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64B1 - 전기컨벡터 - Google Patents

전기컨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064B1
KR102120064B1 KR1020190139222A KR20190139222A KR102120064B1 KR 102120064 B1 KR102120064 B1 KR 102120064B1 KR 1020190139222 A KR1020190139222 A KR 1020190139222A KR 20190139222 A KR20190139222 A KR 20190139222A KR 102120064 B1 KR102120064 B1 KR 10212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unit
cas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산업
Priority to KR102019013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컨벡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열교환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열교환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수단, 상기 방열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방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수단이 가열되어 열이 방출될 경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을 위한 구성이 없이 실내공간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대류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실내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아 무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컨벡터{Electric convector}
본 발명은 전기컨벡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효율을 향상시켜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에 따른 공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풍기능에 따른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컨벡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방열기(electric radiator)는 전열선으로부터 나오는 열을 난방 등에 이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열선 배후에 반사판을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전기 스토브가 가장 대표적이다.
상기한 종래 전기 방열기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은 메인방열체에 보조날개가 구비된 보조방열체가 구비되지 않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보조방열체가 없기 때문에 방열체의 중심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방사시켜 전기스토브의 방열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한정된 공간에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없고, 이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0540호(2013. 01. 3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31호(2011. 02. 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5288호(2011. 08. 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6-0000565호(2016. 02. 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열교환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열교환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수단, 상기 방열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방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수단이 가열되어 열이 방출될 경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실내공간의 상부 및 하부로 토출되는 것으로, 송풍을 위한 구성이 없이 실내공간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대류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실내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아 무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컨벡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열교환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열교환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수단, 상기 방열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방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수단이 가열되어 열이 방출될 경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토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방열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따뜻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복수의 토출구를 갖는 정면케이스, 상기 방열수단에 의해 열교환되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단부에 복수의 유입구를 갖고, 상기 정면케이스와 함께 열교환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면케이스, 및 상기 정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방열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확산시키도록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토출구, 및 상기 상부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된 공기 중 나머지를 하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하부토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토출구를 통해 확산되는 따듯한 공기는 실내공간의 상부로 이동되어 실내공간 내의 대류현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토출구를 통해 가속되어 토출되는 따듯한 공기는 실내공간의 하부로 토출되어 상기 후면케이스의 유입구방향으로 토출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섞여 유입됨에 따라, 예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방열수단은, 제1방열코일을 갖고, 상기 열교환공간부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1방열부, 제2방열코일을 갖고, 상기 열교환공간부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2방열부,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방열연결부,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방열접속부, 및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방열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설치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에 후크형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볼트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열설치브래킷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설치부는, 내부에 해당 방향으로 개방되는 팽창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방열설치브래킷, 및 상기 각 방열설치브래킷의 팽창공간부에 위치되되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에 구비되는 방열완충부,를 포함하며, 해당 방열부가 가열되어 팽창될 경우, 방열설치브래킷은 함께 이동되되, 해당 방열완충부에 의해 후면케이스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방열설치브래킷은 열전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방열완충부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설치부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공, 상기 슬라이딩공의 개방된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설치턱, 및 상기 제1방열부, 제2방열부, 방열연결부, 방열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턱을 따라 이동되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설치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방열부는, 내부에 제1방열공간부를 갖는 제1방열몸체, 상기 제1방열몸체의 제1방열공간부에 위치되는 제1방열코일, 상기 제1방열코일이 위치된 제1방열공간부에 충진되는 제1절연체, 상기 제1방열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방열프레임, 상기 제1방열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방열날개, 및 상기 제1방열날개에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제1방열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방열부는, 내부에 제2방열공간부를 갖는 제2방열몸체, 상기 제2방열몸체의 제2방열공간부에 위치되는 제2방열코일, 상기 제2방열코일이 위치된 제2방열공간부에 충진되는 제2절연체, 상기 제2방열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방열프레임, 상기 제2방열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제2방열날개, 및 상기 