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2480A1 -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2480A1
WO2019132480A1 PCT/KR2018/016585 KR2018016585W WO2019132480A1 WO 2019132480 A1 WO2019132480 A1 WO 2019132480A1 KR 2018016585 W KR2018016585 W KR 2018016585W WO 2019132480 A1 WO2019132480 A1 WO 20191324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ed
area
chinese character
incomp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65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보영
Original Assignee
황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영 filed Critical 황보영
Publication of WO20191324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24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Definitions

  • the input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Is arranged in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Can be arranged.
  • the unfinished characters displayed in the incomplete region and the finisher displayed in the finisher reg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sult window area in which a finish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finishers displayed in the finisher area is displayed.
  • the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can display a Chinese character selected in the Chinese character window.
  • basic stroke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used when a Chinese character is created, and blocks containing each basic stroke are placed in an input unit in consideration of a fingering distance to input Chinese characters mor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can do.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 a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kanji' mention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ll types of kanji used in the kanji culture.
  • 'kanji' is a concept that includes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 or Japan, Chinese traditional and simplified. Such Chinese characters can be used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frica.
  • 'finisher' mentioned in this document refers to a kanji which has a meaning and a sound in its own right, and 'unfinished' can mean at least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nisher.
  • 'unfinished person' does not mean that it does not include kanji which has its own meaning and sound.
  • the copy may be incomplete, or it may be the completion by itself. Therefore, the 'incomplete' and 'finisher' mentioned in this document are arbitrary to distinguish that other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can come to the finisher area when the user selects Chinese characters in the incomplete area Expression.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basic stroke block including a basic stroke, a numeric key block, a selection key block, a function key block, and a plurality of other input key blocks. According to a non-limiting embodiment, the input unit 110 may be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or keyboard.
  •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data received or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140 or other components of the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100.
  • the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memory, a cache, a buffer, and the like, and may be configured by software, firm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m.
  • the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s shown in FIG. 1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2 to 3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input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20 of the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one of the basic strokes is distributed or arranged in an area (for example, another area that is not partitioned into blocks) that can be replaced with the blocks.
  • Such an input unit 110 may be a keyboard in FIG. 3A or a partial area on the touch screen in FIG. 3B.
  • FIG. 3B the English alphabet and the basic stroke are described in the input unit 110.
  • only one of the English alphabet and the basic stroke (including the rotation key) can be displayed, And can be switched and displayed by user selection.
  • the third row 115 is provided with basic strokes Are arranged.
  • the arrangement of the basic strokes is the most efficient arrangement of the basic strokes considering the experimental use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basic strokes, so that the users can input kanji more easily and quickly.
  • a basic stroke consists of a stroke that is a collection or a collection of several strokes, and some basic stroke may itself be a side or a finisher. Accordingly, the basic stroke is described in the input unit 110 regardless of its configuration, and is a concept formed so that many Chinese characters can be inputted easily and quickly.
  • the input unit 110 may be arranged in a QWERTY manner in one area of the keyboard or touch screen.
  • the QWERTY method By combining the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basic strokes and the input method in the keyboard environment through the input unit 110 by the QWERTY method, the user can input kanji more quickly and accurately.
  • the blocks on which the base strokes are printed may include a first row, a second row, and a third row located at any point in the input section 110. These rows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 the first row 111 includes not only the basic stroke block, but also a jade block 117. Accordingly, the first row 111 includes a total of nine basic block strokes and one octave block.
  • the morpheme block 117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basic stroke blocks or in combination with the basic stroke blocks to provide the rotation function.
  • the rotation function is a function that provides an interface such as, for example, a method of arranging Chinese characters together in a predetermined order, such as a so-called, and viewing the contents of a book explaining its meaning and the like. This rotation function arranges each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and strokes, and can display each character's own character, consonant, letter, and operation easily. A method of searching for 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Chinese calligraphy block 117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 one or two basic strokes are included in nine blocks in which alphabets A through L are printed.
  • a total of ten basic strokes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row 113.
  • two basic strokes are arranged in an overlapping manner.
  • a stroke block is pressed.
  • 'Arranged in the same block as the stroke' The stroke is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while holding the selection key block 119.
