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457A -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조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457A
KR20040081457A KR10-2004-7011028A KR20047011028A KR20040081457A KR 20040081457 A KR20040081457 A KR 20040081457A KR 20047011028 A KR20047011028 A KR 20047011028A KR 20040081457 A KR20040081457 A KR 20040081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ester
aci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327B1 (ko
Inventor
가찌히사노리
오야마게이이찌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오일상이 하기 성분 (A), (B) 및 (C) 를 에스테르화시켜 수득된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수상이 수용성 무기염의 수용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A) 다가 알코올;
(B) 탄소수 8 내지 30 인 지방산 및/또는 히드록시 지방산; 및
(C) 탄소수 12 내지 30 인 2 가 카르복실산.
상기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는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조 {WATER-IN-OIL EMULSIO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크림을 포함하는 스킨 케어 화장품의 목적은 피부에 수분 및 오일을 보충하며, 저하된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이고, 스킨 케어 화장품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피부 수분 및 부드러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는 기능이다 (이하, 수분 구속성이라고 칭함). 수분 구속성은 피부 상에 형성된 오일 박막 등이 피부에서 발산되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 상에 수분을 유지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수분 구속성이 클수록, 피부에 수분을 제공하는 효과가 커진다. 기본 성분으로서 오일 및 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수상으로서의 액체 방울이 오일의 연속 상 중에 분산되는 유중수 에멀션 및 오일상으로서의 액체 방울이 물의 연속 상 중에 분산되는 수중유 에멀션으로 분류되고, 유중수 에멀션이 많은 면에 있어서, 예컨대, 피부 보호 및 부드러움 유지에 있어서수중유 에멀션보다 탁월하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오일의 수분 구속성에 대하여, 바셀린 및 액체 파라핀과 같은 비극성 오일이 높은 수분 구속성을 가지고, 에스테르 오일의 경우와 같이 오일의 극성 비율이 높을수록 그의 수분 구속성이 작아진다는 것이 이미 보고되었다. 실제로, 거친 피부와 같은 피부 트러블 (trouble)은 종종 피부 건조에 의해 야기되고, 상기 트러블은 피부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감소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높은 수분 구속성을 갖는 화장품 또는 외용제 (external preparation)로서, 바셀린을 혼합한 것이 시판된다.
그러나, 바셀린 및 액체 파라핀과 같은 비극성 오일은 일반적으로 피지에 대한 친화성이 양호하지 않으므로, 피부 상에 적용된 후 미끄러지고, 주성분으로 비극성 오일을 함유하는 크림 등을 손에 적용하는 경우에, 미끄럼때문에 펜을 단단히 쥐는 것이 어렵게 되고, 손이 닿는 옷, 종이 등에 오일이 묻는 등의 많은 불편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분말이 비극성 오일 내로 혼합되는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의 경우에, 상기 화장품으로 피복된 피부가 옷과 접촉하는 경우, 분말이 옷에 쉽게 묻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유중수 에멀션을 사용하는 제제에 있어서는, 장기간에 걸쳐 그의 에멀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다. 현재까지 에멀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어 온 방법으로, 다량의 왁스를 연속 상으로서의 오일상 내로 혼합하여 에멀션의 점도를 높이는 방법이 존재하나, 상기 방법에서도 다양한 온도 변화에 따른 혼합된 왁스의 연질화 (softening) 및 융합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그의 에멀션 안정성이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사용 감촉 측면에서는, 왁스 때문에 에멀션이 끈적거리고, 유성이고, 불량하게 펼쳐지기만 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소옥틸 팔미테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라레,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포함하는 극성 오일로서, 에스테르 오일은 일반적으로 바셀린, 액체 파라핀 및 왁스 일부에 비해 피지와의 혼화성 면에서 탁월하여, 피부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가지며, 피부를 거의 광택이 나도록 하지 않는 잇점을 가지고; 더욱이, 에스테르 오일은 투과성 면에서 탁월하고 오일성 감촉을 거의 가지지 않아, 오일을 사용하는 화장품에서 통상적으로 에스테르 오일이 사용된다. 더욱이, 에스테르 오일이 혼합된 화장품은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가지므로, 바셀린이 혼합된 화장품에서와 같이 오일이 옷에 묻는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에스테르 오일은 공기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는 수분 구속성 면에서 바셀린에 비해 훨씬 열악하고, 주성분으로 에스테르 오일을 함유하는 유중수 에멀션 화장품은 오일의 주목적인 수분 구속성 면에서 적합하지 않으며, 거친 피부를 개선시키는 효과 등이 불량하다. 더욱이, 에스테르 오일을 통상적인 유중수 에멀션에 혼합하는 경우에, 상 분리 등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수득된 에멀션은 에멀션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에스테르 오일이 사용 감촉 면에서 우수하다 할지라도, 그의 혼합에는 많은 제약이 있고, 사용 감촉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에스테르 오일 함량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근년에, 피부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햇볕 차단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햇볕 차단 화장품은 통상적으로 유중수 에멀션 화장품이고, 그 중 거의 전부에서, SPF (태양 보호 인자) 값을 높이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 오일이 혼합되며, 예를 들면, 파라메톡시신남산 에스테르 또는 N,N-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산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 오일로서 자외선 흡수제가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자외선 흡수 관능기를 갖는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극성이 특히 높아서, 그들을 에멀션시키고 그의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중수 에멀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다량의 왁스를 혼합하거나 또는 왁스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어, 결국에는 종종 에스테르 오일의 혼합 함량을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상황 하에서, 바셀린과 동등한 수분 구속성을 실현시키면서 에스테르 오일의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가지고, 이에 부가하여, 에멀션 안정성이 탁월한, 피부 외용을 위한 유중수 에멀션 제제가 목적되었다.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가 알코올, 중쇄 (medium-chain) 또는 장쇄 (long-chain) 지방산, 및 중쇄 2가 산을 에스테르화하여 수득되는 오일성 물질 중 일부를 립스틱 또는 수중유 크림에 혼합시키고, 에멀션화된 수중유 조성물의 오일 성분으로 이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그의 에멀션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외용 (external use)용 제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유사의약품, 의약품 등에 사용될 수 있고, 현저하게 강화된 수분 구속성 (moisture-confining property), 사용 감촉 (touch use) 및 안정성을 갖는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water-in-oil emulsion)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수분 구속성 면에서 탁월하고,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가지며, 추가로, 에멀션 안정성 면에서 탁월한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자는 양호한 수분 구속성, 양호한 안정성 및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갖는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심도있게 연구하였고, 그 결과, 에스테르 오일과 함께 특수한 에스테르 화합물을 오일상에 혼합시키고, 수상에 수용성 무기염을 혼합시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오일상이 하기 성분 (A), (B) 및 (C) 를 에스테르화시켜 수득된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수상이 수용성 무기염의 수용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에 관한 것이다:
(A) 다가 알코올;
(B) 탄소수 8 내지 30 인 지방산 및/또는 히드록시 지방산; 및
(C) 탄소수 12 내지 30 인 2 가 카르복실산.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량의 상태
본 발명은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상은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에멀션화용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 (고체 지방 또는 오일, 왁스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A) 다가 알코올, (B) 탄소수 8 내지30 인 지방산 및/또는 히드록시 지방산, 및 (C) 탄소수 12 내지 30 인 2 가 카르복실산을 에스테르화하여 수득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간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성분 (B): 성분 (C) = 1.0 몰: 1.0 내지 2.5 몰: 0.25 내지 1.0 몰이다. 에스테르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에스테르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수득된 에스테르 화합물은 성분 (A) 잔류물, 성분 (B) 잔류물 및 성분 (C) 잔류물 함량이 서로 다른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고, 이는 통상적으로 그 자체, 즉,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상 중 에스테르 화합물은 오일상 중의 오일, 즉, 에스테르 오일 및 에스테르 오일 겔화제 이외의 오일을 만드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기능에 의해서,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사용 감촉이 높아지고 수상의 분산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달리 말하면, 에스테르 화합물은 오일이 균일한 겔을 형성하도록 하고 수상을 분리하지 않고 분산된 상태로 상기 겔 중에 구속하여, 수상의 분산을 안정화시키고, 더욱이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사용 감촉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성요소인 다가 알코올로서, 3 개 이상, 특히 3 내지 6 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글리세롤, 글리세롤 농축물, 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롤에탄, 소르비톨, 자일리톨,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푸룩토오스, 만니톨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성분(들)인, 각각 탄소수 8 내지 30인 지방산 및/또는 히드록시 지방산은 탄화수소기 및/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리시놀산, 팔미톨레산, 이소옥틸산 (2-에틸헥산산 등.), 이소노난산 (3,5,5-트리메틸헥산산 등), 이소팔미트산, 이소스테아르산 (Emery Corporation 사제 다중메틸 분지형, 2-헵틸운데칸산 등), 세로트산, 몬탄산, 멜리스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장기간 안정성을 더더욱 높이기 위하여, 탄소수 16 내지 28 인 직쇄형 장쇄 포화 지방산, 예컨대, 특히,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세로트산 및 몬탄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7 이하의 지방산은 피부 자극성 및/또는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 면에서 부적절하다. 탄소수가 31 이상인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이 부드럽게 진행되지 않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목적된 에스테르 화합물을 수득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성성분인 탄소수 12 내지 30 인 2 가 카르복실산은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일 수 있고,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포화되고, 예를 들면, 에이코산디오산, 도데칸디오산, 1,10-데카메틸렌디오산, 1,12-도데카메틸렌디오산, 1,15-펜타데카메틸렌디오산, 1,28-옥타코사메틸렌디오산, 1,7-에틸옥타데칸디오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탄소수 11 이하인 2 가 카르복실산이 사용되는 경우, 성분으로서 생성된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오일상에 수상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멀션화시켜 유중수 에멀션을 수득한다 하더라도, 적절한 증점 효과를 수득할 수 없고 수상의 분리가 바로 발생하여, 안정한 에멀션 조성물을 수득할 수 없다. 이는 에스테르 화합물이 오일상 중에 오일 겔화물을 만드는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향이 더욱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에, 탄소수가 31 이상인 2 가 카르복실산이 사용되는 경우에,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키기가 어렵고, 수득된 생성물의 물리적 특성이 안정되지 않는다. 상기 측면에서, 2 가 카르복실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8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8 이다.
본 발명에서,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사용 감촉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안정성 측면에서,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글리세롤, 베헨산 및 에이코산디오산을 에스테르화시켜 수득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인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이외의 오일의 총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질량% 의 함량으로 오일상 중에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의 혼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질량% 이다. 혼합량이 0.1 질량% 미만인 경우에, 수득된 제제의 안정성 및 사용 감촉에 있어서 충분한 효과를 수득할 수 없다. 혼합량이 3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제의 퍼짐이 불량하고, 사용 감촉이 훼손된다.
또한, 에스테르 화합물은 피부에 적용된 후, 적절한 수분 투과성을 갖는 오일막을 형성하고, 수분 유지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에멀션화를 안정시킬 목적으로 유중수 에멀션 화장품에 종종 혼합되는 왁스로서 무정형 미세결정질왁스가 존재하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수분 구속성 면에서 이보다 탁월하고 바셀린에 거의 동등한 수분 구속성을 가져, 오일상에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는 탁월한 수분 유지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테르 오일이 오일상의 주성분으로 혼합되는 화장품 등은 적용 후 수분 구속성 면에서 종종 불만족스러우나, 상기 문제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시켜 해결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다수의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므로, 피지와의 친화성 면에서 탁월하고, 적은 오일성 끈적임만을 가지며, 본 발명의 제제로 피복된 손이 옷 또는 종이와 접촉하는 경우, 오일 성분이 그 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는 왁스를 혼합시켜 안정화시키는 경우에서와 같이 끈적거림이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 상에 수분이 너무 많거나 또는 너무 적지 않은 것처럼 양호한 보습성 터치 (moisturizing touch)를 제공한다.
에스테르 화합물, 미세결정질 왁스 및 바셀린을 수분 유지성에 대하여 실제로 검사하였고, 그 결과를 참고로 하기에 제시한다. 오일 및 에스테르 화합물의 수분 투과성은 JIS Z0208 "Method of Testing Damp Proofing Packaging Materials for Moisture Permeability (Cup Method)" 의 방법에 따라, 여과지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된 오일막을 통하여 투과된 수분 함량으로 평가하였다. 각각, 상층부에 수분 투과성 표면을 갖는 직경 60 mm 의 수분 투과성 컵을 사용하였고, 20 g 의 글리세롤을 수분 흡수제로 사용하였고, 밀랍:파라핀 왁스 (=60:40)를 봉합 왁스로서 사용하였다. 5C 여과지를 표 1 에 제시된 샘플의 한정량 (7 내지 9mg/cm2)으로 스며들게 하여 한정된 두께를 갖는 막을 형성하였다. 수득된 여과지를 20 g 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수분 투과성 컵 상에 위치시키고, 봉합 왁스를 사용하여 봉합하고, 전체 컵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고습도의 대기 (25 ℃, 80 %)를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사용하여 생성하고, 수분 투과성 컵을 상기 대기 중에 3 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컵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대조 시험으로서, 샘플을 스며들게 하지 않은 5C 여과지를 사용하고, 여과지를 통하여 투과된 수분의 질량 (수분 투과량)을 측정하고, 상기 수분 투과량의 경우를 수분 투과성 100 % 로 가정한다. 수득된 컵을 고습도 하에서 정치시키기 전후 사이의 질량차 (수분 투과량)를 대조 시험에서의 수분 투과량으로 나누어 수득된 값의 백분율을 각 샘플의 수분 투과성으로 표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제시한다.
