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084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084A
KR20040086084A KR1020030054560A KR20030054560A KR20040086084A KR 20040086084 A KR20040086084 A KR 20040086084A KR 1020030054560 A KR1020030054560 A KR 1020030054560A KR 20030054560 A KR20030054560 A KR 20030054560A KR 20040086084 A KR20040086084 A KR 2004008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impurity
region
type
electrode formation
forma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321B1 (ko
Inventor
시모무라나라까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09Diodes
    • H01L29/66136PN junction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611Planar PN junction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는 제 1 도전성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기판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은 소자 분리 영역을 통해 상호 분리된다.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 중 일 영역에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 및 하부 제 1 형 불순물 층이 형성된다. 하부 제 1 형 불순물층이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과 상이한 제 1 형 불순물 농도를 가지고 상부 제 1 형 불순물 층 하부에 형성된다. 타 전극 형성 영역에 제 2 형 불순물층 및 제 1 형 불순물층이 형성되고, 제 1 형 불순물층은 제 2 형 불순물을 갖는 제 2 형 불순물층의 일부분의 하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적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입출력 보호 회로로 이용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반도체 장치의 정전기적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보호 회로가 반도체 장치의 개별 입출력 단자에 제공된다. 통상의 보호 회로의 예를 도 8에 나타낸다. 이 보호 회로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G) 에 평행한 다이오드 (D) 를 갖는다. 다이오드 (D) 의 항복 전압은 게이트 파괴 전압보다 낮게 설정되어, 입력 단자에서 인가된 항복 전류가 다이오드 (D) 에 제공되지만 게이트 전극 (G) 보호를 위해 게이트 전극 (G) 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공지된 평탄화 기술에 의해 제조된 통상의 다이오드의 항복 전류 경로 (6) 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항복 전류 흐름은 p-n 접합이 존재하는 커브 (점으로 나타낸 원의 내부 영역, 5) 로 배치된다. 전술한 현상은 필드 세기가 p-n 커브 (5) 에서 높다는 사실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p-n 커브 (5) 에서는 항복 전압이 하부 (7) 보다 낮다. 항복 전류가 점으로 나타낸 원 내부의 작은 영역으로 흐르는 다이오드에서는, 항복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 회로 자체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칩의 면적이 증가된다.
최근, 반도체 장치 제조 기술의 진보에 따라 칩 면적의 감소가 진행되었고,반도체 장치 (칩 면적) 의 총면적 중 보호 회로의 면적 비율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왔다. 또한, 개별 입출력 단자마다 보호 회로가 통상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입출력 단자 수는 진보될수록 반도체 장치가 증가되었으며, 보호 회로의 면적은 더욱 크게 되어 왔다. 따라서, 칩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호 회로의 면적을 감소시킬 필요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요건에 부응하기 위해, 항복 전류가 p-n 접합 하부를 통해 흐르는 게이트 보호 다이오드가 제안되었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소61-35568 호).
도 10 은 전술한 특허 공보에 나타낸 다이오드의 항복 전류 경로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는, p-n 접합 하부 (15) 의 불순물 농도를 p-n 접합 커브 (5) 의 불순물 농도보다 국부적으로 높게 설정함으로써, 하부 (15) 의 항복 전압이 p-n 접합 커브 (5) 보다 1 자리수 또는 2 자리수로 낮게 설정되어, 항복 전류가 접합 하부 (15) 의 넓은 면적 부분을 통해 흐르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 공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러한 통상의 제조 방법은, 애노드 전극 (11) 하부의 P-형 반도체 영역의 저항값이 크기 때문에,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애노드 전극 하부의 P-형 반도체의 불순물 농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큰 항복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동일한 부분의 저항 값을 감소시키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항복 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역전류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애노드 전극 하부의 일부분의 p-형 불순물 농도의 분포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캐소드 전극 하부의 일부분의 p-형 불순물 농도의 분포도.
