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097A -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 - Google Patents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097A
KR20040086097A KR1020030062496A KR20030062496A KR20040086097A KR 20040086097 A KR20040086097 A KR 20040086097A KR 1020030062496 A KR1020030062496 A KR 1020030062496A KR 20030062496 A KR20030062496 A KR 20030062496A KR 20040086097 A KR20040086097 A KR 2004008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supply
level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7656B1 (ko
Inventor
묘기게이이찌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식 직기의 정(定)수위 저수장치는 탱크 내의 필터나 순환경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필터로 칸막이되어 있는 탱크로서 상기 탱크 내의 수위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정수위 장치를 갖는 탱크와, 위사 삽입되는 위사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출수구를 지나는 물흐름에 의해 소정의 위치까지 운반하고, 상기 입수구에 공급하는 순환경로와, 상기 정수위 장치와는 별도로, 순환경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경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Constant Level Water Storage Apparatus for Water Jet Loo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물 분사식 직기와 같은 유체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위사 삽입에 의해 생긴 위사단을 운반하는 물흐름을 순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유체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위사는 경사의 개구에 위사 삽입되고, 이어서 바디치기되고, 그 후 위사의 선단부를 커터에 의해 직물로부터 잘라낸다. 이 때문에, 유체 분사식 직기는 일반적으로 직물로부터 잘린 위사단을 회수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그와 같은 위사단 회수장치의 하나로서, 직물로부터 잘린 위사단을 물흐름을 이용하는 반송장치에 의해 반송하고, 물과 함께 회수용기에 떨어뜨림으로써 회수 저류장치에 회수하고, 회수용기에 흘러 떨어진 물흐름을 탱크에 저수하고, 탱크 내의 물을 펌프 등의 순환장치에 의해, 다시 반송장치에 공급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개평10-195739호 공보 참조).
이 위사단 회수장치는, 반송장치에서 이용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경로를 갖고 있다. 탱크는 그 저수량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도록,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높이 레벨에 의해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를 갖는다(예를 들어, 특개소61-59683호 공보 참조). 플로트 밸브는 플로트의 높이 레벨이 예를 들어 물이 튀어 내려가면, 외부에서 탱크에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탱크의 저수량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한다.
상기 위사단 회수장치에 있어서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경로를 갖지만, 물이 거의 튀지 않기 때문에, 탱크의 저수량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적다. 또한, 위사에 부착해 있는 유제(油劑)나 풀 등은 위사단을 반송 또는 회수할 때에 물흐름에 의해 떨어져, 물흐름에 혼입, 용해한다.
따라서, 순환경로를 흐르는 물은, 유제나 풀 등의 혼입, 용해의 정도가 높아지고, 그것들이 순환경로 내에 퇴적하거나, 탱크 내의 필터의 눈 막힘이나 호스의 오염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순환하는 수량이 적어지고, 위사의 반송력 부족 또는 위사 절단시의 위사 장력부족에 의한 절단 미스가 증가하고, 그 결과 직기가 멈추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내의 필터나 순환경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단 수용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수직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탱크의 일부를 생략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탱크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탱크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위사단 처리장치 11: 위사단 지지장치
12: 위사단 수용장치 13: 정(定)수위 저수장치
14: 경사 16: 바디
18: 직물 20: 위사 포착 블라켓
22: 슬릿 24: 방출수로
26: 배출수로 28, 34: 파이프
30: 탱크 32: 펌프
36: 입수구 38: 필터
40: 출수구 42, 88, 96: 호스
44: 수용조 46: 직기의 프레임
50: 수용조의 구멍 52: 지지 베이스
54: 회전대 64: 전동기
82: 정(定)수위 장치 84: 필터의 보강부재
86: 터미널 90: 분지로
92: 접속로 94: 전자밸브
98: 공급 파이프 100: 접속부재
102: 배출구 106: 급수 파이프
110: 밸브 본체 112: 밸브본체 접동구멍
114: 플로트(float) 116, 120: 추축(樞軸)
118: 암 122: 급수구
124: 암의 볼록부(凸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위 저수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필터로 칸막이되어 있는 탱크로 상기 탱크 내의 수위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정수위 장치를 갖는탱크와, 위사 삽입된 위사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출수구를 지나는 물흐름에 의해 소정의 위치까지 운반하고, 상기 물흐름을 상기 입수구에 공급하는 순환경로와, 상기 정수위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순환경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를 포함한다.
