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294A -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294A
KR20030043294A KR1020010074377A KR20010074377A KR20030043294A KR 20030043294 A KR20030043294 A KR 20030043294A KR 1020010074377 A KR1020010074377 A KR 1020010074377A KR 20010074377 A KR20010074377 A KR 20010074377A KR 20030043294 A KR20030043294 A KR 2003004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inese character
chinese
chinese character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572B1 (ko
Inventor
어윤형
최장성
Original Assignee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1-007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5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한자들의 기본 획들에 각각 대응하는 획 키들, 부수 키, 제 1 한자 형태 키 및 제 2 한자 형태 키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 한자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회로,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획 키들, 상기 부수 키,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 중 어느 하나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회로에 저장된 한자들 중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용이한 방법으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HANJA THERETO}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자는 상형문자로서 글자체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명확하게 확정되어 있는 한글이나 영어, 불어, 독어, 한자를 제외한 일본어 등과는 달리 각 한자마다 그 형태, 획수(문자를 이루는 기본적인 형태학적 요소의 수; the number of stokes for a Chinese character)가 정형화되지 않은 복잡한 문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태생적 한계 때문에 한자를 전자기기에 적용가능하도록 디지털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다.
종래 컴퓨터 키보드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크게 ① 영어, 한글, 일본어 등의 표음문자를 활용하여 입력을 원하는 한자의 음을 먼저 입력하여 그 음에 해당되는 한자군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된 한자군 속에서 원하는 한자를 지정(pointing)하여 입력하는 방법(음차법), ② 미리 각 한자에 그 형태적 특성별 또는 부수(部數; the root of a Chinese charater) 별로 사전에 분류 번호를 부여하고, 분류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메뉴얼을 참조하여 분류 번호를 입력하여 원하는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분류법) 및 ③ 한자의 형태를 분해하여 추출한 몇 개의 기본도형에 따라 각 한자를 사전에 코딩하고, 사용자가 기본도형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그 순열을 포함하는 한자군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된 한자군 속에서 원하는 한자를 지정(pointing)하여 입력하는 방법(기호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음차법은 중국, 대만 또는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 일본등에서 영어 또는 자국어로 한자의 음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명백히 알고 있더라도 한자 이외의 언어로 한자음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된 동일음의 한자군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동일한 모양의 한자라도 각 나라별로 구체적인 음은 모두 상이하므로 음차법에 의한 입력 방식은 국가별로 다 다른 체계로 작동될 수 밖에 없다. 나아가 중국, 대만 등 한자를 전용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외국글을 통해서 자국어를 입력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분류법은 미국특허 제 4,684,926호(1987년 8월 4일), 미국특허 제 5,790,926호(1998년 8월 4일)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0-6943호(2000년 2월 7일)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684,926호는, 전체 한자에서 출현빈도가 높으면서 사용 빈도가 높은 기본부수(basic roots)를 구성하는 5개의 기본획과 각 한자의 위상학적인 형태(topological patterns)에 따라 각 한자를 8 개의 숫자로 된 번호(8-digits)를 부여하여 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 5,790,926호 역시 한자의 형태 중 4개 모서리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4개의 숫자로 된 번호(4-digits "FRAME" code)와 각 문자에서 대표적인 부수(root)의 4개 모서리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4개의 숫자로된 번호(4-digits "ID" code)로 이루어진 8개의 숫자로 된 번호(8-digits)를 각 한자에 부여하여 코딩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0-6943 호는 한자의 획을 5개의 기본형태로 정하고 한자의 처음 두 획과 마지막 두 획의 기본형태를 코딩하는 등의 방법으로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전기 분류법에 의한 한자 입력 시스템은, 코드 번호가 겹치는 한자가 존재하여 예외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코드번호를 암기하거나 코드 번호집을 참조해야만 한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매우 불편하며, 특히 예를 들면 휴대 전화에 대해서는 거의 적용할 수가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기호법은 한자의 획을 상징화 또는 간략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모든 한자를 코딩해 두고, 사용자가 상기 상징화 또는 간략화된 획이 표시된 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입력된 순열을 포함하는 한자군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게 하는 방식이다. 