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993A -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 Google Patents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993A
KR20040096993A KR1020040081952A KR20040081952A KR20040096993A KR 20040096993 A KR20040096993 A KR 20040096993A KR 1020040081952 A KR1020040081952 A KR 1020040081952A KR 20040081952 A KR20040081952 A KR 20040081952A KR 20040096993 A KR20040096993 A KR 2004009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ing
vane
cold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881B1 (ko
Inventor
노건상
Original Assignee
노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건상 filed Critical 노건상
Priority to KR102004008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8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냉,온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벽체나 천정 또는 바닥부에 설치되는 각종 취출구의 송풍베인이 가지는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실내의 전체 공간을 공조대상영역과 비공조대상영역으로 나눌 경우 비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은 최대한으로 차단시킴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거리 및 그에 따른 공조범위는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기시공된 실내공조기기 및 송풍장치와 같은 주된 설비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보다 우수한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공조에 따른 냉,난방 비용의 절감 및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Blowing vane of diffuser for interior air-conditioning}
본 발명은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냉,온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벽체나 천정 또는 바닥부에 설치되는 각종 취출구의 송풍베인이 가지는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실내의 전체 공간을 공조대상영역과 비공조대상영역으로 나눌 경우 비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은 최대한으로 차단시킴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거리 및 그에 따른 공조범위는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기시공된 실내공조기기 및 송풍장치와 같은 주된 설비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보다 우수한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공조에 따른 냉,난방 비용의 절감 및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의 공기조화(空氣調和)를 행한다라고 하는 것은 실내의 공기를 그 용도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 및 청정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각종 먼지나 유해가스 등은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에어컨디셔닝(Air-conditioning)이라고도 하며, 특히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을 통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사계절에 걸쳐 사용자의 생활에 적당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을 동시에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내의 공기조화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공기의 상태를 그 필요에 따라 냉,온 공기로 조성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기를 지하실과 같은 장소에 구비되는 기계실에 설치한 다음, 각종 송풍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기에서 조성된 냉,온 공기를 덕트(Duct)를 통하여 해당 실내로 송풍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실내를 통한 냉,온 공기의 송풍을 위하여 벽체나 천정 또는 바닥면에는 덕트와 연결되는 각종 형태의 취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냉,온 공기의 송풍을 위한 취출구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벽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벽체용 취출구와, 천정면에 설치되어 하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천정용 취출구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바닥용 취출구로 나뉘어지며, 이러한 취출구를 통하여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는 취출구의 커버 역할을 하는 송풍베인에 의하여 그 풍향과 풍량이 조절되는 데, 이와 같은 종래 송풍베인의 구조 및 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이전에 그 기초원리가 되는 유체의 연속방정식 및 취출공기의 확산원리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체의 연속방정식은 물질 자체가 스스로 창조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는다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유체의 유동현상에 적용시킨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로(1)의 내벽과 유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을 무시할 경우 동일한 관로(1)상에 위치하게 되는 제 1단면(2)으로의 단위시간당 유체의 유입질량과 제 2단면(3)을 통한 단위시간당 유체의 유출질량은 일정하게 되며, 이를 연속방정식의 형태로 나타낼 경우 "유입되는 유체의 질량" = "유출되는 유체의 질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물과 같이 그 밀도나 비중이 동일한 유체의 유량은 체적유량으로 계산하고, 압력의 변화에 따라 그 밀도나 비중이 달라지는 공기나 기체와 같은 압축성 유체에 대해서는 질량유량 혹은 중량유량으로 계산하지만, 실제의 설계에 있어서는 압축성 유체에 대해서도 그 밀도나 비중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식 1과 같은 체적유량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관로(1)의 단면적이 크게 되는 부분에서는 유체의 정압이 증가하고 그 동압은 감소하게 되며, 단면적이 좁게 되는 부분에서는 유체의 정압이 감소하고 그 동압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게 된다.
