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837A -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837A
KR20040091837A KR1020030025432A KR20030025432A KR20040091837A KR 20040091837 A KR20040091837 A KR 20040091837A KR 1020030025432 A KR1020030025432 A KR 1020030025432A KR 20030025432 A KR20030025432 A KR 20030025432A KR 20040091837 A KR20040091837 A KR 2004009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s
keys
chinese pinyin
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204B1 (ko
Inventor
장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04B1/ko
Priority to US10/631,652 priority patent/US20040252035A1/en
Priority to CNB2003101138133A priority patent/CN100555176C/zh
Publication of KR2004009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Abstract

본 발명은 한어 병음을 입력할 때, 성조를 입력해야 하는 모음에 대해서 성조 입력을 위한 소정의 키들을 할당하고,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을 입력하는 키가 입력되면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소정의 키들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활성화된 성조 입력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 경우 바로 이전에 입력된 모음이 있는 자리에 입력된 키에 대응한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YU PINYIN HAVING TONE}
본 발명은 중국어 한어 병음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는 한자와 한어 병음 성조로 구성된다. 한자는 뜻을 나타내고 한어 병음은 발음을 성조는 음의 높낮이를 나타낸다. 기존의 중국어 입력 방식은 한자로만 표현하는 방법인 Pinyin 입력 방식, 한자를 쓰는 순서에 따라 그에 따른 한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Chines S(T) Storke 방식과 성조가 포함되지 않은 발음만 나타내는 방식인 Quick English 방식과 English 방식이 있다.
이러한 중국어 입력 방식중에서, Pinyin 입력 방식과 Chines S(T) Storke 방식은 한자를 입력해야 하므로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하므로, 발음을 입력하는 English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English 방식은 발음 기호라고 할 수 있는 한어병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한어 병음은 중국어의 발음을 알파벳으로 표현한 것으로 주요 모음위에는 성조가 표기되어 있다. 중국어의 성조는 크게 4성으로 구분되며 1성, 2성, 3성, 4성이라고 말하며 주요 모음인 a, e, i, o, u, u 위에 표시한다. 1성은 시작과 끝이 같은 높은 톤의 소리로 각 모음의 1성 표기는,,,,,과 같다. 2성은 낮은음으로 시작해서 높은 음으로 끝나는 소리로 표기는,,,,,과 같다. 3성은 낮은음으로 시작해서 가장 낮은음으로 내려갔다가 높은음으로 끝나는 소리로 표기는,,,,,과 같다. 4성은 높은 음에서 시작하여 낮은음으로끝나는 소리로 표기는 ,,,,,과 같다. 중국어는 성조에 따라 그 뜻이 많이 달라지므로 성조는 중국어 표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중국어의 한어 병음을 입력할 때,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한 자판을 따로 배정하여 성조를 표기할 필요가 없는 알파벳은 일반 영문 자판을 사용하고, 성조를 표현해야 하는 모음에 대해서는 병음 자판으로 변환한 뒤 성조가 다른 각각의 모음마다 새로운 키보드 좌판을 배정하여 필요한 모음에 필요한 성조를 가지는 key를 입력하였다. 도 1은 이러한 성조를 표현해야 하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병음 자판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단어의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영문 자판 -> 병음 자판 -> 영문 자판으로 계속 변환 하여 사용해야 했고, 또한 각 모음마다 각각의 성조에 따라 다르게 배정된 키보드를 새로 외워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사용자가 한어 병음의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한어 병음 자판을 불러와서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여야만 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식은 한어병음을 입력하는 것이 불편하였고, 중국어 입력 속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국어 한어 병음 입력시 용이하게 성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한어 병음중 성조를 표기해야 하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병음 자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에서의 한어 병음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에서의 한어 병음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k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한어 병음을 입력하는 예시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한어 병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상기 한어 병음의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한 키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소정의 키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20)는 컴퓨터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은 입력 장치(20)는 사용자가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다수의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화살표키 등은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도구로 선택 또는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된 키에 대응하여 표시부(16) 상에 표시하기 위한 성조가 표기된 모음, 숫자, 알파벳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한어 병음 입력 장치(20)의 제어부(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부터 한어 병음이 입력될 때 성조가 표시되어야 하는 6개의 주요 모음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알맞은 성조를 소정의 키로 선택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한어 병음 입력 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키보드와 같이 많은 키들을 구비한 경우에 제어부(10)는 성조가 표시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모음에 대해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을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제어부(10)는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에 대하여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를 제외한 예컨대, 숫자키를 대응시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한어 병음 입력 모드에서 모음 a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표시부(16) 상에 0 : a, 1 :, 2 :, 3 :, 4 :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모음을 숫자키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한다. 여기에서, 숫자키 0은 성조가 표기되지 않은 모음에 해당하는 a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고, 숫자키 1는 1성의 모음에 해당하는 a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고, 숫자키 2는 2성의 모음에 해당하는 a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고 숫자키 3은 3성의 모음에 해당하는 a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고, 숫자키 4는 4성의 모음에 해당하는 a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즉,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해당 모음에 대응하여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예컨대, 숫자키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여 표시부(16) 상에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에 대해 선택창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에서의 한어 병음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소정의 제어에 따라 한어 병음 입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어 병음 입력 모드에서 먼저 한어 병음 입력 장치(20)의 제어부(10)는 단계 102에서 키입력을 대기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단계 104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인지를 결정한다. 