현재 중국, 대만 등에서 일부 기호법에 해당하는 입력 시스템이 휴대폰에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호법이 종래의 다른 입력 시스템에 비해 편하고 실용작이기는 하지만, 원하는 한자가 디스플레이될 때까지는 계속 기본획이 표시된 획키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부수만 기억하고 정확한 형태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나, 키에 표시된 획(시각)과 실제 한자의 획(지각) 사이의 불일치로 혼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이 적용된 다른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인 PDA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한자 입력 스킴과 관련있는 기능적 회로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a 내지 4f는 휴대용 전화기에 한자를 입력하는 수순들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들;
도 5a 내지 도 5e는 키 입력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의 LCD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들;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PDA에서 耳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PDA에서 取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PDA에서 可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한자들의 기본 획들에 각각 대응하는 획 키들, 부수 키, 제 1 한자 형태 키 및 제 2 한자 형태 키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 한자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회로,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획 키들, 상기 부수 키,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 중 어느 하나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회로에 저장된 한자들 중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한자 형태 키를 누르는 단계와,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 한자 형태 키를 누르는 단계,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 중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부수 키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부수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영자팔법은 옛부터 써온 서예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몇천년을 내려오면서 서법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고, 많은 서체가 등작하였지만 오직 변하지 않고 이어진 것이 바로 영자팔법(永字八法)이다. 영자팔법은 진(晉)나라의 왕희지(王羲之)가 발명한 필법으로 영(永)자로 팔법(八法)의 대요(大要)를 세운 것이다. 이 팔법을 잘 알고 있으면 모든 문자를 쓸 수 있다. 수 많은 한자는 이 여덟가지 필법 이외의 것이 아니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간자체(簡字體), 간화한자(簡化漢字)는 1955년 중국인민공화국이 같은 의미의 글자가 다른 식으로 표현되는 글자들을 통일하고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식을 취한 것으로 쓰는 필획은 순수한자의 필획과 다르지 않다. 즉, 영자팔법으로 모든 한자를 쓸 수 있다. 영자팔법의 각 획과 획의 명칭 그리고 획을 쓰는 방법을 다음 표 1에 정리하였다.
한자의 획를 입력하는 순서 및 방법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예 : 林).
2. 위에서 아래로 쓴다(예 : 支).
3. 가로획과 세로획이 겹치면 가로획을 먼저 쓴다(예 : 法)
4. 삐침과 파임은 삐침을 먼저 쓴다(예 : 人).
5. 좌우가 대칭될 때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예 : 水).
6. 둘러싼 모양은 바깥쪽을 먼저 쓴다(예 : 同).
7. 글자 전체를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예 : 中).
8. 오른쪽 점은 나중에 찍는다(예 : 成).
9. 책받침은 나중에 쓴다(예 : 退).
10. 받침중 먼저 쓰는 예외 글자도 있다(예 : 起).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영자팔법과 획입력 순서에 근거하여 호출기,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영수증 발급기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 한자 입력이 요구되는 모든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화기(10)는 키패드(12)와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관련된 획 또는 한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11)을 포함한다. LCD 패널(11)은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관련된 획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영역(11A)과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관련된 한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제 2 영역(11B)으로 분리된다. 키입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이 표시되지 않는다.