  • the third row 115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w 113 basic strokes are included in seven blocks in which the alphabets Z to M are printed.
  • one or more selection key blocks 119 may be included in the third row 115 of the input unit 110 or the input unit 110.
  • the selection key block 119 can select one of the basic strokes displayed in the basic stroke block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 the selection key block 119 may correspond to a 'shift' used on an existing keyboard.
  •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blocks shown in the first row 111 to the third row 115 are arbitrary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policies implementing the input unit 110.
  • the Chinese character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input unit 110 as described above.
  •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a monitor as shown in FIG. 3A or in a region on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as shown in FIG. 3B.
  • the display unit 120 includes a first area 121 representing a serial number, a second area 122 for displaying an unfinished character, a third area 123 for displaying the finisher, and a finisher selected by the user And a result window area 124 for displaying the result.
  • a plurality of numbers are arranged in ascending order in the first area 121, and predetermined numbers (for example, 1 to 10) may be displayed as Arabic numerals as shown in FIG.
  • predetermined numbers for example, 1 to 10
  •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numbers in the first area 12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 the first area 121 may be omitted.
  •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122 and the third area 123 in the area adjacent to the first area 121.
  • the second area 122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rea 121, and includes a basic stroke input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basic stroke through the input unit 110 One or more unfinished characters are displayed.
  • the second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second area 122 such that one or more unfinished characters correspond to the serial number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1, Respectively.
  • the order in which the unfinished characters are display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a pseudo order or a frequently used order.
  • a predetermined number e.g., 10
  • a complex Chinese character i.e., a final character
  • the third area 12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rea 121.
  • the third area 123 is composed of a finisher containing at least one incomplete character shown in the basic stroke or the second area 122, Is displayed.
  • the user can select any of the displayed finishers in the third area 123 and the display unit 120 can display the finisher selected by the user in the result window area 124.
  • the incomplet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2 and the completio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123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 the unfinished character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2 can be displayed in red
  • the finisher displayed in the third area 123 can be displayed in black.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lors of the incomplete and the finisher can be distinguished and output in various colors.
  • a check mark may be displayed to check that the block with the selected incomplete character is selected.
  • the unfinished blocks displayed in the remaining blocks except the block selected by the user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122 and the third area 123 according to various modes.
  • a mode in which an incomplete character including the basic stroke and a completion character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2 and the third area 123 of the display unit 120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2 of the incomplete character display unit 120 including the stroke, and after the desired incomplete character among the displayed incomplete characters is selected, the completion including the incomplete character is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third area 123 Mode.
  • the mode is the former mode. On the other hand, in the former or latter mode, the incomplete can be selected several times in common.
  • the incomplete or completeness can be displayed to reflect the sequential input of the entered base strokes (e.g., stroke order).
  • stroke order e.g., a basic stroke is sequentially input according to a stroke order of a stroke constituting a specific Chinese character
  • an incomplete character or finisher having the corresponding basic strokes in order can be display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order, and an incomplete or complete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sequential input.
  • the display unit 120 receives a word or an input word in advance through a function key (not shown)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n calls the third region 123 ). ≪ / RTI > To be more specific, the user can input and store 'Korea', 'Daejeon', and the boilerplate in advance in association with 'Dae'. Also, in the future, '. ' ','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the input words such as 'Korea' or 'Dae Tae' in the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In this case, have.
  • the common phrase may be displayed in a specific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as well as the second area 122, the third area 123, or the result window area 124.
  • the boilerplate is reduced in proportion to one block of the third area 123, so that a list of boilerplates that can be displayed in one block or select a specific boilerplate is separately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May be selected.
  • the character When the Chinese charact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result window area 124 according to the number designated by the number key in the state where the completion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123, or the enter key
  • the completion of the third area 123 can be displayed in the result window area 124.
  • the character can be displayed in the result window area 124 by selecting (for example, touching) an incomplete character or finisher directly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 the finisher when the numeric key is pressed while the selection key block 119 is depressed, the finisher is selected.
  • the numeric key is pressed without pressing the selection key block 119, have.
  • the third area 123 in which the finisher is arranged, is displayed with related characters containing the stroke while depressing a key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roke. Therefore, .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teps of FIG. 4 may be omitted at least in part and may be performed in a mutually reversed order.