제어부(10)는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인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선택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성조 표기 가능한 모음에 대응되는 키이면, 제어부(10)는 단계 106으로 진행하여 1성 내지 4성의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0)는 예컨대, a키가 입력되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0 : a, 1 :, 2 :, 3 :, 4 :를 선택창으로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모음을 숫자키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여 숫자키가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는 숫자키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키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는 단계 110로 진행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하는 지를 결정한다. 사용자는 해당 모음에 대해 성조가 표기되지 않도록 하려면, 본 실시예에 따라 숫자키 0을 입력할 수도 있고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는 선택 숫자키를 입력하지 않고 임의의 다른 키를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는 선택 숫자키를 선택하였으면 제어부(10)는 단계 114로 진행하여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한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위한 선택창을 제거한다. 예컨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 a에 대하여 선택창의 0 : a, 1 :, 2 :, 3 :, 4 :에 대하여 사용자가 숫자키 3을 눌렀으면, 모음 a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성조가 표기된가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0)는 단계 112로 진행하여 성조가 없는 모음 예컨대 a를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인지를 판단하도록 단계 104로 되돌아 간다.
한편, 제어부(10)는 단계 104에서 입력된 키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면, 단계 108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한 폰트를 디플레이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한어 병음을 입력할 때 성조를 표기할 수 있는 6개의 주요 모음에 대해서는 성조 입력을 위한 소정의 키들을 할당하고, 6개의 주요 모음을 입력하는 키가 입력되면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를 활성화시킨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이러한 활성화된 키를 입력하면, 입력된 모음에 대해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이, 다수의 키를 가진 경우에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 중국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러한 한어 병음을 용이하게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복합 휴대 단말기 등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사용자가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4)를 포함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키보드에서보다 적은 개수의 키들을 갖는 일반적인 키 매트릭스 또는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34)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다수의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화살표키 등은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도구로 선택 또는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된 키에 대응하여 표시부(36) 상에 표시하기 위한 성조가 표기된 모음, 숫자, 알파벳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38)를 포함한다. 또한,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제어부(30)와 연결되고,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는 RF(Radio Frequency)부(32)를 포함한다. 이 RF부(3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디지털 복합 휴대 단말기 등에서 구현되지 않는다면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의 제어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로부터 한어 병음 모드에서 성조가 표시되어야 하는 6개의 주요 모음이 입력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키를 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소정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34)를 구비한다. 타이머(34)가 제어부(30) 내에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구체적으로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의 제어부(10)는 성조가 표시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모음에 대해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키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4)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이기 때문에, 하나의 키에 숫자, 몇 개의 알파벳 등이 함께 할당되어 있다. 이와같이,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이 할당된 키에 숫자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는 다수 개의 키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몇 개의 기능키를 제외한 키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는 키들이나 소정 기능키를 소정의 시간 동안만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로서 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한어 병음 입력 모드에서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들 중 하나의 모음을 입력하면, 제어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4) 중에서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는 키들 또는 소정 기능을 위한 키들 중에서 몇 개의 키를 소정 기간 동안 해당 모음에 대해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게 해준다. 