제2방열날개에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제2방열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절연체와 제2절연체는, 산화마그네슘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접속부는, 상기 제1방열코일의 일단부와 제2방열코일의 일단부를 상호 절연상태로 연결시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1방열접속부, 및 상기 제1방열코일의 타단부와 제2방열코일의 타단부를 통전된 상태로 연결시켜 상기 제1방열접속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도통시키는 제2방열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1방열부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제1스위치,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2방열부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컨벡터가 넘어질 경우,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는, 내부에 변위공간부가 형성되는 차단몸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에 의해 인간되는 전원과 접지되며, 상기 차단몸체의 변위공간부 저면에 형성되는 제1차단접지, 상기 제1차단접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차단몸체의 변위공간부 저면에 형성되어 제1차단접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해당 방열부와 접지되는 제2차단접지, 및 상기 변위공간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전기컨벡터가 세워진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차단접지와 제2차단접지가 도통되도록 접하고,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상기 제1차단접지와 제2차단접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떨어져 전원을 차단시키는 접지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후면케이스에 탈부착 설치되며, 실내의 벽면에 고정설치하는 벽체고정브래킷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유입구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 설치되며, 실내 바닥에 세워지는 받침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컨벡터에 의하면, 송풍을 위한 구성이 없이 실내공간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대류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어 실내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아 무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컨벡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방열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방열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컨벡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방열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방열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컨벡터(10)는 케이스(100)와 방열수단(200), 제어부(300) 및 거치부(4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열교환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방열수단(200)은 케이스(100)의 열교환공간부(10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열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300)는 방열수단(200)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방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거치부(400)는 케이스(100)를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컨벡터(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실내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방열수단(200)이 가열되어 열이 방출될 경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토출된다.
이에, 별도의 송풍시설이 없어도 실내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비교적 저온의 공기가 방열수단(200)에 의해 열교환되어 열이 상승함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를 반복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케이스(100)는 정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 및 케이스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정면케이스(110)는 방열수단(200)에 의해 열교환된 따뜻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복수의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케이스(120)는 방열수단(200)에 의해 열교환되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단부에 복수의 유입구(122)를 갖고, 정면케이스(110)와 함께 열교환공간부(102)를 형성한다.
케이스고정부(130)는 정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케이스고정부(130)는 볼트를 이용하여 정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를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며, 후크를 이용하여 가결합 후, 볼트로 고정시킴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12)는 상부토출구(112a)와 하부토출구(112b)를 포함한다.
상부토출구(112a)는 방열수단(20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확산시키도록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토출구(112b)는 상부토출구(112a)의 하측에 위치되어 열교환된 공기 중 나머지를 하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토출구(112a)의 갯수와 하부토출구(112b)의 갯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부토출구(112a) 각각은 토출 단면적이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내의 상부 방향에 위치하는 상부 토출구(112a)일 수록 다른 토출구(112a) 보다 토출 단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하부토출구(112a) 각각은 토출 단면적이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내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는 하부 토출구(112a)일 수록 다른 하부 토출구(112b) 보다 토출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부 토출구(112a) 및 하부 토출구(112b)의 다양한 양상을 조합하여 토출구(11)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토출구(112a)를 통해 확산되는 따듯한 공기는 실내공간의 상부로 이동되어 실내공간 내의 대류현상을 발생시키고, 하부토출구(112b)를 통해 가속되어 토출되는 따듯한 공기는 실내공간의 하부로 토출되어 후면케이스(120)의 유입구(122)로 유입되는 공기와 섞여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실내공간의 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부토출구(112a)를 통해 따뜻한 공기가 실내공간의 상부로 이동하고, 동시에 하부토출구(112b)를 통해 빠르게 토출되는 따뜻한 공기는 실내공간의 하부의 차가운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실내공간의 하부의 차가운 공기는 하부토출구(112b)를 통해 빠르게 토출되는 따뜻한 공기에 의해서 가열되어 일부는 실내공간의 상부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차가운 공기와 후면케이스(120)의 유입구(12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케이스(120)의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차운 공기 및 따뜻한 공기는 방열수단(200)에 의해서 가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교환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실내공간의 온도 상승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방열수단(2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 방열연결부(230), 방열접속부(240) 및 방열설치부(250)를 포함한다.
제1방열부(210)는 제1방열코일(212)을 갖고, 열교환공간부(102)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방열부(220)는 제2방열코일(222)을 갖고, 열교환공간부(102)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방열연결부(230)는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방열접속부(240)는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방열설치부(250)는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케이스(100)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방열설치부(250)는 일단부가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에 후크형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볼트에 의해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방열설치브래킷(252)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방열설치부(25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설치브래킷(252')과 방열완충부(254'),를 포함한다.