Q = A1u1= A2u2(m3/s) {Q : 유량, A : 단면적(m2), u : 유속(m/s) } - 식 1
다음으로, 취출구로부터 실내로 취출되어 나오는 공기를 1차 공기(Primary air)라 하고, 실내에 있던 공기 중에서 취출되어 나오는 1차 공기와 혼합되는 공기를 2차 공기(Secondary air)라고 하며, 취출구에서 나오는 1차 공기가 2차 공기를 유인하여 혼합된 전체 공기를 전공기(Total air)라고 한다면, 취출된 1차 공기는 그 유인작용에 의하여 주변의 2차 공기를 끌어 들임으로서 취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전공기의 량은 증가하는 데 반하여, 1차 공기의 취출속도는 점점 감소하게 되는 식으로 취출된 기류는 원추의 형태로 퍼져 나가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4) 등과 같은 장소에서 취출되는 기류는 크게 4단계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해석할 수 있는 데, 제 1영역(6)에서는 취출구(5)에서 분출되는 1차 공기의 속도가 아주 짧은 거리에서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가정한 영역이고, 제 2영역(7)은 일종의 천이 구역으로서 취출 거리가 멀어짐과 동시에 1차 공기와 2차 공기가 혼합되어 그 중심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영역이며, 제 3영역(8)은 취출구(5)로부터 그 거리가 더욱 멀어지면서 1차 공기가 주위의 2차 공기와 충분히 혼합되어 실질적인 취출거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계영역이고, 마지막으로 제 4영역(9)은 취출 기류의 속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혼합된 전공기(1차 공기 + 2차 공기)까지도 주위로 확산되는 영역이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은 유체의 연속방정식 및 취출공기의 확산원리를 그 기초로 하여, 실내의 벽체나 천정 또는 바닥면상에 설치되는 각종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냉,온 공기의 풍향 및 그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취출구의 커버역할을 수행하는 종래의 송풍베인(Blowing vane)에 대한 구조 및 그 작용관계를 벽체용 송풍베인과 천정용 송풍베인 및 바닥용 송풍베인의 순서대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은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를 관통하는 취출구의 전방 외주연부 또는 취출구를 포함하는 벽체상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내측에는 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의 풍향과 풍량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송풍그릴(1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배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 외에도 송풍그릴(12)이 도면상 수직으로만 배열 설치된 것과 송풍그릴(12)이 도면상 수평으로만 배열 설치된 것 또한 벽체용 송풍베인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송풍그릴(12)이 수직으로만 배열 설치된 벽체용 송풍베인은 송풍공기의 확산각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간이 넓은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송풍그릴(12)이 수평으로만 배열 설치된 것은 송풍공기의 강하 및 상승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냉방과 난방에 모두 편리하지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벽체용 송풍베인(10)은 위의 2가지 기능을 두루 겸비하도록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송풍그릴(12)을 모두 갖추고 있으므로 벽체용 송풍그릴 중 그 대표적인 형태로 채택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송풍그릴(12)이 테두리부(11)와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을 고정형 송풍베인이라 하고,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송풍그릴(12)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가동형(유니버셜형) 송풍베인이라고 하는 데, 가동형 송풍베인은 송풍그릴(12)의 각도를 조정하여 송풍공기의 도달거리와 송풍공기의 강하 및 상승거리를 실내조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취출되는 풍량의 조절은 송풍베인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댐퍼(Damper)(또는 Shutter)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벽체용 송풍베인(10)이 취출구와 함께 벽체상에 설치되는 위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실질적인 공조대상영역(P1){거주자의 실질적인 활동영역으로서 바닥면(16)으로부터 벽체(15) 높이의 2/3 이내에 해당하는 공간)과 비공조대상영역(P2){벽체(15) 높이의 2/3 이상으로부터 천정면(14)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벽체(15) 높이의 2/3에 해당하는 위치가 되며, 이와 같은 위치에 벽체용 송풍베인(10)을 취출구(13)와 함께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기로부터 조성된 냉,온 공기를 덕트와 연결된 취출구(13)를 통하여 실내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10)을 사용하여 냉,온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풍베인(10)으로부터 송풍된 냉,온 공기(1차 공기)가 실내공기(2차 공기)를 흡입하면서 위에서 설명되어진 송풍공기의 확산원리에서와 같이 원추 형태로 확산되며, 이로 인하여 송풍베인(1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온 공기의 상당량이 송풍베인(1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실내공조가 필요하지 않은 비공조대상영역(P2)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 중 그 상부측에 해당하는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P2)에 존재하는 많은 량의 외부공기를 유인함과 동시에 비공조대상영역(P2)측으로 빠르게 확산됨으로서,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냉,온 공기의 상당량이 비공조대상영역(P2)으로 공급되어 실내의 효율적인 공조를 이루어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비공조대상영역(P2)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작용에 의하여 공조대상영역(P1)을 통한 냉,온 공기의 실질적인 도달거리 또한 줄어들게 됨으로서 송풍베인(10)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공조대상영역(P1)에 비공조영역(P3)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그릴(12)의 각도를 조정하여 송풍베인(1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온 공기의 송풍방향을 임의대로 변화시킨다 하더라도 