순환경로의 물과 다른 물이 물 공급로로부터 탱크에 공급되고, 정수위 장치에 의해 탱크 내의 수위가 유지되기 때문에, 공급된 거의 같은 양의 물이 유제나 풀과 함께 탱크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탱크 내의 저수량에 대한 탱크 내의 유제나 풀의 혼입, 용해량의 비율이 감소한다. 그 결과, 필터 및 순환경로 내의 유제나 풀의 퇴적이 방지된다.
상기 정수위 장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높이 레벨에 의해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를 갖는 급수로와, 상기 탱크에 배치된 배수구로 상기 소정의 수위를 넘은 상기 탱크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에 의해, 탱크 내의 표면 근방의 물은 그 물의 교반 효과에 의해 상승한 유제나 풀 등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물 공급로는, 상기 필터에 의해 칸막이된 상기 탱크 내의 영역으로 상기 출수구가 개방하는 영역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제직하고 있을 때의 정수위 저수장치는 탱크 내의 물을 출수구로부터 순환경로에 흡인하여 입수구에 공급한다. 이 때문에, 탱크 내의 물은 필터의 입수구 쪽에서 출수구 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탱크 내의 유제나 풀은 필터의 입수구 쪽에 부착한다. 특히, 직기 정지 시에는 물 공급로로부터 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제직하고 있을 때의 물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필터의 출수구 쪽에서 입수구 쪽으로 이동하여, 유제나 풀을 필터로부터 효율 좋게 떼어낸다.
게다가, 정수위 저수장치는, 소정 기간에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소정 기간으로는, 직기의 기동 시부터 소정 시간까지, 직기 정지 시부터 소정 시간까지, 또는 직기가 정지된 때부터 제1의 소정 기간 경과 후에 개시되어 그 후 제2의 소정 기간까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로로의 물의 공급량을 제어해도 좋다.
물을 물 공급로로부터 순환경로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소정 기간을 직기 기동 시부터 소정 시간으로 하면, 이 소정 시간은, 출수구로부터 탱크 내의 물이 단번에 빨려 올라가 탱크 내의 수위가 급격하게 내려가고, 특히 플로트 형식에서는 플로트가 올라갔을 때의 플로트 밸브의 개방이 늦고, 필터에는 유제, 풀이 부착해 있는 일 등으로, 탱크 내의 수량, 특히 출수구가 개방해 있는 영역의 수량이 부족한 기간에 상당한다. 따라서, 상기 소정 시간에 물을 물 공급로로부터 순환경로에 공급함으로써, 공기가 출수구로부터 순환경로에 물과 함께 들어가는 공기 맞물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물 공급로로부터의 단위시간당 물 공급량을 펌프의 단위시간당 물 흡인량 보다도 많게 하면, 필터의 눈 막힘에 의한 출수구 쪽으로의 탱크 내의 물의 이동이 느린 경우에도, 공기 맞물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직기 기동 시에는, 입수구에 순환수가 되돌아 올 때까지의 시간 이상(통상은 30초에서 2분 정도), 최대로 약 10분 이내 물을 공급한다.
직기가 가동하고 있을 때는, 출수구에서 탱크 내의 물을 흡인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 내에는 입수구가 개방해 있는 쪽에서 출수구가 개방해 있는 쪽으로 필터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물에 혼입, 용해해 있는 유제나 풀 등은 필터에 퇴적하고, 필터로부터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기간을 직기 정지 시부터 소정 시간까지 하면, 이 기간에는 그와 같은 탱크 내의 물의 흐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유제나 풀 등이 필터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직기 정지 시에는 통상 2분에서 3분 정도 물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소정 기간은 탱크 용량, 단위시간당 물 공급량에 따라 다르다.
물 공급로의 물 출구는 필터로 향해져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필터에 부착한 유제나 풀 등은 그 물 흐름에 의해 떨어진다.