방열설치브래킷(252')은 내부에 해당 방향으로 개방되는 팽창공간부(253')가 형성되고,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방열 연결부(2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열완충부(254')는 각 방열설치브래킷(252')의 팽창공간부(253')에 위치되되 유동 가능하도록 후면케이스(120)에 구비된다.
해당 방열부(210, 220)가 가열되어 팽창될 경우, 방열설치브래킷(252')은 함께 이동되되, 해당 방열완충부(254')에 의해 후면케이스(120)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방열설치브래킷(252')은 열전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방열완충부(254')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가 가열되어 열팽창에 의한 길이가 변경될 경우, 방열완충부(254')가 위치된 팽창공간부(253')를 따라 방열설치브래킷(252')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열팽창에 의해 케이스가 가열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의 방열설치부(25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공(252")과 설치턱(254") 및 설치프레임(256')을 포함한다.
슬라이딩공(252")은 후면케이스(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열교환공간부(102)를 측방향으로 개방시킨다.
그리고 설치턱(254")은 슬라이딩공(252")의 개방된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설치프레임(256")은 제1방열부(210), 제2방열부(220), 방열연결부(230), 방열접속부(240)가 구비되고, 설치턱(254")을 따라 이동되어 설치되며, 슬라이딩공(252")을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설치프레임(256")이 설치턱(254")에 설치됨에 따라, 수리 및 교체를 위해 용이하게 케이스(100)에서 이탈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방열부(210)는 제1방열몸체(211), 제1방열코일(212), 제1절연체(213), 제1방열프레임(214), 제1방열날개(215) 및 제1방열편(216)을 포함한다.
제1방열몸체(211)는 내부에 제1방열공간부(211a)가 형성되고, 제1방열코일(212)은 제1방열몸체(211)의 제1방열공간부(211a)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절연체(213)는 제1방열코일(212)이 위치된 제1방열공간부(211a)에 충진된다.
제1방열프레임(214)은 제1방열몸체(211)에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제1방열날개(215)는 제1방열프레임(214)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제1방열편(216)은 제1방열날개(215)에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된다.
그리고 제2방열부(220)는 제2방열몸체(221)와 제2방열코일(222), 제2절연체(223), 제2방열프레임(224), 제2방열날개(225) 및 제2방열편(226)을 포함한다.
제2방열몸체(221)는 내부에 제2방열공간부(221a)가 형성되고, 제2방열코일(222)은 제2방열몸체(221)의 제2방열공간부(221a)에 위치된다.
또한 제2절연체(223)는 제2방열코일(222)이 위치된 제2방열공간부(221a)에 충진되고, 제2방열프레임(224)은 제2방열몸체(221)에 일체로 구비된다.
제2방열날개(225)는 제2방열프레임(224)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2방열편(226)은 제2방열날개(225)에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된다.
여기서, 제1절연체(213)와 제2절연체(223)는 산화마그네슘이다.
그리고 방열접속부(240)는 제1방열접속부(242)와 제2방열접속부(244)를 포함한다.
제1방열접속부(242)는 제1방열코일(212)의 일단부와 제2방열코일(222)의 일단부를 상호 절연상태로 연결시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킨다.
또한 제2방열접속부(244)는 제1방열코일(212)의 타단부와 제2방열코일(222)의 타단부를 통전된 상태로 연결시켜 제1방열접속부(24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도통시킨다.
이에, 제어부(300)를 제어하여 제1방열접속부(242)가 제1방열코일(212)의 일단부와 제2방열코일(222)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면, 제2방열접속부(244)에 의해 도통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방열수단(200)은 보조방열부(260)를 더 포함한다.
이 보조방열부(26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수단(200)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방열부(260)는 보조방열프레임(262)과 보조방열날개(264) 및 보조방열편(266)을 포함한다.
