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284A - 양쪽 개방식 콘솔 리드 - Google Patents

양쪽 개방식 콘솔 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284A
KR20040094284A KR10-2003-7013713A KR20037013713A KR20040094284A KR 20040094284 A KR20040094284 A KR 20040094284A KR 20037013713 A KR20037013713 A KR 20037013713A KR 20040094284 A KR20040094284 A KR 2004009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opening
button
closed position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힙에릭디.
에릭슨존앤드류
Original Assignee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ax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100)는 컴파트먼트의 양측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조립체(100)는 컴파트먼트 개구(118) 근처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재(104)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프레임 부재(104)는 제 1 프레임 부재가 컴파트먼트 개구의 주변부에 대하여 폐쇄될 때 컴파트먼트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개구(136)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드 조립체는 제 2 프레임 부재(106)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제 2 프레임 부재는 제 1 프레임 부재에 피벗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리드 커버(112)와 협력하여 제 1 프레임 부재의 개구에 대한 폐쇄구를 제공한다. 제 1 프레임 부재는 개구 주위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158)를 가지고 있고, 제 2 프레임 부재는 제 1 프레임 부재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192)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양쪽 개방식 콘솔 리드{AMBIDEXTROUS CONSOLE LID}
많은 적용에 있어서, 도어 또는 리드와 같은 폐쇄 부재가 폐쇄 부재에 의해 폐쇄된 컴파트먼트의 양측에서 개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승용차 또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과 같은 차량의 콘솔의 상자를 상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자는 통상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자는 대체로 팔걸이로서도 기능하는 쿠션부착식 리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자의 상부 개구는 조수석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어 있는 쪽과 운전석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어 있는 쪽을 가지고 있다. 상기 리드가 탑승자의 쪽에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운전자는 리드를 개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상자의 내용물을 볼 수 있지만, 이 리드는 탑승자가 상자의 내용물을 보거나 상자의 내용물에 액세스하는데 있어서 장애가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리드가 운전자의 쪽에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탑승자는 리드를 개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상자의 내용을 볼 수 있지만, 이 리드는 운전자가 상자의 내용물을 보거나 상자의 내용물에 액세스하는데 있어서 장애가 될 것이다.
한 가지 해결책은 리드가 개방될 때 탑승자 컴파트먼트의 후방을 향하여 리드가 회전하도록 상자 개구의 최후방 쪽에서 리드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 해결책은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이 해결책의 한가지 단점은 대체로 긴 리드는 매우 큰 원호를 그리며 회전하여야만 하고, 그 결과, 탑승자 컴파트먼트의 다른 물건과 간섭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일단 리드가 개방되면, 리드는 전방 좌석의 등부분 사이에 위치되고 그 결과 전방 좌석의 착석자의 손에 닿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컴파트먼트의 개구의 양 쪽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특수한 리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컴파트먼트 등을 위한 폐쇄구로서 기능하는 리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는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4는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좌측 또는 운전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8은 좌측 또는 운전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좌측 또는 운전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좌측 또는 운전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좌측 또는 운전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좌측 또는 운전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우측 또는 탑승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4는 우측 또는 탑승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우측 또는 탑승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우측 또는 탑승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우측 또는 탑승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우측 또는 탑승자의 쪽에서 개방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좌측면도이다.
도 19A-19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도면이다.
도 20A-20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의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있는, 컴파트먼트 공동을 형성하는 컴파트먼트 개구 프레임과 컨테이너의 조합체의 도면이다.
도 21A-21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의 제 1 피벗식 프레임 부재의 도면이다.
도 22A-22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의 제 2 피벗식 프레임 부재의 도면이다.
도 23A-23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리드 커버의 도면이다.
도 24A-24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의 좌측 버턴 또는 래치 부재의 도면이다.
도 25A-25G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의 우측 버턴 또는 래치 부재의 도면이다.
도 26A-26B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 버턴 또는 래치 부재를 가압하도록 사용된 한 쌍의 스프링 중 한 스프링의 도면이다.