도 8은 통상의 보호 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통상의 다이오드의 항복 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통상의 다이오드의 항복 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114 : 애노드 전극
2, 12, 115 : 캐소드 전극
3, 13, 33 : P-형 불순물 영역
4, 14, 34 : N-형 불순물 영역
5, 15, 35 : PN 접합부
6, 16, 36 : 항복 전류 경로
101 : 반도체 기판
102 : P-형 웰
103 : 소자 분리 영역
104, 106, 108 : 레지스트
105 : N-형 불순물
107, 109 : P-형 불순물
110 : N+-형 확산층
111 : P+-형 확산층
112 : P-형 확산층
113 : 절연막
제 1 태양에서, 본 발명은 제 1 도전성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기판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은 소자 분리 영역을 통해 상호 분리되고,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 중 일 영역에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 및 하부 제 1 형 불순물 층이 형성되며, 하부 제 1 형 불순물층이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과 상이한 제 1 형 불순물 농도를 가지고 상부 제 1 형 불순물 층 하부에 형성되고, 타 전극 형성 영역에 제 2 형 불순물층 및 제 1 형 불순물층이 형성되고, 제 1 형 불순물층은 제 2 형 불순물을 갖는 제 2 형 불순물층의 일부 하부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 태양에 따르면, 고 불순물 농도를 갖는 일부분이 제 1 전극 형성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에, 큰 항복 전류가 제 1 전극 형성 영역과 제 2 전극 형성 영역 사이에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가 보호 회로로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보호 회로는 통상의 보호 회로보다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전극 형성 영역과 제 2 전극 형성 영역 사이에 큰 항복 전류를 유발하기 위해, 전극 형성 영역 중 일 영역에 형성된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이 제 1 형 불순물 농도 아래로 형성되는 하부 제 1 형 불순물층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태양에서, 본 발명은, P-형 도전성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기판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을포함하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은 소자 분리 영역을 통해 상호 분리되고,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에서, 기판의 내부 표면과의 근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P-형 확산층 및 제 2 P-형 확산층이 기판 내부에 형성되고, 제 1 P-형 확산층은 P-형 불순물 농도가 제 2 P-형 확산층보다 높고,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에서, 기판의 내부 표면과의 근접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N-형 확산층 및 제 3 P-형 확산층이 기판 내부에 형성되고, 제 3 P-형 확산층은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내부에서 소자 분리 영역 주변이외의 영역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서, 제 1 P-형 확산층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4 ㎛ 깊이의 영역에 형성되며, 제 2 P-형 확산층은 기판의 표면 하부의 0.4 ㎛ 내지 0.1 ㎛ 깊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의 표면 하부에서 0.4 ㎛ 깊이 내지 1 ㎛ 범위의 깊이에서의 영역은 통상의 반도체 장치보다 P-형 불순물 농도가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통상의 반도체 장치의 전류보다 약 1.2 내지 1.4 배 정도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가 통상의 반도체 장치의 성능과 동일한 성능을 갖는 보호 회로로서 이용되는 경우, 보호 회로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제 3 태양에서, 본 발명은 P-형 도전성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상호 이격되는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소자 분리 단계;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으로 N-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제 1 주입 단계;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으로 P-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제 2 주입 단계;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전체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의 일부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제 3 주입 단계; 어닐링 처리에 의해 주입된 P-형 불순물 및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열 확산 단계; 및 스퍼터링에 의해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내의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 3 주입 단계 후, 상부 P-형 불순물층 및 하부 P-형 불순물층을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의 기판 내부에 형성한다. 상부 P-형 불순물층은 하부 P-형 불순물층보다 P-형 불순물 농도가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복 전류가 통상의 반도체 장치에서와 같이 p-n 접합의 커브로 국부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불순물 주입 단계에서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에 주입될 P-형 불순물은 소자 분리 영역과 접촉되는 일부분으로부터 0.5 ㎛ 이상 이격되는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의 한 영역으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태양에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이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으로 형성된 다이오드는 입출력 단자용 보호 회로로서 이용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형태의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다음의 설명에서, 제 1 도전성을 P-형으로, 제 2 도전성을 N-형으로 한다. 그러나, 제 1 도전성을 N-형으로 제 2 도전성을 P-형으로 할 수도 있다.
즉, P-형 기판 뿐 아니라 N-형 기판도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음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동일한 기능 및 효과가 N-형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획득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P-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소위 P-형 웰 (P-형 기판; 102) 이 반도체 기판 (101) 으로 이용된다. 즉, 제 1 도전성은 P-형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O2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소자 분리 영역 (103) 이 P-형 웰 (102) 의 표면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자 분리 영역 (103) 사이의 영역이 활성 영역이다.