보조방열프레임(262)은 제1방열프레임(214)과 제2방열프레임(22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된 방열프레임(214, 224)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방열날개(264)는 보조방열프레임(262)에 복수 개 구비되며, 보조방열편(266)은 보조방열날개(264)에 복수개 형성되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 보조방열부(260)의 표면에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샌드블라스트(sand blast)로 요철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310)와 제2스위치(320) 및 온도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310)는 제1방열부(210)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2스위치(320)는 제2방열부(220)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온도조절부(330)는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타이머(340)를 더 포함한다.
이 타이머(340)는 제1방열부(210)와 제2방열부(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거치부(400)는 벽체고정브래킷(410)으로, 후면케이스(120)에 탈부착 설치되며, 실내의 벽면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거치부(4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410')로, 후면케이스(120)의 유입구(122)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 설치되며, 실내 바닥에 세워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대(4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볼트 등에 의해 후면케이스(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벽체고정브래킷(410)과 받침대(410')는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차단부(350)를 더 포함한다.
이 차단부(350)는 전기컨벡터(10)가 넘어질 경우, 제1스위치(310)와 제2스위치(320)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차단부(350)는 특히 전기컨벡터(10)가 벽체에 고정되는 구조인 경우 뿐만 아니라, 바퀴 장착형인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350)는 차단몸체(352)와 제1차단접지(354), 제2차단접지(356) 및 접지볼(358)을 포함한다.
차단몸체(352)는 내부에 변위공간부(3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차단접지(354)는 제1스위치(310)와 제2스위치(320)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과 연결되며, 차단몸체(352)의 변위공간부(353) 저면에 형성된다.
제2차단접지(356)는 제1차단접지(354)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차단몸체(352)의 변위공간부(353) 저면에 형성되어 제1차단접지(35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해당 방열부(210, 220)와 함께 접지에 연결시킨다.
또한 접지볼(358)은 변위공간부(353)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전기컨벡터(10)가 세워진 상태일 경우, 제1차단접지(354)와 제2차단접지(356)가 도통되도록 접하고,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제1차단접지(354)와 제2차단접지(356)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떨어져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에, 거치된 전기컨벡터(10)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경우, 전원이 차단되어 가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10 : 전기컨벡터 100 : 케이스
200 : 방열수단 210 : 제1방열부
220 : 제2방열부 230 : 방열연결부
240 : 방열접속부 250 : 방열설치부
300 : 제어부 400 : 거치부

Claims (10)

  1. 내부에 열교환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열교환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수단;
    상기 방열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방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수단이 가열되어 열이 방출될 경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상측으로 토출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방열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따뜻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복수의 토출구를 갖는 정면케이스;
    상기 방열수단에 의해 열교환되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단부에 복수의 유입구를 갖고, 상기 정면케이스와 함께 열교환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면케이스; 및
    상기 정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수단은,
    제1방열코일을 갖고, 상기 열교환공간부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1방열부;
    제2방열코일을 갖고, 상기 열교환공간부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2방열부;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방열연결부;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방열접속부; 및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방열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열부는,
    내부에 제1방열공간부를 갖는 제1방열몸체;
    상기 제1방열몸체의 제1방열공간부에 위치되는 제1방열코일;
    상기 제1방열코일이 위치된 제1방열공간부에 충진되는 제1절연체;
    상기 제1방열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방열프레임;
    상기 제1방열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제1방열날개; 및
    상기 제1방열날개에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제1방열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열부는,
    내부에 제2방열공간부를 갖는 제2방열몸체;
    상기 제2방열몸체의 제2방열공간부에 위치되는 제2방열코일;
    상기 제2방열코일이 위치된 제2방열공간부에 충진되는 제2절연체;
    상기 제2방열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방열프레임;
    상기 제2방열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제2방열날개; 및
    상기 제2방열날개에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제2방열편;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접속부는,
    상기 제1방열코일의 일단부와 제2방열코일의 일단부를 상호 절연상태로 연결시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1방열접속부; 및
    상기 제1방열코일의 타단부와 제2방열코일의 타단부를 통전된 상태로 연결시켜 상기 제1방열접속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도통시키는 제2방열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설치부는,
    내부에 해당 방향으로 개방되는 팽창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방열설치브래킷; 및
    상기 각 방열설치브래킷의 팽창공간부에 위치되되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에 구비되는 방열완충부;를 포함하며,
    해당 방열부가 가열되어 팽창될 경우, 방열설치브래킷은 함께 이동되되, 해당 방열완충부에 의해 후면케이스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벡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방열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 중 일부를 상측으로 확산시키도록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토출구; 및
    상기 상부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된 공기 중 나머지를 하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하부토출구;를 포함하는 전기 컨벡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1방열부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제1스위치;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2방열부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방열부와 제2방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전기 컨벡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후면케이스에 탈부착 설치되며, 실내의 벽면에 고정설치하는 벽체고정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벡터.
