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718A -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718A
KR20040092718A KR1020030026272A KR20030026272A KR20040092718A KR 20040092718 A KR20040092718 A KR 20040092718A KR 1020030026272 A KR1020030026272 A KR 1020030026272A KR 20030026272 A KR20030026272 A KR 20030026272A KR 20040092718 A KR20040092718 A KR 2004009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curved surface
curvatur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718A/ko
Publication of KR2004009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내장하는 배터리 몸체와; 몸체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몸체의 배면과 상면을 제외한 복수의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및 이를 채용한 영상 촬영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Battery and Image photographig apparatus having the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포함하여 스틸 카메라와 비데오 카메라의 기능을 일체화한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 Digital Still Camera)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즉, 촬영된 영상을 필름 등에 기록하지 않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스캐너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컴퓨터에 디지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높아 편집 및 수정이 간편하고,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여 찍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렌즈장치와, 메모리장치와, 신호변조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 등의 이유로 주로 정지화상을 촬영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즉, 일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장시간 촬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동영상 촬영하고 재생시 음향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 및 재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점을 충족하기 위해,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 및 음향 등을 기록 및 재생하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예컨대, 캠코더(Camcoder)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캠코더는 렌즈장치와, 신호변환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데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캠코더는 주로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며, 그 카세트 테이프를 데크장치에 장착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캠코더는 마이크장치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다 1시간 이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캠코더도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상술한 디지털 스틸카메라의 화질에 비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캠코더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고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고가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캠코더 각각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제품을 도두 구입해야 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많았다. 또한, 구입 후에도 각각의 특징적인 기능이 있으므로, 두 제품을 휴대해야 할 경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캠코더가 단일 제품으로 일체화된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영상 촬영장치에 채용되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촬영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일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배터리 장착부에서 배터리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 11..메인본체
13..서브본체 20..카메라유닛
21..하우징 23,25..제1 및 제2카메라부
26..배터리 장착부 27a,27b..전원단자
30..배터리 31..결합돌기
32..로킹홈 40..로킹/해제유닛
41..고정홈 43..로킹후크
50..이탈유닛 51..가압돌기
53..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는, 영상 촬영장치에 장/탈착 가능한 배터리에 있어서,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내장하는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배면과 상면을 제외한 복수의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곡면으로 처리된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인접한 제2 및 제3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4측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제4측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인입형성된 로킹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측면은 상기 제1 및 제4측면 각각에 비해 길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배면의 코너들 중에서 상기 곡면에 인접한 코너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는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곡면에 인접한 한 쌍의 코너 각각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곡면으로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곡면에서 이웃한 측면에 인접되는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기는, 한 쌍이 상기 곡면에서 이웃한 측면들에 인접되며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몸체의 배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면쪽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면은 상기 제1측면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에서 제3측면쪽으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면은 상기 제1측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몸체는, 상대물과의 결합시 배터리의 종류를 제공하기 위해 외측 및/또는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센싱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촬영용 배터리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복수의 카메라부를 수용하며, 곡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을 가지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장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영상 촬영장치용 배터리에 있어서,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내장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수용가능한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곡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처리된 제1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내측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제1측면의 곡률중심이 상기 내측 곡면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곡률중심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측면에 이웃하는 제2 및 제3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4측면; 및 상기 배면에 대응되는 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측면은 수평면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4측면에는 로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몸체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배터리 몸체의 측면인 것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를 가지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도록 그 하우징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들은 서로 화소수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며, 정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제1카메라부와; 상기 제1카메라부 보다는 작은 화소수와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비디오 영상 촬영용 제2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회전중심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인입 형성된 배터리 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상기 제1카메라부 쪽에 치우치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소정 깊이로 인입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는 라운드진 곡면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 곡면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면들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내측면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 곡면에 접하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단자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들은, 상기 내측 곡면과 인접하여 연결되는 제1 및 제2내측면 각각과 상기 내측 곡면이 이루는 코너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양단부 각각에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곡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곡면의 곡률 중심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이 일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곡면 각각으로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부 각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 곡면과 제1 및 제2곡면 각각의 곡률 중심이 일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는 무빙데크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측면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 마주하는 배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서브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의 배면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갖고 마주하도록 양단부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곡면은 상기 배면보다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며,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로킹/해제유닛;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서 로킹해제된 배터리를 강제 이탈시키는 이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내측 곡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과; 상기 내측면들 중에서 상기 내측 곡면에 마주하는 제3내측면으로 출몰 가능한 로킹후크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배터리의 제1측면으로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와; 상기 로킹후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제2측면에 인입형성된 로킹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기는 한 쌍이 상기 배터리의 상기 바닥면에 대응되는 배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소정 두께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곡면에 대응되도록 소정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내측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의 곡률 중심은,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곡면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탈유닛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바닥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돌기; 및 상기 가압돌기를 상기 바닥면으로 돌출되게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로킹/해제유닛의 로킹해제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소정 거리 강제 이탈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부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과 인접한 제3내측면과 나란한 가상의 제1분할면으로 2등분할 때, 상기 이탈유닛은 상기 제1분할면과 상기 제3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3내측면과 상기 제1분할면 사이의 공간을 가상의 제2분할면으로 2등분할 때, 상기 이탈유닛은 상기 제2분할면과 상기 제3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내측곡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인접한 상기 배터리의 제2 및 제3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4측면과, 배면 및 상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원단자 각각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 및 제3측면이이루는 코너들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4측면에 인입형성된 로킹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카메라유닛(20)과, 상기 카메라유닛(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3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동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되는 무빙데크가 마련되는 메인본체(11)와, 상기 메인본체(11)의 일측으로 돌출연장된 서브본체(1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본체(11)에는 뷰파인더(12)가 설치되고, 서브본체(13)에는 LCD 패널(14)이 설치된다.