비공조대상영역(P2)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P1)의 내부에 비공조영역(P3)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한 송풍거리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냉,난방 성능이 보다 우수한 공기조화기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냉,온 공기의 송풍장치를 대형화시키는 것은 전체적인 공조설비에 따른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시공된 공조설비의 경우는 공기조화기기 및 송풍장치와 같은 주된 고가의 장비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벽체(15)의 취출구(13)로부터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로 송풍되는 공조용 공기가 실내공기의 온도와 동일하다면 도 4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확산될 것이고, 송풍되는 공조용 공기의 온도가 실내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경우는 공조용 공기가 상대적으로 가벼워져 천정면(14)측으로 뜨면서 확산될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공조용 공기의 온도가 낮게 되면 바닥면(16)측으로 가라앉으면서 확산될 것인 바, 이와 같이 상승되는 기류에서 그 최대 도달거리에 상당하는 점까지의 높이를 기류의 상승거리라 하고, 강하되는 기류에서 그 최대 도달거리에 상당하는 점까지의 높이를 하강거리라고 한다면, 위에서 언급된 냉,온 공기의 도달거리 즉 송풍거리는 취출되는 기류의 풍속에 비례하고 냉,온 공기의 하강거리나 상승거리는 기류의 풍속 및 실내공기와의 온도차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기시공된 공조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보다 효과적인 실내공조 및 에너지의 절약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비공조대상영역(P2)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을 최대한으로 차단시킴과 동시에 냉,온 공기의 수평도달거리는 최대한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송풍베인(1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온 공기의 온도와 실내공기의 온도차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공조대상영역(P1)에 존재하는 일정한 온,습도의 2차 공기를 적극적으로 유인하여 1차 공기로서의 냉,온 공기와 혼합되도록 함으로서 실내공조를 위하여 요구되는 최종적인 온도와 습도로 조절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10)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종래의 천정용 송풍베인으로는, 그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수 개의 콘(Cone)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아네모스탯 형(Anemostat type)과, 실내의 구조가 복잡하여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기류를 특정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디플렉터(Deflector; 전향판)를취출구측에 부착시킨 웨이형(Way type)과, 아네모스탯 형의 콘 대신에 그 중앙에 원판 모양의 팬을 설치한 팬형(Pan type) 및 취출구의 프레임에 다공판(Perforated face)을 부착시킨 다공판 형과 같은 여러 가지의 종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정용 송풍베인의 경우는 실내의 천정면 중 그 중앙부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기로부터 덕트를 거쳐 공급된 냉,온 공기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송풍시킴으로서, 송풍된 냉,온 공기가 실내를 통하여 넓은 범위로 확산되도록 한 상기 아네모스탯 형을 그 기본적인 모태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천정용 송풍베인에 대한 설명은 상기 아네모스탯 형을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천정용 송풍베인으로서 아네모스탯 형의 송풍베인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천정면(1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취출구(13)의 하단 외주연부에서 취출구(13)와 일체로 연결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그 테두리부(11)의 내측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원형 또는 사각형의 콘(Cone)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송풍그릴(1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심원상으로 배열 설치됨으로서, 공기조화기기로부터 조성된 냉,온 공기를 덕트와 연결된 취출구(13)를 통하여 실내로 하향 경사지게 송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천정용 송풍베인(10)을 사용하여 냉,온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 형태의 송풍그릴(12)로부터 송풍된 냉,온 공기(1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에 해당하는 실내의 상부측 공기(2차 공기)를 유인하면서 그 하방을 향하여 매우 넓은 폭을 가지는 원추 형태로 확산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실내를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범위는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반면에, 대부분의 냉,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에 해당하는 실내의 상부측 공기를 일차적으로 유인한 상태에서 공조대상영역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천정용 송풍베인(10) 또한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10)과 마찬가지로, 공조대상영역을 통한 실질적인 실내공조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난방시에는 천정용 송풍베인(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조용 공기에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공조용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에 해당하는 실내의 상부공간으로 확산됨으로서 공조대상영역에 대한 난방을 제대로 이루어낼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은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와 공조설비에 따른 비용상승 및 기시공된 공조설비의 교체에 따른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바닥용 공조시스템은 이중바닥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의 내부공간을 가압챔버로 활용하여 급기를 행함과 동시에, 공조가 요구되는 실내공간을 여러 개의 소규모 공간으로 구획하여 해당 실내의 바닥면에 선회형 취출구를 설치함으로서, 실내공간 전체를 통한 공조를 이루어낸다기 보다는 소규모로 