  • the user can input a basic stroke (S405).
  • a basic stroke For example, the user can input a basic stroke by pressing the keyboard shown in FIG. 3A or touching one area on the touch display shown in FIG. 3B.
  •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n incomplete character and a completion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input basic stroke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S410).
  • the unfinished character of the second area 122 including the inputted basic stroke and the finisher of the third area 123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 control unit 140 can confirm whether an additional basic stroke is input (S415).
  • the user can input the second basic stroke on the input unit 110 without selecting the incomplete character or the finisher after inputting the first basic stroke.
  •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content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2 and the third area 123 of the display unit 120 as an incomplete character in which the input order of the first basic stroke and the second basic stroke is reflected .
  • 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selects an incomplete character (S420). If the unfinished character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40 may chang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third area 123 of the display unit 120 as a finisher including the selected uncompleted character (S425). In this way, the incomplete can be selected more than on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an index (e.g., a check mark)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incomplete character in the block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complete character, and the block corresponding to the non- The display contents can be maintained.
  • an index e.g., a check mark
  •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nisher is selected (S430). If the finisher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20 to display the selected finisher in the result window area 124 (S435).
  •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terminated the Chinese character input (S440).
  • the termin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input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terminating the display unit 120 of the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nese character input is terminated, the control unit 140 may terminate the operation of FIG. On the contrary, if the end event does not occur, the control unit 140 may maintain the existing display content (S445) or dis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new input and provide the related Chinese character input function (S445).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a Chinese character input block in a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100 can provide the rotation function.
  • the control unit 140 may execute a thumbnail window (not shown)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 Such a Chinese character window is an execution window for providing a func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and can provid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copies, total character, consonant, abbreviation, and the like.
  •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 selection input for a number with a basic stroke or a number of copies through an input unit 110 or an input unit 110.
  •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the number of strokes or completio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added to the input basic strokes or strokes.
  •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the input number as a total number and display a Chines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strokes.
  •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Chinese character, a note, a note, etc. to be searched for by the user through the Chinese character input window,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Chinese characters Function can be provided.
  • control unit 140 may associate the X window with the result window area 124.
  •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Chinese characters searched through the Chinese character window in a selectable manner, and directly display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 in the result window area 124 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ed Chinese character.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creen 601 in FIG. 6 shows an input screen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 input application 13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lected on the messag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input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20 of FIG. 6 correspond to the input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20 of FIG. 2 to FIG. 3, the types of basic strokes, the arrangement, , And other portions not shown in Fig. 6 may be the same as the input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20 of Fig. 2 to Fig.
  • the display unit 120 in FIG. 6 can be divided into an incomplete region 120_1 and a finisher region 120_2.
  • the incomplete region 120_1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region 122 in the above-described FIG. 3A or 3B and the finisher region 120_2 may correspond to the third region 123 in FIG. 3A or 3B described above.
  • the serial number which is the first area 121 in the above-described FIG. 3A or 3B may be omitted.
  • the input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ed in one input area as shown in FIG.
  • the result display window 124 may also be included in the input area, but it is also possible to exclude it.
  • some unfinished characters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characters, such as the unfinished character m1 of FIG. These two or more letters may ultimately be elements contained in a single finisher.
  • Such an incomplete person is not a form generally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zoe letter made to complete Chinese characters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two octagon blocks 117 and 118.
  • the first jaw block 117 has a rotation function of a collective system and the second jaw block 118 has a rotation function of a stroke type.
  • the first octave block 117 and the second octave block 118 may each display a block and a space.
  • the paternal method is a method to find a Chinese character based on the number of digits in the jade
  • the stroke method is a method of finding a Chinese character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the digits.
  • Figs. 1 to 6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can easily search for Chinese characters and can alleviate access barrier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software modules executed in hardware, or in a combination of both.
