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868B1 - 한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68B1
KR101880868B1 KR1020170184224A KR20170184224A KR101880868B1 KR 101880868 B1 KR101880868 B1 KR 101880868B1 KR 1020170184224 A KR1020170184224 A KR 1020170184224A KR 20170184224 A KR20170184224 A KR 20170184224A KR 101880868 B1 KR101880868 B1 KR 10188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put
chinese character
displayed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황보
Original Assignee
영 황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황보 filed Critical 영 황보
Priority to KR102017018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68B1/ko
Priority to KR1020180081287A priority patent/KR102339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68B1/ko
Priority to PCT/KR2018/016585 priority patent/WO2019132480A1/ko
Priority to TW108100091A priority patent/TW201931070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06F17/27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자입력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한자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는 표시부; 및 한자의 기본획이 분산되어 배치된 기본획 블록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일련번호가 배열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표시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표시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포함하는 한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이를 운용하는 한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자는 아시아의 주요 국가에서 통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컴퓨터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자판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한자의 발음을 영어의 알파벳으로, 대만에서는 한자의 획을 바탕으로 만든 주음부호로, 한국에서는 한글로 쳐서 넣은 뒤에 이를 한자로 변환하는 방식을 통해 한자를 입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한자의 문자수가 비교적 많으므로, 한자를 발음하는 표음문자를 입력한 뒤 이를 문자로 변환하는 한어병음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한자의 발음을 영어의 알파벳으로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거나, 한어병음방식의 경우에는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비교적 많은 선택 입력이 요구됨에 따라 컴퓨팅 장치를 이용해 한자를 입력하는데에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3856호, 2006.11.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팅 시스템에서 한자 입력의 편의성을 추구하면서면서도 직관성 있는 한자입력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한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팅 장치에서 빠르고 쉬운 한자의 입력을 위해 모든 한자를 아우를 수 있는 단순획과 이의 조합인 확장획을 기본획으로 정의하고, 한자의 구성과 입력 시의 운지거리를 고려하여 이러한 기본획을 입력부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는 표시부; 및 한자의 기본획이 분산되어 배치된 기본획 블록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일련번호가 배열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표시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표시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획은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0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1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6
획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제1행에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2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5
의 기본획이 배치되고, 제2행에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3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5
의 기본획이 배치되며, 제3행에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4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2
의 기본획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와 상기 제3 영역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서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완성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가 표시되는 결과창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구획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PC 또는 노트북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를 덮는 키스킨, 상기 키보드에 접착되는 스티커 또는 상기 키보드에 인쇄된 영역으로 구현되고, 상기 기본획들이 상기 키스킨, 상기 스티커 또는 상기 인쇄된 영역에 각각 할당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PC 또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자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전 블록이 입력되는 경우 한자를 검색할 수 있는 옥편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상기 옥편 창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3 영역에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상용구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상용구는 상기 기본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자가 만들어질 때 사용된 원리에 따라 기본획들이 만들어지고, 운지거리를 고려하여 각 기본획이 포함된 블록들을 입력부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직관성있고 편리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본획을 통해 한민족의 철학사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자를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에서 자전 블록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한자’는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한자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자’는 대한민국 또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자, 중국의 번체 및 간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한자는 아시아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 전세계 국가에서 통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완성자’란 그 자체로 뜻과 음을 가지는 한자를 말하며, ‘미완성자’는 완성자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미완성자’라고 해서 그 자체로서 뜻과 음을 가지는 한자가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부수는 미완성자일수도 있고, 그 자체로 완성자일 수도 있다. 