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994A -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 Google Patents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994A
KR20040089994A KR1020030023872A KR20030023872A KR20040089994A KR 20040089994 A KR20040089994 A KR 20040089994A KR 1020030023872 A KR1020030023872 A KR 1020030023872A KR 20030023872 A KR20030023872 A KR 20030023872A KR 20040089994 A KR20040089994 A KR 2004008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tric
herbal composition
herbal
aci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524B1 (ko
Inventor
한창균
곽의종
정기원
유헌승
조용백
류근호
김주현
이해인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52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6Clematis (leather fl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켜 생약조성물 내 지표성분으로 로스마린산 또는 올레아놀린산이 일정함량으로 함유되어 디클로페낙 유발 위점막 궤양, 미란의 치료 효과 및 생성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위장보호제로 유용한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A medicinal herbs composition for protective stomach and intestines}
본 발명은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켜 생약조성물 내지표성분으로 로스마린산 또는 올레아놀린산이 일정함량으로 함유되어 디클로페낙 유발 위점막 궤양, 미란의 치료 효과 및 생성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위장보호제로 유용한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령선, 천화분 그리고 하고초는 한약재로서 널리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 각각의 생약은 각종 종기나 상처, 기관지염, 유선염, 편도선염 및 치루 등의 일반적인 염증에 널리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습비를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손발이 차거나 저린데, 무릎이 아파 걷지 못하는데, 허리와 어깨 아픈데, 온몸이 힘이 없고 살갗통증 등의 증상 치료에 탕제 또는 생약분말제로 이용되어 왔다.
위령선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수풀 속의 음습한 땅에 자라는 으아리 및 동속근연 식물의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서 가을에 채취하여 경엽,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썰어서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사지관절통, 관절의 운동장애, 수족마비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질병에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요, 슬, 각이 냉통하여 땅을 잘 딛지 못하는 경우를 치료하는 신령한 약이라 하여 널리 이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으아리 및 동속근연식물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크레마틴(clematin) 등의 플라바논 글리코사이드(flavanone glycosides)를 비롯하여 크레몬타노사이드 A(clemontanoside A), 크레몬타노사이드 B(clenontanoside B), 크레몬사노사이드C(clemontanoside C), 크레마토사이드 S(clematoside S) 등의 사포닌류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당류(glucose), 스테롤(sterol)류 등이 알려져 있다[한국유용 식물자원 연구총람, 한국화학연구원, pp780∼781(1988); 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pp489∼490(1990)].
천화분은 '괄루근', '과루근' 또는 '백약'이라고도 하며 다년생의 덩굴성 초본인 하눌타리, 노랑하눌타리의 뿌리를 가을에 캐내 깨끗이 씻어 외피를 깍아 내고 적당한 길이로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소갈증을 멈추게 하고 각종 종기, 치루 유선염 등에 유효하며 배농, 소종, 해독, 해열작용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천화분의 성분으로는 단백질류인 트리코산틴(trichosanthin)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그외 아미노산 성분으로서 아르기닌(arginine), 시트룰린(citrull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지방산으로서 팔미틴산(palmitic acid),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브리오놀산(bryonolic acid), 4-히드록시 벤조인산 (4-hydroxy-benzoic acid) 및 알파-스피나스테롤(a-spinasterol) 등의 스테놀류가 밝혀진 바 있다[한국유용식물자원 연구총람, 한국화학연구원, pp1354∼1357(1988); 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pp960∼963(1990)].
