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210A -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210A
KR20040088210A KR1020030022330A KR20030022330A KR20040088210A KR 20040088210 A KR20040088210 A KR 20040088210A KR 1020030022330 A KR1020030022330 A KR 1020030022330A KR 20030022330 A KR20030022330 A KR 20030022330A KR 20040088210 A KR20040088210 A KR 20040088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er arm
vehicle body
mounting bracke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210A/ko
Publication of KR2004008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현가장치의 차체마운팅브라켓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로어암에 접촉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된 탄성수단을 추가로 마련하여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및 대변위 발생시 현가장치가 각기 다른 완충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럿(500)이 연결된 너클(400)의 일측단부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과; 상기 로어암(100)의 타측단부를 차체(600)에 힌지 고정시키는 차체마운팅브라켓(200)과;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대변위 발생시 타측 자유단이 로어암(100)에 접촉하는 탄성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를 개선하여 차체마운팅브라켓에 로어암과 접촉 가능한 탄성수단을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및 대변위 발생시 각 변위 구간에 따라 현가장치가 각기 다른 완충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탑승객의 승차감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Mc pherson type suspension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현가장치의 차체마운팅브라켓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로어암에 접촉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된 탄성수단을 추가로 마련하여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및 대변위 발생시 현가장치가 각기 다른 완충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및 대변위 발생시 각 변위 구간에 따라 현가장치가 각기 다른 완충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탑승객의 승차감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서스펜션을 지칭하며,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저버,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현가장치는 조종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양호한 핸들링 특성을 살리고, 운전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극대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현가장치가 연구개발 및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는 스트럿(500)이 연결된 너클(400)의 일측단부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과; 상기 로어암(100)의 타측단부를 차체(600)에 힌지 고정시키는 차체마운팅브라켓(20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400)에 차축(미도시) 및 차륜(미도시)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너클(400)의 상측에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럿(500)이 체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럿(500)의 중단에는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가 마련되어 있어, 이러한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가 차륜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로어암(100)의 일측은 상기 너클(400)에 힌지 체결되어 있는 동시에, 타측은 차체(600)에 차체마운팅브라켓(200)을 통하여 힌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중 차륜에 충격이 가해지면, 차륜이 고정된 너클(400)이 상하로 승강하게 되며, 이러한 너클(400)의 승강을 차체에 연결된 스트럿(500)의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가 흡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너클(400)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도 차체마운팅브라켓(20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되면서, 차량 주행중 차륜을 통하여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는 단순히 스트럿에 마련된 코일스프링과 쇽업저버에 의하여 완충특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소변위 및 대변위가 발생하게 되어도 획일적인 완충특성을 나타내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를 개선하여 차체마운팅브라켓에 로어암과 접촉 가능한 탄성수단을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및 대변위 발생시 각 변위 구간에 따라 현가장치가 각기 다른 완충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탑승객의 승차감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트럿이 연결된 너클의 일측단부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과; 상기 로어암의 타측단부를 차체에 힌지 고정시키는 차체마운팅브라켓과;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대변위 발생시 타측 자유단이 로어암에 접촉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완충특성을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어암 200 : 차체마운팅브라켓
300 : 탄성수단 310 : 완충부재
400 : 너클 500 : 스트럿
510 : 코일스프링 520 : 쇽업저버
600 : 차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완충특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스트럿(500)이 연결된 너클(400)의 일측단부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과; 상기 로어암(100)의 타측단부를 차체(600)에 힌지 고정시키는 차체마운팅브라켓(200)과;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대변위 발생시 타측 자유단이로어암(100)에 접촉하는 탄성수단(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300)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수단(300)의 타측 자유단에는 완충부재(31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400)에 차축(미도시) 및 차륜(미도시)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너클(400)의 상측에는 차체(600)에 고정된 스트럿(500)이 체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럿(500)의 중단에는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가 마련되어 있어, 이러한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가 차륜으로부터 차체(6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로어암(100)의 일측은 상기 너클(400)에 힌지 체결되어 있는 동시에, 타측은 차체(600)에 차체마운팅브라켓(200)을 통하여 힌지 체결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수단(300)의 일측단부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300)의 