샘플 번호 1 2 3 4 5
오일 A(질량%) 없음 T.I.O*1(100%) T.I.O(90%) T.I.O(90%) 바셀린(100%)
오일 A(질량%) 없음 없음 에스테르 화합물*2(10%) 미세결정질 왁스(10%) 없음
수분 투과량 0.270g 0.057g 0.Ol5g 0.024g 0.009g
수분 투과성 100% 21.1% 5.6% 8.9% 3.3%
주 (note) 대조 시험
*1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2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R-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상으로 혼합된 에스테르 오일로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스테르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오일로서,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세틸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옥틸도데실 락테이트, 라놀린 아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N-알킬 글리콜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글리세롤 디-2-헵틸운데카노에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레이트, 카프레이트, 미리스테이트 및 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글리세롤 트리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2-헵틸운데카노에이트, 피마자유 지방산의 메틸 에스테르, 올레일 올레에이트, 글리세롤 아세테이트, 2-헵틸운데실 팔미테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글리세롤의 (아디프산, 2-에틸헥산산 및 스테아르산) 올리고에스테르, 디글리세롤의 (2-헥실데칸산 및 세박산) 올리고에스테르, 2-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메이트, 디-2-헵틸운데실 아디페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2-헥실데실 미리스테이트, 2-헥실데실 팔미테이트, 2-헥실데실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아보카도유, 동백유, 자라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씨유, 밍크유, 올리브유, 채종유, 난황유, 참깨유, 페릴라유 (perilla oil), 밀맥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린씨드유, 홍화유, 포도씨유, 면실유, 페리피아유 (perifiaoil), 대두유, 땅콩유, 차씨유, 카야유 (kaya oil), 쌀배아유 (rice germ oil), 일본 유동유 (tung oil) 요요바유, 배아유, 달맞이꽃유, 글리세롤 트리옥타노에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팔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 중, 구성성분으로서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분지형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분지형 에스테르 오일이라 칭한다. 에스테르 오일 중, 분지형 에스테르 오일은 보다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나타내나, 보다 낮은 수분 구속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에스테르 화합물이, 분지형 에스테르 오일이 혼합된 경우에도, 에스테르 오일의 결점인 낮은 수분 구속성을 향상시키므로, 적합한 수분 구속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상 내로의 에스테르 오일의 혼합량은, 제제가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에 양호한 사용 감촉, 예컨대, 양호한 퍼짐성 및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함량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일적으로 정하기 어려우나, 통상적으로는,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질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 중 에스테르 화합물 대 에스테르 오일의 사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99 내지 95:5, 더욱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95: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90:10 이다. 에스테르 화합물의사용 비율이 1:99 미만인 경우, 일반적으로 수분 구속성이 부적절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더욱이 상 분리가 일어나고 에멀션 안정성이 훼손되는 경향이 발생한다. 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 비율이 95:5 를 초과하는 경우, 수득된 제제를 피부 상에 적용하는 경우에 퍼짐성이 불량하고 감촉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발생한다.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수득하기 위하여 각종 계면 활성제가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성 계면 활성제 및/또는 천연 계면 활성제,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성 계면 활성제, 친유성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친수성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오일상 및 수상 중에 함유된 에스테르 화합물 및 수용성 무기염에 의해 유중수 에멀션의 안정성이 상승되고, 에멀션화제로서 사용되는 계면 활성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나 예로서 하기의 것이 언급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 예컨대, Soap Base, 소듐 라우레이트 및 소듐 팔미테이트; 고급 알킬 술페이트 에스테르염, 예컨대,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및 칼륨 라우릴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에스테르염, 예컨대, POE-라우릴 술페이트의 트리에탄올아민염 및 소듐 POE-라우릴 술페이트; N-아실사르코신, 예컨대,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신; 고급 지방산 아미도술폰산염, 예컨대, 소듐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 소듐 N-코코일-N-메틸 타우레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메틸 타우레이트; 인 에스테르염, 예컨대, 소듐 POE-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소듐 POE-스테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숙신 에스테르염, 예컨대, 소듐 디-2-에틸헥실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모노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술포숙시네이트; 알킬벤젠술폰산염, 예컨대, 소듐 선형 도데실젠술포네이트, 선형 도데실젠술포네이트의 트리에탄올아민염 및 소듐 선형 도데실젠술포네이트; N-아실글루탐산염, 예컨대, 모노소듐 N-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 N-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및 모노소듐 N-미리스토일-L-글루타메이트; 고급 지방산 및 글리세롤의 황산 에스테르염, 예컨대, 경화된 코코넛유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의 황산 에스테르의 소듐염; 술페이트화된 오일, 예컨대, Turkey 적색 오일; POE-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2 차 알코올 술페이트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롤아미드 술페이트 에스테르염; 소듐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숙시네이트;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염; 소듐 카세이네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예컨대,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예컨대,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피리디늄염, 예컨대,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유기적으로 변형된 진흙 광물, 예컨대, 유기적으로 변형된 황토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 예컨대, 소듐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 및 디소듐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 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 베타인형 계면 활성제, 예컨대,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및 술포베타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디글리세롤소르비탄 펜타-2-에틸헥실레이트 및 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레이트;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글리세롤 모노 면실유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에루케이트, 글리세롤 세스퀴올레에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α,α'-올레에이트 피로글루타메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디글리세롤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롤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롤 농축된 (condensed) 리신올레이트 및 테트라글리세롤 농축된 리신올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경화된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롤 알킬 에테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POE소르비탄 테트라올레에이트, POE-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톨 펜타올레에이트 및 POE-소르비톨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롤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및 POE-글리세롤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디올레에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POE 알킬 에테르, 예컨대, POE 라우릴 에테르, POE 올레일 에테르, POE 스테아릴 에테르, POE 베헤닐 에테르, POE 2-옥틸도데실 에테르 및 POE 콜레스타놀 에테르; Pluronics, 예컨대, Pluronic; POE.POP 알킬 에테르, 예컨대, POE.POP 세틸 에테르, POE.POP 2-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 모노부틸 에테르, POE.POP 수소화 라놀린 에테르 및 POE.POP 글리세롤 에테르; 테트라POE.테트라POP 에틸렌디아민 농축물, 예컨대, Tetraronic; POE-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예컨대,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메이트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에스테르 및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에이트; POE-밀랍 라놀린 유도체, 예컨대, POE-소르비톨 밀랍;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예컨대, 코코넛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및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POE-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POE-노닐페닐 포름알데히드 농축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 산화물; 트리올레일포스페이트;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롤 디올레에이트; 변형된 실리콘, 예컨대, 메틸폴리실록산, 세틸메틸폴리실록산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천연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레시틴, 예컨대, 대두 포스포리피드, 수소화된 대두 포스포리피드, 노른자 포스포리피드 및 수소화된 노른자 포스포리피드; 대두 사포닌;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오일상 내로의 계면 활성제 혼합량은, 안정한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 질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상을 구성하는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품 또는 외용 제제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오일 중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체 지방 및 오일, 왁스, 탄화수소 오일, 고급 알코올, 실리콘 오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구체적 예를 하기에 제시한다.