상기 서브본체(13)의 배면(13b) 즉, 상기 LCD 패널(14)이 설치된 정면(13a)의 반대쪽 면은 상기 하우징(21)에 마주하며, 소정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배면(13b)은 상기 하우징(21)의 회전시, 서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최소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하우징(21)의 회전중심(C)을 곡률 중심으로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유닛(20)은 상기 본체(10) 즉, 메인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본체(11)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21)과, 서로 다른 화소 수를 가지는 복수의카메라부들로 이루어진 카메라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제1카메라부(23)와, 상기 제1카메라부(23)보다는 적은 화소 수를 가지며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용 제2카메라부(25)를 구비한다.
상기 제1카메라부(23)는 하우징(21)의 제1측면(21a)으로 출몰되는 줌렌즈(24)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부(23,25)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각각의 구성은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에 채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카메라부(23,25)가 선택적으로 즉, 소정 작동범위(R) 내에 위치될 경우에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부(23)(25) 각각은 하우징(21) 내에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렌즈 노출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카메라부(23)의 줌렌즈(24)가 도 2와 같이 제1곡면(21a)으로 노출되어 A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제2카메라부(23)의 렌즈(26)는 하우징(21)의 반대측 제2곡면(21b)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카메라부(23)와 제2카메라부(25) 각각은 상기 하우징(21)의 본체(10)에 대한 회전중심(C)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카메라부(23)(25)는 X 축을 기준으로 180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21)이 180도 회전되면 그들(23)(25)의 위치는 서로 바뀌게 된다. 그 카메라부들(23,25) 중에서 A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카메라부(23)의 해당모드가 결정되어 그 카메라부(23)가 구동되고, 반대편의 카메라부(25)는 오프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각 카메라부(23,25)의 온/오프 동작은 상기 하우징(21)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또는 모드전환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1카메라부(23)는 줌렌즈(24) 등을 포함하고 화소수가 제2카메라부(25) 보다는 많은 이유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기 제2카메라부(25) 보다는 큰 사이즈를 갖는다. 따라서, 제1카메라부(23)가 하우징(21)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은 제2카메라부(25) 보다 많다.