도 27은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8은 폐쇄된 형태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중앙 콘솔의 도 27의 라인 28-28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전체에 대하여 일관하여 유사한 참조 기호는 상응하는 특징부를나타낸다.
본 발명은 리드가 컴파트먼트의 양 쪽에서 개방될 수 있는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드 조립체는 컴파트먼트 개구의 부근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프레임 부재는 제 1 프레임 부재가 컴파트먼트 개구의 주변부에 대하여 폐쇄될 때 컴파트먼트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드 조립체는 제 2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제 2 프레임 부재는 제 1 프레임 부재에 피벗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리드 커버와 협력하여 제 1 프레임 부재의 개구에 대한 폐쇄구를 제공한다. 제 1 프레임 부재는 상기 개구 주위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를 가지고 있고, 제 2 프레임 부재는 제 1 프레임 부재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컴파트먼트의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컴파트먼트의 개구의 양 쪽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리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파트먼트의 양 쪽에 위치되어 있는 사용자가 컴파트먼트의 다른 부분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리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 효율이 높으며 의도한 목적에 대해서 전적으로 효과적인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검토하면 자명하게 된다.
도 1-2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중앙 콘솔(102)과 같은 컴파트먼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예시의 목적으로 사용된 중앙 콘솔(102)은 차량의 앞좌석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타입이다.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콘솔(102)의 한 측에 앉고 전방 탑승자는 콘솔(102)의 다른 측에 앉는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전자는 좌측에 앉고 전방 탑승자는 우측에 앉는 차량용으로 구성된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당연히, 예시된 리드 조립체(100)의 거울상의 리드 조립체는 운전자가 우측에 앉는 차량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드 조립체(100)의 작동은 차량 콘솔의 상자에 대한 폐쇄구를 제공하는 부분에서 기술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리드 조립체는 다양한 종류의 다른 컴파트먼트에 적용될 수 있거나 양쪽 개방식 작동이 바람직한 폐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쪽 개방식 리드 조립체(100)는 제 1 프레임 부재(104) 및 제 2 프레임 부재(106)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드 조립체(100)는,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형 컨테이너(110)를 가질 수 있는 컴파트먼트 개구 프레임(108)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리드 조립체(100)는 리드 조립체(100)에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의 부여 및/또는 안락한 팔걸이의 제공을 위해 리드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콘솔(102)은 일체로 성형되고 컨테이너(110)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수용기(11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114)의 주변부(116)는 제 3 프레임 부재(108)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프레임 부재(108)가 주변부(116)에 안착되면, 컨테이너(110)는 수용기(114) 속으로 끼워맞춤된다. 프레임 부재(108)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콘솔(102)에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컴파트먼트 개구 프레임 즉 제 3 프레임 부재(108)는 평면도 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컨테이너(110)의 상부 개구와 인접하며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는 비교적 큰 중앙 개구(118)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부재(108)는 2 개의 릴리프 리세스(120 및 122)를 가지고 있고 이 2 개의 릴리프 리세스의 기능은 아래에서 기술된다. 게다가, 프레임 부재(108)는 한 쌍의 함몰부(124 및 126)를 가지고 있다. 함몰부(124)는 한 쪽에 경사진 에지(128)를 구비하고 있다. 함몰부(124 및 126) 사이에는 상이한 크기의 동전을 유지하기 위한 상이한 크기의 부분을 가진 수용기(130)가 위치되어 있다. 리세스(120)의 각 단부는 구멍(132)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구멍(132)은 프레임 부재(108)의 상부를 향하여 넓어지는 도입 경사부(134)를 구비하고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108)와 컨테이너(110)는 일체로 되어서 조립체(10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컨테이너(110)가 프레임 부재(108)로부터 분리되고 콘솔(102)과 일체로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프레임 부재(108)와 컨테이너(110) 양자는 콘솔(102)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컨테이너(110)는 리드 조립체(100)에 의해 둘러싸인 컴파트먼트의 내부를 한정한다.