구획된 여러 개의 실내공간을 통한 개별적인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해당 공간을 통한 보다 효과적인 공조를 이루어낸다는 근본적인 취지는 벽체나 천정용 공조시스템과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바닥용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선회형 취출구 및 그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바닥용 송풍베인은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16)(16')의 사이에 다수 개의 선회용 슬롯(17a)이 원통형의 몸체를 따라 수직으로 절개 형성된 바닥취출구(17)가 삽입 설치되고, 그 상부측에는 바닥취출구(17)를 거쳐 공급되는 냉,온 공기에 와류를 부여함과 동시에 실내의 상방향으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베인(10)이 바닥면(16)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닥취출구(17)에 설치되어 실내의 상방향으로 와류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종래의 바닥용 송풍베인(10)은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슬롯(10a)과 경사진 블레이드(Blade)(10b)가 조합된 형태를 가지는 FB 선회식 송풍베인(10)과, 좁고 경사진 다수 개의 직선슬롯(10c)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DB-E 선회식 송풍베인(10)과, 선회기류 및 경사기류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도록 호형슬롯(10d) 및 직선슬롯(10c)이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DB-D 혼합기류형 송풍베인(10)으로 나뉘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용 송풍베인(10)은 바닥취출구(17)로부터 해당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로 공급되는 냉,온 공기가 난류성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바닥측 실내공기(2차 공기)에 대한 유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실내의 거주공간으로 취출된 냉,온 공기의 기류 속도가 빠른 시간내에 감소되어 취출기류에 의한 거주자의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실내공기와의 빠른 열교환을 통하여 해당 공간을 요구하는 온도와 습도로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용 송풍베인(10)은 냉,온 공기에 와류를 부여함과 동시에 냉,온 공기의 도달거리에 따른 확산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10b) 및 각 슬롯(10a)(10c)(10d)의 배열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송풍공기에 대한 간섭현상이 적어지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형태의 와류를 형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와류에 의한 실내공기의 유인효과 및 그 확산범위가 다소 좁아지게 되어 바닥용 송풍베인(10)에 의한 단위공조면적 및 그 공조효과가 저하됨으로서 에너지의 낭비와 공조설비에 따른 비용상승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온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벽체나 천정 또는 바닥부에 설치되는 각종 취출구의 송풍베인이 가지는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실내의 전체 공간을 공조대상영역과 비공조대상영역으로 나눌 경우 비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은 최대한으로 차단시킴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거리 및 그에 따른 공조범위는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기시공된 실내공조기기 및 송풍장치와 같은 주된 설비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보다 우수한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공조에 따른 냉,난방 비용의 절감 및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기로부터 각종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실내의 벽체에 설치되는 취출구의 송풍베인에 있어서, 상기 송풍베인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의 내측에 송풍그릴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베인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송풍그릴 또는 송풍베인의 상부측과 그에 직교하는 일측부에 해당하는 송풍그릴은 각 송풍그릴 사이의 간격이 송풍베인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송풍그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기로부터 각종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취출구의 송풍베인에 있어서, 상기 송풍베인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부의 내측에 송풍그릴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베인의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송풍그릴은 그 간격이 송풍베인의 중앙부측에 해당하는 송풍그릴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송풍베인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기로부터 각종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취출구용 송풍베인에 있어서, 상기 송풍베인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부의 내측 중앙에 방사상의 주송풍구가 형성되고, 그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주송풍구의 간격보다 좁게 되는 와류송풍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와류송풍구는 실내를 향하여 직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수직송풍구와, 상기 수직송풍구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공기를 송풍하는 경사송풍구가 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유체의 연속방정식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송풍된 공기의 확산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의 (가) 및 (나)는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에 의한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천정용 송풍베인의 구조와 그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종래의 바닥용 취출구 및 그 송풍베인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평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용 송풍베인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풍베인 11 : 테두리부 12 : 송풍그릴