타측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부재에 체결되어 있지 않고, 단지 그 단부에 고무 등과 같은 완충부재(310)가 마련되어 있어, 차체(600)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이 일정각도 이상 회동함에 따라 상기 로어암(100)이 상기 탄성수단(300)의 자유단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중 차륜에 충격이 가해지면, 차륜이 고정된 너클(400)이 상하로 승강하게 되며, 이러한 너클(400)의 승강을 차체(600)에 연결된 스트럿(500)의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가 흡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너클(400)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도 차체마운팅브라켓(20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되면서, 차량 주행중 차륜을 통하여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600)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게 되며,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마련된 탄성수단(300)은 상기 로어암(100)이 소변위에 의하여 일정각도 이내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별다른 작용을 하지 않게 되고, 상기 로어암(100)이 대변위에 의하여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였을 때, 상기 로어암(100)과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수단(300)도 함께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발생시와 대변위 발생시를 각각 구분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 주행중 차륜에 비교적 작은 충격이 전달되었을 경우, 즉, 소변위 발생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이 고정된 너클(400)이 상하로 승강하게 되어, 상기 너클(400)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도 차체마운팅브라켓(20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내에서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마련된 탄성수단(300)이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차량 주행중 차륜을 통하여 전달된 충격을 스트럿(500)의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만이 흡수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기울기를 갖는 k1의 완충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반대로, 차량 주행중 차륜에 비교적 큰 충격이 전달되었을 경우, 즉, 대변위 발생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이 고정된 너클(400)이 상하로 승강하게 되어, 상기 너클(400)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100)도 차체마운팅브라켓(20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마련된 탄성수단(300)이 상기 로어암(100)에 접촉하게 되어, 차량 주행중 차륜을 통하여 전달된 충격을 스트럿(500)의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 뿐만 아니라,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추가로 형성된 탄성수단(300)이 함께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한 기울기를 갖는 k1+k2의 완충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300)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스트럿(500)의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와 함께 차륜으로부터 차체(6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300)의 단부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310)를 추가로 마련하여, 로어암(100)과의 접촉시 마모나 충격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는 종래에 단순히 스트럿(500)에 마련된 코일스프링(510)과 쇽업저버(520)에 의하여 획일화된 완충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결점을 보완하여, 차체마운팅브라켓(200)에 추가로 마련된 탄성수단(300)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대변위가 발생시에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소변위 및 대변위에 따라 이원적으로 완충특성이 나타나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상태에 적합한 완충특성을 얻을 수 있어 탑승객의 승차감 및 차량의 상품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를 개선하여 차체마운팅브라켓에 로어암과 접촉 가능한 탄성수단을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소변위 및 대변위 발생시 각 변위 구간에 따라 현가장치가 각기 다른 완충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탑승객의 승차감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스트럿이 연결된 너클의 일측단부에 힌지 체결된 로어암과;
    상기 로어암의 타측단부를 차체에 힌지 고정시키는 차체마운팅브라켓과;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대변위 발생시 타측 자유단이 로어암에 접촉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의 타측 자유단에는 완충부재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KR1020030022330A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KR20040088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30A KR20040088210A (ko)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30A KR20040088210A (ko)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210A true KR20040088210A (ko) 2004-10-16

Family

ID=3737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330A KR20040088210A (ko)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05A (ko) * 2018-07-16 2020-0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405A (ko) * 2018-07-16 2020-0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0088210A (ko)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20090052045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너클
KR10030585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316889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316890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20040106113A (ko) 차량의 토션빔액슬형 현가장치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8295114A (ja) 車両の後輪懸架装置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313789B1 (ko) 자동차의후륜현가장치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20030006654A (ko) 자동차 현가 장치의 범프 스토퍼
KR200260362Y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0139750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199900243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40099784A (ko) 차량의 링크타입 위시본형 현가장치
JP2002347419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040088204A (ko) 차량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