즉, 제어부(30)는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일정 시간동안 성조를 선택할 수 있는 키가 입력되기를 대기하며 이때 성조를 선택할 수 있는 키가 입력되면 더 이상 대기하지 않고 다음 키 입력을 받을 준비를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표시부(36) 상에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에 대응한 소정의 키들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30)는 선택창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키들에 대해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a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소정 시간 동안, a에 대한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표시부(36) 상에 선택창으로서 0 : a, 1 :, 2 :, 3 :,4 :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숫자키 3를 눌렀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숫자키 3을 눌렀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성조가 표기된가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만약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숫자키 3을 눌렀으면, 제어부(10)는 숫자키 3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 d를 표시부(16)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에서의 한어 병음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소정의 제어에 따라 한어 병음 입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어 병음 입력 모드에서 먼저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의 제어부(30)는 단계 202에서 키입력을 대기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하면, 제어부(30)는 단계 204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성조 표기 가능한 모음에 대응되는 키이면, 제어부(30)는 단계 206으로 진행하여 해당 모음을 표시부(36) 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소정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표시부(36) 상에 해당 모음을 디스플레이할 때 커서를 해당 모음의 위치에 두어 그 위치에서 이후 성조가 표기된 모음이 다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의 키가 입력되면 단계 212로 진행하여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하였는지를 체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한된 개수의 키들을 갖는 키패드에서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만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키들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설정한 시간이 지났으면 단계 218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를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키가 아닌 키패드에 표시된 문자나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로 인식한다. 그러므로 제어부(30)는 단계 218에서 타이머를 종료하고 해당 모음에 위치한 커서를 다음 위치로 옮긴 후 입력된 키에 대응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키 입력하였으면, 제어부(30)는 단계 214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키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활성화된 키인가를 검사한다. 즉,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고 싶으면, 소정의 시간 내에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활성화된 키를 선택하면 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간이란,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가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은 후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시간이 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소정의 시간을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에 적절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된 키들이 아닌 다른 키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 시간만 활성화되는 키들을 숫자가 할당된 키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입력하도록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키는 숫자가 할당된 키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키가 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단계 214에서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 시간 동안만 활성화된 키들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지를 검사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면, 단계 216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키에 대응한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현재의 커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 중 어느 하나가 아니면, 제어부(30)는 단계 218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종료시키고, 커서를 옮긴 후 입력된 키에 대응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인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성조를 표기할 수 있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표시부(36) 상에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에 대응한 소정의 키들을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어 병음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한어 병음을 입력하는 예시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사용자가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에서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뜻의 한어 병음 "W"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W의 첫번째 알파벳 W를 입력한 후(도 7a)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 o를 입력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입력한 모음 o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커서를 해당 모음의 위치에 둔다. 그리고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모음 o에 대하여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 즉, 0:o, 1:, 2:, 3:, 4:의 선택창을 표시부(36)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타이머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모음에 대해 성조가 표기될 수 있도록 표시부(36) 상에 디스플레이된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한 키들을 활성화시킨다. 도 7b에서는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은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들이다.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내에 숫자 3이 할당되어 있는 키를 입력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 상에 이전에 입력한 모음이 있는 위치에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W"의 W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모음 a를 입력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a 성조가 표기될 수 있으므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6) 상에 0 : a, 1 :, 2 :, 3 :, 4 :를 선택창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해당 모음에 성조를 표기하고 싶지 않으면, 소정 시간이 지난 후 다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누르거나, 커서의 위치를 다음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누르면 된다. 