  • the software module may b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자입력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한자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는 표시부; 및 한자의 기본획이 분산되어 배치된 기본획 블록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완성자 영역; 및 상기 미완성자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완성자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완성자 영역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포함하는 한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이를 운용하는 한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자는 아시아의 주요 국가에서 통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컴퓨터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자판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한자의 발음을 영어의 알파벳으로, 대만에서는 한자의 획을 바탕으로 만든 주음부호로, 한국에서는 한글로 쳐서 넣은 뒤에 이를 한자로 변환하는 방식을 통해 한자를 입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한자의 문자수가 비교적 많으므로, 한자를 발음하는 표음문자를 입력한 뒤 이를 문자로 변환하는 한어병음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한자의 발음을 영어의 알파벳으로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거나, 한어병음방식의 경우에는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비교적 많은 선택 입력이 요구됨에 따라 컴퓨팅 장치를 이용해 한자를 입력하는데에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팅 시스템에서 한자 입력의 편의성을 추구하면서도 직관성 있는 한자입력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한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팅 장치에서 빠르고 쉬운 한자의 입력을 위해 모든 한자를 아우를 수 있는 단순획과 이의 조합인 확장획을 기본획으로 정의하고, 한자의 구성과 입력 시의 운지거리를 고려하여 이러한 기본획을 입력부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는 표시부; 및 한자의 기본획이 분산되어 배치된 기본획 블록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완성자 영역; 및 상기 미완성자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완성자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완성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획은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1
획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제1행에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2
의 기본획이 배치되고, 제2행에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3
의 기본획이 배치되며, 제3행에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4
의 기본획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완성자 영역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와 상기 완성자 영역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서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완성자 영역에 표시되는 완성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가 표시되는 결과창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구획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에서 하나의 입력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PC 또는 노트북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를 덮는 키스킨, 상기 키보드에 접착되는 스티커 또는 상기 키보드에 인쇄된 영역으로 구현되고, 상기 기본획들이 상기 키스킨, 상기 스티커 또는 상기 인쇄된 영역에 각각 할당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PC 또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옥편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옥편 블록이 입력되는 경우 한자를 검색할 수 있는 옥편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상기 옥편 창에서 선택된 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획이 2개 이상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미완성자 또는 상기 완성자는 상기 순차적으로 선택된 기본획들의 순서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자가 만들어질 때 사용된 원리에 따라 기본획들이 만들어지고, 운지거리를 고려하여 각 기본획이 포함된 블록들을 입력부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직관성있고 편리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본획을 통해 한민족의 철학사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자를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에서 옥편 블록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한자'는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한자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자'는 대한민국 또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자, 중국의 번체 및 간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한자는 아시아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 전세계 국가에서 통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완성자'란 그 자체로 뜻과 음을 가지는 한자를 말하며, '미완성자'는 완성자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미완성자'라고 해서 그 자체로서 뜻과 음을 가지는 한자가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부수는 미완성자일수도 있고, 그 자체로 완성자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미완성자'와 '완성자'는 미완성자 영역에 있는 한자들을 사용자가 선택했을 때 상기 선택된 한자를 포함하는 다른 한자가 완성자 영역에 나올 수 있음을 구분하기 위한 임의적 표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자입력장치(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한자입력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예: 서버)와 통신연결되어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을 다운받고 한자입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서버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네트워크 