13 : 취출구 14 : 천정면 15 : 벽체
16 : 바닥면 20 : 주송풍구 21 : 와류송풍구
22 : 수직송풍구 23 : 경사송풍구 24 : 1차 송풍공기
25 : 2차 유인공기
P1 : 공조대상영역 P2 : 비공조대상영역 P3 : 비공조영역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의 일실시예는 도 7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벽체를 관통하는 취출구의 전방 외주연부 또는 취출구를 포함하는 벽체상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내측에는 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의 풍향과 풍량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송풍그릴(12)이 격자 형태로 배열 설치된 것은 종래의 벽체용 송풍베인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의 설치 및 그 배열 형태로서, 송풍베인(10)의 테두리부(11) 내측 전체 면적을 100%로 할 경우 그 전체 면적의 10 ~ 40%에 해당하는 송풍베인(10)의 내측 상부에 배열 설치되는 송풍그릴(12)중 수평으로 배열되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이 송풍베인(10)의 나머지 60 ~ 90%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열 설치되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그 1/4 ~ 2/3 정도의 간격으로 좁게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격자 형태로 배열된 송풍그릴(12)을 도시하고 있으나, 송풍그릴(12)이 수평식으로만 배열 설치되는 송풍베인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송풍그릴(12)이 테두리부(11)와 일체로 고정 설치된 고정형 송풍베인과,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송풍그릴(12)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동형(유니버셜형) 송풍베인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 모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10)을 취출구와 함께 실내의 벽체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기로부터 조성된 냉,온 공기를 덕트와 연결된 취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송풍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15)의 취출구(13)로부터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 중 비공조대상영역(P2)과 접하게 되는 상부측 공기가 유체의 연속방정식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좁은 간격의 송풍그릴(12)을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가속되고, 공조대상영역(P1)과 접하게 되는 그 하부측 공기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가지면서 송풍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냉,온 공기가 송풍되면, 비공조대상영역(P2)과 인접하여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상부측 냉,온 공기(1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P2)에 존재하는 실내공기(2차 공기)를 기존의 그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인할 시간적 여유가 없이 송풍베인(10)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위치까지 신속하게 진행한 다음 그 확산작용이 시작되고, 공조대상영역(P1)과 접하게 되는 하부측 냉,온 공기(1차 공기)는 일반적인 송풍공기의 확산원리에서와 같이 송풍베인(10)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공조대상영역(P1)의 실내공기(2차 공기)를 순차적으로 유인하면서 확산되어져 간다.
결과적으로, 송풍베인(10)의 상측부를 거쳐 송풍되는 냉,온 공기가 하나의 에어커튼(Air-curtain) 역할을 하게 됨으로서, 그 하부측으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P2)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공조대상영역(P1)에 국한된 효율적인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송풍베인(10)의 상측부를 거쳐 먼 거리까지 도달한 냉,온 공기가 그 지점에서 실내공기를 유인하여 확산되므로 공조대상영역(P1)을 통한 냉,온 공기의 실질적인 도달거리 또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송풍베인(10)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공조대상영역(P1)까지 냉,온 공기에 의한 실질적인 공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동형(유니버설형) 송풍베인에 본 발명에 의한 송풍그릴(12)의 배치구조를 적용시키게 되면, 송풍그릴(12)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서 비공조대상영역(P2)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을 최대한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P1)을 통한 충분한 송풍거리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실내구조나 공조용 공기의 온도에 거의 구애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실내환경에 가장 적합한 공조를 행할 수 있게 되며, 기시공된 공조설비 중 공기조화기기나 송풍장치와 같은 고가의 주된 장비를 교체하는 대신, 송풍베인만을 종래의 것과 교체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작업만으로도 보다 효과적인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10)을 사용하여 실내공간의 효과적인 공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킨 부분이 송풍베인(10)의 내측 전체 면적의 최소한 10% 이상이 되어야 하고, 해당 면적이 40%를 초과하게 되면 송풍베인(10)이 설치된 벽체(15)의 직전방에 대한 공조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그 간격 또한 냉,온 공기의 충분한 가속과 송풍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존 간격의 2/3 ~ 1/4 범위내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간격의 범위내에서 송풍베인(10)의 내측 상부를 따라 송풍그릴(12)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9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10)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송풍베인(10)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단지 차이가 있는 점은 테두리부(11)의 내측 상부와 직교하는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킨 점이다.
