Y1/ko
Priority to PCT/KR2004/000923 priority patent/WO2004094805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료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라인의 적정 위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연료 분기관; 상기 연료 분기관의 타단에 장착되고, 에어크리너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유입 호스의 적정 위치에 장착된 보조 연료 인젝터; 및 운전석의 적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연료 인젝터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제어 시스템의 연료 분배레일에는 연료 분사량이 적은 연료 인젝터를 장착하고, 연료 분배레일의 연료 공급라인에는 별도의 연료 분기관을 연결하며, 이에 연료 인젝터의 연료 공급량을 보충하기 위한 보조 연료 인젝터를 장착한 다음, 이 보조 연료 인젝터를 에어크리너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 사이의 공기유입 호스에 장착하여, 운행중 큰 토크가 필요할 경우에 이를 동작시켜 혼합공기에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엔진의 힘을 증대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일반 시내중일 경우에는 연료 인젝터의 동작으로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연료가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REDUCE APPARARTUS FUEL A MOTOR}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연료제어 시스템의 연료 분배레일에는 연료 분사량이 적은 연료 인젝터를 장작하고, 연료 분배레일의 연료 공급라인에는 별도의 분기관을 연결하며, 이에 연료 인젝터의 연료 공급량을 보충하기 위한 보조 연료 인젝터를 장착한 다음, 이 보조 연료 인젝터를 에어크리너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 사이의 공기유입 호스에 장착하여, 운행중 큰 토크가 필요할 경우에 이를 동작시켜 혼합공기에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엔진의 힘을 증대시키게 되었으며, 일반 시내중일 경우에는 연료 인젝터의 동작으로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연료가 절감되는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제어 시스템은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연료탱크 내에서부터 시작되고, 게이지 센팅 유니트와 함께 연료 탱크내에 설치된 연료펌프는 연료를 송출하여 연료필터를 통하고, 연료 공급라인을 통하여 연료분배레일로 공급된다.
연료펌프는 연료분배레일에 장착된 연료 인젝터의 작동에 필요한 압력 이상으로 연료를 송출하게 되는 데, 결국 연료분배레일에 장착된 압력조절기에 의해 연료는 연료 인젝터의 일정 분사 압력으로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압력이 일정분사 압력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에는 연료는 리턴라인을 통해 연료탱크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연료 분배레일에 장착되는 다수의 연료 인젝터는 ECM(전자제어모듈)의 제어작용에 의해 압력하의 연료를 각각의 실린더로 공급하게 되는 데, 이는 ECM의 제어작용에 의해 일정하게 실린더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운행중 큰 토크가 필요할 경우와 적은 토크가 필요할 경우, 즉 비탈길과 평지의 운행시 항상 동일한 연료가 공급됨으로써 필요없이 연료의 소모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연료 분배레일에 장착되는 연료 인젝터의 연료 공급량을 줄이고, 줄어든 연료공급량 많큼 별도의 보조 연료 인젝터를 장착하여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평지와 비탈길의 운행시 연료공급량을 차등적으로 공급하게 되어 연료의 소모량을 줄이게 되는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흡입매니홀드에 장착되는 연료 분배레일과; 상기 연료 분배레일 양단에 구비되어 내부로 연료를 공급 및 리턴시키는 연료 공급라인 및 연료 리턴라인과; 상기 연료 분배레일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여 연료 인젝터로 이루어진 연료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라인의 적정 위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연료 분기관; 상기 연료 분기관의 타단에 장착되고, 에어크리너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유입 호스의 적정 위치에 장착된 보조 연료 인젝터; 및 운전석의 적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연료 인젝터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분배레일 내부의 연료유동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의 연료 인젝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실린더 40 : 연료 분배 레일
42 : 연료 공급라인 50 : 연료 인젝터
70 : 연료 분기관 80 : 보조 연료 인젝터
90 : 에어크리너 90 : 스로틀밸브 어셈블리
95 : 공기유입 호스 110 : 선택스위치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분배레일 내부의 연료유동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의 연료 인젝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료 자동차 연료 제어시스템은 연료펌프(11)가 내장된 연료탱크(10)와, 연료탱크(10)로부터 송출되는 연료를 필터링하는 연료필터(20)와, 연료필터(20)에서 걸려진 연료가 공급되고, 흡입매니홀드(30)에 장착된 연료 분배레일(40)과, 연료 분배레일(40)에 장착되어 실린더(32)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인젝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 분배레일(40)의 양단에는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라인(42)과 리턴시키는 연료 리턴라인(44)이 구비된다.