모듈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0)는 기본획이 포함된 기본획 블록, 숫자 키 블록, 선택 키 블록, 기능 키 블록 및 기타 다수의 입력 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한자입력장치(100)에서 한자입력 기능을 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40) 또는 한자입력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 및 정보 DB(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은 웹 또는 모바일의 앱 스토어 등을 통해 한자입력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고, 정보 DB(135)는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 실행에 필요하거나 실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한자입력장치(1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한자입력장치(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부(140)가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입력부(110) 또는 표시부(12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한자입력장치(100)는 이하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의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예시와 같이,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획이 블록들 또는 이에 대체될 수 있는 영역(예: 블록으로 구획되어 있지 않은 다른 영역)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도 3a에서의 키보드 또는 도 3b에서의 터치스크린 상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3b의 경우, 입력부(110)에 영어 알파벳과 기본획이 병기되어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어 알파벳과 기본획(자전 키 포함)은 둘 중 어느 하나만 표시될 수 있고, 별도의 전환 버튼에 의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호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블록들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블록(예: 화살표 블록, 숫자 블록, 기능키 블록 또는 특수문자 블록 등)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본획은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5
과 같은 26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6개의 기본획들 중 일부는 입력부(110)의 각 블록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행(111)에는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6
의 기본획이 배치되고, 제2행(113)에는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7
의 기본획이 배치되며, 제3행(115)에는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8
의 기본획이 배치된다. 이러한 기본획의 배치는 기본획의 사용 빈도수를 실험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한 것이며, 이에 의해 사용자들은 보다 쉽고 빠르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기본획은 단획 또는 여러 개의 단획이 모인 모인획으로 구성되며, 일부 기본획은 그 자체로 부수 또는 완성자일 수도 있다. 따라서, 기본획은 그 구성을 불문하고 입력부(110)에 기재되어 많은 한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념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서 쿼티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쿼티 방식에 의한 입력부(110)를 통해 기본획에 따른 한자입력 방법과 키보드 환경에서의 입력 방식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획이 인쇄된 블록들은 입력부(110) 중 임의의 지점에서 위치한 제1행, 제2행 및 제3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행들은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열된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행(111)에는 알파벳 Q부터 P까지에 해당하는 10개의 블록에 기본획들이 할당된다. 또한, 제1행(111)에는 기본획 블록 뿐 아니라, 옥편(玉篇) 블록(117)도 포함된다. 따라서, 제1행(111)에는 총 9개의 기본획 블록과 1개의 옥편 블록이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옥편 블록(117)은 기본획 블록들과 독립적으로 또는 기본획 블록들과 조합되어 입력됨으로써 자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전 기능은 예컨대, 옥편으로 불리는 것과 같이 한자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의미 등을 해설한 책의 내용을 보는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자전 기능은 각 한자를 부수와 획수에 따라 배열하고, 각자마다 자체(字體), 자음(字音), 자의(字義) 및 운용(運用) 등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옥편 블록(117)을 이용해서 한자를 찾거나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1행(111)의 하단에 위치한 제2행(113)에는 알파벳 A 내지 L이 인쇄된 9개의 블록에 1개 또는 2개의 기본획들이 각각 포함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행(113)에는 총 10개의 기본획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행(113)의 기본획 블록들 중 일부는 2개의 기본획이 상하로 중복배열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중복배열된 기본획 중의 일부는 입력부(110)의 선택키 블록(119)과 해당 기본획 블록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 또는 적어도 선택키 블록(119)을 먼저 누른 상태에서 해당 기본획 블록을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2행(113)에서 각각의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09
'획과 동일 블록에 배열되는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0
'획은 선택키 블록(119)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키를 누름으로서 입력이 된다.