키 패드(12)는 앞서 설명한 영자팔법에 따른 8 개의 획들(,,,,,,,,)이 각각 할당된 8 개의 획 키들과 좌우 대칭 한자 및 상하 대칭 한자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한자 형태 키들(숫자 키2, 4, 5, 6, 7, 8, 9 및 0에 각각 할당됨), 부수(部數)를 입력하기 위한 부수 키(*키에 할당됨),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된 한자들 가운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를 선택하기 위한 한자 선택키(#키에 할당됨), 표시된 한자를 삭제하기 위한 클리어 키(CLR로 표시함),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된 한자들 중 지정되는 한자가 변경되도록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키들(◁, ▷로 표시함)을 포함한다. 앞서 서술한 키들은 본 발명의 한자 입력과 관련된 키들로서 키들의 위치나 표시 형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키패드(12)는 그것들 이외에 한자/숫자 입력을 토글링(toggling)하기 위한 입력 모드 변경기(漢/Num으로 표시함), 인터넷 접속키 및 전원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키들을 더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자 입력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키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이 적용된 다른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인 PDA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DA의 대부분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PDA(20)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의 키패드(12)의 키 배열과는 조금 다른 키 패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PDA(10)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10)의 한자 입력 스킴과 관련있는 기능적 회로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DA(10)는 키패드(12), 메모리(13), 제어기(14) 및 LCD 패널(11)을 포함한다. 키패드(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들을 구비하며,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제어기(14)로 제공한다. 메모리(13)는 한자 코드들과, 일련의 획 키 입력에 관련된 한자들, 좌우 대칭 키 입력에 관련된 한자들, 상하 대칭 키 입력에 관련된 한자들 그리고 부수 키 입력에 관련된 한자들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 형태로 저장한다.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를 포함하며,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된 키와 관련된 한자들을 메모리(13)로부터 읽어와서 LCD 패널(11)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g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들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어기(14)의 한자 입력과 관련된 제어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100에서 제어기(14)는 키패드(12)로부터 키입력을 받아들인다. 단계 S110부터 단계 S170까지에서 제어기(14)는 입력된 키가 어떤 키인지 키의 종류를 판별한다. 도 4a에서는 키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이 단계 S110부터 단계 S170까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계 S110부터 단계 S170까지의 판별 과정이 병렬로 처리될 수 있다.
휴대용 전화기(10)에 구비된 키들을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1. 획 키들을 순차적으로 눌러서 입력하는 방법
2. 한자 형태 키를 이용해서 입력하는 방법
3. 부수 키를 이용해서 입력하는 방법
획 키들을 순차적으로 눌러서 한자를 입력할 때 제어기(14)의 구체적인 동작이 이하 설명되며, 키 입력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10)의 LCD 패널(11)에 표시되는 화면이 도 5a 내지 도 5e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耳 자를 입력하기위해서는 획 키들이 순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순으로 입력해도 무방하다).
단계 S110에서 제어기(14)는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된 키가 획 키들 가운데 하나인 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키패드(12)로부터 입력된 키가 耳 자의 첫 번째 키인이면 그 제어는 도 4b에 도시된 단계 S111로 진행한다. 단계 S111에서 제어기(14)는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획을 레지스터(15)에 저장한다(사실 레지스터(15)에 저장된 값은 획에 대응하는 코드이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획이라 칭한다) .
단계 S121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4)에 저장된 획과 관련있는 한자들(즉, 획을 첫 번째 획으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한다(도 5a 참조). 여기서,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a)에 표시된 한자들은 사용 빈도에 따라 일정한 순서대로 표시된다.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a)에 표시될 수 있는 한자들의 개수가 총 6 개일 때 한자들 각각의 사용 빈도 순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5, 3, 1, 2, 4 및 6이다. 즉, 왼쪽에서 세 번째 위치에는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자가 표시되고, 가장 오른쪽에는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한자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획과 관련있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6 개의 한자들이 사용 빈도 순서에 따라 一, 來, 不, 子, 在 및 有이면 LCD 패널(11)에는 在, 不, 一, 來, 子 및 有 순서로 표시된다. 단계 S113에서 제어기(14)는, 커서가 표시된 한자들 가운데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자(一)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표시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를 찾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는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만일 커서를 가장 왼쪽에 위치시키면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한자를 찾기 위해서 오른쪽 커서 이동 키를 5회 입력해야 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오른쪽 커서 이동 키를 3 회만 이동시키면 되므로 전체적인 한자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후 설명에 있어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입력된 키와 관련있는 6 개의 한자들이 LCD 패널(11)에 표시될 때 한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대로 표시되며 커서는 왼쪽에서 세 번째에 위치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커서가 표시된 후 그 제어는 단계 S100으로 리턴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 耳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다음 획 키를 입력한다. 단계 S111에서 입력된 획은 레지스터(15)에 저장된다. 단계 S112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들의 조합과 관련있는 한자들을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 상에 표시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 耳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다음 획 키를 입력할 것이다. 입력된 획은 레지스터(15)에 저장되고(단계 S111),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들,의 조합과 관련있는 한자들은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 상에 표시된다(단계 S112).
도 5c를 참조하면, 획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 耳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다음 획 키를 입력할 것이다. 입력된 획은 레지스터(15)에 저장되고(단계 S111),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들,,의 조합과 관련있는 한자들은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 상에 표시된다(단계 S112).
