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003A -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 Google Patents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003A
KR20040096003A KR1020030028787A KR20030028787A KR20040096003A KR 20040096003 A KR20040096003 A KR 20040096003A KR 1020030028787 A KR1020030028787 A KR 1020030028787A KR 20030028787 A KR20030028787 A KR 20030028787A KR 20040096003 A KR20040096003 A KR 2004009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vanized
road
guide block
fastening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115B1 (ko
Inventor
강도묵
Original Assignee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3-002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1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 아연도 지주, 체결 볼트 및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한편, 도로의 중앙 라인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의 상부에 입설되는 아연도 지주는, 2단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주 안내블록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에는, 폭 방향에 다수개의 매설홈이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그 매설홈에 다수개의 지주홀을 가지는 지주 안내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지주 안내블록과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에 결합되는 아연도 지주는, 상,하부 아연도 지주로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하부 아연도 지주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부 아연도 지주에는 하부 및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아연도 지주는, 체결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에는, 그 상부 측면에 2열로 가드레일이 폭 조절용 볼트와 너트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MEDIAN STRIP FOR HEIGHT CONTROL OF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 분리대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폭 조절이 가능하고, 도로 완공후 포장면의 덧씌우기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로의 안전시설 기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중앙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차도가 형성되고, 그 차도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보도가 형성된다.
상기 도로에는, 중앙선만을 표시한 경우도 있지만 차량의 통행시 운전자 및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도로 시설물로 중앙 분리대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중앙 분리대는, 도로의 포장층 상부에 사각형태로 돌출된 콘크리트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기도 하고, 도로의 포장층 상부에 화단을 조성한 형태로 설치되기도 하며, 또한 도로의 포장층 상부에 입설되는 가설물 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앙 분리대는, 아연도 제품을 이용한 분리대 구조가 많이 사용되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중앙 분리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로에는, 중앙 라인에 중앙 분리대(90)가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 분리대(90)는,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층의 중앙 라인에 기초 콘크리트 받침대(10)가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그 기초 콘크리트 받침대(10)의 폭 방향 정중앙에 다수개의 아연도 지주(20)가 입설되는 한편, 그 아연도 지주(20)의 양측에 체결 볼트(30)에 의한 가드레일(40)이 결합되며, 그 아연도 지주(20)의 최상부에 차광판(50)이 설치된다.
상기 차광판(50)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지만, 도면의 구조와 같은 차광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도로의 중앙 분리대는, 대부분 고정식 타입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도로의 폭 조절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아연도 지주의 폭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덧씌우기 작업시 안전시설 기준 높이를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유지관리시 해체 및 설치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중앙 분리대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폭 조절이 가능하고, 도로 완공후 포장면의 덧씌우기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로의 안전시설 기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도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경제성과 시공의 편리성을 갖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중앙 분리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구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 110: 안내블록 매설홈
200: 지주 안내블록 210: 지주홀
300: 하부 아연도 지주 310,310',330': 체결 볼트홀
300': 상부 아연도 지주 380: 체결 볼트
400: 폭 조절용 볼트 420: 볼트 연결부재
450: 너트 460: 고정핀
700: 중앙 분리대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 아연도 지주, 체결 볼트 및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한편, 도로의 중앙 라인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의 상부에 입설되는 아연도 지주는, 2단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주 안내블록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에는, 폭 방향에 다수개의 매설홈이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그 매설홈에 다수개의 지주홀을 가지는 지주 안내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지주 안내블록과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에 결합되는 아연도 지주는, 상,하부 아연도 지주로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하부 아연도 지주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부 아연도 지주에는 하부 및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아연도 지주는, 체결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에는, 그 상부 측면에 2열로 가드레일이 폭 조절용 볼트와 너트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구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로에는 중앙 라인에 중앙 분리대(700)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면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중앙 분리대(7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중앙 분리대(700)는,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 지주 안내블록(200), 아연도 지주(300)(300'), 폭 조절용 볼트(400) 및 가드레일(500)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층의 내측에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이 아연도 지주가 설치될 위치에 블록 제품으로 제작되어 매설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에는 폭 방향에 다수개의 안내블록 매설홈(110)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그 안내블록 매설홈(110)에 지주 안내블록(200)이 삽입된다.
상기 지주 안내블록(20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및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스치로폼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한편 상기 지주 안내블록(200)에는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지주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아연도 지주는, 지주 안내블록(200)과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을 관통하여 입설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연도 지주는, 2단으로 하부 아연도 지주(300)와 상부 아연도 지주(300')로 구성되어 하부 아연도 지주(300)의 내측으로 상부 아연도 지주(300')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하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그 측면 양측에 2열로 가드레일(500)이 폭 조절용 볼트(400), 볼트 연결부재(420) 및 너트(450)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330')이 형성되어 폭 조절용 볼트(400)에 의해 가드레일(500)이 고정되고 상기 폭 조절용 볼트(400)의 사이에 볼트 연결부재(420)가 설치된다.
상기 볼트 연결부재(420)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이 관통되는 형태로, 길이의 양측에 폭 조절용 볼트(400)가 체결되고, 상기 폭 조절용 볼트(400)가 가드레일(500)과 결합시 그 외측에 너트(450) 또는 고정핀(460)으로 고정할 수 있지만, 너트(450)로 체결한 뒤 그 일측에 고정핀(460)을 체결함이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최상부에 차광판(600)이 고정된다.