제2행(113)의 하단에 위치한 제3행(115)에는 알파벳 Z부터 M이 인쇄된 7개의 블록에 기본획들이 각각 포함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 또는 입력부(110)의 제3행(115)에는 하나 이상의 선택키 블록(119)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키 블록(119)은 입력되는 방법에 따라 기본획 블록에 표시된 기본획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키 블록(119)은 기존 키보드 상에서 통용되던 '시프트(Shift)'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행(111) 내지 제3행(115)에서 도시되는 블록들의 개수와 배치는 임의적인 것이며, 입력부(110)를 구현하는 조건과 정책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110)를 통해 표시부(120)에 한자가 입력된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도 3b와 같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의 일 영역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제1 영역(121), 미완성자가 표시되는 제2 영역(122), 완성자가 표시되는 제3 영역(123)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를 표시하는 결과창 영역(124)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영역(121)은 복수의 숫자들이 오름차순으로 고정되어 배열되며, 도 2와 같이 소정의 숫자(예: 1부터 10)가 아라비아 숫자들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1 영역(121)에 도시되는 숫자들의 개수 및 배열 형태를 도 2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제1 영역(121)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제1 영역(121)과 인접한 영역에 제2 영역(122)과 제3 영역(123)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은 제1 영역(121)의 하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기본획을 입력하였을 때 입력된 기본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표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부(120)의 제2 영역(122)에서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상기 제1 영역(121)에 표시된 일련번호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2 영역(122)의 빈칸에서 각각 표시된다. 미완성자가 표시되는 순서는 획순 또는 많이 쓰이는 순서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영역(122)에는 각 블록에 배열된 기본획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미완성자들을 소정 개수(예: 10)개까지 배열하게 되고, 이들 미완성자 중에서 선택을 통해서 복잡한 한자(즉, 완성자)의 입력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123)은 제1 영역(121)의 상단에 위치하며,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본획 또는 제2 영역(122)에 표시된 미완성자를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완성자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3 영역(123)에서 표시된 완성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표시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를 결과창 영역(124)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와 제3 영역(123)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서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는 적색(red)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3 영역(123)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흑색(black)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완성자와 완성자의 색은 다양한 색으로 구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2)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에 대하여, 특정 미완성자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미완성자가 있는 블록은 선택되었음을 체크하는 체크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22)에 포함된 블록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에 표시된 미완성자들은 표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다양한 모드에 따라 제2 영역(122) 및 제3 영역(123)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기본획을 입력하면 그 기본획이 포함된 미완성자 및 완성자가 바로 표시부(120)의 제2 영역과(122) 제3 영역(123)에 표시되는 모드와, 기본획을 입력하면 그 기본획이 포함된 미완성자가 표시부(120)의 제2 영역(122)에 표시되고, 이들 표시된 미완성자들 중에서 원하는 미완성자를 선택한 뒤에 그 미완성자가 포함된 완성자가 제3 영역(123)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도면들에서는 전자(前者)의 모드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자 또는 후자의 모드에서, 미완성자는 공통적으로 여러 번 선택될 수 있다.
일실시에에 따르면,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는 입력된 기본획의 순차적 입력(예: 필순)을 반영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한자를 구성하는 획의 필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기본획들을 필순으로 가지는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특정 필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순차적인 입력에 따라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입력부(110)의 기능키(Function Key, 미도시)를 통해서 단어나 상용구가 미리 입력이 되고, 나중에 이를 불러와서 표시부(120)의 제3 영역(123)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예컨대 '大'와 관련하여 '大韓民國', '大田'과 상용구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사용자가 '大'의 구성요소인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1
'.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2
',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3
'를 순차적으로 모두 입력하거나, 이 중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된 '大韓民國', '大田' 등의 상용구를 표시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용구는 제2 영역(122), 제3 영역(123),또는 결과 창 영역(124) 뿐만 아니라 표시부(120)의 특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용구는 제3 영역(123)의 일 블록에 비례하여 축소됨으로써 하나의 블록내에서 표시되거나 특정 상용구를 선택할 수 있는 상용구 리스트가 표시부(120)의 일 영역에 별도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입력부(110)를 통해 한자가 입력되면, 완성자가 제3 영역(123)에 표시된 상태에서 숫자키에서 지령된 번호에 따라 해당 글자가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되거나 이동키와 엔터키(Enter Key)를 이용해서 제3 영역(123)의 완성자가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화면 상에서 직접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를 선택(예: 터치)함으로써 해당 글자를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택키 블록(119)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를 눌렀을때는 완성자가 선택이 되고, 선택키 블록(119)을 누르지 않고 숫자키만 눌렀을때는 미완성자가 선택이 될 수 있다.