제 1 프레임 부재(104)는 평면도 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컨테이너(110)의 상부 개구와 일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비교적 큰 중앙 개구(136)를 가지고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136)는 제 1 프레임 부재(104)가 동전 수용기(130)를 덮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쪽으로부터만 동전 수용기에 대한 액세스를 부여한다. 프레임 부재(104)의 우측은 각 단부에서 스터브 샤프트(140)를 가지는 아래쪽을 뻗어 있는 브래킷(138)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 부재(104)를 프레임 부재(108)에 피벗식으로 부착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스터브 샤프트(140)는 도입 경사부(134)를 이용하여 각각의 구멍(132) 속으로 스냅결합된다. 이러한 부착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스터브 샤프트(140)는 각각의 도입 경사부(134)와 협력하는 경사진 단부면을 가지고 있다. 제 2 브래킷(142)은 프레임 부재(104)의 좌측에 구비되어 있다. 브래킷(142)은 또한 프레임 부재(104)의 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스터브 샤프트(144)는 브래킷(142)의 각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다시 한 번 각각의 스터브 샤프트(144)의 단부면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146)은 프레임 부재(104)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레일(146)은 도 2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 버섯모양을 하고 있다. 레일(146)은 코일 스프링(152)을 적어도 일부분 수용하도록 설계된 공동(148)을 가지고 있다. 공동(148)의 폐쇄 단부에는 스프링(152)의 한 단부 속으로 들어가는 가이드포스트(150)가 있다. 개방 절결부(154)는 레일(146)의 좌측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다. 제 2 절결부(156)는 레일(146)과 일치하여 프레임 부재(104)의 우측 근방에 제공되어 있다.
도 24A-24G를 참고하면, 좌측 버턴 즉 래치 부재(158)를 볼 수 있다. 버턴(158)은 이 버턴을 안쪽으로 누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손가락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외측 면(160)을 가지고 있다. 버턴(158)은 레일(146)을 수용하는 후방 공동(162)을 가지고 있어서 버턴(158)이 레일(146)에 대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버턴(158)은 레일(146)의 베이스에 있는 그루브(170) 속으로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레일(164)을 가지고 있다. 버턴(158)은 스프링(152)의 한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기(168)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152)은 버턴(158)의 표면(160)을 가지는 폐쇄 단부와 공동(148)의 폐쇄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스프링(152)은 버턴(158)을 프레임 부재(104)의 좌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그루브(170)의 우측 단부에는 리세스(172)가 있다. 레일(164)의 내측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경사진 후크(166)는 리세스(172) 속으로 스냅결합하여 버턴(158)의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버턴(158)은 절결부(154)를 통과하여 프레임 부재(104)의 바닥면 아래로 뻗어 있는 하향 돌출 플레이트(174)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174)는 프레임 부재(104)를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 부재(108)의 리세스(124)의 에지(128)를 붙잡는 경사진 에지(176)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104)를 개방 위치로 피벗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버턴(158)은 에지(128)로부터 에지(176)를 맞물림해제하기 안쪽으로 눌러져야만 하고 그 결과 프레임 부재(104)가 개방 위치로 피벗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06) 및 리드 커버(112)가 프레임 부재(10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작동은 사실상 콘솔의 운전자 쪽으로부터 중앙 콘솔 컴파트먼트의 리드의 개방이고, 그 결과 운전자의 쪽으로부터 중앙 콘솔 컴파트먼트의 내부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프레임 부재(104 및 106) 및 리드 커버(112)를 포함하는 리드 조립체를 운전자의 쪽으로부터 폐쇄할 때, 에지(176 및 128)의 경사면은 버턴(158)을 내향 개방 위치로 밀어넣도록 협력하고, 그 결과 프레임 부재(104)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단 에지(176)와 에지(128)가 서로 분리되면, 스프링(152)은 버턴(158)을 바깥쪽 위치로 밀고, 그 결과 에지(176)는 에지(128)의 밑면과 맞물리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프레임 부재(104)와, 리드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 위치에 고정시킨다.