미완성자와 완성자의 구별은, 미완성자를 포함하여 추가로 획이 구성되는 경우 다른 뜻 또는 다른 음을 가지는 한자가 될 수 있을 때 양자를 구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하는 ‘기본획’은 한자를 쉽고 빠르게 입력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선택된 한자의 적어도 일구성요소로서, 미완성자 뿐 아니라 완성자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자입력장치(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한자입력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예: 서버)와 통신연결되어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을 다운받고 한자입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서버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네트워크 모듈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0)는 기본획이 포함된 블록, 숫자 키 블록, 선택 키 블록, 기능 키 블록 및 기타 다수의 입력 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한자입력장치(100)에서 한자입력 기능을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40) 또는 한자입력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 및 정보 DB(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은 웹 또는 모바일의 앱 스토어 등을 통해 한자입력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고, 정보 DB(135)는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 실행에 필요하거나 실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한자입력장치(1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한자입력장치(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부(140)가 입럭부(110) 및 표시부(12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입력부(110) 또는 표시부(12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한자입력장치(100)는 이하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의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예시와 같이,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획이 블록들 또는 이에 대체될 수 있는 영역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도 3a에서의 키보드 또는 도 3b에서의 터치스크린 상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3b의 경우, 입력부(110)에 영어 알파벳과 기본획이 병기되어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어 알파벳과 기본획(자전 키 포함)은 둘 중 어느 하나만 표시될 수 있고, 별도의 전환 버튼에 의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호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블록들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블록(예: 화살표 블록, 숫자 블록, 기능키 블록 또는 특수문자 블록 등)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본획은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5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6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7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8
과 같은 26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6개의 기본획들 중 일부는 입력부(110)의 각 블록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행(111)에는
Figure 112017131197127-pat0007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7
의 기본획이 배치되고, 제2행(113)에는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8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4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5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6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7
의 기본획이 배치되며, 제3행(115)에는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8
,
Figure 112017131197127-pat00099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0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1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2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3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4
의 기본획이 배치된다. 이러한 기본획의 배치는 기본획의 사용 빈도수를 통계적으로 고려하여 배치한 것이며, 이에 의해 사용자들은 보다 쉽고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기본획은 단획 또는 여러 개의 단획이 모인 모인획으로 구성되며, 일부 기본획은 그 자체로 부수 또는 완성자일 수도 있다. 따라서, 기본획은 그 구성을 불문하고 입력부(110)에 기재되어 많은 한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념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서 쿼티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쿼티 방식에 의한 입력부(110)를 통해 기본획에 따른 한자입력 방법과 키보드 환경에서의 입력 방식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획이 인쇄된 블록들은 입력부(110) 중 임의의 지점에서 위치한 제1행, 제2행 및 제3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행들은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열된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행(111)에는 알파벳 Q부터 P까지에 해당하는 10개의 블록에 기본획들이 할당된다. 또한, 제1행(111)에는 기본획 블록 뿐 아니라, 자전(字典) 블록(117)도 포함된다. 따라서, 제1행(111)에는 총 9개의 기본획 블록과 1개의 자전 블록이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 블록(117)은 기본획 블록들과 독립적으로 또는 기본획 블록들과 조합되어 입력됨으로써 자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전 기능은 예컨대, 옥편으로 불리는 것과 같이 한자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의미 등을 해설한 책의 내용을 보는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자전 기능은 각 한자를 부수와 획수에 따라 배열하고, 각자마다 자체(字體), 자음(字音), 자의(字義) 및 운용(運用) 등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할 수 있다. 자전 키 블록(117)을 이용해서 한자를 찾거나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1행(111)의 하단에 위치한 제2행(113)에는 알파벳 A 내지 L이 인쇄된 9개의 블록에 1개 또는 2개의 기본획들이 각각 포함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행(113)에는 총 10개의 기본획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행(113)의 기본획 블록들 중 일부는 2개의 기본획이 상하로 중복배열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중복배열된 기본획 중의 일부는 입력부(110)의 선택키 블록(119)과 해당 기본획 블록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 또는 적어도 선택키 블록(119)을 먼저 누른 상태에서 해당 기본획 블록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2행(113)에서 각각의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5
'획과 동일 블록에 배열되는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6
'획은 선택키 블록(119)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키를 누름으로서 입력이 된다.
