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125A -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125A
KR20040095125A KR1020030028737A KR20030028737A KR20040095125A KR 20040095125 A KR20040095125 A KR 20040095125A KR 1020030028737 A KR1020030028737 A KR 1020030028737A KR 20030028737 A KR20030028737 A KR 20030028737A KR 20040095125 A KR20040095125 A KR 2004009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und
composition
isolated
gom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482B1 (ko
Inventor
최재수
강혜숙
손병화
정지형
정해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Priority to KR10-2003-002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4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DPPH에 의한 유리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소거하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상기 조성물은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의 산화방지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hlorotannins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having anti-oxidative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지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용유지나 지방질 식품은 가공 및 저장 중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불쾌한 냄새나 맛을 내거나 또는 독성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러한 유지의 변질은 주로 자동산화에 의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체 내에서 산화와 관련된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노화의 원인 중에 하나로 산소에서 유래되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및 과산화수소(H2O2) 등을 포함한 활성산소의 역할이 대두되어 이들에 대한 관심이 현재 매우 높아지고 있다(L. Fridorich,Science,201,p875-881, 1978). 생체막 구성성분인 인지질의 불포화지방산은 활성산소종과 같은 자유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해 과산화 반응이 개시되며 또한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자유라디칼에 의한 과산화반응은 세포막의 투과성을 항진시킬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세포독성을 초래하여 노화현상이나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현상을 유도하여 발암과정에도 관여한다(M. T. Huang,et al., Food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Ⅰ, pp50, 57-57, 71-73, 1994; C. T. Ho,et al., Food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Ⅱ, pp20-31,155, 183-186, 1994). 상기 과산화반응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에는 암, 복합성 동맥경화, 관절염, 심장혈관계 질환 및 파킨슨씨병이 있다.
따라서 과일과 채소에 많은 페놀(phenol)성 화합물, 플라본(flavone) 유도체,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셀레늄과 같은 항산화물질은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키거나 방지하며 암, 심장혈관계 질환 등을 예방 및 지연시킴으로써 노화방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G. Papadopoulos,et al.,J. Am. Oil. Chem. Soc.,68, p669-673, 1991; P. F. Yang,et al.,J. food Sci.,49, p489-492, 1984).
유지 또는 유지 함유 식품의 산패는 주로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에 의해 일어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합성 또는 천연 항산화 물질이 개발되어 왔으나 그 효과와 경제성 때문에 실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합성 항산화제로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PG(propylgallate) 등이 있다(A. L. Branen,J. Am. Oil. Chem. Soc.,55, p119-123, 1975; J. M. Deman, Lipids in principles of Food Chemistry,57, p507-512,1990).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력이 뛰어나 상업용 식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식품에 사용시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량이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다. 토코페롤과 같은 천연물은 안전하기는 하나 단독으로는 산화 연쇄반응 저지 능력이 낮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생약과 식용 식물 추출물 등에서 보다 안전하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곰피(Ecklonia stoloniferaOkamura)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의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해안선을 따라 2∼10 m 수심에서 자라며, 오래전부터 다시마, 미역 등과 함께 식용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전통적으로 해조류는 항마취제, 항염증제, 습진, 통풍, 담석 등의 치료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오고 있다(Hoppe,In Pharmaceutical Science, p9, 1982). 곰피의 성분으로는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Lee J. H. et al.,Arch. Pharm. Res.19, pp223-227, 1996), 플로로탄닌류(phlorotannins) (Taniguchi K. et al.,Nippon Suisan Gakkaishi,57, pp2065-2071, 1991) 및 엑클로니아락톤스(ecklonialactones) (Kurata K. et al.,Chem. Lett.pp267-270, 1989; Kurata K. et al.,Phytochemistry, 33, pp155-159, 1993)가 알려져 있다.