도 5d를 참조하면,,,의 조합과 관련있는 한자들 가운데 원하는 한자 耳가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되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오른쪽 커서 이동 키(▷)를 이용하여 耳가 지정되도록 할 것이다.
단계 S150에서 오른쪽 커서 입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단계 S151로 이동한다. 단계 S151에서 커서는 耳를 지정한다. 커서가 지정하고 있는 耳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한자 선택키를 눌러야 한다.
단계 S170에서 한자 선택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도 4g에 도시된 단계 S171로 진행한다. 단계 S171에서 제어기(14)는 LCD 패널(11)의 제 1 영역(11A)에 표시된 획들(여기서는,,)을 삭제하고,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 耳를 LCD 패널(11)의 제 1 영역(11A) 즉, 한자 입력 창에 표시한다. 한자 선택키가 입력된 후에는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A)에는 선택된 한자 耳와 관련있는 즉, 耳자에 연이어 사용되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6 개의 한자들이 표시된다. 만일 耳자에 연이어 쓸 한자가 LCD 패널(11)에 표시되었다면 표시된한자를 선택하면 되고, 새로운 글자를 입력하고 싶다면 새로운 획 키를 입력하면 된다. 단계 S172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들(여기서는,,)을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최소한의 획 키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한자에 접근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한자 형태 키를 이용해서 휴대용 전화기(10)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자 형태 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한자 형태 키를 먼저 입력하고 획 키들을 입력하는 것과 획 키들을 입력하는 도중에 한자 형태키를 누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자의 형태를 세 분류로 나누었다. 세 분류는 좌우 대칭형, 상하 대칭형 그리고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한자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좌우 대칭형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는로서 숫자키 1에 할당되고 상하 대칭형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는로서 숫자키 3에 할당된다. 좌우 대칭형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상하 대칭형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좌우 대칭형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取 자를 좌우 대칭형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좌우 대칭형 키가 입력된 후 획을 입력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 S130에서 입력된 키가 좌우 대칭 키인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도 4d에 도시된 단계 S131로 진행한다. 단계 S131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이 있는 지를 판별한다. 앞서, 획 키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 대칭형 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레지스터(15)에는 어떤 획도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그 제어는 단계 S134로 진행한다. 단계 S134에서 제어기(14)는 후속 획 키 입력에 의해서 메모리가 접근(access; 액세스)될 때 메모리에 저자된 한자들 중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만 접근되도록 제어한다. 그 제어는 단계 S100으로 리턴한다. 계속해서 取 자의 획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참고로, 取 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획 키들이 순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단계 S100에서 제어기(14)는 키 입력을 받아들인다. 단계 S110에서 입력된 키가 획 키인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단계 S111로 진행한다. 단계 S111에서 제어기(14)는 입력된 획을 레지스터(15)에 저장한다. 단계 S111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과 관련있는 한자들을 메모리(13)로부터 읽어오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형인 한자들 중에서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과 관련있는 한자들을 읽어와서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한자의 형태를 먼저 지정한 상태에서 획을 입력하는 방법에 의하면, 획 키들 만을 가지고 한자를 입력할 때에 비해 원하는 한자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획 입력 횟수와 시간이 감소된다.
반대로 획들을 입력하던 중에 좌우 대칭 키가 눌러질 때 제어기(1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터(1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획들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레지스터(1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획들이 저장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LCD 패널(11) 상에 레지스터(15)에 저장된 일련의 획들과 관련있는 한자들이 표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단계 S130에서 좌우 대칭 키가 눌러지면 그 제어는 단계 S131로 진행한다. 단계 S131의 판별 결과, 레지스터에 일련의 획들이 저장된 것으로 판별되므로 그 제어는 단계 S132로 진행한다. 단계 S132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일련의 획들에 대응하는 한자들 중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한다. 단계 S133에서 제어기(14)는 커서가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된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자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한자의 획들을 입력하는 도중에 형태를 지정하기 위한 키(즉, 좌우 대칭 키 또는 상하 대칭 키)를 입력하는 방법에 의하면, 획 키들 만을 가지고 한자를 입력할 때에 비해 원하는 한자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획 입력 횟수와 시간이 감소된다.