상기 연료 인젝터(50)는 연료 분배레일(40)에 장착되어 ECM(60)의 제어작용에 의해 압력하의 연료를 각각 실린더(32) 내부로 공급하여 주는 솔레노이드(52)가 장착된 전자석 장치로서, ECM(60)에 의해 솔레노이더(52)가 자화되면 연료는 상단에서 볼밸브(54)를 지나 출구쪽의 디렉트 플레이트(56)로 공급된다.
상기 디렉트 플레이트(56)에는 6개의 기계 가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어 연료는 원추형상의 분사 형태로 인젝터 팁(58)으로부터 분사되어져 실린더(32)로 공급된다. 이때, 연료 인젝터(50)가 부분적으로 열리게 되면 엔진시동을 끈 후에도 연료가 샐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다수의 연료 인젝터(50)는 ECM(60)의 제어작용에 의해 실린더(32)로 분사되는 연료량이 동일하도록 구성하게 되고, 이러한 연료 인젝터(50)는 실린더(32)로 분사 공급되는 연료량의 약 70% 정도만 실린더(32)로 공급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즉, 연료 인젝터(50)의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여 실린더(32)로 공급되는 연료량이 약 7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이 약 70%의 연료로만 자동차를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약 30%의 나머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연료 분배레일(40)의 연료 공급라인(42)에 연료 분기관(70)의 일단을 연통되게 연결하게 되고, 이 연료 분기관(70) 타단에는 보조 연료 인젝터(80)를 장착하게 되며, 이 보조 연료 인젝터(80)를 에어크리너(90)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100)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유입 호스(95)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연료 인젝터(80)는 연료 인젝터(50)와 동일한 구조 및 동작을 하게 되나, 보조 연료 인젝터(80)는 연료 인젝터(50)에 비해 실린더(32)로 공급되는 연료량이 적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연료 인젝터(50)의 연료 공급량이 약 70%에 해당되면, 보조 연료 인젝터(80)는 약 30%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 연료 인젝터(80)는 운전석의 적정위치에 구비된 선택스위치(110)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30%의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자동차에 순간적으로 큰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보조 연료 인젝터(80)는 ECM(6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에 큰 토크를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 예컨대 비탈길 등을 올라가게 될 경우에 선택스위치(110)의 동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다.
한편, 연료 인젝터(50)와 연료 보조 인젝터(80)의 연료 분사률은 차종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시동을 건 다음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연료탱크(10) 내부의 연료펌프(11)가 동작되어 연료를 일정한 압력으로 송출시키게 되고, 송출된 연료는 연료필터(2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및 불순물이 필터링 되어 연료 분배레일(40) 일측의 연료 공급라인(42)을 통하여 연료분배기(4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연료가 유입된 연료 분배레일(40)에서는 다수의 연료 인젝터(50)로 연료를 균등하게 분배 공급하게 되고, 연료 인젝터(50)에서는 ECM(60)의 제어작용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실린더(32)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게 됨으로써 스로틀바디 어셈블리(10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 엔진을 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료 인젝터(50)는 연료 분배레일(40)에 장착되어 ECM(60)의 제어작용에 의해 압력하의 연료를 각각 실린더(32) 내부로 공급하여 주는 솔레노이드(52)가 장착된 전자석 장치로서, ECM(60)에 의해 솔레노이더(52)가 자화되면 연료는 상단에서 볼밸브(54)를 지나 출구쪽의 디렉트 플레이트(56)로 공급되고, 디렉트 플레이트(56)에는 6개의 기계 가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어 연료는 원추형상의 분사 형태로인젝터 팁(58)으로부터 분사되어져 실린더(32)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다수의 연료 인젝터(50)는 ECM(60)의 제어작용에 의해 실린더(32)로 분사되는 연료량이 동일하도록 구성하게 되고, 이때 연료 인젝터(50)는 실린더(32)로 분사 공급되는 연료량의 약 70% 정도만 실린더(32)로 공급되도록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연료 인젝터(50)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실린더(32)로 공급되는 연료량의 약 70% 정도로서 자동차를 운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주로 자동차에 토크가 크게 작용되지 않은 평지 등을 주행할 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약 70% 연료의 공급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다가 비탈길 등 큰 토크를 얻기 위해서는 운전석 적정 위치에 구비된 선택스위치(11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연료 분배레일(40)의 연료 공급라인(42)에 일단이 장착된 연료 분기관(70) 타단에 장착되고, 에어크리너(90)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100) 사이의 공기유입 호스(95)에 장착된 보조 연료 인젝터(80)가 동작되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연료 분기관(70) 내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채워진 연료가 보조 연료 인젝터(80)의 인젝터 팁(58)을 통하여 에어크리너(90)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100) 사이의 공기유입 호스(95) 내부로 분사되어 