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 활성(Lee J. H. et al.,Arch. Pharm. Res.19, pp223-227, 1996), 항돌연변이 활성(Lee J. H. et al.,J. Food Sci. Nutr.,1, pp64-68, 1996; Lee J. H. et al.,Nat. Prod. Sci.4, pp105-114, 1998; Han E. S. et al.,Environ. Mutagen.Carcinogen.20, pp104-111, 2000), 섭식저해 효과(Taniguchi K. et al.,Nippon Suisan Gakkaishi,57, pp2065-2071, 1991)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나, 그 활성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Park D. C. et al.,J. Fish. Sci. Tech.3, pp195-199, 2000). 한편,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곰피의 성분들은 식용 갈조류인 곰피에서 분리된 화합물이므로 식품이나 다른 생물체의 색소침착을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후쿠야마 등은 디벤조-1,4-디옥신 환(dibenzo-1,4-dioxin ring)을 가진 플로로탄닌류는 항-플라스민 저해제(anti-plasmin inhibitors) 작용을 한다고 보고하였으며(Fukuyama Y. et al.,Chem. Pharm. Bull.,37, pp349-353, 1989; Fukuyama Y. et al.,Chem. Pharm. Bull.,37, pp2438-2440, 1989; Fukuyama Y. et al.,Chem. Pharm. Bull.,38, pp133-135, 1990; Fukuyama Y. et al.,Chem. Lett., pp739-742, 1985; Nakayama Y. et al.,Agric. Biol. Chem.53, pp3025-3030, 1989). 또한, 메틸-α-리놀레이트(methyl-α-linolenate)의 산화 유도기를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의 중합도가 낮을수록 효과가 크다고 보고하였다(Nakamura T. et al.,Fish. Sci.62, pp923-926,1996). 이와 반대로 플로로탄닌류의 중합도와 극성이 클수록 해양 초식동물의 섭식 저해 효과(Hay M. E.,Ann. Rev. Ecol., Syst.19, pp111-145, 1988; Taniguchi K. et al.,Nippon Suisan Gakkaishi,57, pp2065-2071, 1991; Altena A. et al.,Biochem. Syst. Ecol.,20, pp493-499, 1992; Boettcher A. A. et al.,Ecology, 74, pp891-903 1993; Targett N. M. et al.,Oecologia 103, 170-179, 1995)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플로로탄닌류 중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phlorofucofuroeckol A)는 적조의 원인이 되는 미세조류에 대한 알지시달 효과(algicidal effect)가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Nagayama K. et al.,Aquaculture,218, pp601-611, 2003). 그러나, 지금까지 플로로탄닌류의 유리기 소거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곰피에서 유리기 소거능을 가지는 새로운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한 후, 그 소거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을 지닌 새로운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한 항산화 활성을 지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의 산화방지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곰피(Ecklonia stoloniferaOkamura)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엑크스트로놀 (eckstolonol), 엑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eckstolonol pentaacetate),엑콜(eckol),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phlorofucofuroeckol A ) 및 디엑콜(dieckol)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곰피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로써,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며,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곰피 조추출물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곰피 조추출물은 곰피를 동결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 한 후, 곰피 건조 중량의 약 3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의 추출 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곰피 조추출물을 수득 할 수 있다.
상기 곰피 조추출물은 물에 현탁한 후,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n-부탄올 순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본 발명의 곰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곰피 조추출물 즉, 곰피 메탄올추출물에n-헥산:물:메탄올을 일정 비율, 바람직하게는 10:9:1로 혼합하여n-헥산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성 분획물에 대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크래피(SiO2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혼합용매, 바랍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50 :1의 혼합용매로 시간당 일정용량, 바람직하게는 1000 ㎖의 속도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F1 부터 F10까지 10개의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F1 분획물은 다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1:1의 혼합용매로 분리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농도기울기 용출로 20 % ∼ 100 %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세파덱스로 정제하여 화합물들을 분리 및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곰피 조추출물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플로로탄닌류(phlorotannins)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지닌 조성물로써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해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이 유리기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억제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의 억제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5 % ~ 50 % 중량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 