전극은 활성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활성 영역은 애노드 전극 (114) 이 형성되는 영역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과 캐소드 전극 (115) 이 형성되는 영역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의 기판 내부에는, 비교적 높은 P-형 불순물 농도를 갖는 P+-형 확산층 (111), 및 비교적 낮은 P-형 불순물 농도를 갖는 P-형 확산층 (112) 이 기판 표면에서 볼 때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가 다양한 목적의 반도체 구성 요소에 대한 보호 회로로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확산층의 깊이는 독자적으로 결정될 수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P+-형 확산층 (111) 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약 0.4 ㎛ 의 깊이가 될 수 있으며, P-형 확산층 (112) 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약 0.4 ㎛ 내지 1.0 ㎛ 의 깊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P+-형 확산층 (111) 의 P-형 불순물 농도가 1㎤ 당 1.0×1020내지 1.0×1017로 설정되고, P-형 확산층 (112) 의 P-형 불순물 농도가 1㎤ 당 1.0×1017내지 1.0×1016로 설정된다.
2 개의 확산층 (111, 112) 의 농도 및 깊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P-형 확산층 (112) 의 불순물 농도가 P-형 웰 (102) 의 농도보다 약 1 자리가 높게 되므로,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의 저항값이 낮아질 수 있고,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에서, 애노드 전극 (114) 은 절연막 (113) 의 개방부와 P+-형 확산층 (111) 의 일부분 상에 형성된다.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의 기판 내부에는, 그 내부에 주입된 N-형 불순물을 갖는 N+-형 확산층 (110) 과 그 내부에 주입된 P-형 불순물을 갖는 P-형 확산층 (112) 이 기판의 표면에서 볼 때 순서대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 N+-형 확산층 (110) 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약 0.40 ㎛ 깊이의 영역이며, N+-형 확산층 하부의 P-형 확산층 (112) 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약 0.40 ㎛ 내지 1.0 ㎛ 의 깊이의 영역이다.
또한, 예를 들면, N+-형 확산층 (110) 의 N-형 불순물 농도는 1㎤ 당 1.0×1020내지 1.0×1017로 설정되고, P-형 확산층 (112) 의 P-형 불순물 농도는 1㎤ 당 1.0×1017내지 1.0×1016으로 설정된다.
N+-형 확산층 (110) 이 2 개의 소자 분리 영역 (103) 사이에 개재된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N+-형 확산층 (110) 하부의 P-형 확산층 (112) 이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특히, P형 확산층 (112) 이 소자 분리 영역 (103) 의 경계에 근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가 보호 회로의 다이오드로서 이용되는 경우, 항복 전류 플로우가 p-n 접합의 커브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내의 P-형 확산층 (112) 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은 소자 분리 영역 (103) 으로부터 약 0.5 ㎛ 이상으로 이격되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P-형 확산층 (112) 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의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항복 전류가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내의 P-형 확산층 (112) 하부의 넓은 면적으로 흐르지만, p-n 접합 커브로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에서, 캐소드 전극 (115) 은 절연막 (113) 의 개방부 내부와 P-형 확산층 (112) 상에 형성된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반도체 장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다이오드이다.
도 2(a) 는 소자 분리 단계를 나타낸다. 먼저, 실리콘 기판 등의 반도체 기판 (101) 을 준비하고, 다음으로, 보론 등의 P-형 불순물을 반도체 기판 (101) 으로 주입하여, P-형 웰 (102)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LOCOS 법에 의해 약 0.4 ㎛ 의 두께를 갖는 SiO2막 (103) 을 P-형 웰 (102) 의 표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하여, 소자를 분리한다.
3개의 SiO2막 (103) 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소자 영역을 도 2(a) 에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소자 영역 A 은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는 영역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이고, 소자 영역 B 은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는 영역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이다.
도 2(b) 는 N-형 불순물의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으로의 주입을 나타낸다. 먼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레지스트 (104) 를 형성하여,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을 피복한다. 다음으로, 이온-주입 법에 의해 인 또는 비소 등의 N-형 불순물 (105) 을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의 P-형 웰(102) 부분에 주입한다. 주입되는 불순물 양은 약 2×1015내지 4×1015(atoms/cm2) 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N-형 불순물층 (105) 이 P-형 웰 (102) 의 표면에 근접하는 캐소드 전극 형성을 위한 영역에 형성된다.