하고초는 꿀풀 및 동속근연식물의 과수로서 여름에 과수가 반쯤 시들면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만성적인 종기, 두창, 급성 유선염 및 임파선 결핵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징가(아랫배에 담음이나 어혈로 생긴 덩어리)를 파괴하며 각기를 제거하고 온몸이 저리고 마비되는 것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하고초의 성분으로는 올레아놀린산(oleanolic acid), 우르솔린산(ursolic acid) 등의 사포닌류와 카로틴(carotine), 비타민C(vitamine C), 비타민 K(vitamine K), 탄닌(tannin), 카페인산(caffeic acid), 클로르제닌산(chlorogenic acid) 등이 알려져 있고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이 존재하는 것도 밝혀져 있다[한국유용식물자원 연구총람, 한국화학연구원, pp480∼482(1988); 하고초 화학성분연구, 이작평(李作平) 외 3인, 북경의과대학학보, 17(4), pp297∼299(1985); Pharm. Acta. Helv. 66. No.7, pp185∼188(1991)].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및 광제비급 등의 기성 한약서나 관련 문헌에서는 대부분 이들 생약 각각에 대한 단방 생약으로서의 여러 한방의학적 약효와 탕액의 제조방법에 관해서만 언급하고 있으나, 이들 세가지 생약을 함유한 탕액을 제조하여 처방한 바 없으며, 위장보호에 관한 지견을 얻을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원생약을 적절히 추출정제 후 혼합, 또는 혼합 후 추출정제, 또는 각 생약의 추출정제를 통해 위장보호에 효과가 있는 생약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계속적인 연구결과에 따라 이러한 효과를 지닌 생약조성물을 용이하게 그리고 재현성 있게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켜 생약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생약조성물 내에 지표성분으로 로스마린산 또는 올레아놀린산이 일정함량으로 함유되어 위장보호 작용을 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약조성물 내 지표성분으로 로스마린산 또는 올레아놀린산이 일정함량으로 함유되어 위장보호 효과를 갖는 생약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7의 추출물 투여 후 위점막 상피세포의 단위면적당 MIB-1 염색 평균 cluster를 나타낸 대표도이다(궤양 치료효과).
도 2는 실시예 7의 추출물 투여 후 위점막 상피세포의 단위면적당 MIB-1 염색 평균 cluster를 나타낸 대표도이다(궤양생성 억제 효과).
도 3은 실시예 7의 추출물 투여 후 위점막 조직의 gross 및 H&E slide를 나타낸 대표도이다(궤양 치료효과).
도 4는 실시예 7의 추출물 투여 후 위점막 조직의 gross 및 H&E slide를 나타낸 대표도이다(궤양생성 억제 효과).
본 발명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 추출물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유된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위령선, 천화분 및/또는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로서, 디클로페낙 유발 위점막 궤양, 미란의 치료 효과 및 생성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위장보호제 등으로 유용한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전체 추출물에 대하여 로스마린산이 0.1 ∼ 10.0 중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로스마린산은 지질과산화 억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대사 결과 생성되는 프로스타 사이클린의 생합성 저해와 다핵형성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등 항산화 활성과 염증반응의 매개체인 대사물의 생성억제, 면역조절 활성에 의한 알러지성 염증에 대한 항염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및 섬유소 분해에 의한 혈액순환 개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Agent and Action, 17, pp375∼376(1985) ; Pharm. Acta. Helv., 66, No.7, pp185∼188(1991) ; Biochem. Pharmac., 29, pp533∼538(1980) ; Yoa-Hsueh-Hseuh-Pao, 27, No.2, pp96∼100(1992) ; Int. J. of Immunopharmae., 10, No.6, pp729∼737(1988) ; J. of Natural Products, 50, No.3, pp392∼399(1987) ; Yoa-Hsueh-Hseuh-Pao, 28,No.4, pp241∼245(1993)]. 이러한 기능을 갖는 로스마린산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생리활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생약 수급의 어려움과 정제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한 경제성 미흡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전체 추출물에 대하여 올레아놀린산이 0.2 ∼ 15.0 중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올레아놀린산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지질 등의 과산화를 억제하고, 소염, 진통 활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코박테리움 부틸리쿰으로 유발시킨 만성관절염 질환 모델에도 우수한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J. of Pharm. Pharmacol., 44, No.5, pp456∼458(1992) ; Chung-Kuo-Li-Hsueh-Pao, 10, No.4, pp381∼384(1984) ; Chem. Pharm, Bull., 28, No.4, pp1183∼1188(1980) ; Biochem. Int., 24, No.5, pp981∼990(1991)]. 올레아놀린산은 주로 위령선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엑스를 가수분해하였을 때 사포닌의 당이 유리된 형태, 즉 사포제닌(sapogenin) 형태로 정량되어 지며, 분석 결과 실제로는 다양한 형태의 당과 결합된 배당체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생리활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15.0 중량%를 초과하면 생약 수급의 어려움과 정제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한 경제성 미흡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로스마린산 및/또는 올레아놀린산을 생약조성물 내 지표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디클로페낙에 의해 생성된 염증 지표물질 중 LTB4의 양을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조절하고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양을 소량 증가시켜 위점막 재생에 영향을 줌으로써 우수한 위장보호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상기 로스마린산과 올레아놀린산 뿐만 아니라 상기 성분 이외에의 기타 다른 성분의 작용을 배제 할 수는 없다. 예컨대 상기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전체 추출물에 대하여 4-히드록시 벤조인산이 0.01 ∼ 0.