고체 지방 및 오일로서, 예를 들면, 카카오 버터, 코코넛유, 탈로우 (tallow), 양지, 말지방, 팜핵유 (palm kernel oil), 라드 (lard), 소뼈 지방, 일일본 핵유 (Japna kernel oil), 소다리 지방, 목납, 경화된 코코넛유, 경화된 팜유, 경화된 탈로우, 경화유, 경화된 피마자유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왁스로서,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납, 카나우바 왁스, 월계수 열매 왁스, 충납, 경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라놀린 아세테이트, 액체 라놀린, 이소프로필 라놀레이트, 환원된 라놀린, 경질 라놀린, 헥실 라우레이트, 요요바 왁스, 셸락 왁스, POE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라놀레이트, POE 수소화된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로서, 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이소파라핀, 파라핀, 오조세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Vaseline),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왁스, 올레핀 올리고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콜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탄산 (EPA), 도코사헥사에노산 (DHA)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 예를 들면, 직쇄 알코올, 예컨대,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및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분지쇄 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바틸 알코올)의 모노스테아릴 에테르, 2-데실테트라데카놀, 라놀린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옥틸도데카놀;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로서, 예를 들면, 사슬 폴리실록산,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메틸수소-폴리실록산; 고리형 폴리실록산, 예컨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및 테트라히드로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실록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오일상 중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는,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8 질량% 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수상은 기본적으로 수용성 무기염과 물로 구성된다. 수상 내로 혼입되는 수용성 무기염으로서, 무기 강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토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무기 강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강산으로서,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이 언급될 수 있고, 특히, 염산, 황산 및 인산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으로서, 소듐, 칼륨 등이 언급될 수 있고, 특히 소듐 및 칼륨이 바람직하고, 알칼리토 금속으로서, 마그네슘, 칼슘 등이 언급될 수 있고, 특히 마그네슘 및 칼슘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소듐 클로라이드, 칼륨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소듐 술페이트, 소듐 포스페이트, 디소듐 히드로겐포스페이트, 소듐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칼륨 포스페이트, 디칼륨 히드로겐포스페이트, 칼륨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소듐 클로라이드, 칼륨 클로라이드 및 소듐 술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 비율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무기염의수상으로의 혼합 함량은 수용성 무기염 및 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질량% 일 필요가 있다.
수용성 무기염을 수상에 혼입시켜, 무기염이 피부 상에서 수분의 증발 및 흡수를 조절한다고 추측된다. 이에 의해서, 에스테르 화합물에 의해 증강되는 수분 구속성에 더하여, 이의 적용 후에 수분 감촉이 더더욱 유지되는,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무기염을 수상에 첨가하지 않는 경우, 안정한 유중수 에멀션 조성물을 형성할 수 없고, 에멀션 조성물의 제제 후 2 내지 3 일에, 수상의 분리가 발생한다. 수상에 대한 수용성 무기염의 첨가량이 수용성 무기염 침 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질량% 미만인 경우,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고, 비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에멀션 안정성이 조금 더 양호하다 할지라도, 수상의 분리가 오래 전에 일어난다. 0.01 내지 10 질량%, 무엇보다 0.1 내지 5 질량% 를 첨가하여, 상기 문제를 제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수용성 무기염이 10 질량% 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수상 내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수득된 에멀션 조성물이 적용 시에 끈적이는 감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중 오일상 대 수상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90: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0:30 이다. 수상의 비율이 10:90 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존 안정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수상의 비율이 90:10 의 비율 미만인 경우, 오일에 기인한 끈적임이 더욱 강해지고, 이는 사용 감촉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목적되는 경우에, 전술한 성분에 더하여, 사용 감촉을 더욱 향상시키고, 수분 구속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피부에 영향을 공급하고/하거나 품질 훼손을 예방하는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함량으로 화장품, 의약품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 (이하, 물리적 특성 등의 개선제로 칭함)을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내에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특성 등의 개선제로서, 예를 들면, 분말 성분, 보습제, 천연 수용성 마크로분자, 반합성 수용성 마크로분자, 합성 수용성 마크로분자, 무기 수용성 마크로분자,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sequestering agent),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모노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아미노산, 유기 아민, 합성 수지 에멀션, pH-조절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보조제, 방향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 무기 분말, 예컨대,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질석,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바륨 실리케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스트론튬 실리케이트, 텅스텐산의 금속성 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바륨 술페이트, 하소된 칼슘 술페이트 (하소된 석고), 칼슘 포스페이트, 플루오르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분말, 금속성 비누 (아연 미리스테이트, 칼슘 팔미테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및 보론 질화물;; 유기 분말, 예컨대,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안아민 수지 분말, 폴리에틸렌 테트라플루오라이드 분말 및 셀룰로오스 분말; 무기 백색 안료, 예컨대, 티탄 이산화물 및 아연 산화물; 무기 적색 안료, 예컨대, 철 산화물 (적색 산화물) 및 철 티타네이트; 무기 갈색 안료, 예컨대, γ-철 산화물; 무기 황색 안료, 예컨대, 황색 철 산화물 및 베스 (bess); 무기 흑색 안료, 예컨대, 흑색 철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저 산화량의 티탄 산화물; 무기 자주색 안료, 예컨대, 암모늄 망간 피로포스페이트 및 코발트 바이올렛; 무기 녹색 안료, 예컨대, 크롬 산화물, 크롬 히드록시드 및 코발트 티타네이트; 무기 청색 안료, 예컨대, 울트라마린 블루 및 프러시안 블루; 진주색 안료, 예컨대, 티탄 산화물로 피복된 운모, 티탄 산화물로 피복된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티탄 산화물로 피복된 탈크, 채색된 티탄 산화물로 피복된 운모,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및 생선 비늘 구아닌; 금속 분말 안료, 예컨대, 알루미늄 분말 및 구리 분말; 유기 안료, 예컨대, 적색 201, 적색 202, 적색 204, 적색 205, 적색 220, 적색 226, 적색 228, 적색 405, 주황색 203, 주황색 204, 황색 205, 황색 401 및 청색 404; 지르코늄 레이크, 바륨 레이크, 알루미늄 레이크 등을 포함하는 유기 안료, 예컨대, 적색 3, 적색 104, 적색 106, 적색 227, 적색 230, 적색 401, 적색 505, 주황색 205, 황색 4, 황색 5, 황색 202, 황색 203, 녹색 3 및 청색 1; 천연 채색 물질, 예컨대, 클로로필 및 β-캐로텐;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분말 성분은 일반적인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습제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1,3-부틸렌 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 황산, 카로닌 황산, 아텔로콜라겐, 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듐 락테이트, 우레아, 담즙산염, 디-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단쇄 사용 감촉 콜라겐, 디글리세롤 (EO) PO 부가물, 헤스트넛 장미 추출물, 서양가새풀 추출물, 스위트 클로버 (sweet clover) 추출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천연 수용성 마크로분자로서, 예를 들면, 식물성 마크로분자, 예컨대, 검 아라빅, 트라가칸트 검, 갈락탄, 구아 검, 카라야 검, 카라기난, 로커스트 (Locust) 콩 검, 타마린드씨 검, 펙틴, 아가, 모과씨 (Cydonia vulgalis Peas), 조류 콜로이드 (해생 식물 추출물) 및 전분 (쌀, 옥수수, 감자, 및); 미생물학적 마크로분자, 예컨대, 크산탄 검, 덱스트란, 숙시닐글루칸 및 풀룰란; 동물 마크로분자, 예컨대,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및 젤라틴이 언급될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마크로분자로서, 예를 들면, 전분형 마크로분자,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전분 및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셀룰로오스형 마크로분자,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소듐 셀룰로오스 술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질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분말; 알긴산형 마크로분자, 예컨대, 소듐 알기네이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합성 수용성 마크로분자로서, 예를 들면, 비닐형 마크로분자,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르보폴); 폴리옥시에틸렌형 마크로분자,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0, 40,000 및 60,000;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형 마크로분자; 아크릴릭형 마크로분자, 예컨대,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음이온성 중합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무기 수용성 마크로분자로서,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AlMg 실리케이트 (비검 (veegum)), 헥토라이트, 실릭산 무수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벤조산형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파라아미노벤조산 (이하 PABA 로 약칭), 글리세롤 모노PABA 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PABA 에틸 에스테르 및 N,N-디메틸PABA 부틸 에스테르; 안트라닐산형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호모멘틸 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살리실산형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아밀 살리실레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및 p-이소프로필페닐 살리실레이트; 신남산형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옥틸 신나메이트, 에틸 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 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 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 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 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α-시아노 β-페닐신나메이트 및 글리세롤 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형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 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트옥시벤조페논 및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3-(4'-메틸벤질리덴)-d,l-캄포르; 3-벤질리덴-d,l-캄포르; 우로칸산; 에틸 우로카네이트; 2-페닐-5-메틸벤즈옥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아닌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그 중 다수 (예를 들면, 벤조산형, 안트라닐산형, 살리실산형, 신남산형 등)가 에스테르 오일이다.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테트라소듐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포네이트, 디소듐 에데테이트, 트리소듐 에데테이트, 테트라소듐 에데테이트, 소듐 시트레이트, 소듐 폴리포스페이트, 소듐 메타포스페이트,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에데트산, 트리소듐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트리아세테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 알코올, t-부틸 알코올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예를 들면, 2 가 알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 글리콜 및 옥틸렌 글리콜; 3 가 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1,2,6-헥산트리올; 4 가 알코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5 가 알코올, 예컨대, 자일리톨; 6 가 알코올, 예컨대, 소르비톨 및 만니톨; 다가 알코올 중합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글리세롤, 테트라글리세롤 및 폴리글리세롤; 2 가 알코올의 알킬 에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2-메틸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이소아밀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벤질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디부틸 에테르; 2 가 알코올의 알킬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2 가 알코올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디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숙시네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아세테이트; 글리세롤 모노알킬 에테르, 예컨대, 키밀 알코올, 올레일 글리세릴 에테르 및 바틸 알코올; 당 알코올, 예컨대,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수크로오스,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푸룩토오스, 전분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되는 당, 말토오스, 자일리톨 및 전분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 당을 환원시켜 수득되는 알코올; 테트라히드로퍼퓨릴 알코올; POE-테트라히드로퍼퓨릴 알코올; POP 부틸 에테르; POP.POE 부틸 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에테르; POP 글리세롤 에테르; POP 글리세롤 에테르 포스페이트; POP.POE 펜타에리트리톨 에테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모노사카라이드로서, 예를 들면, 트리오스, 예컨대, D-글리세르알데히드 및 디히드록시아세톤; 테트라오스, 예컨대, D-에리트로스, D-에리트룰로스, D-트레오스 및 에리트리톨; 펜타오스, 예컨대,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 L-릭소스, D-아라비노스, D-리보스, D-리불로스, D-자일룰로스 및 L-자일룰로스; 헥사오스, 예컨대, D-글루코스, D-탈로스, D-사이코스, D-갈락토스, D-푸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스 및 D-타가토스; 헵타오스, 예컨대, 헵토스; 옥타오스, 예컨대, 옥토스; 데옥시당, 예컨대, 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스 및 6-데옥시-L-만노스;아미노 당, 예컨대, D-글루코사민, D-갈크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및 무람산; 우론산, 예컨대,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굴루론산, D-갈락투론산 및 L-이두론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올리고사카라이드로서,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젠티아노스, 움벨리페로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릭소스, α,α-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릭소스, 스타키오스, 베르바스코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모과씨,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전분, 갈락탄, 더마탄 술페이트, 글리코겐, 검 아라빅, 헤파란 술페이트, 히알루론산, 트라가칸트 검, 케라탄 술페이트, 콘드로이틴, 크산탄 검, 뮤코이틴 황산, 구아 검, 덱스트란, 로커스트 콩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 술페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 예컨대, 트레오닌 및 시스테인; 및 염기성 아미노산, 예컨대, 히드록시리신을 언급할 수 있다.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소듐 아실사르코신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신), 아실글루타메이트염, 소듐 아실-β-알라닌,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복시릭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서,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합성 수지 에멀션으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릭 수지 에멀션,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에멀션, 아크릴릭 수지 용액,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에멀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션 등이 언급될 수 있다.
pH-조절제로서, 예를 들면, 버퍼, 예컨대, 락트산-소듐 락테이트 및 시트르산-소듐 시트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비타민으로서,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및 E, 및 그의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의 유도체, 비오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 예를 들면,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 에스테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보조제로서, 예를 들면,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세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기타 혼합 가능한 성분으로서, 방부제, 예컨대, 에틸파라벤 및 부틸파라벤; 염증방지제, 예컨대, 글리시르히진산 유도체, 글리시르헤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아연 산화물 및 알란토인; 백화제, 예컨대, 태반 추출물 및 범의귀 (saxifrage) 추출물; 복방황백 (phellodendron) 껍질 추출물, 일본 황련, 지치 뿌리, 허브향 작약, 일본 키라타, 자작나무, 샐비어, 비파나무, 인삼, 알로에, 맬로우,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외, 백합, 크로커스, 천궁, 생강, 세인트-존스-워트, 오노니스 (Ononis), 마늘, 일본 칠리, 건조된 오렌지 껍질, 당귀 뿌리, 해초 등; 활성제, 예컨대, 로얄젤리, 감광성 염료,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유아혈 추출물; 혈액순환 촉진제, 예컨대, 벤질 니코티네이트, β-부톡시에틸 니코티네이트, 카프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 팅크제, 이크타몰, 탄산, α-보르네올, 토코페롤 니코티네이트, 이노시톨 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및 γ-오리자놀; 지루방지제, 예컨대, 황 및 티안톨;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특수한 방식 및/또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수득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이외의 오일을 가열하여 용액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지용성 (oil soluble) 또는 친유성 물리적 특성 등의 향상제, 예컨대, 방부제 및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 내지 80 ℃ 로 가열하여 오일상을 제조한다. 수용성 무기염 및 필요한 경우 수용성 또는 친수성 물리적 특성 등의 향상제, 예컨대, 보습제를 정제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내지 80 ℃ 로 가열하여 수상을 제조한다. 수상을 서서히 오일상에 첨가하여 예비 에멀션시키고, 에멀션화된 입자를 유화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일화시키고, 상기 에멀션을 탈기시키고, 여과시키고,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형태에 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고, 피부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통상적인 모든 형태, 예컨대, 크림, 액체 크림, 파운데이션, 베이스 메이크, 루즈, 아이셰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마사지용 화장품, 핸드 크림, 연고, 에멀션화된 물을 함유하는 립스틱 및 헤어 크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아기에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되나, 오직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혼합량은 질량% 를 의미한다.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표 2 내지 4 에 제시된 혼합 조성물을 갖는 유중수 에멀션 크림 각각 400 g 을 제조하고, 그의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수분 구속성 평가 방법
본 발명의 제제에 의해 형성된 수분 구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술한 수분 투과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과지 상에 오일을 형성하는 방법이 전술한 것과 약간 상이하기 때문에, 하기에 기술한다. 유중수 에멀션 크림 (약 2 g; 비교예 10 에서만 약 5 g) 을 5 C 여과지 상에 균일하게 펼치고, 수득된 여과지를 온도 40 ℃, 습도 30 % 하에서 열-항습장치 중에 20 시간동안 정치시켜 수분을 증발시켰다. 필터 상의 과량의 오일 등을 천조각으로 닦아내어, 스며든 양을 7 내지 9 mg/cm2로 조절하였다. 수분 투과량에 대해 이미 전술한 시험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측정하여 수분 투과성을 수득하였다. 수분 구속성을 하기 판단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5 내지 7 에 제시한다.