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의 산화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은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 비율은 0.01 % ~10 %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곰피 조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곰피는 부산시 기장군 대변연안 앞 바다에서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곰피는 동결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3 ㎏을 메탄올 10 ℓ를 넣고 70℃에서 일정시간 간격(12 h, 6h, 3h)으로 3회 반복하여 환류냉각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40 ℃에서 메탄올을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써 곰피 조추출물 700 g을 수득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곰피 헥산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곰피 조추출물 700 g에 헥산: 메탄올: 물 = 10: 9: 1의 혼합용매 4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 및 헥산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헥산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헥산 가용 추출물 27.93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곰피 디클로로메탄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2 ℓ에 디클로로메탄 2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이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디클로로메탄 가용 추출물 25.58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곰피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2 ℓ에 에틸아세테이트 2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24.99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곰피 부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층 2 ℓ에 부탄올 2 ℓ를 가하여 혼합한 후 3~4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2 ℓ및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2 ℓ를 얻은 후, 수가용성 분획물 및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수가용 추출물 및 부탄올 가용 추출물 99.59 g을 수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2 g을 취하여 효소활성검색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4의 곰피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99.59 g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이 때 전개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의 50 :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키이젤 겔 60(Kiesel gel 60, 230-400 매쉬)을 사용하여 시간당 1000 ㎖씩 분획을 수행하여 10개의 하부분획물로 나눈 후, 각각의 분획물의 활성을 측정하여 그중 가장 활성이 뛰어난 F1 분획물을 용매로는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1: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키에셀 겔 60(Kiesel gel 60, 230-400 매쉬)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RP-18 CC를 고정상으로 리크로프렙(Lichroprep, Merck사, Germany)을 사용하고, 용매로는 20 % ∼ 100 %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농도 기울기 용출로 분리한 다음, 세파덱스 LH-20(St. Louis, MO, 시그마 사)로 정제하여 하기기재한 바와 같은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인 1 내지 6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NMR 및 MS 등과 같은 각종 분석기기로 분석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1) 화합물 1 :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물질의 성상: 흰색 분말.
물질의 분자식: C6H6O3.
EI-MS : m/z (R. int): 126(100) [M+].
IR (KBr) cm-1: 3481, 1617, 1499, 1419.
1H-NMR (400 MHz, CD3OD): 5.78(3H, s).
13C-NMR (100 MHz, CD3OD): 160.9, 96.3.
(2) 화합물 2 : 엑크스토로놀(eckstolonol)
물질의 성상: 미흰색 분말.
물질의 분자식: C18H10O9.
HRFAB-MS: Found,m/z370.0324 [M]+, Calcd for C18H10O9,m/z370.0325.
IR (KBr) cm-1: 3243, 1635, 1518, 1494, 1396, 1281, 1243, 1207, 1154, 1118, 1089, 1012, 810.
1H-NMR (400 MHz, DMSO-d6): 9.77(C1-OH), 9.64(C9-OH), 9.60 (C6-OH), 9.27(C3-OH), 9.26(C11-OH), 6.10(1H, s, H-7), 6.04(1H, d,J=2.81 Hz, H-2), 6.01(1H, d,J=2.66 Hz, H-10), 5.84(1H, d,J=2.66 Hz, H-4), and 5.82(1H, d,J=2.66 Hz, H-12).
13C-NMR (100 MHz, DMSO-d6): 153.3(C-3), 153.0(C-11), 146.1(C-1), 146.0(C-9), 142.1(C-4a), 141.7(C-12a), 140.1(C-6), 137.2(C-7a), 131.6(C-13b), 125.9(C-5a), 122.7(C-8a), 122.5(C-13a), 122.3(C-14a), 98.8(C-2, 10), 97.6(C-7), 과 93.9(C-4, 12).
(3) 화합물 2a : 엑크스토로놀 펜타아세테이트(eckstolonol pentaacetate)
IR (KBr) cm-1: 1769, 1506, 1477, 1371, 1193, 1079, 1021, 885. EI-MS m/z (R. int.): 580(M+, 21), 538(45), 496(47), 454(72), 412(52), 370(100), 341(30).
1H-NMR (400 MHz, CDCl3 + DMSO-d6): 1.59(3H, s), 1.61(3H, s), 1.64(3H, s), 1.65(3H, s), 1.73(3H, s), 5.80(1H, s), 5.96(1H, d,J=2.62 Hz), 5.97(1H, d,J=2.62 Hz), 6.00(1H, d,J=2.62 Hz), 6.02(1H, d,J=2.62 Hz).
(4) 화합물 3 : 엑콜(eckol)
물질의 성상: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C18H12O9.
양성 FAB-MSm/z: 372 [M]+.
1H-NMR(400 MHz, CD3OD): 5.93(3H, s), 5.94(2H, s), 6.13(1H, s).