상기 하우징(21)은 미도시된 힌지부에 의해 본체(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1)은 본체(10)의 측면에 X 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및 복귀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1)은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곡면(21a,21b)을 가진다. 상기 각 곡면(21a,21b)의 곡률 중심은 상기 회전중심(C)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곡면(21a,21b)은 상기 서브본체(13)의 배면(13b)과 마주할 때, 곡면 전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각 곡면(21a,21b)의 곡률 반경은 배면(13b)의 곡률 반경보다 작고,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각 곡면(21a,21b)과 배면(13b)을 동일한 곡률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곡률 반경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곡면(21a,21b)과 배면(13b) 사이의 갭을 일정하면서도 최소화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21)에는 배터리(6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26)가 마련된다. 상기 장착부(26)는 하우징(21)의 외측에 소정 깊이로 인입형성된다. 또한, 장착부(26)는 상기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카메라부(25)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제1카메라부(23) 보다는 제2카메라부(25)가 하우징(21) 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므로, 하우징(21)의 크기를 줄이면서 내부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착부(26)는 외측에서 소정 깊이로 인입된 바닥면(26a)과, 바닥면(26a)과 함께 장착부(26)의 공간부를 이루는 복수의 내측면들을 구비하되, 상기 내측면들 중에서는 서로 대칭되게 마주하는 제1 및 제2내측면(26b,26c)과, 라운드진 내측 곡면(26d) 및 그 내측 곡면(26d)에 마주하는 제3내측면(26e)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내측 곡면(26d)은 회전중심(C)에서 가장 먼 내측면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회전중심(C)을 곡률 중심으로 하여 소정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곡면(26d)은 하우징(21)의 제2곡면(21b)보다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며,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6)를 제2곡면(21b) 측으로 최대한 가깝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과적으로, 내측 곡면(26d)은 상기 배면(13b)과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며, 그 배면(13b)보다는 작은 곡률 반경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6)의 바닥면(26a)에는 배터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원단자(27a,27b)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원단자(27a,27b)는 내측곡면(26d)과 제1 및 제2내측면(26a,26b) 각각이 이루는 양쪽 코너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30)를 장착부(2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로킹/해제유닛(40)과, 상기 장착부(26)에서 로킹 해제된 배터리(30)를 소정 높이 강제 이탈시키는 이탈유닛(50)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해제유닛(40)은 상기 내측 곡면(26d)으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형성된 복수의 고정홈(41)과, 상기 제3내측면(26e)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후크(43)와, 상기 배터리(30)의 제1측면(30a)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31;도 3참조) 및 배터리(30)의 제2측면(30d)으로 인입형성된 로킹홈(33)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홈(41)은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홈(41)은 전원단자들(27a,27b) 각각에 인접되게 내측 곡면(26d)의 양쪽 끝에 바닥면(26a)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41)에 상기 돌기(31)가 끼워질 경우, 지지력이 균형 있게 양분되어 배터리(30)가 장착부(26)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돌기(31)도 한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터리(30)의 제1측면(30a)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돌기(31)는 배터리(30)의 배면(30f)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소정 높이 즉,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로킹후크(43)는 하우징(21)의 외측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제2내측면(26e)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장착부(26)에 배터리(30)가 장착시 상기 로킹후크(43)가 배터리(30)의 로킹홈(32)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로킹후크(43)는 제3내측면(26e)의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로킹홈(32)은 배터리(30)의 제4측면(30d)의 대략 중앙에 인입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30)의 제1측면(30a)은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측면(30a)은 상기 내측 곡면(26d)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제1측면(30a)은 그 내측 곡면(26d)과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며, 내측 곡면(26d)과 같거나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그리고, 배터리(30)는 제1측면(30a)에 인접한 제2 및 제3측면(30b,30c)과, 상면(30e) 및 배면(30f)을 갖는다. 상기 배면(30f)으로 한 쌍의 전원단자(33,34)가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원단자(33,34)는 상기 장착부(26)의 전원단자들(27a,27b)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전원단자들(33,34)은 상기 제1측면(30a)과 제2 및 제3측면(30b,30c)이 이루는 양쪽 코너에 마련된다. 즉, 상기 로킹홈(32)에서 멀고, 제3내측면(26e)에서 가장 먼쪽의 코너부분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6)에는 배터리(30)의 종류 즉, 용량이 서로 다른 배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8)가 한 쌍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센서(28)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센싱홈(35)이 배터리(30)의 외측 즉, 제2측면(30b)과 배면(30f)에서 각각 인입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30)는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는 충전부(39a)를 가지는 몸체(39)를 가진다. 상기 몸체(39)는 구체적으로 곡면으로 된 제1측면(30a), 제1측면(30a)에 이웃한 제2 및 제3측면(30b)(30c)과, 제1측면(30a)에 대향되는 제4측면(30d)와, 상기 전원단자(31)가 노출되는 배면(30f)과, 배면(30f)에 대향되는 상면(30e)을 가진다. 이 중에서, 상기 제1측면(3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곡면(26d)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상기 상면(30e)은 소정 곡률반경 즉, 상기 제1측면(30a)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면(30e)은 제2측면(30b)에서 제3측면(30c)으로 이어지는 곡률을 가진다. 또한, 상면(30f)은 상기 제1측면(30a)으로 연결되는 경사면(30g)을 가진다. 상기와같은 상면(30f) 및 경사면(30g)의 형상은 배터리(30)를 장착부(26)에 장착시, 하우징(21)의 외측면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충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단자들(27a,27b)은 내측 곡면(26d)에 인접되게 즉, 회전중심(C)에서 먼 곳에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배터리(30)를 장착부(26)에 장착시 로킹후크(43)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일수록 배터리(30)와 장착부(26) 사이에 접촉력이 커지고,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홈(41)과 돌기(31)의 결합에 의해 내측곡면(26d) 측에서 배터리(30)가 더욱 안정되므로, 단자들(27a,27b)(33,34)끼리의 안정된 접촉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원단자들(27a,27b)(33,34)이 로킹후크(43) 및 로킹홈(3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로킹후크(43)가 내측 곡면(26d)에서 먼 곳에 위치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장착부(26)는 하우징(21) 내부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서 최대한 회전중심(C)에서 멀게 제2카메라부(25)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내측 곡면(26d)과 제2곡면(21b)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좁힐 필요가 있다. 