프레임 부재(106)는 그 좌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브래킷(178)을 가지고 있다. 브래킷(178)의 각 단부에는 구멍(182)을 가진 플랜지(180)가 있다. 구멍(182)은 도입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142)은 플랜지(180) 사이에 끼워맞춤되고 스터브 샤프트(144)는 구멍(182) 속으로 스냅결합되어서 프레임 부재(106)를 프레임 부재(104)에 피벗식으로 부착시킨다. 보스(184)는 프레임 부재(106)의 상부 좌측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고 공동(186)을 형성한다. 공동(186)은 프레임 부재(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즉 프레임 부재(104)에 마주 대하여 접혀있을 때 버턴(158)을 수용한다. 제 2 보스(188)는 프레임 부재(106)의 상부 우측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고 공동(190)을 형성한다. 공동(190)은 버턴(192)이 공동(190)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버턴(192)을 수용한다. 스프링(152)은 버턴(192)의 수용기(194)의 보어 내에 적어도 일부분 수용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공동(190)의 폐쇄된 좌측 단부와 수용기(194)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버턴(192)을 바깥쪽 또는 래치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버턴(192)은 이 버턴을 래치해제 위치로 안쪽으로 누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손가락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외측 면(196)을 가지고 있다. 탄성 암(200)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진 후크(198)는 공동(190)의 측면의 개구 속으로 스냅결합되고 버턴(192)의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버턴(192)은 공동(190)의 바닥부에 있는 절결부(206)를 통과하여 프레임 부재(106)의 바닥면 아래로 뻗어 있는 하향 돌출 플레이트(204)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204)는 프레임 부재(106)를 프레임 부재(104)에 마주 대하는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 부재(104)의 개구(156)의 우측의 경사진 에지(208)를 붙잡는 경사진 에지(210)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156)는 프레임 부재(106)가 폐쇄위치에서 프레임 부재(104)에 마주 대하여 평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하향 돌출 플레이트(204)의, 에지(210)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헤드(212)에 대하여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는 함몰부(126)와 일치된다. 프레임 부재(106)를 개방 위치로 피벗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버턴(192)은 에지(210)를 에지(208)로부터 맞물림해제하기 위해 안쪽으로 눌러져야만 하고, 그 결과 프레임 부재(106)가 개방 위치로 피벗될 수 있다. 리드 커버(112)가 프레임 부재(10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작동은 사실상 콘솔의 탑승자의 쪽으로부터 중앙 콘솔 컴파트먼트의 리드의 개방이고, 그 결과 개구(136)를 통하여 탑승자의 쪽으로부터 중앙 콘솔 컴파트먼트의 내부로의 액세스가 허용된다. 프레임 부재(106)와 리드 커버(112)를 포함하는 리드 조립체를 탑승자의 쪽으로부터 폐쇄할 때, 에지(210 및 208)의 경사면은 협력하여 버턴(192)을 내향 개방 위치로 누르고, 그 결과 프레임 부재(106)는 폐쇄 위치로이동될 수 있다. 일단 에지(210)와 에지(208)가 서로 분리되면, 제 2 스프링(152)은 버턴(192)을 바깥쪽 위치로 밀고, 그 결과 에지(210)는 에지(208)의 밑면과 맞물리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프레임 부재(106)와, 리드 커버(112)를 폐쇄 위치에 고정시킨다.
리드 커버(112)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106)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 수용기(214)는 리드 커버(112)의 밑면(216)으로부터 돌출한다. 수용기(214)는 리드 커버(112)를 프레임 부재(106)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 또는 리벳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접시머리 관통구멍(218)과 일치된다. 프레임 부재(106)가 재료를 절약하고 가볍게 하기 위해서 절결부를 가지면, 리드 커버(112) 또한 중앙 콘솔 컴파트먼트의 개구를 완전히 폐쇄하는데 기여한다.
