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012A -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012A
KR20040087012A KR1020030021236A KR20030021236A KR20040087012A KR 20040087012 A KR20040087012 A KR 20040087012A KR 1020030021236 A KR1020030021236 A KR 1020030021236A KR 20030021236 A KR20030021236 A KR 20030021236A KR 20040087012 A KR20040087012 A KR 2004008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
longitudinal member
supporting member
reinforc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겸
임종현
김동석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7012A/ko
Publication of KR2004008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0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승합차가 전방 충돌을 하게 되면 종부재가 변형되는데 이때 종부재의 전방부가 상측으로 구부러지면서 승객실의 변형을 더욱 가중시킴에 따라 승객의 부상을 더욱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합차용 종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부재(100)의 전방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부(111)가 형성된 고정브라켓(11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안착부에 "┗┛" 형태의 받침부재(120) 양단을 각각 고정시키며, 상기 받침부재(120)에는 받침부재(120)의 길이 및 형상과 상응하는 보강파이프 (130)가 놓여져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승합차가 전방충돌을 하는 경우 종부재 (100) 전방부가 받침부재(120)와 보강파이프(130)에 의해 충분히 보강됨에 따라 종부재(100)의 심한 구부러짐을 완하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종부재(100) 전방부의 구부러짐에 의해 승객실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Support structure of length frame for van}
본 발명은 승합차에 설치된 종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프레임의 역활을 수행하는 종부재의 강성을 더욱 보강시켜 차량 충돌시 종부재의 변형에 따라 승객실이 크게 변형되면서 승객의 상해가 더욱 가중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한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에는 자동차의 종류, 용도, 구동방식 및 기관이나 현가장치의 설치위치 등에 의하여 보통프레임과 특수프레임과 일체구조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보통프레임에는 버스나 트럭에 많이 사용되고 2개의 사이드멤버에 여러개의 크로스맴버를 접합하여 사디리꼴 모양을 하고 있는 간단한 구조의 H형 프레임과, 승용차에 주로 사용되며 굽음이나 비틀림에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고 프레임 전체의 비틀림 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인 X형 프레임이 있다.
그리고 특수프레임에는 자동차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차의 중심을 낮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레임으로서 1개의 굵은 강관이나 "ㅁ" 형이나 "I" 형 단면으로 된 등뼈를 가지며 이것에 기관이나 차체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등이 고정되어 있는 백본형 프레임과, 프레임과 차체의 바닥을 일체로 만든 것으로서 "H" 형 프레임과 비슷하나 차체와 조합되면 상자형의 단면이 되어 차체와 함께 비틀림이나 굽음에 대해 큰 강성을 나타내는 플랫폼형 프레임과, 스페이스 프레임이라고도 하며 강관을 용접하여 트러스 구조로 형성한 것으로서 중량이 가볍고 강성이 있으므로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자동차에 사용하나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트러스형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일체구조형은 프레임과 차체를 일체로 구조한 것이며 세로맴버나 가로맴버를 두지 않고 차체 전체로 하중이 분담되도록 한 것으로서 차체의 중량을 줄일수 있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승합차의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종부재(10)가 프레임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며 상기 종부재(10)의 상부에는 시트(30)가 설치되는 승객실(2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승합차가 전방 충돌을 하게 되면 종부재(10)가 변형되는데 이때 종부재(10)와 승객실(20)이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종부재(10)의 앞부분이 승객실(20)이 위치하고 있는 상측으로 완전히 구부러지면서 승객실(20)을 크게 변형시킴에 따라 승객의 상해치가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합차의 종부재를 보강시켜 승합차가 전방 충돌을 하는 경우 종부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부재의 변형에 의한 승객실의 변형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차의 종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부재의 앞부분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설치학고, 상기 양쪽 고정브라켓에는 "┗┛" 형태의 받침부재 양단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받침부재에는 보강파이프가 놓여져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승합차 종부재의 전방부가 받침부재와 보강파이프에 의해보강됨에 따라 승합차가 전방충돌을 하는 경우 종부재의 구부러짐이 충분히 완화되면서 종부재의 구부러짐에 따른 승객실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승합차용 종부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종부재가 전방충격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종부재 110 : 고정브라켓
111 : 안착부 120 : 받침부재