상술한 형태로 구성된 중앙 분리대(700)는,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에 지주 안내블록(200)이 결합되고, 그 지주 안내블록(200)에 다수개의 지주홀(210)이 형성된 관계로, 하부 아연도 지주(300)를 결합시 지주 안내블록(200)의 지주홀(210)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에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 안내블록(200)과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에 고정된 아연도 지주는 상,하부 아연도 지주(300')(300)를 결합시 아스팔트 포장층의 높이에 따라 체결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도로의 아스팔트 덧씌우기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지주 안내블록(200)을 아스팔트 포장층의 높이만큼 들어올린 뒤 상,하부 아연도 지주(300')(300)를 아스팔트 포장층의 상부 높이로 인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상부에 폭 조절용 볼트(400)가 체결되고, 하부 아연도 지주(300)의 폭 조절에 따라 함께 상부 아연도 지주(300')의 폭 조절이 되는 관계로 너트(450)를 풀고 폭 조절용 볼트(400)와 볼트 연결부재(420)를 조절한 후 다시 너트(450) 및 체결핀(460)를 체결하면 가드레일(5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폭 조절용 볼트(400)와 볼트 연결부재(420)는, 너트(450) 또는 체결핀(460)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지만, 도면상 너트(450)와 체결핀(460)을 동시에 도시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는, 중앙 분리대를 구성하는 아연도 지주를 이중으로 설치함으로 시공의 편리성과 유지 관리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폭 조절용 볼트가 가드레일과 결합시 그 외측에 너트와 고정핀으로 이중 고정함으로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중앙 분리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아스팔트 포장층의 덧씌우기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도 중앙 분리대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중앙 분리대의 기준 높이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연유로, 유지관리의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 아연도 지주, 체결 볼트 및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한편, 도로의 중앙 라인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의 상부에 입설되는 아연도 지주(300)(300')는, 2단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고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주 안내블록(200)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에는, 폭 방향에 다수개의 안내블록 매설홈(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그 안내블록 매설홈(110)에 다수개의 지주홀(210)을 가지는 지주 안내블록(200)이 결합되며,
    상기 지주 안내블록(200)과 기초 콘크리트 받침판(100)에 결합되는 아연도 지주는, 상,하부 아연도 지주(300')(300)로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하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310)이 형성되고,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하부 및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 볼트홀(310')(330')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아연도 지주(300)(300')는, 체결 볼트(380)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한편 상기 체결 볼트(380)가 체결시 그 일측에 고정핀(460)이 체결되어 견고한 구조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아연도 지주(300')에는, 그 상부 측면에 2열로 가드레일(500)이 폭 조절용 볼트(400), 볼트 연결부재(420) 및 너트(450)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KR10-2003-0028787A 2003-05-07 2003-05-07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KR10052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87A KR100522115B1 (ko) 2003-05-07 2003-05-07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87A KR100522115B1 (ko) 2003-05-07 2003-05-07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003A true KR20040096003A (ko) 2004-11-16
KR100522115B1 KR100522115B1 (ko) 2005-10-18

Family

ID=3737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87A KR100522115B1 (ko) 2003-05-07 2003-05-07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7805A (zh) * 2016-08-16 2016-11-09 泉州臻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重块缓冲的安全路柱
CN107083744A (zh) * 2017-05-17 2017-08-22 许昌市儒燕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桥梁护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21B1 (ko) 2013-06-10 2013-08-13 (주) 천진엔지니어링 도로용 중앙분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7805A (zh) * 2016-08-16 2016-11-09 泉州臻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重块缓冲的安全路柱
CN106087805B (zh) * 2016-08-16 2018-06-22 昆山市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重块缓冲的安全路柱
CN107083744A (zh) * 2017-05-17 2017-08-22 许昌市儒燕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桥梁护栏
CN107083744B (zh) * 2017-05-17 2019-08-30 石方红 一种具有防护功能的桥梁护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115B1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485B2 (en) Compression post mount
US7275888B1 (en) Interlocking barriers
US9777447B1 (en) Silt barrier support system
KR100850799B1 (ko)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1229250B1 (ko)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KR101422799B1 (ko)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 결합용 받침대와 그 시공방법
KR100522115B1 (ko)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JP5947005B2 (ja) 組立式立体構造物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US20140369760A1 (en) Flood barriers
KR101116628B1 (ko)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US10995456B2 (en) Modular roundabout system with interconnectable boards
KR101924755B1 (ko) 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CN210561847U (zh) 一种可再生沥青桥梁公路的用可调限宽限高装置
KR102104964B1 (ko) 안전난간 휀스지주의 수평조절장치
KR20110115638A (ko) 식별 및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DE19823185A1 (de) Verkehrsinsel
KR100872038B1 (ko) 화분형 중앙분리대
KR200313313Y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EP1252394A1 (de) Bauteilanordnung zur erstellung eines fundamentes
CN212714361U (zh) 一种公路路缘石连接结构
CN212896039U (zh) 一种可活动的路障栏杆装置
EP2915920B1 (de) Verfahren zum verlegen von flächig begrenzten bodenbelä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