도 2(c) 는 P-형 불순물의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으로의 주입을 나타낸다. 먼저,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레지스트 (104) 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레지스트 (106) 를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형성하여,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을 피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온-주입법에 의해 보론 또는 보론 플로오르화물 (boron diffluoride) 등의 P-형 불순물 (107) 을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의 P-형 웰 (102) 부분에 주입한다. 주입되는 불순물 양은 약 1×1015내지 3×1015(atoms/cm2) 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P-형 불순물층 (107) 이 애노드 전극 형성을 위한 영역에 형성된다.
도 3(a) 는 P-형 불순물 주입을 나타낸다. 이 단계는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내의 P-형 불순물 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먼저,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레지스트 (106) 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레지스트 (108) 를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형성하여,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의 일부분을 피복한다. 다음으로, 이온-주입법에 의해 보론 또는 보론 플로오르화물 등의 P-형 불순물 (109) 을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과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부분에 주입한다. 주입되는 불순물 양은 약 3×1012내지 1×1013(atoms/cm2) 으로 설정된다.
이 단계에 따르면,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A 의 P-형 불순물 농도는 증가될 수 있으며, P-형 불순물층 (109-2) 가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부분에 형성된다. P-형 불순물층 (109-2) 이 캐소드 전극 영역 B 전체에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항복 전류는 통상의 다이오드와 같이 p-n 접합 커브로 흐르게 되므로,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없다. 따라서, P-형 불순물은 캐소드 형성 영역 B 의 부분에만 주입된다.
예를 들면,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의 폭 (m) 이 10 ㎛ 로 설정되면, 레지스트 (108) 는 P-형 불순물 (109) 이 폭 (n) 이 SiO2막 (103) 의 에지로부터 약 0.5 ㎛ 인 부분에 존재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소자 분리 영역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B 내의 소자 분리 영역과 근접하는 부분에 P-형 불순물 (109) 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항복 전류가 p-n 접합의 커브로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큰 항복 전류가 캐소드 전극 하부의 넓은 면적 부분으로 흐를 수 있다.
도 3(a) 에서, P-형 불순물층 (107) 은 제 1 P-형 확산층에 대응되고, P-형 불순물층 (109-1) 은 제 2 P-형 확산층에 대응되며, P-형 불순물층 (109-2) 은 제 3 P-형 확산층에 대응된다.
도 3(b) 는 확산 단계를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레지스트 (108) 를 제거하고, 800 ℃ 에서 약 30 분 내지 60 분간 어닐링 처리를 수행한다. 이 공정은 주입된 불순물을 활성화함으로써,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확산층 (110), P+-형 확산층 (111), 및 P-형 확산층 (112) 을 형성한다.
도 3(c) 는 전극 형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O2막 등의 절연막 (113) 을 기판 표면 전체에 약 0.5 내지 1.0 ㎛ 으로 증착한다. 다음으로, 전극 형성 영역 A 및 B 상에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스 및 에칭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전극 형성 영역 내의 절연막 (113) 부분을 제거하여 개방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금속 재료를 개방부에 증착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에칭 공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 (114) 및 캐소드 전극 (115) 이 개방부에 형성된다.
도 3(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입출력을 보호하기 위한 다이오드의 완성된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항복 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설명도니다. 이 도면에서는 p-n 접합 하부 (35) 의 넓은 면적 부분으로 큰 항복 전류가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캐소드 전압-전류 특성, 즉, 본 발명의 다이오드의 역 전류 특성 (항복 전류 특성) 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캐소드 전압이 약 15 V 인 경우 접합 항복이 시작되고 항복 전류 (캐소드 전류) 가 흐르기 시작한다. 또한, 전압이 약 25 V 초과인 경우, 통상의 다이오드의 전류보다 큰 항복 전류가 흐르고, 캐소드 전압이 50 V 인 경우, 통상의 다이오드의 전류보다 1.4 배인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있다.