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4-히드록시 벤조인산의 함량도 0.01 중량% 미만이면 생리활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0.1 중량%를 초과하면 생약 수급의 어려움과 정제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한 경제성 미흡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로스마린산 및/또는 올레아놀린산을 지표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조성물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3가지 생약을 선택하여 추출하는데, 사실상 생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는 위궤양/미란 치료 및 생성 억제 등의 약효 발현 상에 커다란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위령선, 천화분 또는 하고초의 생약 각각을, 또는 혼합하여 생약 중량의 5 ∼ 10배의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4 ∼ 6시간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후에, 다시 각각의 잔사에 생약 중량의 5 ∼ 10배의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을 가하고 가온하여 재 추출 후 여과한 다음 이전의 여액과 혼합하고 농축한다. 여기서 추출용매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교반이 어렵게 되고 추출물의 용해도가 낮아져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지나치게 많은경우는 다음의 농축 및 정제단계에서 사용되는 비용 및 수포화 저급 알코올용매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며 취급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 효율을 검증한 결과 2차 추출까지 진행하는 경우 전체 추출량의 85 ∼ 95%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3차 이상의 다단계 추출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1, 2차에 걸쳐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은 여과 및 농축한 다음, 여액 중에 함유된 불필요한 단백질, 다당류 및 지방산 등의 불순물을 정제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여액과 동량의 수포화 저급 알코올로 2 ∼ 4회 층분리를 실시하여 용매 분획을 얻음으로써 불순물을 정제한다. 이때 수포화 저급 알코올로는 부틸알코올 또는 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하며, 수포화 저급 알코올의 사용량이 여액에 비하여 적을 경우에는 지방산 등의 불필요한 성분들에 의한 미립자가 형성되어 층분리가 원활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유효활성성분의 추출 함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층분리 후 얻어진 알코올용매 분획을 60 ∼ 70 ℃로 감압 농축하여 시료 중에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 용매를 제거한다. 농축 후 얻어진 엑스는 엑스 총량의 25 ∼ 50 배의 물로 2 ∼ 3회 공비 농축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다. 이와 같이 농축건조시 물로 공비농축하는 이유는 얻어진 생약 추출액을 의약품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자 함이다. 이렇게 하여 얻은 추출물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분말상태의 엑스를 얻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이 위장보호 및 위궤양 치료의 지표성분으로 함유된 위장보호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을 통상의 제제화 법으로 제형화하여 정제, 연질캅셀제, 주사제, 연고제, 패취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 등을 제조할 수 있다.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투여량은 평균 몸무게가 70 ㎏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150 ∼ 1200 ㎎/일이다. 만일, 이들 생약조성물의 일일 복용량이 상기한 150 mg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200 mg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한다. 그리고, 일반 성인환자의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사용하여 유효 화합물이 50 ∼ 600 ㎎ 함유되도록 정제 또는 캡슐로 제형화하여 하루에 한 번 또는 여러 회에 걸쳐서, 1회의 투여량 또는 여러 번의 투여량으로 복용된다. 특히, 상기 정제 또는 연질캅셀제에는 생약조성물이 150 ∼ 12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 복용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 있어서는, 유효 화합물은 30 ∼ 2400 ㎎의 양으로 투여되는데, 실제적으로 의사는 각각의 환자에 대하여 환자의 나이, 몸무게 및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당한 투여량을 결정한다. 특히, 주사제는 생약조성물 50 ∼ 4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복용하고, 연고제는 생약조성물 300∼ 24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복용하고, 패취제는 생약조성물 150 ∼ 12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복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사람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또는 포낭(ovules)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조된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해면체내, 근육내, 피하 및 관내를 통하여 주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무균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액은 혈액과의 등장성을 갖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예를 들면 염(salt) 또는 만니톨,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를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은 경피제로도 제조가 가능한 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글리세린, 메틸 파라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습포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유동 파라핀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을 함유한 프라스타 제형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생약조성물을 인체에 투여하는 경우 천연추출물의 일반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실제로 규격화된 생약조성물에 대한 독성 시험 결과 생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조성물은 디클로페낙으로 유발된 위점막 궤양 생성에 대한 단회 및 반복 경구 투여시 위궤양 치료 효과가 뛰어나며, 디클로페낙에 의해 생성된 염증 지표물질 중 LTB4의 양을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조절하고 PGE2의 양을 소량 증가시켜 위점막 재생에 영향을 줌으로써 우수한 위장보호 작용을 나타냄으로 위장보호제 등에 매우 유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위령선 200 g, 2 ℓ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다시 2 ℓ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1 ℓ로 농축하였다. 