13C-NMR (100 MHz, CD3OD): 162.4, 160.7, 150.0, 147.7, 147.6, 144.7, 143.8, 139.0, 126.1, 125.3, 125.1, 100.3, 99.9, 98.2, 96.3, 95.9.
(5) 화합물 4 : 플로로푸토푸로엑콜 A(phlorofucofuroeckol A )
물질의 성상: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C30H18O14.
양성 FAB-MSm/z: 602 [M]+.
1H-NMR (400 MHz, CD3OD): 6.63(1H, s), 6.40(1H, s), 6.26(1H, s), 5.97(2H, d,J=2.08 Hz), 5.94(1H, t,J=1.88 Hz), 5.92(1H, t,J=1.98 Hz), 5.88(2H, d,J=2.08 Hz).
13C-NMR(100 MHz, CD3OD): 162.67, 162.64, 161.00, 160.97, 153.99, 152.50, 151.96, 149.07, 149.03, 146.74, 144.71, 139.19, 136.15, 128.89, 125.86, 125.56, 123.17, 106.15, 106.11, 100.78, 100.22, 98.60, 98.48, 97.03, 96.24, 96.21.
(6) 화합물 5 : 디엑콜(dieckol)
물질의 성상: 무정형 분말.
물질의 분자식: C36H21O18. 양성
FAB-MSm/z: 742 [M]+.
1H-NMR (400 MHz, CD3OD): 6.15(1H, s), 6.13(1H, s), 6.09(2H, s), 6.06(1H, d,J=2.85 Hz), 6.05(1H, d,J=2.85 Hz), 5.98(1H, d,J=2.76 Hz), 5.95(1H, d,J=2.76 Hz), 5.92(3H, s).
13C-NMR (100 MHz, CD3OD): 162.67, 160.95, 158.61, 156.81, 155.33, 153.19, 148.14, 148.09, 147.92, 147.71, 145.10, 144.95, 144.20, 144.10, 139.44, 139.27, 127.28, 127.00, 126.46, 126.41, 125.67, 125.45, 125.38, 100.67, 100.56, 100.30, 100.19, 98.47, 97.02, 96.65, 96.57, 96.17.
실험예 1.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측정(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하기와 같은 실험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각 농도별 화합물 (1.25∼320 ㎍/㎖)을 메탄올에 녹여 160 ㎕씩 취하여 1.5 ×10-4M 의 DPPH 메탄올 용액 40 ㎕와 잘 혼합한 후, 이 반응 혼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분광광도계(microplate reader spectrophotometer) VERSAmax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50 % 저해 농도(IC50)를 계산하였다. 측정치는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들은 DPPH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는데, 각각의 IC50치는 플로로글루시놀이 956.9 μM, 엑크스트로놀이 8.8 μM, 엑콜이 11.5 μM, 플로로푸코푸로엑콜이 4.7 μM 및 디엑콜이 6.2 μM이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L-아스코르브산의 IC50치는 10.3 μM로서 엑크스트로놀, 플로로푸코푸로엑콜 및 디엑콜은 대조군보다 훨씬 강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화합물 IC50㎍/㎖ (μM)
플로로글루시놀 (1) 120.6 (956.9)
엑크스토로놀 (2) 3.3 (8.8)
엑콜 (3) 4.3 (11.5)
플로로푸코푸로엑콜 (4) 2.8 (4.7)
디엑콜 (5) 4.6 (6.2)
L-아스코르브 산 1.8 (10.3)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 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6의 플로로푸코푸로엑콜............ 100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프로필파라벤............................. 0.1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 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2 ㎖로 한 후, 2 ㎖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정제의 제조
실시예 6의 플로로푸코푸로엑콜.......... 200 mg
유당................................... 100 mg
전분...................................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 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6의 플로로푸코푸로엑콜........... 100 mg
유당.................................... 50 mg
전분.................................... 50 mg
탈크.................................... 2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 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액제의 제조
실시예 6의 플로로푸코푸로엑콜............ 1000 mg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 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으로 맞추었다.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 의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 화합물은 DPPH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소거하므로, 항산화 활성을 지닌 조성물로써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의 억제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의 산화방지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곰피(Ecklonia stoloniferaOkamura)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2. 제 1항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막 지질과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의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방지용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로탄닌류의 화합물은 플로로글루시놀, 엑크스트로놀, 엑크스트로놀 펜타아세테이트, 엑콜, 플로로푸코푸로엑콜 A 및 디엑콜로 이루어진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인 조성물.