상기 탱크 내의 물과 다른 물이 상기 물 공급로에 공급되어, 탱크 내의 물에 혼입, 용해해 있는 유제나 풀은 적어진다. 또한, 탱크 내의 물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탱크 내의 물에 혼입, 용해해 있는 유제나 풀은 물과 함께 탱크 밖으로 배출된다.
특히, 정수위 장치는 직기 정지 시에 물을 탱크 내로 계속해서 공급함으로써, 탱크 내의 물을 모두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로로의 물의 공급은, 가동률이 좋고 직기의 정지가 적은 경우, 직기의 운전 중에 간헐적으로 행해져도 좋다. 이 경우, 단위시간당 예를 들어 1시간에 2분 정도 물을 공급해도 좋고, 소정 피크(직기의 주축의 회전회수)마다 소정의 피크기간 물을 공급해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1에서 도4를 참조하면, 위사단 처리장치(10)는 물 분사식 직기에 적용되어 있다. 이 위사단 처리장치(10)는 위사 삽입된 위사의 선단부를 구속·지지하는 위사단 지지장치(11)와, 절단된 위사단을 수용하는 위사단 수용장치(12)와, 절단된 위사단의 반송에 이용하는 물을 공급하는 정수위 저수장치(13)를 포함한다.
위사단 처리장치(10)의 순환경로는, 후술하는 파이프(28), 파이프(34), 호스(42), 수용조(44), 정수위 저수장치(13)도 포함된다.
물 분사식 직기는, 위사(도시하지 않음)를 압력수에 의해 위사 삽입 노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경사(14)의 개구에 위사 삽입하고, 위사 삽입된 위사의 선단부를 위사단 지지장치(11)에 의해 구속·지지하고, 그 상태로 위사를 바디(16)에 의해 직전(織前)에 바디치기하여, 직물(18)을 형성한다. 바디치기된 위사의 선단부는 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직물(18)로부터 절단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이 형성된다.
위사단 지지장치(11)는, 위사의 선단부를 포착하는 블록형상의 위사 포착 블라켓(20)을 포함한다. 상기 위사 포착 블라켓(20)은, 바디치기되는 위사의 선단부를 슬릿(22)에 받아들이고, 압력수를 방출수로(24)에서 슬릿(22)의 구석을 지나 배출수로(26)로 방출한다. 그에 의해, 위사의 선단부는 슬릿(22)의 구석에서 압력수와 접촉하고 배출수로(26)로 견인되어 구속·지지된다.
슬릿(22)은, 바디치기되는 위사를 경사(14)의 이동방향 상류쪽으로부터 받아들이도록 횡 U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위사는 그 선단부가 위사 포착 블라켓(2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슬릿(22)에 받아들여진다. 배출수로(26)는 상단부가 위사 포착 블라켓(20)에 아래쪽에서부터 슬릿(22)의 구석까지 끼워진 파이프(2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32)는, 탱크(30) 내의 저수를 퍼올림과 동시에 그 물에 압력을 가하고, 파이프(34, 34)를 거쳐 압력수로서 방출수로(24)에 공급한다. 배출수로(26)에 방출된 물은 절단된 위사단과 함께 위사단 수용장치(12)에 회수되고, 위사단 수용장치(12)에서 탱크(30)의 입수구(36)로 되돌려진다. 입수구(36)에서 되돌려진 물은 필터(38)를 사이에 두고 출수구(40)로부터 다시 압력수로서 이용된다(도2 및 도3의 화살표 A 참조).
위사단 수용장치(12)는, 파이프(28)와, 파이프(28)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출부를 형성하는 가요성의 호스(42)와, 호스(42)로부터 배출되는 물 및 위사단을 받도록 위쪽으로 개방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수용조(44)와,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수용조 이동기구를 갖추고 있다.
호스(42)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 파이프(28)의 하단부와 함께 설치구(48)에 의해 직기의 프레임(46)에 설치되어 있다.
호스(42)는, 그 하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호스 이동기구에 장착되어 있다. 호스 이동기구는, 호스(42)로부터 유출하는 물 및 위사단이 수용조(44) 밖으로 튀지 않는 범위에서, 호스의 하단부를 소정의 구동기구에 의해 수용조(44)의 위쪽에서 수용조(44)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그러나, 호스(42)를 고정구로 상대적 이동이 불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수용조(44)는, 원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에 수직인 둘레벽을 갖추고 있고, 또한 물의 통과는 허락하지만, 위사단의 통과는 방지하는 복수의 구멍(50)을 둘레벽 및 바닥면의 각각에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수용조(44)는 호스(42)로부터의 위사단을 물과 함께 받아 양자를 분리하는 필터의 기능을 갖춘 수용부로서 작용한다.