여기에 동량의 수포화 n-부틸알코올을 가하여 3회 층분리 한 후 n-부틸알코올만을 모아 60 ∼ 70 ℃로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n-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0.2 ℓ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생약추출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이 11.5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2.0 ∼ 4.0 cm 정도로 세절된 천화분 200 g, 2 ℓ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다시 2 ℓ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1 ℓ로 농축하였다. 여기에 동량의 수포화 n-부틸알코올을 가하여 3회 층분리 한 후 n-부틸알코올만을 모아 60 ∼ 70 ℃로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n-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0.2 ℓ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생약추출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4-히드록시 벤조인산의 함량이 0.02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하고초 200 g, 2 ℓ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다시 2 ℓ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1 ℓ로 농축하였다. 여기에 동량의 수포화 n-부틸알코올을 가하여 3회 층분리 한 후 n-부틸알코올만을 모아 60 ∼ 70 ℃로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n-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0.2 ℓ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생약추출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로스마린산의 함량이 9.5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위령선 200 g, 2 ℓ의 물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다시 2 ℓ의 물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농축하고, 최종적으로 0.5 ℓ의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먼저 분말상태의 위령선 추출물을 얻었으며, 2.0 ∼ 4.0 cm 정도로 세절된 천화분과 잘 건조된 하고초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 동결건조하여 천화분 및 하고초 추출물을 각각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 추출물을 1: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에 균질하게 녹인 후 감압농축하고, 증발잔류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켜 동결 건조한 후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혼합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로스마린산의 함량이 0.2 중량%,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이 0.3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위령선 200 g, 2 ℓ의 물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다시 2 ℓ의 물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1 ℓ로 농축하였다. 여기에 동량의 수포화 n-부틸알코올을 가하여 3회 층분리 한 후 n-부틸알코올만을 모아 60 ∼ 70 ℃로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n-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0.2 ℓ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위령선 추출물을 얻었으며, 2.0 ∼ 4.0 cm 정도로 세절된 천화분과 잘 건조된 하고초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 동결 건조하여 천화분 및 하고초 추출물을 각각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에 균질하게 녹인 후 감압농축하고, 증발잔류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켜 동결 건조한 후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혼합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로스마린산의 함량이 5.8 중량%,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이 5.0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위령선 200 g, 2.0 ∼ 4.0 cm 정도로 세절된 천화분 350 g 및 잘 건조된 하고초의 250 g을 고루 섞은 후, 10 ℓ의 물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7 ℓ의 물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감압농축하였고, 최종적으로 2 ℓ의 물을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먼저 분말상태의 복합 생약추출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로스마린산의 함량이 0.5 중량%,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이 0.6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위령선 200 g, 2.0 ∼ 4.0 cm 정도로 세절된 천화분 400 g 및 잘 건조된 하고초의 200 g을 고루 섞은 후, 10 ℓ의 물을 가해 잘 교반하여 주면서 6 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7 ℓ의 물을 가해 3 시간 재 가온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5 ℓ로 농축하였다. 