수분 구속성에 대한 판단 기준
◎: 수분 투과성이 7.5 % 미만임. O: 수분 투과성이 7.5 % 이상, 10.0 % 미만임. △: 수분 투과성이 10.0 % 이상, 15.0 % 미만임. ×: 수분 투과성이 15.0%이상임.
사용 촉감 시험 방법
10 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이 제조된 유중슈 에멀션 크림을 실제로 사용하고, 감각적으로 그의 사용 감촉을 평가하였다. 사용 감촉을 하기 판단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 내지 7 에 또한 제시한다.
사용 감촉 판단 기준
◎: 10 명 중 8 명 이상이 크림이 끈적임이 없고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O: 10 명 중 6 명 이상이 크림이 끈적임이 없고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 10 명 중 4 명 이상이 크림이 끈적임이 없고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 10 명 중 4 명 미만이 크림이 끈적임이 없고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안정성 시험 방법
제조된 유중수 에멀션 크림을 유리 병에 포장하고, 제조 직후, 및 5 ℃, 실온 또는 40 ℃ 에서 한 달간 정치시킨 후 그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안정성은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5 내지 7 에 또한 제시한다.
안정성에 대한 평가 기준
O: 분리와 같은 이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고, 안정성이 양호함. △: 약간의 분리 등이 오일상 또는 수상에서 관찰됨. ×: 상당한 분리가 오일상 또는 수상에서 관찰되고, 안정성이 불량함.
실시예 1 내지 7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오일상 에스테르 화합물 (*1) 5.0 5.0 2.0 5.0 5.0 5.0 5.0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15.0 15.0 15.0 25.0 15.0 15.0 15.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0 5.0 5.0 5.0 5.0 5.0 5.0
액체 파라핀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3.0 3.0 3.0 3.0 3.0 3.0 3.0
POE(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수상 소듐 클로라이드 0.5 1.0 0.5 0.5 - - 0.25
포테슘 클로라이드 - - - - 0.5 - -
소듐 술페이트 - - - - - 0.5 0.25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정제수 40.0 40.0 40.0 40.0 40.0 40.0 40.0
(*1)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비교예 1 내지 7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오일상 에스테르 화합물 (*1) - - 5 0.05 20 5 5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15 15 15 15 15 15 15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5 5 5 5 5 5
액체 파라핀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3.0 3.0 3.0 3.0 3.0 3.0 3.0
POE(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수상 소듐 클로라이드 - 0.5 - 0.5 0.5 0.003 5.0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정제수 40.0 40.0 40.0 40.0 40.0 40.0 40.0
(*1)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비교예 8 내지 11
성분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오일상 에스테르 화합물 (*1) - - 0.5 10
미세결정질 왁스 5 10 - -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15 15 3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5 1 10
액체 파라핀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3.0 3.0 3.0 3.0
POE(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0 1.0 1.0 1.0
수상 소듐 클로라이드 0.5 0.5 0.5 0.5
메틸-파라벤 0.1 0.1 0.1 0.1
정제수 40.0 40.0 90.0 9.0
(*1)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7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수분 구속성(수분 투과성) ◎(5.5%) ◎(6.3%) O(8.3%) ◎(7.0%) ◎(5.5%) ◎(5.8%) ◎(5.3%)
사용 감촉
안정성 에멀션화 직후
한달 후 5℃
실온
40℃
평가 결과: 비교예 1 내지 7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수분 구속성(수분 투과성) X(22.4%) X(24.4%) O(8.0%) X(20.9%) ◎(5.3%) O(8.7%) O(8.8%)
사용 감촉
안정성 에멀션화 직후
한달 후 5℃
실온
40℃
평가 결과: 비교예 8 내지 11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수분 구속성(수분 투과성) X(22.2%) X(21.1%) △(14.9%) O(7.8%)
사용 감촉
안정성 에멀션화 직후
한달 후 5℃
실온
40℃
표 5 내지 7 에서 명백하듯이, 실시예 1 내지 7 의 유중수 에멀션 크림은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또는 안정성에서 비교예 1 내지 7 에 비하여 훨씬 우수하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7 의 크림 중 임의의 것으로 피복된 손이 옷 또는종이에 접촉하는 경우, 오일 성분의 거의 전부가 그 위에 묻지 않았고, 상기 크림은 매우 양호한 사용 감촉을 주었다. 비교예 1 내지 3 의 유중수 에멀션 크림에는,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인 에스테르 화합물 및 수용성 무기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첨가되지 않았고, 상기 크림 중 어느 것도 수분 구속성을 만족시키지 않고, 덧붙여 안정성에 문제를 가졌다. 비교예 4 내지 7 의 유중수 에멀션 크림에는 본 발명의 필수 성분 중 하나의 혼합 함량이 필요 범위를 벗어나고, 혼합 함량이 필요 범위의 하한 미만인 경우에, 수분 구속성 및 안정성 모두가 불량하고 (비교예 4 및 6), 혼합 함량이 필요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 촉감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5 및 7). 별개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미세결정질 왁스로 에멀션화 상태를 안정시키려고 하였으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다량의 미세결정질 왁스를 혼합할 필요가 있었고, 수득된 유중수 에멀션 크림은 끈적임이 강할 뿐만 아니라 피부 상에서 미끄러지고 옷에 쉽게 묻는 등, 사용 감촉의 평가가 낮았다 (비교예 8 및 9). 추가로, 비교예 10 및 11 에서 수상의 비율이 90 질량% 초과 또는 10 질량% 미만인 유중수 에멀션 크림이 제조되었으나, 9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 안정성이 불량하였고, 10 질량% 미만인 경우에, 끈적임이 강하여 사용 감촉이 불량하였다.
표 5 내지 7 에서 명백하듯이, 실시예 1 내지 7 의 유중수 에멀션 크림은 수분 구속성이 탁월하고 및 그에 의한 거친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주방일을 많이 하는 10 명의 주부에게 일주일에 걸쳐 자기 전에 매일 손에 실시예 1 의 크림을 적용하고, 이를 제외하고는 일상적인 생활을 할 것을 요청하였고, 그들은 요청대로 했으며, 그 결과, 그들 중 8 명이 전보다 거친 피부에 대해 걱정을 덜하게 됨을 느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의 다른 실시예는 하기에 제시된다.