제2행(113)의 하단에 위치한 제3행(115)에는 알파벳 Z부터 M이 인쇄된 7개의 블록에 기본획들이 각각 포함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 또는 입력부(110)의 제3행(115)에는 하나 이상의 선택키 블록(119)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키 블록(119)은 입력되는 방법에 따라 기본획 블록에 표시된 기본획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키 블록(119)은 기존 키보드 상에서 통용되던 ‘시프트(Shift)’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행(111) 내지 제3행(115)에서 도시되는 블록들의 개수와 배치는 임의적인 것이며, 입력부(110)를 구현하는 조건과 정책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110)를 통해 표시부(120)에 한자가 입력된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도 3b와 같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의 일 영역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제1 영역(121), 미완성자(예: 부수)가 표시되는 제2 영역(122), 완성자가 표시되는 제3 영역(123)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를 표시하는 결과창 영역(124)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영역(121)은 복수의 숫자들이 오름차순으로 고정되어 배열되며, 도 2와 같이 소정의 숫자(예: 1부터 10)가 아라비아 숫자들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1 영역(121)에 도시되는 숫자들의 개수 및 배열 형태를 도 2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부(120)는 제1 영역(121)과 인접한 영역에 제2 영역(122)과 제3 영역(123)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은 제1 영역(121)의 하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기본획을 입력하였을 때 입력된 기본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예: 부수)가 표시된다. 부수란 자전에서 각 부의 대표로 색인에 나와 있는 자형(字形)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부(120)의 제2 영역(123)에서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예: 부수)가 상기 제1 영역(121)에 표시된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2 영역(122)의 빈칸에서 각각 표시된다. 미완성자가 표시되는 순서는 획순 또는 많이 쓰이는 순서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에는 각 블록에 배열된 기본획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미완성자(예: 부수)들을 소정 개수(예: 10)개까지 배열하게 되고, 이들 미완성자(예: 부수) 중에서 선택을 통해서 복잡한 한자(즉, 완성자)의 입력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많이 사용되는 부수들은 그 부수를 구성하고 있는 첫 번째의 획을 누른 뒤 선택할 수 있고 , 그렇지 않는 부수는 두 번째, 혹은 세번째까지의 획의 조합으로 완성자를 찾아 갈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123)은 제1 영역(121)의 상단에 위치하며,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본획 또는 제2 영역(122)에 표시된 미완성자(예: 부수)를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완성자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3 영역(123)에서 표시된 완성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표시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를 결과창 영역(124)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예: 부수)와 제3 영역(123)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서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는 적색(red)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3 영역(123)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흑색(black)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완성자와 완성자의 색은 다양한 색으로 구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에 대하여, 특정 미완성자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미완성자가 있는 블록은 선택되었음을 체크하는 체크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22)에 포함된 블록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에 표시된 미완성자들은 표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다양한 모드에 따라 제2 영역(122) 및 제3 영역(123)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기본획을 입력하면 그 기본획이 포함된 미완성자(예: 부수) 및 완성자가 바로 표시부(120)의 제2 영역과(122) 제3 영역(123)에 표시되는 모드와, 기본획을 입력하면 그 기본획이 포함된 부수가 표시부(120)의 제2 영역(122)에 표시되고, 이들 표시된 부수들 중에서 원하는 부수를 선택한 뒤에 그 부수가 포함된 완성자가 제3 영역(123)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도면들에서는 전자(前者)의 모드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입력부(110)의 기능키(Function Key, 미도시)를 통해서 단어나 상용구가 미리 입력이 되고, 나중에 이를 불러와서 표시부(120)의 제3 영역(123)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예컨대 ‘大’와 관련하여 ‘大韓民國’, ‘大田’과 상용구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사용자가 ‘大’의 구성요소인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7
'.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8
', '
Figure 112017131197127-pat00109
'를 순차적으로 모두 입력하거나, 이 중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된 ‘大韓民國’, ‘大田’ 등의 상용구를 표시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용구는 제2 영역(122), 제3 영역(123) 또는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용구는 제3 영역(123)의 일 블록에 비례하여 축소됨으로써 하나의 블록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상용구를 선택할 수 있는 상용구 리스트가 표시부(120)의 일 영역에 별도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입력부(110)를 통해 한자가 입력되면, 완성자가 제3 영역(123)에 표시된 상태에서 숫자키에서 지령된 번호에 따라 해당 글자가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되거나 이동키와 엔터키(Enter Key)를 이용해서 제3 영역(123)의 완성자가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택키 블록(119)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를 눌렀을때는 완성자가 선택이 되고, 선택키 블록(119)을 누르지 않고 숫자키만 눌렀을때는 미완성자가 선택이 될 수 있다.
