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301A -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301A
KR20040081301A KR1020040015748A KR20040015748A KR20040081301A KR 20040081301 A KR20040081301 A KR 20040081301A KR 1020040015748 A KR1020040015748 A KR 1020040015748A KR 20040015748 A KR20040015748 A KR 20040015748A KR 20040081301 A KR20040081301 A KR 2004008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power
power saving
changed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토신스케
야마모토데츠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8Power saving in hard disk dr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전체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고, 이 변동을 억제하도록, 전력 소비 기기군(18) 중 어느 기기에 의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출력하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전체 소비 전력이 변화되도록, 전력 소비 기기군(18)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기기 제어군(25)은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출력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서, 당해 제어 명령이 대상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POWER ECONOMIZING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AND POWER ECONOMIZING COMPUTING PROGRAM AND PROGRAM PRODUCT FOR THE SAME}
본 발명은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 ; 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한 프로세서 시스템으로의 이용에 바람직한,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절약 연산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등,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휴대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전력을 유효히 사용하기 위해서,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전력 절약에 관한 여러 기술이 채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력 절약 기술로서, 예컨대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마다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 혹은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보고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8-314587 공보(제 7 페이지, 도 1)
그러나, 종래의 전력 절약 기술에서는,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그에 따라 당해 기기의 소비 전력이 변화할 때, 시스템 전체의 단위 시간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배터리는, 소비 전력의 적산(積算)량이 동일하더라도, 소비 전력의 변동이 클수록 보다 단시간에 충전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력 절약 기술은 소비 전력의 변동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의 필요없는 소비를 억제할 수 없어, 배터리의 수명(충전 에너지를 소비할 때까지의 기간)을 불필요하게 단축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명령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도 1의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1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1의 기기 정보 관리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도 1의 기기 제어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도 1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9는 도 1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0은 도 1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1은 도 1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2는 도 1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3은 기기 정보 관리부가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CPU 12 : 하드디스크(기억부)
13 : RAM(기억부) 14 : 파워 앰프
15 : 백라이트 16 : 통신용 CPU
17 : 전력 공급원 18 : 전력 소비 기기군
21 : 기기 정보 관리부 22 :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
23 : 전력 절약 결정부 24 : 명령 변환 테이블
25 : 기기 제어부 26 :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
31 : 기록 매체 33 : 전송 매체
101 : 전력 절약 연산 장치 200 : 시스템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고, 상기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기기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기 정보 관리부가,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고, 이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출력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1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력 절약 결정부와,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가 출력하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기 정보 관리부가 출력하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이 생성, 출력되고, 이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제어되기 때문에,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이 억제된다.
제 3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2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는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는 상기 규칙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력 절약 결정부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하나 이상의 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유지하고, 이 규칙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제어 명령의 생성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4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3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로서 추가 가능한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추가 가능한 기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로의 추가가 있었던 경우에, 추가된 상기 기기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규칙을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하나 이상의 기기로서 추가가능한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추가 가능한 기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로의 추가가 있었던 경우에, 추가된 기기에 대응하고 또한 기억부에 기억되는 규칙을 전력 절약 결정부에 유지시키기 때문에, 추가 가능한 기기의 추가가 있었던 경우에, 전력 절약 결정부는 추가가 있었던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5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2 특징 내지 제 4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각각에 대하여 동작 내용과 동작의 허용 범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상기 동작 내용이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에 대하여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기 제어부가,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각각에 대하여 동작 내용과 동작의 허용 범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동작 내용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력 절약 결정부에 대하여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출력을 금지하기 때문에, 동작 내용이 허용 범위를 계속 초과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6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2 특징 내지 제 4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에 대하여 동작 내용과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의 허용 경과 시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고, 상기 동작 내용이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으로 이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상기 허용 경과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에 대하여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기 제어부가,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 각각에 대하여 동작 내용과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의 허용 경과 시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고, 동작 내용이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으로 이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허용 경과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력 절약 결정부에 대하여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출력을 금지하기 때문에,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이, 허용되는 한계 시간을 초과하여 더 계속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7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2 특징 내지 제 6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변동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를 억제했을 때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가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보다도 우수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기기에는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고, 기기 정보 관리부는 전체의 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변동을 검출한 경우에는,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를 억제했을 때의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가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보다도 우수한 경우에 한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작성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을 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제 8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1 특징 내지 제 7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각각의 소비 전력의 변화의 패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화의 패턴을 유지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패턴과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해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으로서 미래에서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기 정보 관리부는 하나 이상의 기기 각각의 소비 전력의 변화의 패턴 또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화의 패턴을 유지하고, 이들 어느 하나의 패턴과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한 결과에 근거하여, 전체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해서,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으로서 미래에서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해서 출력하기 때문에,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기기의 제어가 시간 지연없이 실현된다. 이 때문에,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제 9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1 특징 내지 제 8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로서, 상기 전력 절약 연산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에포함되고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력 절약 연산 장치가 하나 이상의 기기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 절약 연산 장치 자신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0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전력 절약 연산 방법으로서,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되도록,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이 억제된다.