130 : 보강파이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합차의 종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부재(100)의 앞부분 일측과 상기 일측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타측에 안착부(111)가 형성된 고정브라켓(11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쪽 고정브라켓(110)에는 "┗┛" 형상을 가지는 받침부재(120) 일단과 끝단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받침부재(120)의 내부에는 보강파이프(130)를 고정시켜 구성한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역할을 하고 있는 승합차의 종부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부재(100) 전방부의 강성을 더욱 크게 구성함에 따라 승합차의 전방충돌시 종부재(100)의 구부러짐을 최대한 감소시켜 구부러지는 종부재(100)의 전방부에 의해 승객실의 변형이 더욱 가중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종부재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승객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종부재(100) 전방부의 일측과 상기 일측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타측에 각각 안착부(111)가 구비되어 있는 대칭형상의 고정브라켓(110)을 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두고,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110)에는 받침부재 (12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종부재(100)의 전방부를 살펴보면 단면형상이 "┗┛" 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는 응력의 분산 등을 고려하여 직선형태가 아닌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상기 종부재(100)의 내부에 놓여져 고정되는 받침부재(120) 또한 종부재(100)의 전방부 형상과 상응하게 구부러져야 하지만 상기와 종부재(100)를 굽힘을 최대한 보강해주기 위해서는 받침부재(120)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최대한 직선의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20)에는 보강파이프(130)가 고정될수 있도록 받침부재 (120)의 단면형상을 상기 종부재(100)의 단면크기 보다 작은 "┗┛"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며, 보강파이프(130)는 상기 받침부재(120)의 길이 및 형상과 상응한 형태로 제작된 후 받침부재(120)의 내부에 놓여진 다음 용접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승합차가 전방충돌을 하는 경우 종부재(100)의 전방부가 그 위쪽 공간에 의해 상측을 향해 구부러지게 되면서 승객실의 변형시키게 되는데, 이때 종부재(100)의 전방부가 상기 받침부재(120)와 보강파이프(130)의 저항을 받아 최대한 적게 구부러지면서 그만큼 승객실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승합차의 종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승합차의 승객실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종부재 강성이 받침부재와 보강파이프에 의해 더욱 견고해짐에 따라 승합차의 전방충돌시 종부재의 꺽임이 최대한 완화되면서 종부재에 의해 승객실이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객실이 변형되면서 승객에게 가해지는 부상의 정도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승합차의 종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종부재(100)의 전방부 일측과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
    일단과 타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안착부(111)에 각각 고정되는 받침부재(120);
    상기 받침부재(120)와 상응한 길이와 형상을 가지면서 받침부재(120)의 내부에 놓여져 고정되는 보강파이프(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부재(120)의 단면구조를 상부가 개방된 "┗┛" 자 형태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KR1020030021236A 2003-04-04 2003-04-04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KR20040087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236A KR20040087012A (ko) 2003-04-04 2003-04-04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236A KR20040087012A (ko) 2003-04-04 2003-04-04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012A true KR20040087012A (ko) 2004-10-13

Family

ID=3736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236A KR20040087012A (ko) 2003-04-04 2003-04-04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70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8457A (en) Structural member of vehicle body
JP5453817B2 (ja) タンク搭載車体後部構造
US9085329B2 (en) Automotive rear vehicle body structure
US8002064B2 (en) Frame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JP4121461B2 (ja) 自動車両
US2002016720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0999232A (zh) 车体后部构造
WO2006075804A1 (ja) 車体の前部構造
EP3050782B1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vehicle
US7520563B1 (en) Vehicle equipped with passenger frame having small height from ground
JP6973327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20100171339A1 (en) Support Element for a Cockpit Beam
JP2006298021A (ja) 自動車のルーフ補強構造
CN110341801A (zh) 车辆骨架构造
KR20040087012A (ko) 승합차용 종부재의 보강구조
JP2009280106A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JP2009012634A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8302911A (ja) 車体構造
JP6958375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22030065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2003002234A (ja) 自動車のセンターピラー構造
KR20040087013A (ko) 승합차용 종부재의 충격흡수구조
JP2022030062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050061679A (ko)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100342608B1 (ko) 보강부재를 가지는 자동차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