실시예 8 에몰리언트 ( emollient ) 크림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5
디글리세롤 디이소스테아레이트 5
액체 파라핀 20
이소옥틸 팔미테이트 15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글리세롤 5
1,3-부틸렌 글리콜 5
1% 시트레이트 버퍼 용액 (시트르산 1, 소듐 시트레이트 9) 30
소듐 클로라이드 0.2
디소듐 히드로겐포스페이트 0.1
히알루론산 0.1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5
방부제 적정량
방향제 적정량
탈이온수 잔여량
실시예 8 에서 수득된 에몰리언트 크림은,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한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 평가에서 양호한 결과, 즉, 수분 구속성 ◎, 사용 감촉 ◎ 및 안정성 (5 ℃: O, 실온: O, 40 ℃: O)을 나타냈다. 더욱이, 상기 에몰리언트 크림을 거친 피부라고 생각되어 왔던 부위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거친 피부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실시예 9 유중수 에멀션 연고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5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실록산 0.5
글리세롤 트리옥타노에이트 20
옥수수유 20
파라핀 왁스 1
소르비톨 5
1,3-부틸렌 글리콜 5
디칼륨 글리시르히지네이트 0.2
우레아 10
소듐 클로라이드 0.1
소듐 술페이트 0.1
방부제 적정량
정제수 잔여량
실시예 9 에서 수득된 유중수 에멀션 연고는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한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 평가에서 양호한 결과, 즉, 수분 구속성 ◎, 사용 감촉 ◎ 및 안정성 (5 ℃: O, 실온: O, 40 ℃: O)을 나타냈다. 더욱이, 상기 유중수 에멀션 연고를 거친 피부라고 생각되어 왔던 부위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거친 피부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실시예 10 액체 크림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II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1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실록산 0.2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10
액체 파라핀 15
스쿠알란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
스테아릴 글리시르헤티네이트 0.1
소르비탄 세스퀴놀레이트 4
POE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
프로필렌 글리콜 8
글리세롤 5
칼륨 클로라이드 0.5
디칼륨 히드로겐포스페이트 0.5
방부제 적정량
방향제 적정량
탈이온수 잔여량
실시예 10 에서 수득된 액체 크림은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한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 평가에서 양호한 결과, 즉, 수분 구속성 ◎, 사용 감촉 ◎ 및 안정성 (5 ℃: O, 실온: O, 40 ℃: O)을 나타냈다. 더욱이, 상기 액체 크림을 거친 피부라고 생각되어 왔던 부위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거친 피부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실시예 11 햇볕차단 크림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4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10
4-메톡시-4'-t-부틸벤조일메탄 2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10
스쿠알란 10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5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1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3.5
POE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
소수성으로 제조된 티탄 산화물 미세 입자 3
소수성으로 제조된 아연 산화물 미세 입자 3
1,3-부틸렌 글리콜 10
EDTA.2Na 0.1
소듐 클로라이드 1.0
방부제 적정량
방향제 적정량
탈이온수 잔여량
실시예 11 에서 수득된 햇볕차단제는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한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 평가에서 양호한 결과, 즉, 수분 구속성 ◎, 사용 감촉 ◎ 및 안정성 (5 ℃: O, 실온: O, 40 ℃: O)을 나타냈다. 더욱이, 상기 햇볕차단제는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가지고, 상기 햇볕차단제로 피복된 피부가 옷에 접촉하는 경우, 분말이 그 위에 묻지 않았고, 그의 사용 감촉이 매우 만족스러웠다. 더욱이, 자외선 흡수제로 에스테르 오일이 혼합된 경우에 양호한 피부 친화성에 기인한 양호한 사용 촉감 및 에멀션 안정성을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할지라도, 실시예 11에서는 자외선 흡수제로 에스테르 오일을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다.
실시예 12 W/O 에멀션 파운데이션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에이코산디오에이트 (상품명: NOMCORT HK-G, THE NISSHIN OIL MILLS, LTD. 사제) 0.2
액체 파라핀 5
메틸페니폴리실록산 5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5
폴리옥시에틸렌-변형된 디메틸 폴리실록산 4
세리사이트 5
카올린 3
티탄 이산화물 12
적색 철 산화물 0.5
황색 철 산화물 1
흑색 철 산화물 0.1
1,3-부틸렌 글리콜 5
소듐 술페이트 0.2
분산제 적정량
방부제 적정량
방향제 적정량
탈이온수 잔여량
실시예 12 에서 수득된 W/O 에멀션 파운데이션은 실시예 1 내지 7 과 동일한 수분 구속성, 사용 감촉 및 안정성 평가에서 양호한 결과, 즉, 수분 구속성 ◎, 사용 감촉 ◎ 및 안정성 (5 ℃: O, 실온: O, 40 ℃: O)을 나타냈다. 더욱이, 상기 W/O 에멀션 파운데이션은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가지고, 상기 W/O 에멀션 파운데이션으로 피복된 피부가 옷에 접촉하는 경우, 분말이 그 위에 묻지 않았고, 그의 사용 감촉이 매우 만족스러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상에 특정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입하고, 수상에 수용성 무기염을 혼입하여, 에스테르 오일과 같은 극성 오일이 오일상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수분 구속성이 탁월하고, 양호한 사용 감촉을 가지고, 양호한 피부 친화성을 가져 옷 등에 오일 성분이 거의 묻지 않고, 에멀션 안정성이 탁월하고,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오일상이 하기 성분 (A), (B) 및 (C) 를 에스테르화시켜 수득된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 이외의 오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수상이 수용성 무기염의 수용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external use)용 유중수 (water-in-oil) 에멀션 제제:
    (A) 다가 알코올;
    (B) 탄소수 8 내지 30 인 지방산 및/또는 히드록시 지방산; 및
    (C) 탄소수 12 내지 30 인 2 가 카르복실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에 있어서 혼합 비율이 성분 (A): 성분 (B): 성분 (C)의 비율이 1.0 몰: 1.0 내지 2.5 몰: 0.25 내지 1.0 몰인 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일상 중 각각의 성분의 혼합 함량은, 에스테르 화합물, 에스테르 오일, 계면 활성제 및 에스테르 오일이외의 오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 함량이 0.1 내지 30 질량% 이고, 에스테르 오일의 혼합 함량이 1 내지 99 질량% 이고, 계면 활성제의 혼합 함량이 0.01 내지 40 질량% 이고, 에스테르 오일이외의 오일의 혼합 함량이 0.01 내지 98 질량% 이고; 수상 중 수용성 무기염의 혼합 함량은 수용성 무기염 및 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 인 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상 중 에스테르 화합물 대 에스테르 오일의 사용 비율이 1:99 내지 95:5 인 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상 대 수상의 질량 비율이 10:90 내지 90:10 인 제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글리세롤이고, 성분 (B) 가 베헨산이며, 성분 (C) 가 에이코산디오산인 제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외용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리적 특성 등의 개선제 하나 이상이 혼합된 제제.