도 4a에 도시된 단계 S140에서는 입력된 키가 상하 대칭 키인 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판별 결과 입력된 키가 상하 대칭 키이면 그 제어는 도 4e에 도시된 단계 S141로 진행한다. 단계 S141부터 단계 S144의 동작들은 도 4d에 도시된 좌우 대칭 키입력에 따른 동작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부수 키를 이용해서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부수키를 이용한 한자 입력 방법은 부수 키를 누르는 시점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부수 키를 이용한 한자 입력 방법은 ① 획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로 부수 키를 누르는 방식, ② 커서가 특정 한자를 가리키고 있을 때 부수 키를 1회 누르는 방식 그리고 ③ 커서가 특정 한자를 가리키고 있을 때 부수 키를 2회 누르는 방식이 있다.
획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로 부수 키를 누르는 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土를 부수로 하는 地자를 입력하려면 부수 키를 누르고, 부수 土를 찾고, 커서가 부수 土를 지정하도록 하고, 부수 키를 누르고, 土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 중 地를 찾는다.
먼저, 단계 S120에서 제어기(14)는 입력된 키가 부수 키인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입력된 키가 부수 키인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도 4c에 도시된 단계 121로 진행한다. 단계 S121에서 제어기(14)는 LCD 패널(11)에 표시된 한자가 있는 지를 판별한다. 다시 말하면, 현재 입력된 부수 키가 최초로 입력된 키인 지를 판별한다. 현재 입력된 부수 키가 최초로 입력된 키인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단계 S235로 진행한다. 단계 S125에서 제어기(14)는 메모리(13)에 저장된 부수들을 읽어와서 그 중 사용 빈도가 높은 6 개의 부수들을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 빈도가 높는 6 개의 부수들은 사용 빈도 순으로 一, 白, 人, 乙, 日 및 土이다. 사용자는 地자를 입력하기 위해 커서 이동 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土 자에 위치시킬 것이다. 커서가 土를 지정한 상태에서 다시 부수 키가 입력되면 그 제어는 단계 S121로 진행한다. 단계 S121에서는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된 한자가 있은 것으로 판별되므로 그 제어는 단계 S122로 진행한다. 단계 S122에서 제어기(14)는 부수 키가 연속 2회 입력되었는 지를 판별한다. 부수 키가 연속 2회 입력되지 않았다면 그 제어는 단계 S1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6에서 제어기(14)는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의 획들을 레지스터(15)에 저장한다. 즉, 土의 획들을 레지스터(15)에 저장한다. 단계 S127에서는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커서 이동키를 이용하여 土자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 중 원하는 한자인 地 자에 커서가 위치하도록 커서를 이동시킬 것이다.
다음, 커서가 특정 한자를 가리키고 있을 때 부수 키를 1회 누르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서가 土를 지정한 상태에서 부수 키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커서가 특정 한자를 가리키고 있을 때 부수 키를 2회 누르는 방식에 따른 한자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커서가 取자를 지정하고 있을 때 부수 키가 1 회 입력되면 단계 S122의 판별 결과, 그 제어는 단계 S126으로 진행하여 취의 부수인 耳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하고, 커서는 여전히 取자를 지정하고 있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다시 부수 키가 1회 입력되면 단계 S122에서 부수키가 연속 2회 입력된 것으로 판별하여 그 제어는 단계 S1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3에서 제어기(14)는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획들에서의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한다. 앞의 예에서 取자의 부수는 耳이고, 부수 耳를 제외한 나머지 획들에서의 부수는 又이므로 제어기(14)는 又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한다. 단계 S124에서 제어기(14)는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된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자위에 커서가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형 한자사전에는 약 8천 ~ 1만 개의 한자가 수록되어 있고, 부수는 약 250 개에 이른다. 하나의 부수에는 평균적으로 32~40 개의 한자가 배당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부수 키를 이용한 한자 입력 방법은 처음부터 약 8천 ~ 1만 개의 한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약 250 개의 부수 코딩 정보를 조회하여 부수를 결정한 후 평균 32~42 개의 한자 중에서 사용 빈도 순위에 따라 한자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부하가 대폭 감소되고, 데이터 베이스 조회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키입력 타수도 대폭 줄어든다. 더욱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전체 획을 모르고 있더라도 한자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자의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부수를 잘못 입력하였더라도 표시된 한자들 중 원하는 부수를 갖고 있는 한자 위에서 두번 연속 부수키를 누름으로서 한자의 정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획을 잘못 입력했을 경우에는 삭제 키(즉, 클리어 키)를 누르면 된다. 단계 S170에서 삭제 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면 그 제어는 도 4f에 도시된 단계 S161로 진행한다. 단계 S161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들 중 마지막에 저장된 획을 삭제한다. 단계 S162에서 제어기(14)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이 있는 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레지스터(15)에 저장된 획이 있으면 그 제어는 단계 S16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3에서 제어기는 레지스터(15)에 저장된 일련의 획들과 관련있는 한자들을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한다. 단계 S164에서 제어기(14)는 커서가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B)에 표시된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자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예를들면, PDA)의 한자 입력 방법과 입력된 키와 관련있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휴대용 전화기의 그것들과 조금 다르다. 즉,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커서 이동키의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LCD 패널(11)의 제 2 영역(11a)에 표시될 수 있는 한자들의 개수가 총 6 개일 때 한자들 각각의 사용 빈도 순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5, 3, 1, 2, 4 및 6이다. 그러나 PDA에서는 입력된 키와 관련있는 한자들을 제 2 표시 영역(21B)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 순으로 사용 빈도에 따라 표시한다. 예를 들어,키를 입력했을 때획을 첫번째 획으로 하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6개의 한자들이 사용 빈도 순으로 一, 來, 不, 子, 在 및 有일 때 제 2 표시 영역(21B)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그러나, 도 2는 입력된 키와 관련있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6 개의 한자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한 행에 표시되는 한자의 개수,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한자의 개수 등은 자유롭게 변경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의 한자 입력 방법과 PDA의 한자 입력 방법 중 가장 크게 다른 점은 부수를 이용한 한자 입력 방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커서가 특정 한자를 지정하고 있을 때 부수 키가 연속 2회 입력되면 커서가 지정하고 있는 한자의 부수를 제외한 획들 중의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PDA의 한자 입력 방법은 조금 다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PDA에서 耳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PDA에서 取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한자 입력 스킴을 채용한 PDA에서 可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면, 耳자를 입력하기 위해 획 키들을,,,,순으로 입력한다. 각각의 키를 입력했을 때 입력된 획과 관련있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한자들 8개가 표시된다. 이 때, 8 개의 한자들은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대로 PDA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첫 번째 한자위에 커서가 놓인다.