또는 사용자는 해당 모음에 성조를 표기하지 않기 위해, 도 7d의 선택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조가 표기되지 않은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숫자 0이 할당된 키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사용자에 의해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i를 입력 받으면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조가 표기된 다수개의 i를 선택창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숫자 4가 할당된 키를 누르면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W"를 디스플레이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n을 입력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도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6) 상에 "Wn"를 표시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i를 입력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도 7j에 도시된 바와 같이, "Wni"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성조가 표기된 다수개의 i를 디스플레이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성조가 표기된 i, 즉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 2가 할당된 키를 선택하면, 한어 병음 입력 장치(40)는 도 7k에 도시된 바와 같이, "W"를 표시부(36)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어 병음 입력시 성조가 표기되 모음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중국어는 간체자나 번체자등 한자를 입력하는 것이서로 이해하는데 편리하기는 하지만, 그 입력이 복잡하기 때문에 성조를 표기한 한어 병음을 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한어 병음 입력 방식은 현재의 키보드 자판의 배열을 무시하고, 각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을 위해 따로 키보드 자판을 배열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나, 본 발명은 성조가 표기된 모음에 대응하여 소정의 키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각 모음의 성조를 선택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한어병음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한어 병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 한번 한어 병음 입력 모드로 전환해 주면 기존의 알파벳 자판과 숫자키를 이용하여 한어 병음을 성조까지 무리없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체자나 번체자 위에 성조를 표기하는 데에도 이용 될 수 있다.

Claims (17)

  1.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한어 병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한어 병음의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한 키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소정의 키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숫자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상기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할당된 키들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소정의 키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할 때, 선택창으로서 별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이외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음에 대해 성조가 없는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6.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한어 병음 중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소정의 키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숫자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상기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할당된 키들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 후,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이외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음에 대해 성조가 없는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수동작을 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10.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한어 병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한어 병음의 성조가 표기된 모음들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한 키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만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키들을 활성화시키고,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상기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할당된 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키들을 활성화시킬 때,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상기 소정의 키들에 대응하여 선택창으로서 별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중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음의 성조가 없는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키에 할당된 한어 병음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입력된 키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장치.
  14.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한어 병음 중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성조가 표기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만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키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성조가 표기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상기 한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할당된 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모음의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키들을 활성화시킬 때,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을 상기 소정의 키들에 대응하여 선택창으로서 별도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각 성조가 표기된 일련의 모음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들중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음의 성조가 없는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키에 할당된 한어 병음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입력된 키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어 병음 입력 방법.
KR1020030025432A 2003-04-22 2003-04-22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56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432A KR100566204B1 (ko) 2003-04-22 2003-04-22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631,652 US20040252035A1 (en) 2003-04-22 2003-07-31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pinyin with tone markers
CNB2003101138133A CN100555176C (zh) 2003-04-22 2003-11-04 用于输入带有声调标记的汉语拼音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432A KR100566204B1 (ko) 2003-04-22 2003-04-22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837A true KR20040091837A (ko) 2004-11-02
KR100566204B1 KR100566204B1 (ko) 2006-03-29

Family

ID=3350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432A KR100566204B1 (ko) 2003-04-22 2003-04-22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52035A1 (ko)
KR (1) KR100566204B1 (ko)