수용조 이동기구는, 지지 베이스(52)에 원판상의 회전대(54)를 연직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1 이상의 베어링(56)을 사이에 두고 놓고, 회전대(54) 위에 케이스(58)를 배치하고, 케이스(58)에 수용조(44)를 배치하고 있다. 지지 베이스(52)는, 바닥(60)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58)의 외주에는, 링 형상의 톱니바퀴(62)가 설치되어 있다. 톱니바퀴(62)는, 바깥 톱니바퀴이고, 전동기(64)에 의해 회전되는 톱니바퀴(66)와 맞물려 있다. 전동기(64)는, 블라켓(68)에 의해 바닥(6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대(54)가 전동기(64)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케이스(58) 및 수용조(44)가 연직축선 주위로 회전된다.
제직하는 동안, 전동기(64)는 연속하여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은 수용조(44) 내에 균일하게 퇴적된다. 위사단의 수용량은 수용조(44)의 위쪽에 배치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항상 또는 정기적으로 검출된다.
케이스(58)는, 수용조(44)를 수납하는 공간(70)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수용조(44)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72)을 바닥면에 갖고 있다. 공간(70)은, 수용조(44)의 바닥면보다 약간 큰 원형의 바닥을 갖고 있고, 또한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58)의 구멍(72)을 통과한 물은, 회전대(54)에 형성된 위쪽으로 개방하는 요소(凹所)(74)에 의해 모아지고, 요소(74)의 바닥에 연결되어 통하는 구멍(76)으로부터 지지 베이스(52)의 구멍(78)을 거쳐 탱크(30)의 입수구(36)에서 탱크(30) 내로 되돌려져 저수된다.
따라서, 위사단 처리장치(10)는, 위사 삽입에 따라 형성된 위사단을 출수구(40)를 지나는 물흐름에 의해 반송하고, 물흐름과 함께 수용조(44)로 배출하여 수용하고, 배출된 물흐름을 입수구(36)에 공급하는, 정수위 저수장치(13)의 순환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정수위 저수장치(13)는, 위사단의 반송에 이용하는 물을 모아두는 탱크(30)를 포함하고, 탱크(30)는 탱크 내의 수위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정수위 장치(82)를 포함한다.
탱크(30)의 입수구(36)와 출수구(40)는 필터(38)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탱크(30)에는 탱크(30) 내의 수위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정수위 장치(82)가 구비되어 있다.
탱크(30)는, 순환경로와 다른 경로로부터의 물의 공급과, 탱크(30) 내의 저수의 유출에 의해, 일정 수위로 유지됨과 동시에, 위사단으로부터의 유제나 풀 등이 혼입, 용해한 물을 나중에 설명할 배출구(102)로부터 유출시키는, 물 공급경로를 갖고 있다.
탱크(30) 내의 저수량은, 필터(38)가 수몰 가능한 양으로 되어 있다. 즉, 탱크(30) 내의 수위는 출수구(40)보다 높은 위치가 된다. 필터(38)는 그 주위를 L자형상으로 굴곡된 보강부재(84)(도2 및 도3 참조)에 상대적 변위가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출수구(40)의 주위 영역을 둘러싸도록 그 영역을 덮고 있다.
호스나 파이프 등을 접속하는 터미널(86)은, 도시하지 않은 수원(예를 들어 수도관의 수도꼭지)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물을 보내는 예를 들어 호스(88)가 수밀(水密)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터미널(86)은 2개로 나누어진 T자 형상의 분지로(90)와 직선적인 접속로(92)를 갖는다. 분지로(90)의 한쪽 수로는 전자밸브(94)의 물 입구 구멍에, 분지로(90)의 다른쪽 수로는 호스(96)의 한쪽 끝에 수밀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로(92)는 접속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전자밸브(94)의 물 출구 구멍과 탱크(3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98)의 한쪽 끝을 수밀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급수 파이프(106)와는 별도로 설치된 공급 파이프(98)의 다른쪽 선단은, 그곳으로부터 분출되는 물흐름의 방향이 필터(38)와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J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의해, 공급 파이프(98)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물 자신의 수중 확산효과와 만나 필터(38)에 광범위하게 충돌하고, 유제나 풀을 필터(38)로부터 떨어뜨림과 동시에, 탱크(30) 내의 물에 혼합되어 탱크(30) 내의 수위를 높게 한다(도2 및 도3의 화살표 B 참조).