이는 송풍베인(10)이 설치되는 벽체(15)의 좌,우측으로 출입문이나 창문과 같은 외부공기의 유입수단이 송풍베인(10)과 근접하여 존재하는 경우, 해당 측면으로 빠른 속도의 공조용 공기를 송풍시킴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과 공조용 공기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실내공조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송풍그릴(12)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은 송풍베인(10)의 내측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20 ~ 50%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도 10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10)은 도 10의 (가) 및 (나)와 도 11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천정면을 관통하는 취출구의 하단 외주연부또는 취출구를 포함하는 천정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내측에는 실내를 통하여 하향 송풍되는 냉,온 공기의 풍향과 풍량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송풍그릴(12)이 격자 형태로 배열 설치된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의 설치 및 그 배열 형태로서, 송풍베인(10)의 테두리부(11) 내측 전체 면적을 100%로 할 경우 그 전체 면적의 20 ~ 80%에 해당하는 송풍베인(10)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열 설치되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이 송풍베인(10)의 나머지 20 ~ 80%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열 설치되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그 1/4 ~ 2/3 정도의 간격으로 좁게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부분에 배열 설치되는 송풍그릴(12)이 송풍베인(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송풍베인(10)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송풍베인(10)의 내부 전체에 걸쳐 송풍그릴(12)이 격자 형태로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면상 송풍베인(10)의 상,하부측 가장자리에서는 수평방향의 송풍그릴(12)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고 송풍베인(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는 수직방향의 송풍그릴(12)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다는 조건하에서는 그 내측 중앙부에 배열되는 송풍그릴(12)은 수직 또는 수평의 어느 배열 형태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며, 송풍베인(10)의 내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송풍그릴(12)의 경우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종래의 가동형(유니버셜형) 송풍베인에서와 같이 해당 송풍그릴(12)의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모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10)을 취출구와 함께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기로부터 조성된 냉,온 공기를 덕트와 연결된 취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송풍시키게 되면,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정면(14)의 취출구(13)로부터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 중 그 외곽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송풍되는 냉,온 공기가 유체의 연속방정식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좁은 간격의 송풍그릴(12)을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가속되고, 그 중앙부측에서 직하방으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가지면서 송풍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냉,온 공기가 송풍되면, 그 외곽부측의 냉,온 공기(1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P2)에 존재하는 실내공기(2차 공기)를 유인할 시간적 여유가 없이 공조대상영역(P1)측으로 신속하게 진행한 다음 그 확산작용이 시작되고, 그 중앙부측의 냉,온 공기(1차 공기)는 일반적인 송풍공기의 확산원리에서와 같이 송풍베인(10)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실내공기(2차 공기)를 순차적으로 유인하면서 확산되어 가는 데, 천정면(14)으로부터 비공조대상영역(P2)에 이르는 수직거리는 송풍공기의 확산단계 중 제 1 내지 제 2영역에 해당하는 공간이 되므로 송풍베인(10)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송풍되는 냉,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P2)을 통하여 확산되는 량은 극히 미미한 정도가 된다.