금속이나 복합 재료가 사용될 수 도 있지만, 프레임 부재(108,104, 및 106)를 포함하는 리드 조립체, 리드 커버(112), 및 컨테이너(110)는 몰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스프링(152)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7)

  1. 컴파트먼트 등의 개구에 대한 폐쇄구를 제공하는 리드 조립체에 있어서,
    컴파트먼트 개구에 인접하여 피벗식으로 부착되기에 적합한 제 1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는 프레임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는 제 1 프레임 부재가 컴파트먼트 개구에 인접하여 피벗식으로 부착될 때 컴파트먼트 개구에 대하여 제 1 폐쇄 위치와 제 1 개방 위치 사이에서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1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개구는 컴파트먼트 개구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를 상기 제 1 폐쇄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제 1 래치 조립체;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 피벗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제 2 폐쇄 위치와 제 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 2 프레임 부재;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를 상기 제 2 폐쇄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제 2 래치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는 한 쌍의 제 1 스터브-샤프트를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는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 각각은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제 1 스터브-샤프트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플랜지 각각의 상기 구멍에 맞물려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를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 조립체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 의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버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버턴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2 버턴은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상기 제 2 버턴은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상기 제 2 버턴을 누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손가락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외측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버턴은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의 표면을 붙잡는 경사진 에지를 구비한 하향 돌출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팔걸이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리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는 한 쌍의 제 2 스터브-샤프트를 가지고 있고, 리드 조립체는,
    컴파트먼트의 개구를 둘러싸기에 적합한 개구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개구 프레임 부재는 2 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 2 스터브-샤프트 각각은 상기 개구 프레임 부재의 상기 2 개의 구멍의 각각과 맞물려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를 상기 개구 프레임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프레임 부재의 상기 2 개의 구멍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제 2 스터브 샤프트를 상기 개구 프레임 부재의 상기 2 개의 구멍의 각각 속으로 스냅결합가능하게 하는 도입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치 조립체는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 의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버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버턴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버턴은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 1 버턴은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상기 제 1 버턴을 누르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손가락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외측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버턴은 컴파트먼트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구 프레임 부재의 표면을 붙잡는 경사진 에지를 구비한 하향 돌출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
KR10-2003-7013713A 2001-04-30 2002-04-30 양쪽 개방식 콘솔 리드 KR20040094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766401P 2001-04-30 2001-04-30
US60/287,664 2001-04-30
PCT/US2002/013773 WO2002087987A1 (en) 2001-04-30 2002-04-30 Ambidextrose console l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284A true KR20040094284A (ko) 2004-11-09

Family

ID=2310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713A KR20040094284A (ko) 2001-04-30 2002-04-30 양쪽 개방식 콘솔 리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1278B2 (ko)