이 실시예에서는, 출수구(40)가 개방하는 영역에 공급 파이프(98)가 개방되어 있지만, 출수구(40)가 개방하는 영역의 반대쪽에 공급 파이프(98)가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공급 파이프(98) 및 호스(96)로부터는 순환경로에서 이용하는 물과는 다른 물이 공급된다.
탱크(30) 내의 물은, 소정의 수위를 넘으면, 탱크(30)의 측면 상부를 관통하고 있는 배출구(102)로부터 배출 파이프(103)를 거쳐 탱크(30) 밖으로 유출되어, 탱크(30) 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배출구(102)의 개방은, 아래쪽 반이 도시하지 않은 판상 부재로 둑과 같이 막혀 있다. 물의 수위가 그 판상 부재의 높이를 넘어 흘러 넘침으로써, 수면 근방에 떠 있는 유제나 풀은 탱크(30) 내의 물과 함께 유출된다.
전자밸브(94)는, 직기의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코드(104)를 통하여 공급되는 개폐신호에 기초하여, 분지로(90)와 접속로(92)와의 접속상태를 개폐시킨다.
호스(96)의 다른쪽 끝은, 탱크(30)의 외주를 반정도 돌아 전자밸브(94)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하여, 급수 파이프(106)에 수밀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수 파이프(106)는, 탱크(30)의 측면 아래쪽을 관통하고,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08)와 패킹(109)에 의해 탱크(30)에 수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탱크(30) 내의 영역쪽 급수 파이프(106)의 내경 치수는, 탱크(30) 내의 영역 이외 쪽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고, 원주상의 밸브 본체(110)가 접동(摺動)하는 밸브본체 접동구멍(112)이 된다.
탱크(30) 내에는 중공의 플로트(114)가 수면 근방에 떠 있다. 플로트(11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추축(116)에 의해 암(118)의 한쪽 단부에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암(118)의 다른쪽 끝은, 밸브본체 접동구멍(112)의 단부에 추축(116)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추축(120)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본체 접동구멍(112)의 내외를 연결하여 통하는 급수구(122)는, 급수 파이프(106)에 결합부재(108) 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118)의 다른쪽 끝 위쪽에는 밸브 본체(110)를 누르기 위한 볼록부(凸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4)는, 플로트(114)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 레벨보다 낮은 만큼, 즉 저수량이 적은 만큼(소정의 높이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 도2에 있어서의 추축(120) 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 본체(110)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의해, 호스(96)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밸브 본체(110)를 볼록부(124) 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밸브 본체(110)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 본체(110)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24)의 이동량과 같은 양만 이동하고, 밸브 본체(110)가 막고 있던 급수구(22)를 그 이동량에 상당하는 양만 연다. 그 결과, 호스(96)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급수 파이프(106) 내를 흐르고, 탱크(30) 내의 물에 섞임과 동시에 탱크(30) 내의 수위가 상승한다.
탱크(30) 내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플로트(114)가 상승하고, 암(118)이 추축(120)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볼록부(124)가 급수 파이프(106)에 공급되고, 물의 압력에 맞서 밸브 본체(110)를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여, 탱크(30) 내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 레벨에 도달하면, 밸브 본체(110)가 급수구(122)를 다시 막고, 급수를 종료한다. 그 결과, 탱크(30) 내의 수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수위 장치(82)는, 플로트(114)를 이용하였지만, 플로트를 이용하지 않는정수위 장치여도 좋다. 그와 같은 정수위 장치로는, 수면 센서 등으로 탱크(30)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전자밸브 등을 제어하여 급수구(122)에서 물을 공급해도 좋다.