제 11 특징에 따른 발명은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컴퓨터에,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한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때문에, 결정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 중의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2 특징에 따른 발명은,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에,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신호 유지 매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컴퓨터에,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한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때문에, 결정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3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 12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신호 유지 매체가 기록 매체와 전송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와 전송 매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이들 매체를 통하여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규정하는 기능을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를 갖는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시스템(200)은 모바일 통신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고, 전력 공급원(17), 전력 소비 기기군(18) 및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구비하고 있다. 전력 공급원(17)은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포함되는 각 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며, 도 1의 예에서는 배터리이다. 전력 소비 기기군(18)은 전력을 소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1의 예에서는 CPU(1), HDD(하드디스크 장치)(12), RAM(Random Access Memory)(13), 파워 앰프(14), 백라이트(15) 및 통신용 CPU(16)를 포함하고 있다. CPU(1)는 RAM(13) 혹은 HDD(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시스템(200)의 기능, 예컨대 통신 기능, 표시 기능, 데이터 기억 기능, 데이터 판독 기능 등을 실현하는 것이다. 파워 앰프(14)는, 예컨대 시스템(200)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이다. 백라이트(15)는, 예컨대 LCD(액정 표시기)에 이용되는 광원이다. 통신용 CPU(16)은 RAM(13) 혹은 HDD(1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시스템(200)의 기능 중,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CPU이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각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며, 기기 정보 관리부(21), 전력 절약 결정부(23) 및 기기 제어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을 가지고,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을 가지며, 기기 제어부(25)는 제어 상태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하더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CPU에 의해서 실현된다. 그것에 의해,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 소비 기기군(18)을 구성하는 기기의 변경, 즉 기기의 추가 및 삭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하,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은 CPU에 의한 기본적인 동작을 규정하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에 해당한다.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은, 예컨대 RAM(13) 혹은 HDD(12)(본 발명의 기억부의 구체예에 상당함)에 기억된다.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은 ROM(Read Only Memory), 플렉시블 디스크, CD -ROM 등의 기록 매체(31)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도, 전화 회선,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33)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기록 매체(31)로서 CD-ROM이 나타내어져 있고, 전송 매체(33)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의 통신용 CPU(16)을 통하여 접속되는 전화 회선이 나타내어져 있다. CD-ROM에 기록된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은 CD-ROM 판독 장치(32)를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추가하여 접속하는 것에 의해 판독할 수 있고, 또한 HDD(12) 혹은 RAM(13)에 저장할 수 있다. 기록 매체(33)로서 ROM의 형태로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당해 ROM을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전송 매체(33)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은 통신용 CPU(16)을 통하여 수신되어, 예컨대 HDD(12) 혹은 RAM(13)에 저장된다. 전송 매체(33)는 유선의 전송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의 전송 매체이더라도 무방하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능을 실현하는 CPU는 CPU(11)와는 별체의 것이라도 되지만, CPU(11)과 동일한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로서 기능하는 CPU가 CPU(11)와 동일하면, 전용의 CPU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도 포함시킨 시스템(200)의 전(全)소비 전력의 변동의 억제가 달성된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능을 실현하는 CPU를 CPU(11)와는 별체의 것으로서 구성하고, 또한, 전력 소비 기기군(18) 중에, CPU(11)와 함께 내장하여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에 의한 제어의 대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과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다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포함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입력 정보로서 유지하고, 전력 소비 기기군(18) 전체의 소비 전력(총소비 전력이라 함)에 변동이 있었을 때, 이 변동량을 보상하여, 그 결과로서의 총소비 전력의 변동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하나 내지 그 이상의 어느 하나의 기기에대하여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이하,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이라고 함)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소비 전력을 변화시켜야 할 기기를 특정하는 일 없이, 총소비 전력을 얼마만큼 변화시켜야 할지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총소비 전력이 100W(와트)로부터 120W로 변화한 경우,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20W를 출력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갖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은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와, 각 기기가 소비하고 있는 전력과,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전(全) 기기가 소비하고 있는 전력의 합계값, 즉 총소비 전력을 유지하고 있다. 도 2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의 일례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반복적으로 검출하고 있어, 적어도 전회 검출에서 얻어진 소비 전력(전회의 소비 전력이라 함)과 금회의 검출에서 얻어진 소비 전력(현재의 소비 전력이라 함)을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에 유지한다.