이렇듯, 기본획을 입력하면 완성자가 나열되는 제3 영역(123)에는 기본획에 해당된 키를 누르면서 그 획이 들어가 있는 관련 문자가 나열되기 때문에 그 문자를 구성하고 있는 획들이 어떤 것인지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의 각 단계들은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상호 순서가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기본획을 입력할 수 있다(S405).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a에 도시된 키보드를 누르거나 도 3b에 도시된 터치디스플레이 상의 일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기본획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기본획과 관련된 미완성자 및 완성자를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410). 이 경우, 입력된 기본획을 포함하는 제2 영역(122)의 미완성자와 제3 영역(123)의 완성자는 서로 다른 색으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추가 기본획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15). 예컨대, 사용자는 1번째 기본획을 입력한 후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를 선택하지 않고, 입력부(110) 상에서 2번째 기본획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의 제2 영역(122)과 제3 영역(123)에 표시된 내용을 1번째 기본획과 2번째 기본획의 입력순서(필순)가 반영된 미완성자 및 완성자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 기본획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미완성자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미완성자가 선택된다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미완성자를 포함하는 완성자로 표시부(120)의 제3 영역(123)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S425). 이러한 방식으로, 미완성자는 2회 이상 선택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선택된 미완성자에 해당하는 블록에 사용자가 해당 미완성자를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인덱스(예: 체크 표시)를 표시할 수 있고, 선택되지 않은 미완성자에 해당하는 블록은 이전에 표시되는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완성자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완성자가 선택된다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완성자를 결과 창 영역(124)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435).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한자입력을 종료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이러한 한자입력의 종료는 예컨대, 한자입력장치(100)의 표시부(120)를 종료시키는 행위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자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제어부(140)는 도 4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40)는 기존 표시내용을 유지(S445)하거나 새로운 입력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고 관련된 한자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445).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장치(100)에서 옥편 블록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자입력장치(100)는 자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10)의 옥편 블록(117)을 선택하는 경우(S510),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통해 옥편 창(미도시)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옥편 창은 표시부(120)의 일 영역에서 한자사전의 기능을 제공하는 실행 창으로서, 부수, 총획, 자음, 약자, 유의자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시로, 제어부(140)는 옥편 창 또는 입력부(110)를 통해 기본획 또는 부수와 함께 숫자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기본획 또는 부수에 상기 숫자만큼 획이 추가된 경우에 해당하는 부수 또는 완성자를 표시할 수 있다(S550).
다만,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부수를 통해 한자를 검색하는 실시예이므로, 다른 방식에 의한 한자검색도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옥편 창을 통해 특정 숫자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숫자를 총획으로 감지하여 해당 총 획수에 해당하는 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옥편 창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한자의 뜻, 음, 유의자 등의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한자입력장치(100)를 통하여 한자사전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옥편 창을 결과 창 영역(124)과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옥편 창을 통해 검색된 한자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한자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한자를 결과창 영역(124)에 바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의 화면(601)은 휴대 단말의 메시지 어플 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 어플리케이션(131)이 반영된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 6의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3의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와 기본획의 종류, 배열, 옥편 블록 등이 변형된 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6에서 개시되어 있지 않는 다른 부분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의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서의 입력부(110)는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4
의 27개의 글자 중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5
' 글자를 제외한 26개의 글자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27개의 글자가 모두 포함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의 표시부(120)는 미완성자 영역(120_1)과 완성자 영역(120_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미완성자 영역(120_1)은 전술한 도 3a 또는 3b에서의 제2 영역(122)에 해당할 수 있고, 완성자 영역(120_2)은 전술한 도 3a 또는 3b에서의 제3 영역(123)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도 3a 또는 3b에서의 제1 영역(121)인 일련번호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는 도 6과 같이 하나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과 표시창(124) 또한 상기 입력 영역에 포함될 수 있으나 제외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에서, 사용자가 기본획 중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6
'에 해당하는 'R' 블록을 터치하면, 상기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7
'를 포함하는 미완성자가 미완성자 영역(120_1)에 표시되고, 상기 '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8
'를 포함하는 완성자가 완성자 영역(120_2)에 표시된다. 이 경우, 미완성자 영역(120_1)과 완성자 영역(120_2)은 서로 구별되도록(예: 서로 다른 색)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미완성자 영역(120_1)에 해당하는 미완성자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터치된 미완성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다른 미완성자 또는 완성자가 각각 미완성자 영역(120_1) 또는 완성자 영역(120_2) 중 적어도 하나에 새롭게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완성자 영역(120_2)에 해당하는 완성자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터치된 완성자가 결과창 영역(124)에 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미완성자는 도 6의 미완성자(m1)와 같이 2개 이상의 글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개 이상의 글자는 최종적으로 하나의 완성자에 포함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미완성자는 옥편 등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형태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더욱 편하게 빠르게 한자를 완성시키기 위해서 만들어진 조어 글자이다.