여기에 동량의 수포화 n-부틸알코올을 가하여 3회 층분리 한 후 n-부틸알코올만을 모아 60 ∼ 70 ℃로 생약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n-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1 ℓ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복합 생약추출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생약추출물을 HPLC에 의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로스마린산의 함량이 6.3 중량%,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이 5.2 중량% 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 디클로페낙으로 유발된 위점막 궤양 생성에 대한 단회 및 반복 경구투여 시의 실시예의 위궤양 치료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 7에 의해 제조된 엑스의 디클로페낙에 의해 급성으로 유발된 위점막 궤양 생성에 대한 치료작용을 시험하기 위하여, 위궤양 유발 동물 모델을 이용한 테스트를 다음의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방법 : 180 ∼ 200 g의 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계 쥐를 물은자유롭게 공급하면서, 24 시간동안 절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디클로페낙은 쥐(rat) 당 4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후 8 시간 후에 실시예 1 ∼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엑스를 쥐 1 kg당 500 mg, 2000 mg 씩 단회 투여로 경구투여하고 12 시간 후 쥐를 희생시켜 위를 적출한 후, 10% 포르말린을 이용하여 위조직을 고정하였다. 위는 대만부위를 따라 가위로 절개하여 위선부위 및 위점막 부위에 생성된 병변을 측정하였다.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위조직은 H&E 염색약을 이용하여 조직염색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조직의 궤양 및 미란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반복투여 시의 약물에 의한 효과의 극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디클로페낙을 쥐 당 4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후 8 시간 후에 실시예 1 ∼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엑스를 쥐 1 kg당 500 mg, 2000 mg 씩 경구투여하고 4일 동안 매 24 시간 마다 엑스를 경구투여 하였다. 마지막 경구투여 후 12 시간 후에 쥐을 희생시켜 위를 적출한 후, 10% 포르말린을 이용하여 위조직을 고정하였다. 위는 대만부위를 따라 가위로 절개하여 위선부위 및 위점막 부위에 생성된 병변을 측정하였다.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위조직은 H&E 염색약을 이용하여 조직염색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조직의 궤양 및 미란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된 위조직은 MIB-1 염색을 이용하여 조직염색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이 생성된 위점막의 상피세포를 관찰하였다.
이때, 실시예 7 투여 후 위점막 상피세포의 단위면적당 MIB-1 염색 평균 클러스터(cluster)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따른 실시예 7의 엑스는 궤양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 투여 후 위점막 조직의 전체(gross) 및 H&E 슬라이드(slide)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a)는 디클로페낙 투여 후의 위점막 조직의 전체 사진이고, (b)는 실시예 7 투여 후의 위점막 조직의 전체 사진이고, (c)는 디클로페낙 투여 후의 H&E 슬라이드 사진이고, (d)는 실시예 7 투여 후의 H&E 슬라이드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의 엑스를 투여한 후 위궤양 치료효과가 있음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유발된 위점막 궤양 및 미란에 대한 실시예 1 ∼ 7의 치료효과
실험군 궤양 지수(수) 궤양 지수(깊이) 궤양 지수(넓이) 궤양 범위
대조군 7.67 3.2 1.5 0.17
실시예 1 500 mg/kg 4.21 2.7 1.3 0.13
실시예 1 2000 mg/kg 3.95 2.6 1.2 0.07
실시예 2 500 mg/kg 3.45 2.5 1.2 0.15
실시예 2 2000 mg/kg 3.05 2.4 1.1 0.03
실시예 3 500 mg/kg 4.31 2.8 1.3 0.14
실시예 3 2000 mg/kg 4.02 2.6 1.2 0.07
실시예 4 500 mg/kg 3.05 2.5 1.2 0.16
실시예 4 2000 mg/kg 3.01 2.2 1.0 0.05
실시예 5 500 mg/kg 2.90 2.2 1.0 0.13
실시예 5 2000 mg/kg 2.75 2.2 1.0 0.00
실시예 6 500 mg/kg 3.03 2.6 1.1 0.16
실시예 6 2000 mg/kg 2.97 2.2 1.0 0.05
실시예 7 500 mg/kg 2.83 2.2 1.0 0.17
실시예 7 2000 mg/kg 2.67 2.2 1.0 0.00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디클로페낙에 의해 생성된 위점막 내 궤양 및 미란의 수(number), 깊이(depth), 넓이(width)의 정도를 감소하며 점막 조직의 손상을 보호함으로써 손상된 위궤양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위점막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손상된 점막의 회복을 가져오므로 위점막 치료 및 재생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디클로페낙 유발 위궤양 생성에 대한 실시예의 치료 시,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측정되는 염증 지표물질인 PGE 2 및 LTB 4 에 대한 감소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 7에 의해 제조된 엑스의 디클로페낙에 의해 급성으로 유발된 위점막 궤양 생성에 대한 치료작용을 시험 시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생성되는 염증 지표물질 PGE2및 LTB4에 대한 감소 효과 시험하기 위하여, 위와 동일한 동물 모델을 이용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방법 : 180 ∼ 200 g의 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계 쥐를 물은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24 시간동안 절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디클로페낙은 쥐 당 4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후 8 시간 후에 실시예 1 ∼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엑스를 쥐 1 kg당 500 mg, 2000 mg 씩 경구투여하고 4일 동안 매 24 시간마다 엑스를 경구투여 하였다. 마지막 경구투여 후 12 시간 후에 쥐를 희생시켜 심장에서 혈액을 분리하였으며 위조직을 적출하여 가위로 잘게 분쇄하였다. 추출한 혈액은 칼슘 ion ionopore인 A23187 10 μM을 넣어 37 ℃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반응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9000xg로 원심분리 하였으며 분리된 상층액을 추출하여 PGE2측정용 ELISA kit과 LTB4측정용 ELISA kit을 이용하여 각각을 측정하였다. 분리하여 잘게 분쇄된 위점막 조직은 조직 분쇄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분쇄 시켰으며 이때, 10 m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를 이용하여 현탁(suspension) 하였다. 미세 분쇄된 조직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9000xg로 원심분리 시켰으며 상층액을 추출하여 PGE2측정용 ELISA kit과 LTB4측정용 ELISA kit을 이용하여 각각을 측정하였다.