P-형 불순물 농도가 애노드 전극 하부 (114) 의 P-형 웰 (102) 의 표면 주변에서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큰 항복 전류가 흐르게 되어, 애노드 전극 하부의 저항값이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6은 도 4의 A1-A2 선에 따라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애노드 전극 (114) 하부의 일부분의 P-형 불순물 농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4의 C1-C2 선을 따라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캐소드 전극 (115) 하부의 일부분의 P-형 불순물 농도를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도면의 수평축은 반도체 기판 (101) 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캐소드 전극 하부의 P-형 불순물 농도의 분포도에서, P-형 불순물 농도는 0.4 ㎛ 내지 0.9 ㎛ 깊이에서 높다. 도 10의 통상의 다이오드는 동일한 분포 패턴을 나타내며, 2개 사이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다.
그 반면, 도 6에 나타낸 애노드 전극 하부의 일부분의 P-형 불순물 농도의 분포도에서, 본 발명은 0.4 ㎛ 내지 0.9 ㎛ 의 깊이에서 도 10에 나타낸 통상의 다이오드보다 더욱 높은 P-형 불순물 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약 0.6 ㎛ 의 깊이에서, 본 발명의 P-형 불순물 농도는 통상의 다이오드의 농도보다 거의 1 자리가 더 높다. 즉, 애노드 전극 (114) 하부의 기판 표면 주변의 P-형 불순물 농도가 통상의 다이오드의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애노드 전극 하부의 저항값은 감소될 수 있고, 통상의 다이오드의 전류보다 더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애노드 전극 하부의 기판 주변의 P-형 불순물 농도는 0.4 ㎛ 내지 0.9 ㎛ 의 범위의 깊이에서 통상의 다이오드의 불순물 농도보다 10 배 내지 100 배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애노드 전극 하부의 기판 주변의 P-형 불순물 농도는 약 0.4 ㎛ 내지 0.60 ㎛ 깊이에서 통상의 다이오드의 불순물 농도보다 10 배 정도가 더 높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P-형 불순물 농도를 적용함으로써, 통상의 다이오드의 항복 전류보다 약 1.2 배 내지 1.4 배 높은 항복 전류 (캐소드 전류) 가 30 V 내지 50 V 범위의 캐소드 전압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다이오드의 것과 같이 동일한 양의 항복 전류가 필요한 경우에만, 도 10 에 나타낸 통상의 다이오드에 비해, 본 발명의 캐소드 전극의 면적은 통상의 다이오드의 것보다 약 1/1.2 배 내지 1/1.4 배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캐소드 전극의 면적은 통상의 다이오드의 면적에 비해 약 17 % 내지 29 %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가 입출력 단자의 정전기적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로서 이용되는 경우, 보호 회로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IC 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불순물 농도를 갖는 부분이 제 1 전극 형성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에,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의 기판 주변의 P-형 불순물 농도가 국부적으로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애노드 전극 하부의 일부분의 저항값은 감소될 수 있고, 통상의 다이오드의 것보다 큰 항복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보호 회로로서 이용하면, 보호 회로의 면적을 통상의 다이오드의 면적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도전성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제 2 전극 형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상기 제 2 전극 형성 영역은 소자 분리 영역을 통해 상호 분리되고,
    상기 제 1 전극 형성 영역 및 상기 제 2 전극 형성 영역 중 일 영역에는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 및 하부 제 1 형 불순물 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제 1 형 불순물층이 상기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과 상이한 제 1 형 불순물 농도로 상기 상부 제 1 형 불순물 층 하부에 형성되고,
    타 전극 형성 영역에는 제 2 형 불순물층 및 제 1 형 불순물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형 불순물층이 제 2 형 불순물을 갖는 상기 제 2 형 불순물층의 일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 영역 중 일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제 1 형 불순물층의 상기 제 1 형 불순물 농도는 그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 제 1 형 불순물층의 상기 농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P-형 도전성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은 소자 분리 영역을 통해 상호 분리되고,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에서, 상기 기판의 내부 표면과의 근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P-형 확산층 및 제 2 P-형 확산층이 상기 기판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P-형 확산층은 상기 제 2 P-형 확산층보다 P-형 불순물 농도가 높고,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에서, 상기 기판의 내부 표면과의 근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N-형 확산층 및 제 3 P-형 확산층이 상기 기판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P-형 확산층은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 내부에서 상기 소자 분리 영역 주변이외의 영역에 국소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형 확산층은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4 ㎛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P-형 확산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 하부로 0.4 ㎛ 내지 1.0 ㎛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에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캐소드 전극으로 형성된 다이오드가 입출력 단자용 보호 회로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P-형 도전성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소자 분리 단계;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으로 N-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제 1 주입 단계;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으로 P-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제 2 주입 단계;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전체 및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의 일부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제 3 주입 단계;