KR10-2003-0028737A 2003-05-06 2003-05-06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1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37A KR100512482B1 (ko) 2003-05-06 2003-05-06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737A KR100512482B1 (ko) 2003-05-06 2003-05-06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125A true KR20040095125A (ko) 2004-11-12
KR100512482B1 KR100512482B1 (ko) 2005-09-05

Family

ID=3737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37A KR100512482B1 (ko) 2003-05-06 2003-05-06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4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97B1 (ko) * 2005-06-29 2007-04-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크린 유도에 의한 HepG2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간보호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WO2012096475A2 (ko) * 2011-01-13 2012-07-19 주식회사 보타메디 혈액의 조성 및 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KR101305136B1 (ko) * 2011-10-20 2013-09-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캔디다 루고펠리쿨로사에 의해 발효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 루테리, 그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용 조성물
WO2020116890A1 (ko) * 2018-12-05 2020-06-11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식 향미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512B1 (ko) 2008-10-15 2012-06-18 (주)엔바이로젠 곰피 유래 피부보호용 조성물
US20120122822A1 (en) * 2010-11-17 2012-05-17 Phloronol, Inc. Compositions for reducing beta-amyloid-induced neurotoxicity comprising beta-secretase inhibi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738B1 (ko) * 1995-11-27 1998-10-15 최재수 곰피 추출물로된 항산화 및 염색체 이상 억제제
KR20040077158A (ko) * 2003-02-28 2004-09-04 (주) 렉스바이오사이언스 곰피 추출물로 된 항산화 및 염색체 이상 억제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97B1 (ko) * 2005-06-29 2007-04-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크린 유도에 의한 HepG2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간보호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WO2012096475A2 (ko) * 2011-01-13 2012-07-19 주식회사 보타메디 혈액의 조성 및 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WO2012096475A3 (ko) * 2011-01-13 2012-11-29 주식회사 보타메디 혈액의 조성 및 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CN103384477A (zh) * 2011-01-13 2013-11-06 博塔医疗株式会社 用于具有恢复血液组成和功能的功能性食物的组合物
CN103384477B (zh) * 2011-01-13 2015-09-16 博塔医疗株式会社 用于具有恢复血液组成和功能的功能性食物的组合物
KR101305136B1 (ko) * 2011-10-20 2013-09-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캔디다 루고펠리쿨로사에 의해 발효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 루테리, 그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용 조성물
WO2020116890A1 (ko) * 2018-12-05 2020-06-11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식 향미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482B1 (ko) 200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561B2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又は4’−デメチルタンゲ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神経突起伸長剤、記憶改善剤、抗アルツハイマー剤、並びに、その製造方法
Fukuda et al. Antioxidative polyphenols from walnuts (Juglans regia L.)
Yoshikawa et al. Novel phthalide compounds from Sparassis crispa (hanabiratake), hanabiratakelide A—C, exhibiting anti-cancer related activity
Spatafora et al. Valorization of vegetable waste: identific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chemo-enzymatic optimization
KR100486763B1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2057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2482B1 (ko) 항산화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108796A (ko) 등심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효과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21879B1 (ko) 층꽃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321518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KR100447608B1 (ko) 작약씨로부터 항암 및 항돌연변이성 트란스-레즈베라트롤및 그 유도체의 추출방법
KR20110035127A (ko)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
JPH11246426A (ja) 高脂血症治療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100703597B1 (ko) 타크린 유도에 의한 HepG2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간보호 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31645B1 (ko) 항고지혈,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참취 추출물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KR101301190B1 (ko) 알콜성 간손상에 대한 간보호 활성을 지닌 곰피 또는 감태의 주정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076808B1 (ko)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309114B1 (ko) 콩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이소인돌리논 계열의 항산화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1450480B1 (ko) 콩으로부터 분리된 클로로필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0519090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지리강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KR100527625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지리강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30033283A (ko) 텍토리게닌과 카이카사포닌 ⅲ의 제조방법 및항돌연변이제로서의 용도
KR100612087B1 (ko) 제비꽃으로부터 항암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437641B1 (ko) 층꽃풀로부터 분리된 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120054577A (ko)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