KR1020190139222A 2019-11-04 2019-11-04 전기컨벡터 KR10212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22A KR102120064B1 (ko) 2019-11-04 2019-11-04 전기컨벡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22A KR102120064B1 (ko) 2019-11-04 2019-11-04 전기컨벡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621A Division KR102182726B1 (ko) 2020-06-01 2020-06-01 전기컨벡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064B1 true KR102120064B1 (ko) 2020-06-09

Family

ID=7108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22A KR102120064B1 (ko) 2019-11-04 2019-11-04 전기컨벡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38B1 (ko) * 2022-01-20 2022-10-11 김정호 매립형 히팅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993A (ko) * 2004-10-13 2004-11-17 노건상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KR20050092832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015931B1 (ko) 2010-11-23 2011-02-18 (주) 디엠라이트 개별 방열체를 구비한 영상용 조명장치
KR101055288B1 (ko) 2010-07-26 2011-08-08 이대성 방열장치
KR101230540B1 (ko) 2012-07-25 2013-02-06 주식회사 보성산업 벽걸이형 전기 방열기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160000565A (ko) 2014-06-24 2016-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정보 유출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02292U (ko) * 2014-12-23 2016-07-01 오선호 월 마운트형 온풍기
KR20180110327A (ko) * 2017-03-28 2018-10-10 주식회사 보성산업 방열 성능이 향상된 전기스토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832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0096993A (ko) * 2004-10-13 2004-11-17 노건상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KR101055288B1 (ko) 2010-07-26 2011-08-08 이대성 방열장치
KR101015931B1 (ko) 2010-11-23 2011-02-18 (주) 디엠라이트 개별 방열체를 구비한 영상용 조명장치
KR101230540B1 (ko) 2012-07-25 2013-02-06 주식회사 보성산업 벽걸이형 전기 방열기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160000565A (ko) 2014-06-24 2016-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정보 유출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02292U (ko) * 2014-12-23 2016-07-01 오선호 월 마운트형 온풍기
KR20180110327A (ko) * 2017-03-28 2018-10-10 주식회사 보성산업 방열 성능이 향상된 전기스토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38B1 (ko) * 2022-01-20 2022-10-11 김정호 매립형 히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6266A (ko) 펠티에 소자를 갖춘 액체-공기 열교환 장치를 구비한 실내형 공기 조화기
KR101686650B1 (ko) 난방용 방열기
KR20200102093A (ko) 액체 열전달 매체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KR102120064B1 (ko) 전기컨벡터
WO1989000268A1 (en) Radiation air-conditioner
JPH0233538A (ja) 放射式空調装置
KR102182726B1 (ko) 전기컨벡터
JP2004132680A (ja) 空調空気噴流式ふく射冷暖房システム
JP4605759B2 (ja) 建物の室内空調システム
KR101844594B1 (ko) 공기순환이 가능한 매립형 난방기기
US20040194919A1 (en) Air hypocaust structure for cooling and/or heating
KR20120023874A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2019007716A (ja) 放射空調システム
JP5560444B2 (ja) 空調システム
KR20180110327A (ko) 방열 성능이 향상된 전기스토브
JP4698204B2 (ja) 建物の室内空調システム
JP2009145035A (ja) 瞬間加熱型床暖房装置
JP4729300B2 (ja) 熱電素子を用いた吹き出し空調装置
JP2006189212A (ja) 天井吹出し方式の空調用天井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冷暖房設備
KR101703094B1 (ko) 컨벡터를 이용한 난방제어 시스템
JP2008014557A (ja) 天井放射冷暖房装置
JP3616907B2 (ja) 躯体蓄熱システム
EP1319902A1 (en) A heating device to be mounted at a ceiling
KR102206563B1 (ko) 무냉매 냉풍기
JP2000213777A (ja) 躯体蓄熱式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