이렇듯, 기본획을 입력하면 완성자가 나열되는 제3 영역(123)에는 기본획에 해당된 키를 누르면서 그 획이 들어가 있는 관련 문자가 나열되기 때문에 그 문자를 구성하고 있는 획들이 어떤 것인지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정 기본획의 의미만 알고 있으면, 문자를 구성하고 있는 획을 치면서 그 문자가 어떤 의미일 것이라는 것을 자연스레 이해할 수 있고, 그 결과 한자를 이해하는 것이 훨씬 쉬워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의 각 단계들은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상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기본획을 입력할 수 있다(S405).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a에 도시된 키보드를 누르거나 도 3b에 도시된 터치디스플레이 상의 일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기본획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기본획과 관련된 미완성자(예: 부수) 및 완성자를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410). 이 경우, 입력된 기본획을 포함하는 제2 영역(122)의 미완성자와 제3 영역(123)의 완성자는 서로 다른 색으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추가 기본획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15). 예컨대, 사용자는 1번째 기본획을 입력한 후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를 선택하지 않고, 입력부(110) 상에서 2번째 기본획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의 제2 영역(122)과 제3 영역(123)에 표시된 내용을 1번째 기본획과 2번째 기본획을 모두 포함하는 미완성자 및 완성자가 표시된 내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 기본획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기본획과 관련된(즉, 기본획을 포함하는) 미완성자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미완성자가 선택된다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의 제3 영역(123)에 표시된 내용을 선택된 미완성자를 포함하는 완성자로 변경할 수 있다(S425). 이 경우, 제어부(140)는 선택된 미완성자에 해당하는 블록에 사용자가 해당 미완성자를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인덱스(예: 체크 표시)를 표시할 수 있고, 선택되지 않은 미완성자에 해당하는 블록은 이전에 표시되는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완성자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완성자가 선택된다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완성자를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435).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한자입력을 종료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이러한 한자입력의 종료는 예컨대, 한자입력장치(100)의 표시부(120)를 종료시키는 행위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자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제어부(140)는 도 4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40)는 기존 표시내용을 유지(S445)하거나 새로운 입력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고 관련된 한자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445).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에서 자전 블록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자입력장치(100)는 자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10)의 자전 블록(117)을 선택하는 경우(S510),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통해 옥편 창(미도시)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옥편 창은 표시부(120)의 일 영역에서 한자사전의 기능을 제공하는 실행 창으로서, 부수, 총획, 자음, 약자, 유의자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시로, 제어부(140)는 옥편 창 또는 입력부(110)를 통해 기본획 또는 부수와 함께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기본획 또는 부수에 상기 입력받은 숫자만큼 획이 추가된 경우에 해당하는 부수 또는 완성자를 표시할 수 있다(S550).