또한, 공급 파이프(98)는, 순환경로 상에 설치하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어 파이프(34)나, 수용조(44)의 위쪽에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은, 탱크(30)를 위사 삽입용 탱크로서 적용하고, 탱크(30) 내의 물을 위사단의 반송 외에, 위사 삽입을 위한 위사 삽입 노즐로부터의 분사에 사용해도 좋다. 위사 삽입에 사용된 압력수는 직기에 갖추어진 회수용 소정의 경로를 거쳐 회수되고, 탱크(30) 내로 되돌려져 재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위 저수장치는 탱크 내의 필터나 순환경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입수구와 출수구가 필터로 칸막이되어 있는 탱크로 상기 탱크 내의 수위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정수위 장치를 갖는 탱크;
    위사 삽입된 위사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출수구를 지나는 물흐름에 의해 소정의 위치까지 운반하고, 상기 물흐름을 상기 입수구에 공급하는 순환경로; 및
    상기 정수위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순환경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위 장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높이 레벨에 의해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를 갖는 급수로와, 상기 탱크에 배치된 배출구로 상기 소정의 수위를 넘은 상기 탱크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는, 상기 필터에 의해 칸막이된 상기 탱크 내의 영역으로 상기 출수구가 개방하는 영역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에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의 물 출구는 상기 필터로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의 물의 공급은 직기 기동 시부터 소정 기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의 물의 공급은 직기 정지 시부터 소정 기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의 물의 공급은 직기가 정지되었을 때부터 제1의 소정 기간 경과 후에 개시되어, 그 후 제2의 소정 기간까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의 물의 공급은 직기의 운전 중에 간헐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위 저수장치.
KR10-2003-0062496A 2003-03-27 2003-09-08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 KR100517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8597 2003-03-27
JP2003088597A JP2004292997A (ja) 2003-03-27 2003-03-27 水噴射式織機の定水位貯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097A true KR20040086097A (ko) 2004-10-08
KR100517656B1 KR100517656B1 (ko) 2005-09-28

Family

ID=3340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496A KR100517656B1 (ko) 2003-03-27 2003-09-08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92997A (ko)
KR (1) KR100517656B1 (ko)
CN (1) CN15341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3205A (zh) * 2012-11-20 2013-03-06 吴江市新丝源纺织有限公司 适用于喷水织机的自动控水箱
CN103668720A (zh) * 2013-12-25 2014-03-26 吴江市恒艺丝绸整理厂 一种织布机水箱
CN104911793A (zh) * 2015-06-16 2015-09-16 吴江澳明纺织品有限公司 一种织布机水箱
CN114703589A (zh) * 2022-04-19 2022-07-05 吴玉准 一种化纤纺织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4123A (zh) 2004-10-06
KR100517656B1 (ko) 2005-09-28
JP2004292997A (ja)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8713B (zh) 水槽用溢流装置
US5535476A (en) Mobile automatic floor cleaner
US20050230293A1 (en) Self-cleaning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120085712A (ko) 여과재 세정 장치
KR100517656B1 (ko) 물 분사식 직기의 정수위 저수장치
KR100721761B1 (ko) 재생 플라스틱 세척장치
JP2017094946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AU2017281507B2 (en) Operating method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such method
KR102099930B1 (ko) 역세척 기능을 가진 슬러지 정화장치
EP1393856B1 (en) Grinding water tank unit for eyeglass lens processing and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4008034A1 (zh) 洗衣机
JP3578888B2 (ja) 電解水生成機用塩水生成装置
JP2008198108A (ja) コイン洗浄装置
JP2003225514A (ja) 不純物分離装置
JP3924689B2 (ja) 海苔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JPH08182975A (ja) 容器洗浄装置
JP4638267B2 (ja) 高圧洗浄装置のストレーナ
WO2004060532A1 (en) Self-cleaning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JPH0828500A (ja) 負圧形成装置
RU2246413C2 (ru) Машина для мойки колес
JP7188048B2 (ja) 浴槽洗浄装置
KR100399329B1 (ko) 식기세척기
KR100269472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
KR100378711B1 (ko) 식기세척기
KR100744171B1 (ko) 마이크로 디스크필터용 용해식 고체염소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