KR1020047011028A 2002-01-15 2003-01-10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KR100972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6692A JP2003212747A (ja) 2002-01-15 2002-01-15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JPJP-P-2002-00006692 2002-01-15
PCT/JP2003/000168 WO2003059315A1 (fr) 2002-01-15 2003-01-10 Preparation d'une emulsion a phase continue huileuse a usage cutane exter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457A true KR20040081457A (ko) 2004-09-21
KR100972327B1 KR100972327B1 (ko) 2010-07-26

Family

ID=1919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28A KR100972327B1 (ko) 2002-01-15 2003-01-10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18210A1 (ko)
EP (1) EP1466586B1 (ko)
JP (1) JP2003212747A (ko)
KR (1) KR100972327B1 (ko)
CN (1) CN100574740C (ko)
AU (1) AU2003201865A1 (ko)
WO (1) WO20030593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705B1 (ko) * 2005-09-26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 2005-09-26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1421A (ko) * 2016-12-28 2019-08-30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왁스 제제의 제조 방법
KR20210041232A (ko) 2019-10-07 2021-04-15 (주)아모레퍼시픽 타마린드 검을 포함하는 유중수(w/o)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0990A1 (en) * 2003-09-19 2006-06-29 Drugtech Corporation Composition for topical treatment of mixed vaginal infections
EP1667619A4 (en) * 2003-09-19 2007-10-10 Drugtech Corp PHARMACEUTICAL FEEDING SYSTEM
JP4284147B2 (ja) * 2003-10-10 2009-06-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化粧料原料用紫外線防御製剤及び当該製剤を含有する化粧料の製造方法
JP4395016B2 (ja) * 2004-06-29 2010-01-06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ゲル状吸水用組成物
US20090123402A1 (en) 2005-01-28 2009-05-14 Yukiko Oi Lip Cosmetics
JP5395325B2 (ja) 2005-01-28 2014-01-22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エステル化反応生成物及び化粧料
JP2007031381A (ja) * 2005-07-28 2007-02-08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セラミド含有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22362A (ja) * 2006-01-05 2009-06-11 ドラッグ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薬物送達システム
AU2006332518A1 (en) * 2006-01-05 2007-07-12 Drugtech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7320906A (ja) * 2006-06-01 2007-12-13 Shiseido Co Ltd 小じわ改善剤
US20080050320A1 (en) * 2006-08-23 2008-02-28 Ariel Haskel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 hydrophobic material and related methods
EP2066286B1 (en) * 2006-09-20 2011-12-07 Riemann Trading ApS Emulsion
JP2008290946A (ja) * 2007-05-22 2008-12-0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
DE202007011568U1 (de) * 2007-08-17 2009-01-02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Zubereitung mit hautbefeuchtenden Eigenschaften
JP2009126791A (ja) * 2007-11-20 2009-06-11 Kracie Home Products Kk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化粧料
FR2924608A1 (fr) * 2007-12-06 2009-06-12 Chanel Parfums Beaute Sas Unip Composition cosmetique renfermant une resine de polyamide, un ester de glyceryle et une cire apolaire
JP5368035B2 (ja) * 2008-09-10 2013-12-18 株式会社ダイセル 油組成物及び該油組成物を含む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613564B2 (ja) * 2008-09-12 2014-10-22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透明ゲル化粧料
JP2010132620A (ja) * 2008-12-05 2010-06-17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497287B2 (ja) * 2008-12-25 2014-05-21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EP2408422A2 (en) * 2009-03-20 2012-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carbon wax and a polar oil
US9309378B2 (en) * 2009-06-19 2016-04-12 Exacto, Inc. 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acrylamide copolymer and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copolymer
US9307758B2 (en) 2009-06-19 2016-04-12 Exacto, Inc. Polyacrylamide based agricultural compositions
US9428630B2 (en) 2009-06-19 2016-08-30 Exacto, Inc. Water-in-oil polyacrylamide-based microemulsions and related methods
JP2011068571A (ja) * 2009-09-24 2011-04-07 Fancl Corp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EP2550954B1 (en) 2010-03-25 2020-03-04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Vaseline-like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CN101889963B (zh) * 2010-08-05 2011-09-28 上海媚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微乳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855906B2 (ja) * 2010-11-08 2016-02-09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エステル化反応生成物及び化粧料
KR101318327B1 (ko) * 2011-10-11 2013-10-16 지준홍 아밀알코올 또는 그 이성질체와 천연 식물성 오일 지방산을 에스테르화 시킨 화장료 조성물
ES2621877B1 (es) * 2016-01-04 2018-05-04 Agencia Pública Empresarial Sanitaria Hospital De Poniente Solución para resección endoscópica
CN106077426A (zh) * 2016-07-29 2016-11-09 无锡市三峰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抗吸湿性的仪器铸造覆膜砂
CN109562136A (zh) * 2016-08-26 2019-04-02 安卡有限责任公司 治疗皮肤病症或减轻皮肤病症严重性的方法
KR102648547B1 (ko) * 2017-06-08 2024-03-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 수형 유화 화장료
CN112932996A (zh) * 2021-02-03 2021-06-11 深圳市护家科技有限公司 美白组合物及其精华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68B2 (ja) * 1979-07-25 1985-05-28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JP2691729B2 (ja) * 1987-06-23 1997-12-17 株式会社資生堂 固型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5567420A (en) * 1994-11-16 1996-10-22 Mceleney; John Lotion which is temporarily colored upon application
DE4444137A1 (de) * 1994-12-12 1996-06-13 Henkel Kgaa Synthetische Ester aus Alkoholen und Fettsäuregemischen aus ölsäurereichen, stearinsäurearmen Pflanzenölen
JPH09100225A (ja) * 1995-10-02 1997-04-15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JP3220657B2 (ja) * 1997-03-28 2001-10-22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00086484A (ja) * 1998-09-18 2000-03-28 Nonogawa Shoji Kk 化粧料
JP2000212046A (ja) * 1999-01-18 2000-08-02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00212049A (ja) * 1999-01-18 2000-08-02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3519301B2 (ja) * 1999-01-28 2004-04-12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TWI255191B (en) * 1999-04-16 2006-05-21 Shiseido Co Ltd High water content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JP4215918B2 (ja) * 1999-12-28 2009-01-2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化粧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705B1 (ko) * 2005-09-26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 2005-09-26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1421A (ko) * 2016-12-28 2019-08-30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왁스 제제의 제조 방법
US11433017B2 (en) 2016-12-28 2022-09-06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Process for producing a wax preparation
KR20210041232A (ko) 2019-10-07 2021-04-15 (주)아모레퍼시픽 타마린드 검을 포함하는 유중수(w/o)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327B1 (ko) 2010-07-26
EP1466586B1 (en) 2011-10-12
AU2003201865A1 (en) 2003-07-30
US20050118210A1 (en) 2005-06-02
CN100574740C (zh) 2009-12-30
WO2003059315A1 (fr) 2003-07-24
EP1466586A1 (en) 2004-10-13
JP2003212747A (ja) 2003-07-30
EP1466586A4 (en) 2007-10-03
CN1615118A (zh)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327B1 (ko)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JP4834548B2 (ja) 液状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852026B1 (ko) 피부외용제
JP5230975B2 (ja) アルキレンオキシ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US20080293811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he the skin
KR20100022010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WO2007136067A1 (ja) 皮膚外用剤
JP5305574B2 (ja) 皮膚外用剤
KR20110013502A (ko) 피부 외용제
KR20010101122A (ko) 피부외용제
JP2009242321A (ja) 皮膚外用剤
CN108778231B (zh) 水包油型组合物
KR100974005B1 (ko) 피부 외용제
CN108366953B (zh) 组合物
JP3519269B2 (ja) 皮膚外用剤
JP5234942B2 (ja)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JP3471601B2 (ja) 皮膚外用剤
WO2021205902A1 (ja) ラメラゲル含有組成物、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5121527B2 (ja) 皮膚外用剤
JP5154904B2 (ja) 皮膚外用剤
JP2003327505A (ja) 皮膚外用剤
JP2006045133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24075548A1 (ja) ゲル組成物及び水中油型組成物
WO2023042688A1 (ja) 水中油型組成物
JP200401841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