EP (1) EP1401723A4 (ko)
KR (1) KR20040094284A (ko)
CN (1) CN1266005C (ko)
WO (1) WO2002087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7751D1 (de) * 2001-09-04 2008-09-04 Lear Corp Bedientafel für ein Fahrzeug
DE10228399A1 (de) * 2002-06-25 2004-01-15 Daimlerchrysler Ag Staufach für ein Fahrzeug
US7007994B2 (en) * 2003-10-16 2006-03-07 Ts Tech Co., Ltd. Center console
DE102004005265B4 (de) * 2004-02-03 2008-07-24 Lisa Dräxlmaier GmbH Gehäuse mit Deckel und Kinematikrahmen
US7192070B2 (en) * 2004-11-22 2007-03-20 Lear Corporation Vehicle console with armrest extension
US9004550B2 (en) 2005-05-08 2015-04-14 Southco, Inc. Magnetic latch mechanism
US7731258B2 (en) * 2005-06-14 2010-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enter floor console sliding armrest
DE102006008420A1 (de) * 2006-02-23 2007-08-30 Leopold Kostal Gmbh & Co. Kg Gerätehalter zum Einbau in ein Kraftfahrzeug
CN101611207B (zh) 2007-01-06 2011-07-13 索斯科公司 磁性闩锁机构
US7810862B2 (en) * 2007-02-14 2010-10-12 89908, Inc. Dual access vehicle storage assembly
US7748762B2 (en) * 2007-09-19 2010-07-06 Honda Motor Co., Ltd. Vehicle console assembly
US20090174206A1 (en) * 2008-01-04 2009-07-09 Daniel Roger Vander Sluis Multi-positional lid for a vehicle console
EP2145832B1 (en) * 2008-07-16 2011-01-12 Siemens Milltronics Process Instruments Inc. Hinged packaging container
US8167348B2 (en) * 2010-03-22 2012-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activated latch pawl for floor console armrest
DE112012006568T5 (de) * 2012-06-20 2015-03-12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Zum Öffnen in zwei verschiedene Richtungen eingerichtete Aufbewahrungsvorrichtung
US9302628B2 (en) * 2013-04-02 2016-04-05 Lund Motion Products, Inc. Dual access vehicle storage assembly
FR3005615B1 (fr) * 2013-05-15 2016-02-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ermeture a rideau a multiples courbures pour une ouverture d'un espace de rangement d'un equipement
US10099588B2 (en) * 2017-01-24 2018-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versible writing surface for soft armrest applications
CN107708347A (zh) * 2017-07-20 2018-02-16 苏州广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储物箱的控制台
CN107517550A (zh) * 2017-07-20 2017-12-26 苏州广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储物箱的低型控制台
CN107466172A (zh) * 2017-07-20 2017-12-12 苏州广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储物箱的积木拼装式控制台
CN107525337B (zh) 2017-08-16 2020-02-11 多美达瑞典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的箱门及制冷设备
US10493887B2 (en) * 2017-10-31 2019-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mrest incorporating variable volume storage compartment
US20220281076A1 (en) 2018-08-29 2022-09-08 New Revo Brand Group, Llc Ball joint system and support device
CN111251959B (zh) * 2018-11-30 2022-03-22 诺博汽车零部件(平湖)有限公司 用于车辆的扶手箱及具有其的车辆
US11454053B2 (en) * 2019-09-03 2022-09-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directional opening storage cover with invisible latch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1138A (en) 1940-05-03 1941-07-29 Thermo Vac Corp Latching device for containers or compartments
US2571353A (en) 1947-05-05 1951-10-16 Volupte Inc Closure fastener
US3050322A (en) 1960-05-16 1962-08-21 Daryl Ind Inc Releasable latch assembly
US3100980A (en) 1961-10-18 1963-08-20 Excelsior Hardware Company Luggage latch
US4239269A (en) 1979-01-02 1980-12-16 Chiang Chih Chang Luggage lock
US4306431A (en) 1979-11-28 1981-12-22 Keyston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hest safety lock
US4503582A (en)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Double-acting refrigerator door hinge and sliding lock-bolt
US4676081A (en) 1985-08-12 1987-06-30 Keycon Industries, Inc. Snap-in semi-flush mounted panel lock
GB8606160D0 (en) 1986-03-12 1986-04-16 Thornton J C Furniture fastening devices