한편, 도 6에서, 입력부(110)는 2개의 옥편 블록(117, 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옥편 블록(117)은 집자(集字) 방식의 자전 기능을 가지며, 제2 옥편 블록(118)은 획수(劃數) 방식의 자전 기능을 가진다.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옥편 블록(117)과 제2 옥편 블록(118)에는 각각 集字와 劃數가 표시될 수 있다. 집자 방식은 옥편 등에서 부수를 기반으로 한문을 찾는 방식이며, 획수 방식은 총획수를 기반으로 한문을 찾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2가지 방식의 자전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옥편을 찾듯이 본 발명의 한자입력 장치상에서 쉽게 모르는 한문을 검색해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한자를 잘 모르는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한자를 검색할 수 있고, 한자입력의 접근장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표시부; 및
    한자의 기본획이 분산되어 배치된 기본획 블록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본획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미완성자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완성자 영역; 및
    상기 미완성자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입력된 기본획을 적어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완성자가 배열되어 표시되는 완성자 영역을 포함하는, 한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획은,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19
    의 획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한자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1행에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20
    의 기본획이 배치되고,
    제2행에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21
    의 기본획이 배치되며,
    제3행에
    Figure PCTKR2018016585-appb-I000022
    의 기본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완성자 영역에서 표시되는 미완성자와 상기 완성자 영역에서 표시되는 완성자는 서로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완성자 영역에 표시되는 완성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완성자가 표시되는 결과창 영역을 더 포함하는, 한자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구획됨으로써 구현되는, 한자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에서 하나의 입력 영역으로 구현되는, 한자입력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PC 또는 노트북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를 덮는 키스킨, 상기 키보드에 접착되는 스티커 또는 상기 키보드에 인쇄된 영역으로 구현되고, 상기 기본획들이 상기 키스킨, 상기 스티커 또는 상기 인쇄된 영역에 각각 할당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PC 또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인, 한자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옥편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옥편 블록이 입력되는 경우 한자를 검색할 수 있는 옥편 창을 표시하고,
    상기 한자입력장치는,
    상기 옥편 창에서 선택된 한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획이 2개 이상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미완성자 또는 상기 완성자는 상기 순차적으로 선택된 기본획들의 순서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입력장치.
PCT/KR2018/016585 2017-12-29 2018-12-24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WO201913248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4A KR101880868B1 (ko) 2017-12-29 2017-12-29 한자입력장치
KR10-2017-0184224 2017-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480A1 true WO2019132480A1 (ko) 2019-07-04

Family

ID=6310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6585 WO2019132480A1 (ko) 2017-12-29 2018-12-24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80868B1 (ko)
TW (1) TW201931070A (ko)
WO (1) WO2019132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8399B (zh) * 2023-11-23 2024-06-1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基于汉字笔画的轨迹拟合方法以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146A (en) * 1995-08-16 2000-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inese language text
KR20030043294A (ko) * 2001-11-27 2003-06-02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407555B1 (ko) * 2001-04-16 2003-12-01 이관동 한자입력 키보드
KR100643856B1 (ko) * 2005-03-31 2006-11-10 박인기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146A (en) * 1995-08-16 2000-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inese language text
KR100407555B1 (ko) * 2001-04-16 2003-12-01 이관동 한자입력 키보드
KR20030043294A (ko) * 2001-11-27 2003-06-02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643856B1 (ko) * 2005-03-31 2006-11-10 박인기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68B1 (ko) 2018-07-20
TW201931070A (zh)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3299A1 (en)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EP1953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WO2010134710A2 (en) Lis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140143703A1 (en) Configurable multilingual keyboard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WO2017192008A1 (ko)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WO2014088160A1 (ko)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CN1538279A (zh) 利用数字键垫的汉语拼音输入方法及其装置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KR20090103450A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1055998A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JPH0512287A (ja) 文書処理装置
KR100566204B1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4003276A1 (ko) 중국어 단어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9132480A1 (ko)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WO2013042910A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47394A2 (ko)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WO2014017840A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811669A (zh) 汉字输入装置、汉字输入方法和相关的存储介质
BRPI0707659A2 (pt) mÉtodo e sistema para identificar um caractere ideogrÁfico
KR20190082049A (ko)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WO2023191334A1 (ko) 일본어 로마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어레이 및 이러한 키 어레이를 갖는 자판
WO2010090421A2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및 기능키 입력 장치
WO2011142536A2 (ko) 휴대용 단말기, 그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42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42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