CN (1) CN10055517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483B2 (en) 2008-03-28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US9144396B2 (en) 2007-08-20 2015-09-29 Yong Sahm Choe Apparatus and method of analyzing constituents of gas in oral cavity and alveolar g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3570B2 (ja) * 2003-11-20 2009-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64607A1 (en) * 2004-06-10 2012-06-28 Wanbo Qu Application system of multidimensional chinese learning
CN100385376C (zh) * 2004-10-29 2008-04-30 诺基亚公司 用于输入汉字的用户接口、电子设备和方法
JP4219902B2 (ja) * 2005-01-25 2009-02-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7861164B2 (en) * 2005-11-03 2010-12-28 Bin Qin Method to sequentially encode PINYIN of Chinese character with few symbols
JP4277903B2 (ja) * 2006-12-27 2009-06-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48837A1 (en) * 2007-08-14 2009-02-19 Ling Ju Su Phonetic tone mark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091594A1 (en) 2010-01-29 2011-08-04 Nokia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input method, and associated storage medium
TWI468986B (zh) * 2010-05-17 2015-01-11 Htc Corp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WO2012159246A1 (en) * 2011-05-20 2012-11-2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and inputting symbols
JP5741542B2 (ja) * 2012-09-20 2015-07-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638A (en) * 1983-11-14 1993-05-18 Colman Bernath Alphabetic keyboard arrangement for typing Mandarin Chinese phonetic data
US5659769A (en) * 1993-02-19 1997-08-19 Apple Computer, Inc. Text services manager
US6014615A (en) * 1994-08-16 2000-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it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analyses of inputted Chinese language phrases
SG42314A1 (en) * 1995-01-30 1997-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Langu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642867A (en) * 1995-06-06 1997-07-01 Hughes Missile Systems Company Aerodynamic lifting and control surface and control system using same
US5893133A (en) * 1995-08-16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for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inese language text
US5903861A (en) * 1995-12-12 1999-05-11 Chan; Kun C. Method for specifically converting non-phonetic characters representing vocabulary in languages into surrogate words for inputting into a computer
US5952942A (en) * 1996-11-21 1999-09-14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input of text messages from a keypad
US5832478A (en) * 1997-03-13 1998-1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Method of searching an on-line dictionary using syllables and syllable count
US6005498A (en) * 1997-10-29 1999-12-21 Motorola, Inc. Reduced keypad entry apparatus and method
GB2333386B (en) * 1998-01-14 2002-06-1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US6552717B2 (en) * 1998-02-27 2003-04-22 Spice Technologies, Inc OHAI technology user interface
FI112978B (fi) * 1999-09-17 2004-02-13 Nokia Corp Symbolien syöttö
JP2001166868A (ja) *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数字キーパッドによる中国語ピンイン入力方法及び装置
US6868280B2 (en) * 2001-03-02 2005-03-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information in a mobile device with special characters
US7013258B1 (en) * 2001-03-07 2006-03-14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ing Chinese text input
US6982658B2 (en) * 2001-03-22 2006-01-03 Motorola, Inc. Keypad layout for alphabetic symbol input
US7165022B2 (en) * 2001-06-13 2007-01-16 Fujitsu Limited Chinese language input system
JP4369245B2 (ja) * 2002-03-22 2009-11-18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電話装置及びテキストを入力する方法
US6847311B2 (en) * 2002-03-28 2005-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377432B1 (ko) * 2002-03-29 2003-05-09 주식회사 네오패드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US7228267B2 (en) * 2002-07-03 2007-06-05 2012244 Ontario Inc.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Chinese language data and user-corrected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4396B2 (en) 2007-08-20 2015-09-29 Yong Sahm Choe Apparatus and method of analyzing constituents of gas in oral cavity and alveolar gas
US8508483B2 (en) 2008-03-28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US8766923B2 (en) 2008-03-28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5176C (zh) 2009-10-28
US20040252035A1 (en) 2004-12-16
KR100566204B1 (ko) 2006-03-29
CN1540482A (zh)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67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on a reduced keyboard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0377432B1 (ko)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KR100593993B1 (ko) 문자인식장치 및 방법
CN102934417B (zh) 多语言键输入装置及其方法
KR20110057158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566204B1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JP4504571B2 (ja) 表意文字言語および非表意文字言語用テキスト入力システム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20050025267A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CN1811669B (zh) 汉字输入装置、汉字输入方法和相关的存储介质
KR101880868B1 (ko) 한자입력장치
KR20070094044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KR100450586B1 (ko) 발음을 이용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615244B1 (ko) 키패드에서의 셀렉트 버튼과 펑크션 버튼을 이용한 다국어기반 다중 문자 입력 장치와 입력방법 및 배치방법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JP2002049460A (ja) 文字入力装置
KR100412571B1 (ko)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190082049A (ko)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KR20040036972A (ko)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0187659A (ja) かな漢字変換方法、かな漢字変換装置、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