도 7a 내지 도 7f는 取자를 입력하기 위해 取자의 부수 耳 자를 입력하는 과정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7f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부수 키를 누르면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하라는 메시지(Select)가 표시된다. 이 때,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키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耳 자를 선택하면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耳 자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8개의 한자들이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取 자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取자의 입력이 완료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取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시 부수 키가 입력되면 取가 耳자와 又자로 분리되어서 한자 입력창에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耳자를 선택하면 耳자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이 다시 표시되고, 又자를 선택하면 又자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이 다시 표시된다. 따라서, 取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又자를 부수로 하는 한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처음에 부수키를 입력해서 可자를 입력하는 순서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어떠한 키도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수 키가 입력되면 사용 빈도가 높은 8 개의 부수들이 표시되고, 선택하라는 메시지(Select)가 표시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一자를 선택하면 一을 부수로 하는 한자들이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 可자가 표시되었으므로 사용자는 可자를 선택할 것이다. 도 8c는 사용자가 可자를 선택했을 때 可자와 연이어 사용되는 한자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8 개의 한자들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처리 장치에 한자를 용이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한자를 입력하는 소요되는 키입력 횟수와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Claims (50)

  1.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한자들의 기본 획들에 각각 대응하는 획 키들, 부수 키, 제 1 한자 형태 키 및 제 2 한자 형태 키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와;
    한자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회로와;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획 키들, 상기 부수 키,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 중 어느 하나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회로에 저장된 한자들 중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자들이 사용 빈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열대로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는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획 키들, 상기 부수 키 및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 중 어느 하나도 눌러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가 눌러진 후 일련의 획 키들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 중 상기 눌러진 일련의 획 키들과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획 키들 중 일련의 눌러진 키들에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눌러진 키들에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한자 형태키는 상하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획 키들, 상기 부수 키 및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 중 어느 하나도 눌러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가 눌러진 후 일련의 획 키들 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상하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 중 상기 눌러진 일련의 획 키들과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획 키들 중 일련의 눌러진 키들에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눌러진 키들에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상하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제 1 영역; 그리고
    제 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눌러진 키와 관련된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획 키들, 상기 제 1 한자 형태 키 및 상기 제 2 한자 형태 키 중 어느 하나도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부수키가 입력될 때, 부수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된 상기 한자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수 키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에 그리고 상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된 한자들 중 지정되는 한자가 변경되도록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를 선택하기 위한 한자 선택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한자 선택키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커서가 지정하고 있는 한자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가 적어도 두 개의 부수들을 포함할 때, 상기 부수 키가 연속해서 두 번 눌러지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 이외의 부수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에 그리고 상기 커서가 지정하는 한자의 부수 이외의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 상에 표시된 한자들 가운데 하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선택된 한자를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 상에 표시된 상기 한자가 선택되고 상기 부수 키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한자를 부수별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 키들은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3.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자 형태 키를 누르는 단계와;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형태 키는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형태 키는 상하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열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들은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1.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와;