유발된 위점막 궤양 및 미란에 대한 실시예 1 ∼ 7의 PGE2및 LTB4에 대한감소 효과
실험군 혈액 내 PGE2 혈액 내 LTB4 위점막 조직 내 PGE2 위점막 조직 내 LTB4
대조군 100 100 100 100
실시예 1 500 mg/kg 114 93 119 43
실시예 1 2000 mg/kg 121 79 126 41
실시예 2 500 mg/kg 118 88 119 38
실시예 2 2000 mg/kg 132 72 130 37
실시예 3 500 mg/kg 111 95 115 45
실시예 3 2000 mg/kg 118 84 122 43
실시예 4 500 mg/kg 111 88 115 40
실시예 4 2000 mg/kg 129 77 119 39
실시예 5 500 mg/kg 118 84 122 35
실시예 5 2000 mg/kg 136 67 137 33
실시예 6 500 mg/kg 107 91 111 39
실시예 6 2000 mg/kg 129 77 119 38
실시예 7 500 mg/kg 121 86 119 34
실시예 7 2000 mg/kg 139 67 141 33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디클로페낙에 의해 생성된 염증 지표물질 중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LTB4의 양을 감소 시켜 염증반응을 조절하며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PGE2의 양을 소량 증가시킴으로 위점막 재생에 영향을 주어 위궤양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디클로페낙으로 위점막 궤양 생성 시 실시예 ip(복강 내) 투여에 의한 위궤양 생성 억제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 7에 의해 제조된 엑스의 디클로페낙에 의해 급성으로 유발되는 위점막 궤양 생성에 대한 궤양 생성 억제작용을 시험하기 위하여 위와 동일한 동물 모델을 이용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방법 : 180 ∼ 200 g의 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계 쥐를 물은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24 시간동안 절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디클로페낙은 쥐 당 4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이때 동시에 실시예 1 ∼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엑스를 쥐 1 kg당 62.5 mg, 125 mg씩 ip 투여하고 8 시간 이 후에 rat을 희생시켜 위를 적출한 후, 10% 포르말린을 이용하여 위조직을 고정하였다. 위는 대만부위를 따라 가위로 절개하여 위선부위 및 위점막 부위에 생성된 병변을 측정하였다.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위조직은 H&E 염색약을 이용하여 조직염색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조직의 궤양 및 미란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된 위조직은 MIB-1 염색을 이용하여 조직염색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이 생성된 위점막의 상피세포를 관찰하였다.