때문에, 상기 내측 곡면(26d)과 제2곡면(21b)에 상기 로킹후크(43)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경우, 그 사이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후크(43)는 내측 곡면(26d)에 마주하는 제2내측면(26e)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유닛(50)은 장착부(26)의 바닥면(26a)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돌기(51)와, 상기 가압돌기(51)를 바닥면(26a)에서 돌출되게 가압하는 스프링(53)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면(26a)의 안쪽으로 가압돌기(51)를 가이드는 수용부(54)가 마련되며, 그 수용부(54)에 스프링(53)이 수용된다. 이러한 이탈유닛(50)은 장착부(26)에 장착된 배터리(30)로부터 상기 로킹후크(43)가 로킹해제되면, 상기 가압돌기(51)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0)가 기울어져 돌출되도록 장착부(26)에서 밀어낸다. 이와 같이 배터리(30)가 소정 높이 기울어지면 사용자가 배터리(30)를 장착부(26)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유닛(50) 즉, 가압돌기(51)는 내측 곡면(26d)의 중심점(P1)과, 제3내측면(26e)의 양측 모서리점(P2,P3) 각각을 잇는 가상의 제1삼각형(T1)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삼각형(T1) 내에 가압돌기(51)가 위치하게 되면, 배터리(30)를 장착부(26)의 바닥면(26a)에서 밀어 올릴 때, 배터리(30)의 돌기(31)가 고정홈(41)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30)의 무게중심을 벗어나서 밀게 되므로, 적은 스프링(53)의 힘으로도 배터리(30)를 밀어낼 수 있게 되어, 배터리(30)의 분리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삼각형(T1)의 무게중심(G)과 상기 양끝모서리점(P2,P3)을 잇는 가상의 제2삼각형(T2) 내에 상기 가압돌기(51)가 위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삼각형(T2) 내에 가압돌기(51)가 배치되면, 배터리(30)를 폭에 대해서 즉, 제2 및 제3측면(30b,30c) 사이의 무게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제1곡면(30a)에서 가능한 먼 곳에서 배터리(30)를 가압할 수 있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26)의 내부 공간을 제3내측면(26e)과 나란한 가상의 제1분할면(26f)으로 2등분 할 때, 상기 이탈유닛(50)은 제1분할면(26f)과 제3내측면(26e)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할면(26f)과 제3내측면(26e)이 이루는 공간을 제2분할면(26g)으로 2등분 할 때, 상기 이탈유닛(50)은 제2분할면(26g)과 제3내측면(26e)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물론, 여기서, 제2분할면(26g)은 제3내측면(26e)과 나란한 가상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제1 및 제2카메라부가 내장된 하우징의 양단을 서브본체의 배면과 함께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과 서브본체 사이의 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공간을 배제하고, 갭으로 이물질 등이 끼여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본체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곡면으로 마주하므로 디자인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를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서,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크기 및 무게를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및 그 배터리의 장착부도 한쪽 면을 곡면으로 처리함으로써,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최대한 외측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양쪽 곡면과 서브본체의 배면 그리고, 장착부의 내측 곡면과 배터리의 제1측면 각각이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각 곡면들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카메라부 쪽으로 발생하는 하우징의 내부 여유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및 장착부 각각의 전원단자와 로킹후크 및 이탈유닛 각각의 위치도 배터리 및 장착부의 곡면을 기준으로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0)

  1.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를 가지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도록 그 하우징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들은 서로 화소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제1카메라부와;
    상기 제1카메라부 보다는 작은 화소수와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비디오 영상 촬영용 제2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전중심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인입 형성된 배터리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상기 제1카메라부 쪽에 치우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소정 깊이로 인입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라운드진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곡면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면들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내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곡면에 접하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단자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들은,
    상기 내측 곡면과 인접하여 연결되는 제1 및 제2내측면 각각과 상기 내측 곡면이 이루는 코너 각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단부 각각에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곡면의 곡률 중심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곡면 각각으로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부 각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곡면과 제1 및 제2곡면 각각의 곡률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는 무빙데크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측면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 마주하는 배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서브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의 배면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갖고 마주하도록 양단부 각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곡면은 상기 배면보다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며,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8.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로킹/해제유닛;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서 로킹해제된 배터리를 강제 이탈시키는 이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내측면들 중에서 소정 곡률로 형성된 내측 곡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과;
    상기 내측면들 중에서 상기 내측 곡면에 마주하는 제3내측면으로 출몰 가능한 로킹후크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배터리의 제1측면으로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와;
    상기 로킹후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제2측면에 인입형성된 로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한 쌍이 상기 배터리의 상기 바닥면에 대응되는 배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소정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곡면에 대응되도록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내측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의 곡률 중심은,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곡면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유닛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바닥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돌기; 및