결과적으로, 송풍베인(10)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거쳐 하방으로 경사지게송풍되는 냉,온 공기가 비공조대상영역(P2)에서 확산되지 않고 공조대상영역(P1)까지 빠르게 하강한 다음 그 지점부터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나감으로서, 공조대상영역(P1)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범위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P1)에 국한된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게 되고, 특히, 실내의 난방시에 발생하는 공조용 공기의 상승기류를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공조대상영역(P1)에 대한 난방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고 공조설비에 따른 비용 및 기시공된 공조설비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천정면(14)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공조용 공기를 보다 넓은 실내 범위로 확산시키도록 한다는 천정용 송풍베인의 기본적인 취지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천정용 송풍베인(10)을 통한 실내공간의 효과적인 공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송풍베인(10)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그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송풍그릴(12)의 경사각도가 외측방향을 향하여 가급적 큰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실내의 전체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공조와 송풍베인(10)의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그 경사각도는 30 ~ 60°범위내가 적당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의 범위내에서 그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송풍그릴(12)의 경사각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천정용 송풍베인(10)을 사용하여 실내공간의 효과적인 공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송풍그릴(12)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킨 가장자리 부분의 면적이 송풍베인(10)의 내측 전체 면적과 대비하여 최소한 20% 이상(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면 각 5% 이상)이 되어야 하고, 해당 면적이 80%(일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면 각 20%)를 초과하게 되면 송풍베인(10)의 직하방에 대한 공조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그 간격 또한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냉,온 공기의 충분한 가속과 송풍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존 간격의 2/3 ~ 1/4 범위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용 송풍베인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용 송풍베인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용 송풍베인은 도 13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중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실내의 바닥면을 통하여 삽입되는 바닥취출구의 상단 외주연부상에 결합되어 실내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원형의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내측 중앙부에는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주송풍구(20)가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며, 상기 주송풍구(20)와 테두리부(11)를 연결하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주송풍구(20)의 간격보다 좁게 되는 와류송풍구(2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류송풍구(21)는 도 13의 (나)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를 향하여 직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수직송풍구(22)와, 상기 수직송풍구(22)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공기를 송풍하는 경사송풍구(23)가 교호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도 13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상기 수직송풍구(22)와 경사송풍구(23)의 배열상태를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와류송풍구(21)의 전체적인 형태를 직선형으로 펼친 상태에서 그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용 송풍베인(10)을 바닥취출구와 함께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기로부터 조성된 냉,온 공기를 바닥취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송풍시키게 되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16)의 바닥취출구(미도시)로부터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로 송풍되는 냉,온 공기가 상기 와류송풍구(21)에 의하여 매우 복잡한 형태의 난류성 선회기류를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주송풍구(20)로부터 송풍되는 냉,온 공기에 의하여 이러한 난류성 선회기류의 도달거리 또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와류송풍구(21)에 형성된 수직송풍구(22)를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송풍되던 냉,온 공기가 인접하는 경사송풍구(23)를 통하여 송풍되는 냉,온 공기와 일정한 경사각도로 부딪히게 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와류송풍구(21)의 전영역에 걸쳐 일정한 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서, 본 발명의 바닥용 송풍베인(10)을 거쳐 송풍되는 1차 송풍공기(24)가 매우 빠른 시간내에 확실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송풍공기(24)가 매우 빠른 시간내에 와류를 형성하게 되면, 1차 송풍공기(24)의 와류작용에 의하여 실내의 바닥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가 2차 유인공기(25)로 신속하게 유도되어 냉,온 공기와 함께 확산하게 됨으로서 매우 복잡한 형태의 난류성 선회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송풍구(20)로부터 송풍되는 냉,온 공기에 의하여 난류성 선회기류의 도달거리 또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용 송풍베인(10)을 거쳐 실내의 거주공간으로 송풍된 냉,온 공기의 기류가 와류의 형성과정에서 빠른 시간내에 감소되어 취출기류에 의한 거주자의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한 형태의 난류성 선회기류에 의하여 냉,온 공기와 실내공기와의 빠른 열교환을 이루어냄과 동시에, 난류성 선회기류의 도달거리를 증가시켜 그 확산범위 또한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바닥용 송풍베인(10)에 의한 단위공조면적 및 그 공조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와 공조설비에 따른 비용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기로부터 조성된 