    어닐링 처리에 의해 상기 주입된 P-형 불순물 및 N-형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열 확산 단계; 및
    스퍼터링에 의해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 및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주입 단계 이후, 상부 P-형 불순물층 및 하부 P-형 불순물층을 상기 애노드 전극 형성 영역의 상기 기판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상부 P-형 불순물층은 그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 P-형 불순물층보다 P-형 불순물농도가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불순물 주입 단계에서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에 주입될 상기 P-형 불순물은 상기 소자 분리 영역과 접촉되는 일부분으로부터 0.5 ㎛ 이상 이격되는 상기 캐소드 전극 형성 영역의 일 영역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3-0054560A 2003-03-27 2003-08-07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7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8671 2003-03-27
JP2003088671A JP2004296883A (ja) 2003-03-27 2003-03-27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084A true KR20040086084A (ko) 2004-10-08
KR100537321B1 KR100537321B1 (ko) 2005-12-16

Family

ID=3282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560A KR100537321B1 (ko) 2003-03-27 2003-08-07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80685B1 (ko)
EP (1) EP1463122A3 (ko)
JP (1) JP2004296883A (ko)
KR (1) KR100537321B1 (ko)
CN (1) CN100546025C (ko)
MY (1) MY129045A (ko)
TW (1) TWI251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5430B (zh) * 2006-01-18 2014-04-21 Vishay Siliconix 具高靜電放電性能之低電壓輸出驅動器
CN102683431B (zh) * 2012-06-11 2016-09-07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肖特基二极管及其制造方法
JP6315190B2 (ja) * 2014-04-23 2018-04-25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車両用点火装置の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556A (ja) 1984-10-29 1986-05-22 Inoue Japax Res Inc 空気清浄装置
USRE37477E1 (en) * 1987-11-06 2001-12-18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Integrated circuit protected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with variable protection threshold
JP4157184B2 (ja) * 1998-02-18 2008-09-24 株式会社東芝 高耐圧半導体素子
TW399337B (en) * 1998-06-09 2000-07-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emiconductor device
JP4256544B2 (ja) * 1998-08-25 2009-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静電気保護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静電気保護装置を用いた静電気保護回路
JP3450244B2 (ja) * 1999-12-03 2003-09-2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保護装置
JP3421005B2 (ja) * 2000-08-11 2003-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016595B2 (ja) * 2000-12-12 2007-12-05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4779A (zh) 2004-10-06
MY129045A (en) 2007-03-30
EP1463122A3 (en) 2005-05-18
TWI251324B (en) 2006-03-11
CN100546025C (zh) 2009-09-30
JP2004296883A (ja) 2004-10-21
TW200419769A (en) 2004-10-01
EP1463122A2 (en) 2004-09-29
KR100537321B1 (ko) 2005-12-16
US6780685B1 (en) 2004-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9837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447824B1 (ko) 기생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항복 전압이 임의의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 다이오드와 그 제조 방법
US6570229B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432887B1 (ko) 다중격리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011615B2 (en) Transistor with contacted deep well region
KR10077900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11457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4412238A (en) Simplified BIFET structure
US5221635A (en) Method of making a field-effect transistor
KR10053732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4512815A (en) Simplified BIFET process
EP3591698A1 (en) Unidirectional esd protection with buried breakdown thyristor device
US6229181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to provide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2009135493A (ja) 静電気放電保護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790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00075706A (ko) 반도체 및 반도체-관련 방법
KR100520662B1 (ko) 반도체장치
US7436003B2 (en) Vertical thyristor for ESD protection and a method of fabricating a vertical thyristor for ESD protection
JP2018056214A (ja) ダイオー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824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64365A (ja) 半導体装置
KR100278424B1 (ko) 높은 항복 전압을 지닌 얇은 능동층의 반도체 장치
KR950002204B1 (ko) 보호회로의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002394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81106B1 (ko) 이에스디보호회로및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