    상기 가압돌기를 상기 바닥면으로 돌출되게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로킹/해제유닛의 로킹해제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소정 거리 강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부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과 인접한 제3내측면과 나란한 가상의 제1분할면으로 2등분할 때, 상기 이탈유닛은 상기 제1분할면과 상기 제3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3내측면과 상기 제1분할면 사이의 공간을 가상의 제2분할면으로 2등분할 때, 상기 이탈유닛은 상기 제2분할면과 상기 제3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7.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내측 곡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인접한 상기 배터리의 제2 및 제3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4측면과, 배면 및 상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단자 각각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 및 제3측면이 이루는 코너들 각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4측면에 인입형성된 로킹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30. 영상 촬영장치에 장/탈착 가능한 배터리에 있어서,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내장하는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배면과 상면을 제외한 복수의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곡면으로 처리된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인접한 제2 및 제3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4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4측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인입형성된 로킹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측면은 상기 제1 및 제4측면 각각에 비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배면의 코너들 중에서 상기 곡면에 인접한 코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곡면에 인접한 한 쌍의 코너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곡면으로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곡면에서 이웃한 측면에 인접되는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한 쌍이 상기 곡면에서 이웃한 측면들에 인접되며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체의 배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면쪽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제1측면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제2측면에서 제3측면쪽으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2.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제1측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는,
    상대물과의 결합시 배터리의 종류를 제공하기 위해 외측 및/또는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센싱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4.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복수의 카메라부를 수용하며, 곡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을 가지는 소정 형상의 배터리 장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영상 촬영장치용 배터리에 있어서,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내장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수용가능한 배터리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곡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처리된 제1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용 배터리.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내측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용 배터리.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제1측면의 곡률중심이 상기 내측 곡면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용 배터리.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몸체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곡률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용 배터리.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측면에 이웃하는 제2 및 제3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4측면; 및
    상기 배면에 대응되는 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측면은 수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용 배터리.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측면에는 로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용 배터리.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배터리 몸체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배터리 몸체의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용 배터리.
KR1020030026272A 2003-04-25 2003-04-25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KR20040092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272A KR20040092718A (ko) 2003-04-25 2003-04-25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272A KR20040092718A (ko) 2003-04-25 2003-04-25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718A true KR20040092718A (ko) 2004-11-04

Family

ID=3737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272A KR20040092718A (ko) 2003-04-25 2003-04-25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71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57A (ja) * 1992-06-30 1994-01-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950004921A (ko) * 1993-07-21 1995-02-18 배순훈 캠코더
JPH08149354A (ja) * 1994-11-16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
JP2003242767A (ja) * 2002-02-13 2003-08-29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57A (ja) * 1992-06-30 1994-01-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950004921A (ko) * 1993-07-21 1995-02-18 배순훈 캠코더
JPH08149354A (ja) * 1994-11-16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
JP2003242767A (ja) * 2002-02-13 2003-08-29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9737B2 (ja) ビデオカメラ
CN100356771C (zh) 图像拍摄装置
US7580627B2 (en) Camera with display panel
KR20070072569A (ko) 배터리 및 전자 장치
JP2007116736A (ja) 撮像装置
US6714248B1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JP4396511B2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4662165B2 (ja) 電子機器
KR20040092718A (ko) 배터리 및 영상 촬영장치
JP2007174585A (ja) クレードル装置
KR100826242B1 (ko)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JP4044570B2 (ja) 撮像装置
JP3684194B2 (ja) 撮像装置
JPH1132240A (ja) 電子的撮像装置
JP4003291B2 (ja) ビデオカメラレコーダ
JP2002359763A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スタンド
JP3930471B2 (ja) 映像撮影装置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4029559A (ja) 電子機器用クレードル装置
KR101001623B1 (ko) 영상촬영장치
JP3300899B2 (ja) スチルビデオカメラ
KR20040092089A (ko) 영상 촬영장치
JP2000083185A (ja) ビデオカメラ
JP2007166183A (ja) 撮像装置
JP2005348300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