냉,온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실내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벽체나 천정 또는 바닥부에 설치되는 각종 취출구의 송풍베인이 가지는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실내의 전체 공간을 공조대상영역과 비공조대상영역으로 나눌 경우 비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은 최대한으로 차단시킴과 동시에 공조대상영역을 통한 냉,온 공기의 확산거리 및 그에 따른 공조범위는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시공된 실내공조기기 및 송풍장치와 같은 주된 설비를 교체하는 대신 취출구의 송풍베인만을 종래의 것과 교체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작업만으로도 보다 우수한 실내공조를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와, 실내공조를 위한 최초의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동일 공조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 및 실내공조에 따른 냉,난방 비용의 절감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공기조화기기로부터 각종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실내의 벽체(15)에 설치되는 취출구(13)의 송풍베인(10)에 있어서,
    상기 송풍베인(10)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부(11)의 내측에 송풍그릴(12)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베인(10)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 또는 송풍베인(10)의 상부측과 그에 직교하는 일측부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은 각 송풍그릴(12) 사이의 간격이 송풍베인(10)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2. 공기조화기기로부터 각종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실내의 천정면(14)에 설치되는 취출구(13)의 송풍베인(10)에 있어서,
    상기 송풍베인(10)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부(11)의 내측에 송풍그릴(12)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베인(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은 그 간격이 송풍베인(10)의 중앙부측에 해당하는 송풍그릴(12)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송풍베인(10)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3. 공기조화기기로부터 각종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냉,온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실내의 바닥면(16)에 설치되는 바닥취출구용 송풍베인(10)에 있어서,
    상기 송풍베인(1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부(11)의 내측 중앙에 방사상의 주송풍구(20)가 형성되고, 그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주송풍구(20)의 간격보다 좁게 되는 와류송풍구(2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와류송풍구(21)는 실내를 향하여 직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수직송풍구(22)와, 상기 수직송풍구(22)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공기를 송풍하는 경사송풍구(23)가 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KR1020040081952A 2004-10-13 2004-10-13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KR10061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952A KR100611881B1 (ko) 2004-10-13 2004-10-13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952A KR100611881B1 (ko) 2004-10-13 2004-10-13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993A true KR20040096993A (ko) 2004-11-17
KR100611881B1 KR100611881B1 (ko) 2006-08-11

Family

ID=3737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952A KR100611881B1 (ko) 2004-10-13 2004-10-13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8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9934A (zh) * 2019-08-21 2019-11-19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用于建筑设备机房的通风换气口装置
KR102120064B1 (ko) * 2019-11-04 2020-06-09 주식회사 보성산업 전기컨벡터
KR102182726B1 (ko) * 2020-06-01 2020-11-24 주식회사 보성산업 전기컨벡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199B1 (ko) 2016-12-02 201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9934A (zh) * 2019-08-21 2019-11-19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用于建筑设备机房的通风换气口装置
CN110469934B (zh) * 2019-08-21 2024-03-12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用于建筑设备机房的通风换气口装置
KR102120064B1 (ko) * 2019-11-04 2020-06-09 주식회사 보성산업 전기컨벡터
KR102182726B1 (ko) * 2020-06-01 2020-11-24 주식회사 보성산업 전기컨벡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881B1 (ko) 200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2786A1 (en) Ventilator system for recirculation of air and regulating indoor air temperature
JP3913334B2 (ja) 換気送風装置および換気送風システム
WO1999050603A1 (fr) Entree d'air et soufflante
AU201033068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ir
US10473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air stratification via ductless devices
JP2019105383A (ja) 空調ユニット
KR100943859B1 (ko)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US20160131156A1 (en) Device and System for Eliminating Air Pockets, Eliminating Air Stratification, Minimizing Inconsistent Temperature, and Increasing Internal Air Turns
JP2010261645A (ja) 置換換気システムおよび置換換気方法
KR100611881B1 (ko)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JPH11148701A (ja) 吹出口装置
WO2015135025A2 (en) Air conditioner
KR200453512Y1 (ko)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CN113446691A (zh) 一种双导流板的贴壁送风装置及其送风方法
CN105864891A (zh) 一种壁挂式空调
JPH10300181A (ja) 吹出口
JPH0741345U (ja) 高拡散型吹出口
JP3762388B2 (ja) 空気調和装置と空気調和方法
JP2005257090A (ja) 換気システム及び吹出口
JP2955519B2 (ja) 空調方法
JP2006170471A (ja) タスク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