JPH0530646Y2 (ko) 1986-10-14 1993-08-05
US4736649A (en) 1987-01-15 1988-04-12 Northern Telecom Limited Tool operated pushbutto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actuation of a panel-latching system
JPH0611345Y2 (ja) 1987-11-30 1994-03-23 株式会社ニフコ 開閉装置
JP2789223B2 (ja) * 1989-06-05 1998-08-20 株式会社ニフコ 蓋体の開閉装置
KR910008691Y1 (ko) 1989-06-20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좌, 우 자유개폐식 도어
US4964526A (en) 1989-08-01 1990-10-23 Stephens Chandra D Case for feminine hygiene products
US4962800A (en) 1989-09-05 1990-10-16 Owiriwo Adokiye S Designer handbag
US5076641A (en) * 1990-08-15 1991-12-31 Prince Corporation Vehicle armrest
JP3044671B2 (ja) * 1990-12-17 2000-05-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蓋の開閉装置
JP3120340B2 (ja) * 1990-12-17 2000-12-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蓋の開閉装置
DE69312134T2 (de) 1992-03-25 1997-12-11 Kato Hatsujo Kaisha Ltd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ssen eines Deckels
US5337911A (en) * 1992-09-18 1994-08-16 The Coleman Company, Inc. Container with main lid and auxiliary lid hingedly mounted on the main-lid
US5390516A (en) 1993-02-08 1995-02-21 Dowell Australia Limited Pushbutton lock for sliding doors
JPH07215133A (ja) * 1994-02-02 1995-08-15 Araco Corp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0152116B1 (ko) 1994-04-29 1998-11-02 김광호 냉장고의 도아
KR960032380U (ko) 1995-03-10 1996-10-24 컴퓨터 케이스의 체결장치
US5551737A (en) 1995-09-26 1996-09-03 Hartwell Corporation Single-point self-closing latch
US5829197A (en) 1995-12-02 1998-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ually actuable apparatus enabling a door to be selectively hinged at either side
US5647652A (en) * 1995-12-20 1997-07-15 Chrysler Corporation Dual-hinged center console
US5689980A (en) 1996-01-29 1997-11-25 The Eastern Company Push button lock
US6142333A (en) 1996-05-31 2000-11-07 Piolax Inc. Bi-directional lid opening apparatus
US5863089A (en) 1996-11-01 1999-01-26 Covercraft Industries, Inc. Vehicle console having rotatably mounted cup holder and hinged storage tray
US5878878A (en) * 1997-05-07 1999-03-09 Wu; Hsien-Chang Case structure with two openable sides
US6003716A (en) 1997-09-05 1999-12-21 Ford Motor Company Dual opening console
JP3748685B2 (ja) 1997-11-10 2006-02-22 有限会社愛和ライト 扉操作機構
US5868478A (en) 1997-12-01 1999-02-09 Zag Industries Ltd. Combined handle-securing arrangement
JP2927418B1 (ja) 1998-08-07 1999-07-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カバーのロック装置
US6129400A (en) * 1998-12-18 2000-10-1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Double tiered center con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6005C (zh) 2006-07-26
EP1401723A4 (en) 2009-03-04
US6761278B2 (en) 2004-07-13
CN1505582A (zh) 2004-06-16
WO2002087987A1 (en) 2002-11-07
US20030038496A1 (en) 2003-02-27
EP1401723A1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4284A (ko) 양쪽 개방식 콘솔 리드
US4893850A (en) Opening/closing device
JP3292038B2 (ja) 物入れ
CA2004440C (en) Security file cabinet
US6799785B1 (en) Glove box door damping device
US5803526A (en) Ergonomic automotive compartment access system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JP2584288Y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588986Y2 (ja) 自動車の物入れ装置
JPH0213229Y2 (ko)
JPH0242527Y2 (ko)
KR200163549Y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0177442B1 (ko) 양개폐식 높이 조절형 컵 홀더
JPH10109596A (ja) 内装トリムにおけるポケット構造
JPH0525961Y2 (ko)
JPH0415554Y2 (ko)
JPH0629122Y2 (ja) 車両の小物入れ装置
JPH0539006Y2 (ko)
KR200143695Y1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JPH0986289A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
JPH07242141A (ja) 小型トラックの後部座席装置
KR0182208B1 (ko) 자동차용 버튼식 코트 후크
KR0135673Y1 (ko) 콘솔박스 내장형 컵 홀더
KR19980027038U (ko) 리어시트에 구성되는 관통형의 커버 손잡이구조
JPH06183299A (ja) 車両のグローブ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