이때, 실시예 7 투여 후 위점막 상피세포의 단위면적당 MIB-1 염색 평균 클러스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의 엑스는 위점막 궤양생성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7 투여 후 위점막 조직의 전체(gross) 및 H&E 슬라이드(slide)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a)는 디클로페낙 투여 후의 전체 사진이고, (b)는 실시예 7 투여 후의 전체 사진이고, (c)는 디클로페낙 투여후의 H&E 슬라이드 사진이고, (d)는 실시예 7 투여 후의 H&E 슬라이드 사진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의 엑스를 투여한 후 위점막 궤양생성이 억제됨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위점막 궤양 생성시 실시예 1 ∼ 7에 의한 위궤양 생성 억제 효과
실험군 궤양 지수(수) 궤양 지수(깊이) 궤양 지수(넓이) 궤양 범위
대조군 2.83 0.83 0.67 0.51
실시예 1 62.5 mg/kg 2.67 0.59 0.20 0.25
실시예 1 125 mg/kg 2.50 0.45 0.08 0.10
실시예 2 62.5 mg/kg 2.62 0.57 0.15 0.17
실시예 2 125 mg/kg 2.43 0.40 0.05 0.03
실시예 3 62.5 mg/kg 2.70 0.63 0.35 0.28
실시예 3 125 mg/kg 2.54 0.50 0.15 0.15
실시예 4 62.5 mg/kg 2.65 0.58 0.14 0.19
실시예 4 125 mg/kg 2.42 0.42 0.05 0.07
실시예 5 62.5 mg/kg 2.51 0.50 0.00 0.11
실시예 5 125 mg/kg 2.35 0.35 0.00 0.01
실시예 6 62.5 mg/kg 2.61 0.60 0.16 0.19
실시예 6 125 mg/kg 2.49 0.45 0.07 0.06
실시예 7 62.5 mg/kg 2.50 0.50 0.00 0.12
실시예 7 125 mg/kg 2.33 0.33 0.00 0.01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디클로페낙에 의해 유발되는 위점막 궤양 및 미란의 생성을 억제하며 수, 깊이 및 넓이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위점막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서 약물에 의한 위 손상을 억제하여주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디클로페낙으로 위점막 궤양 유발에 대한 실시예 ip 투여에 의한 위궤양 생성 억제 시,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측정되는 염증 지표물질인 PGE 2 및 LTB 4 에 대한 감소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 7에 의해 제조된 엑스의 디클로페낙에 의해 급성으로 유발된 위점막 궤양 생성에 대한 궤양 유발 억제작용 시험 시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생성되는 염증 지표물질 PGE2및 LTB4에 대한 감소 효과 시험하기 위하여, 위와 동일한 동물 모델을 이용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방법: 180 ∼ 200 g의 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계 쥐를 물은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24 시간동안 절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디클로페낙은 쥐 당 4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이때 동시에 실시예 1 ∼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엑스를 쥐 1 kg당 62.5 mg, 125 mg 씩 ip투여하고 8 시간 후에 쥐를 희생시켜 심장에서 혈액을 분리하였으며 위조직을 적출하여 가위로 잘게 분쇄하였다. 추출한 혈액은 칼슘 ion ionopore인 A23187 10 μM을 넣어 37 ℃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반응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9000xg로 원심분리 하였으며 분리된 상층액을 추출하여 PGE2측정용 ELISA kit과 LTB4측정용 ELISA kit을 이용하여 각각을 측정하였다. 분리하여 잘게 분쇄된 위점막 조직은 조직 분쇄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분쇄 시켰으며 이때, 10 m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를 이용하여 현탁하였다. 미세 분쇄된 조직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9000xg로 원심분리 시켰으며 상층액을 추출하여 PGE2측정용 ELISA kit과 LTB4측정용 ELISA kit을 이용하여 각각을 측정하였다.
위점막 궤양 유발에 대한 실시예 1 ∼ 7에 의한 위궤양 생성 억제시PGE2및 LTB4에 대한 감소 효과
실험군 혈액 내 PGE2 혈액 내 LTB4 위점막 조직 내 PGE2 위점막 조직 내 LTB4
대조군 100 100 100 100
실시예 1 62.5 mg/kg 71 88 39 81
실시예 1 125 mg/kg 61 77 22 66
실시예 2 62.5 mg/kg 61 83 25 66
실시예 2 125 mg/kg 50 73 11 56
실시예 3 62.5 mg/kg 79 90 44 84
실시예 3 125 mg/kg 68 81 24 72
실시예 4 62.5 mg/kg 68 83 25 69
실시예 4 125 mg/kg 57 75 12 63
실시예 5 62.5 mg/kg 57 88 24 66
실시예 5 125 mg/kg 43 67 4 56
실시예 6 62.5 mg/kg 64 81 26 69
실시예 6 125 mg/kg 54 75 11 59
실시예 7 62.5 mg/kg 57 85 24 66
실시예 7 125 mg/kg 39 69 5 53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디클로페낙에 의해 생성된 염증 지표물질 중 혈장 및 위점막 조직 내에서 PGE2및 LTB4의 양을 감소 시켜 염증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위궤양 유발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령선, 천화분 및/또는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본 발명은 디클로페낙 유발 위점막 궤양, 미란의 치료 효과 및 생성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위장보호제로 유용하다.