에어크리너(9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면서 스로틀바디 어셈블리(100)로 공급됨으로써 실린더(32)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한 연료 인젝터(50)를 통하여 분사되어 공급되는 약 70% 연료와 보조 연료 인젝터(80)를 통하여 분사되어 공급되는 약 30%가 실린더(32) 내부에서합해져 100%의 공급량이 이루어지면서 100%의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탈길 등을 수월하게 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큰 토크를 유지하여 운행을 하다가 평지 등의 비교적 적은 토크가 발생되0는 지점에서는 상기한 조절 스위치(110)를 오프시키면, 보조 연료 인젝터(80)의 동작이 중단되어 연료 인젝터(50)에서 분사되는 연료로만 운행을 하게 됨으로써 연료가 절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 연료제어 시스템의 연료 분배레일에는 연료 분사량이 적은(약 70%정도) 연료 인젝터를 장착하고, 연료 분배레일의 연료 공급라인에는 별도의 연료 분기관을 연결하며, 이에 연료 인젝터의 연료 공급량을 보충하기 위한 보조 연료 인젝터를 장착한 다음, 이 보조 연료 인젝터를 에어크리너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 사이의 공기유입 호스에 장착하여, 운행중 큰 토크가 필요할 경우에 이를 동작시켜 혼합공기에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엔진의 힘을 증대시키게 되었으며, 일반 평지 운행일 경우에는 연료 인젝터의 동작으로만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연료가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흡입매니홀드에 장착되는 연료 분배레일과; 상기 연료 분배레일 양단에 구비되어 내부로 연료를 공급 및 리턴시키는 연료 공급라인 및 연료 리턴라인과; 상기 연료 분배레일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여 연료 인젝터로 이루어진 연료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라인(42)의 적정 위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연료 분기관(70);
    상기 연료 분기관(70)의 타단에 장착되고, 에어크리너(90)와 스로틀바디 어셈블리(100)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유입 호스(95)의 적정 위치에 장착된 보조 연료 인젝터(80); 및
    운전석의 적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연료 인젝터(8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선택스위치(1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료 인젝터(80)는
    상기 연료 인젝터(50)와 상기 실린더(32)로의 연료 분사량을 다르게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KR20-2003-0012421U 2003-04-22 2003-04-22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KR200319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21U KR200319803Y1 (ko) 2003-04-22 2003-04-22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PCT/KR2004/000923 WO2004094805A1 (en) 2003-04-22 2004-04-22 Fuel supply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21U KR200319803Y1 (ko) 2003-04-22 2003-04-22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803Y1 true KR200319803Y1 (ko) 2003-07-12

Family

ID=4933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21U KR200319803Y1 (ko) 2003-04-22 2003-04-22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8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656B1 (en) Fuel supply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43281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80378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fuel supply to a pump-injector unit of a diesel engine
US6474310B2 (en) Fuel supply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MXPA02012059A (es)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a maquina de combustion interna.
KR20030064969A (ko) 엔진의 수분사 장치
US6298831B1 (en) System for operating a fuel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US20130013171A1 (en) Automotive fuel system
KR101114393B1 (ko) 엘피아이 연료 공급시스템
KR200319803Y1 (ko) 자동차 연료 절감장치
US8490607B2 (en) Automotive fuel system
JP4394265B2 (ja) バイフューエルエンジンの供給燃料制御装置
US6170473B1 (en) Discharging by-pass for high pressure direct injection pump
JP3777978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KR100692132B1 (ko) 컷오프 솔레노이드 인젝터 구조
US20040123841A1 (en) Self-regulating switch for split rail gasoline fuel supply system
JP3124075U (ja) 自動車省燃費用構造
KR20050053840A (ko) 차량의 연료 절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0264166B1 (ko) 에어 어시스트(Air Assist) 인젝션
KR20090100032A (ko) 자동차의 연료 누설 방지 방법 및 장치
KR960007891Y1 (ko) 가온용 보조탱크가 구비된 연료 분사장치
JPS6036765Y2 (ja) デイ−ゼル動車の機関総括始動装置
KR100298050B1 (ko) 자동차의연료분사장치
KR19980051527U (ko) 자동차의 연료장치
KR100273175B1 (ko) 자동차의 보조 연료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