다만,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부수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실시예이므로, 다른 방식에 의한 한자검색도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옥편 창을 통해 특정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숫자를 총획으로 감지하여 해당 총 획수에 해당하는 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옥편 창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의 뜻, 음, 유의자 등의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한자입력장치(100)를 통하여 한자사전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옥편 창을 입력부(110) 또는 표시부(120)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옥편 창을 통해 검색된 한자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고, 검색에 의해 표시된 한자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선택된 한자를 표시부(120)를 통해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한자를 잘 모르는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한자를 검색할 수 있고, 이를 바로 입력함으로써 한자입력의 접근장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한자입력장치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Claims (10)

  1. 표시부; 및
    한자의 기본획이 분산되어 배치된 기본획 블록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일련번호가 배열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표시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의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되어 표시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획은,
    Figure 112018040234589-pat00168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69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0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1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2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3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4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5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6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7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8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79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0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1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2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3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4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5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6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7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8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89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90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91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92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93
    획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와 상기 제3 영역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서로 다른색으로 구별되어 표시되는, 한자입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1행에
    Figure 112018040234589-pat00136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37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38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39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0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1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2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3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4
    의 기본획이 배치되고,
    제2행에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5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6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7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8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49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0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1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2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3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4
    의 기본획이 배치되며,
    제3행에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5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6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7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8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59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60
    ,
    Figure 112018040234589-pat00161
    의 기본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미완성자를 선택되지 않은 미완성자와 다르게 표시하고, 선택된 미완성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완성자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하는, 한자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완성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가 표시되는 결과창 영역을 더 포함하는, 한자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구획됨으로써 구현되는, 한자입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PC 또는 노트북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를 덮는 키스킨, 상기 키보드에 접착되는 스티커 또는 상기 키보드에 인쇄된 영역으로 구현되고, 상기 기본획들이 상기 키스킨, 상기 스티커 또는 상기 인쇄된 영역에 각각 할당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PC 또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인, 한자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자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전 블록이 입력되는 경우 한자를 검색할 수 있는 옥편 창을 표시하는, 한자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상기 옥편 창에서 선택된 한자를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3 영역에 연동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상용구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상용구는 상기 기본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KR1020170184224A 2017-12-29 2017-12-29 한자입력장치 KR10188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4A KR101880868B1 (ko) 2017-12-29 2017-12-29 한자입력장치
KR1020180081287A KR102339191B1 (ko) 2017-12-29 2018-07-12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PCT/KR2018/016585 WO2019132480A1 (ko) 2017-12-29 2018-12-24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TW108100091A TW201931070A (zh) 2017-12-29 2019-01-02 漢字輸入裝置及基於此的漢字輸入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4A KR101880868B1 (ko) 2017-12-29 2017-12-29 한자입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287A Division KR102339191B1 (ko) 2017-12-29 2018-07-12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68B1 true KR101880868B1 (ko) 2018-07-20

Family

ID=6310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24A KR101880868B1 (ko) 2017-12-29 2017-12-29 한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80868B1 (ko)
TW (1) TW201931070A (ko)
WO (1) WO20191324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8399A (zh) * 2023-11-23 2024-02-27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基于汉字笔画的轨迹拟合方法以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55B1 (ko) * 2001-04-16 2003-12-01 이관동 한자입력 키보드
KR100643856B1 (ko) 2005-03-31 2006-11-10 박인기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3133A (en) * 1995-08-16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for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inese language text
KR100412572B1 (ko) * 2001-11-27 2003-12-31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55B1 (ko) * 2001-04-16 2003-12-01 이관동 한자입력 키보드
KR100643856B1 (ko) 2005-03-31 2006-11-10 박인기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8399A (zh) * 2023-11-23 2024-02-27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基于汉字笔画的轨迹拟合方法以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1070A (zh) 2019-08-01
WO2019132480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655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23281B1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US20140143703A1 (en) Configurable multilingual keyboard
KR100662553B1 (ko)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KR101791930B1 (ko) 문자입력 장치
KR101046914B1 (ko)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3455165A (zh) 具有校正词预测的触摸屏键盘
KR101099654B1 (ko)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566204B1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880868B1 (ko) 한자입력장치
KR20190129365A (ko)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US9563282B2 (en)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US873017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utomatic preferred selection of a punctuation, and associated method
JP2000200143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90082049A (ko)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KR1005062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82760B1 (ko) Acegi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526293A (ja) 表意文字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238987B1 (ko)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KR100958468B1 (ko) 한/영 문자 및 숫자 입력 방법
CN116755599A (zh) 输入方法、装置、手持读取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