    한자 형태 키를 누르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 중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형태 키는 좌우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형태 키는 상하 대칭 형태를 갖는 한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열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들은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39.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부수 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한자의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부수 키를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한자의 부수를 제외한 다음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열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들은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5.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구성하는 획들을 소정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부수 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부수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부수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된 한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한자 형태 키와 관련된 한자들 중 상기 입력된 획들로 이루어지는 한자들을 사용 빈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열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들은 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5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방법.
KR10-2001-0074377A 2001-11-27 2001-11-27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41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77A KR100412572B1 (ko) 2001-11-27 2001-11-27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77A KR100412572B1 (ko) 2001-11-27 2001-11-27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294A true KR20030043294A (ko) 2003-06-02
KR100412572B1 KR100412572B1 (ko) 2003-12-31

Family

ID=2957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377A KR100412572B1 (ko) 2001-11-27 2001-11-27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5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KR100742188B1 (ko) * 2005-07-05 2007-07-25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문자 입력 장치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WO2019132480A1 (ko) * 2017-12-29 2019-07-04 황보영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57B1 (ko) * 2011-06-29 2015-03-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및 그의 한자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926A (en) * 1984-05-14 1987-08-04 Yong Min Wang Universal system of encoding chinese characters and its keyboard
KR20000006943A (ko) * 1999-11-13 2000-02-07 이규갑 한자 고속입력법
KR100344947B1 (ko) * 2000-04-03 2002-07-22 이관동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00694B1 (ko) * 2001-07-03 2003-10-08 황재엽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KR20030005546A (ko)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한자 입력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88B1 (ko) * 2005-07-05 2007-07-25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문자 입력 장치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KR101449376B1 (ko) * 2014-03-31 2014-10-10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WO2015152533A1 (ko) * 2014-03-31 2015-10-08 정창수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WO2019132480A1 (ko) * 2017-12-29 2019-07-04 황보영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2572B1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6118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анения неоднозначности с уменьшенной клавиатурой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CN101427202A (zh) 一种提高文字输入速度的处理方法和装置
KR20000035960A (ko) 고속 타자 장치와 방법
KR100662553B1 (ko)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412572B1 (ko)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40091837A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JP4030575B2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59914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handwritten characters associated with title information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0371742B1 (ko) 24진 한자 입·출력 처리법
KR20010069565A (ko) 부수를 활용한 한자 입력시스템
GB2259386A (en) Text processing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JP2004213594A (ja) デジタル情報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情報処理装置に漢字を入力する方法
KR20020087978A (ko) 다중 스트로크 기호의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40068807A (ko)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및 방법
KR20100025628A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KR100371741B1 (ko) 8진 한자 입·출력 처리법
WO1996013000A1 (fr) Procede de saisie de caracteres chinois en code lin
KR100412571B1 (ko)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980013177A (ko)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JP4086735B2 (ja) 携帯情報端末の文字入力システム及び方法
JPH0816571A (ja) 漢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