Claims (10)

  1.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 추출물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전체 추출물에 대하여 로스마린산이 0.1 ∼ 10.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전체 추출물에 대하여 올레아놀린산이 0.2 ∼ 15.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전체 추출물에 대하여 4-히드록시 벤조인산이 0.01 ∼ 0.1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5. 상기 청구항 1 내지 4에서 선택된 생약조성물이 위장보호 및 위궤양 치료의 지표성분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보호제가 정제, 경구용 연질캅셀제, 연고제, 주사제 또는 패취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또는 연질캅셀제에는 생약조성물이 150 ∼ 12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에는 생약조성물이 50 ∼ 4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고제에는 생약조성물이 300 ∼ 24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취제에는 생약조성물이 150 ∼ 1200 mg/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보호제.
KR1020030023872A 2003-04-16 2003-04-16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KR10102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872A KR101026524B1 (ko) 2003-04-16 2003-04-16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872A KR101026524B1 (ko) 2003-04-16 2003-04-16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994A true KR20040089994A (ko) 2004-10-22
KR101026524B1 KR101026524B1 (ko) 2011-04-01

Family

ID=3737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872A KR101026524B1 (ko) 2003-04-16 2003-04-16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09A2 (ko) * 2009-06-19 2010-12-23 삼일제약주식회사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171740A1 (ko) * 2013-04-17 2014-10-2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세클로페낙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04435187A (zh) * 2014-10-08 2015-03-25 曹从越 一种治愈胃寒疼痛的中药配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91A (zh) 1994-12-28 1996-07-03 刘继先 胃平
CN1139570A (zh) 1996-03-13 1997-01-08 王连俊 胃痛贴膏
KR100599934B1 (ko) * 1998-12-22 2006-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0957C (zh) * 1999-07-22 2002-09-18 王长杰 胃病脐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09A2 (ko) * 2009-06-19 2010-12-23 삼일제약주식회사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0147309A3 (ko) * 2009-06-19 2011-04-21 삼일제약주식회사 광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171740A1 (ko) * 2013-04-17 2014-10-2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세클로페낙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04435187A (zh) * 2014-10-08 2015-03-25 曹从越 一种治愈胃寒疼痛的中药配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524B1 (ko) 201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8536B2 (ja) 調合した薬用植物から生物学的に有効な成分を抽出し及び精製する方法、並びにそれらの抽出組成物
US8652537B2 (en) Herbal drug composition for cartilage protection
KR101609535B1 (ko) 쿠커비타신 b의 함량이 감소된 관절염 치료 및 관절 보호용 생약조성물
US2008008533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and Use Thereof
KR20100103305A (ko)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26524B1 (ko) 위장보호용 생약조성물
KR100847440B1 (ko)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복합 생약제
CA2255668C (en) Purified extract of harpagophytum procumbens and/or harpagophytum zeyheri denc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5231244B2 (ja) 胃炎または胃潰瘍の予防及び治療に有用なモクベツシ抽出物及びこれから分離されたモモルディカ・サポニンi
KR20140137796A (ko)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0315001B1 (ko) 장생도라지추출물을포함하는당뇨병치료용한방제제
KR20110021844A (ko) 매실나무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에서의 응용
KR20070099126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미역 추출물
JP2009520020A5 (ko)
KR20030082764A (ko) 관절조직 보호 작용을 갖는 생약조성물
KR101093731B1 (ko) 맥문동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58733B1 (ko) 관절 보호용 과루근 생약조성물
EP2554179B1 (en) Composition based on a vegetable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inflammatory forms, in particular psoriasis.
KR20030021714A (ko) 독성이 없이 추출된 생약추출물이 복합처방된 생약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093729B1 (ko) 매화노루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90095974A (ko) 관절보호용 생약복합 조성물
KR20030082763A (ko) 관절조직 보호 작용을 갖는 생약조성물
KR20040028020A (ko)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장의항섬유화제
RO125279B1 (ro) Procedeu de preparare a unor complecși bioactivi din herba hedera helixș\ produs medicamentos pentru utilizarea în terapia antitumoral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