도 2의 예에서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은 전회의 소비 전력으로서, CPU(11)가 100W, HDD(12)가 60W, RAM(13)이 40W, 파워 앰프(14)가 10W, 백라이트가 0W, 통신용 CPU가 30W, 및 이들 합계인 총소비 전력이 300W라는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총소비 전력은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은, 현재의 소비전력으로서, CPU(11)가 전회의 100W로부터 150W로 상승한 값을 유지하고, 백라이트가 전회의 0W로부터 20W로 상승한 값을 유지하며, 그 외의 기기에 대해서는 전회와 동일한 값을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은, 현재의 총소비 전력으로서, 전회로부터 70W 상승한 370W라는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회의 총소비 전력으로부터 현재의 총소비 전력으로의 변동량을 총소비 전력의 감산을 실행함으로써 검출한다. 도 2의 예에서는, 370W-300W라는 감산에 의해 변동량 +70W가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70W를 얻는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입력 정보로 하여, 당해 소비 전력을 인가된 조건에 따라서 기기 제어의 명령으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갖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은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대응시켜, 제어를 실시해야 할 기기와 그 기기로의 명령을 유지하고 있다. 명령 변환 테이블(24)은, 예컨대, CPU(11)에 대한 조건 혹은 RAM(13)에 대한 조건 등을 유지하고 있다. 즉, 명령 변환 테이블(24)은 입력 정보로서의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제어해야 할 기기로의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유지하고 있다.
도 3은 명령 변환 테이블(24)의 일례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이 -10W일 때에는,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10㎐(헤르쯔)만큼 변화시키는, 즉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10㎐ 느리게 하는 명령과, RAM(13)으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명령이 유지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면,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로 해야 하는,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소비 전력을 -10W만큼 변화시킨다고 하는, 좌단의 란에 유지되는 내용이 실현된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은 각 명령에 대응지어 동작 플래그를 유지하고 있다. 동작 플래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기 제어부(25)에 의해서 설정/해제된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동작 플래그가 1로 설정된 명령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동작 플래그가 0으로 해제된 명령만을 선택할 수 있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단일 명령뿐만 아니라, 복수의 명령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이 -30W일 때에는,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백라이트(15)의 광도를 1만큼 낮추는 단일 명령을 선택하더라도 되고,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10㎐ 낮추는 명령과, HDD(12)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명령의 2개의 명령을 동시에 선택하더라도 된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가능한 선택이 복수가지 있는 경우에는, 인가된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된다. 예컨대,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우선시킬 수 있다. 혹은, 도 3의 상람(上覽)에 위치하는 명령일수록 우선도를 높게 설정하더라도 된다. 후자의 경우,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가능한 한 상람에 위치하는 명령 또는 명령의 세트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이 -30W일 때에는,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백라이트(15)의 광도를 1만큼 낮추는 단일 명령에 우선하여,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10㎐ 낮추는 명령과, HDD(12)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명령을 선택하게 된다.우선 순위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예에서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이 10W 간격으로 인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10W 간격의 값을 출력하면 된다. 또는,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출력하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가장 가까운 값을, 참조해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명령 변환 테이블(24) 중에서 선택하더라도 된다. 어떠한 경우이더라도, 명령 변환 테이블(24)에 유지되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의 간격을 좁게 설정할수록,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보다 우수한 정밀도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3에는, 하나의 변화해야 할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이 겨우 하나인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나의 변화해야 할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은 동시에 실행 가능하면 복수개이더라도 무방하다.
기기 제어부(25)는, 전력 절약 결정부(23)로부터의 명령을 입력 정보로 해서, 당해 명령에 근거하여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각 기기를 제어한다. 기기 제어부(25)는, 예컨대, 전력 절약 결정부(23)로부터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20㎐ 느리게 한다」라는 명령을 받으면, 당해 명령을,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20㎐ 느리게 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어셈블러 명령 등으로 변환함으로써 CPU(11)를 제어한다. CPU(11)를 제어하는 어셈블러 명령 외에, HDD(12)를 제어하는 어셈블러 명령, RAM(13)을 제어하는 어셈블러 명령, 파워 앰프(14)를 제어하는 어셈블러 명령, 백라이트(15)를 제어하는 어셈블러 명령, 통신용 CPU(16)를 제어하는 어셈블러명령 등이 있다. 이러한 어셈블러 명령 자체는 종래 주지인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기 제어부(25)가 갖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은, 기기 제어부(25)가 제어하고 있는 기기의, 통상의 동작값(예컨대, CPU(11)의 동작 클럭수)과, 현재의 동작값(예컨대, CPU(11)의 동작 클럭수)과, 제어 가능한 한계 동작값(예컨대, CPU(11)는 10㎒ 미만에서는 동작 불능 등)과, 현재의 동작값이 통상 동작값으로부터 변화를 개시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계 경과 시간(예컨대, CPU(11)는 연속하여 10초 동안까지 클럭 제어가 가능)을 유지하고 있다.
도 4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의 일례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은 기기 제어부(25)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각 기기에 대응지어, 통상의 동작값, 현재의 동작값, 한계 동작값(상한 및 하한), 변동 경과 시간 및 변동 경과 한계 시간을 유지하고 있다. 통상의 동작값이란 시스템(200)이 안정 상태에 있을 때의 동작값이다. 현재의 동작값은 기기 제어부(25)가 기기에 대하여 현재 행하고 있는 제어의 내용으로서, 바꿔 말하면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기기의 현재의 동작 내용이다. 현재의 동작값은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출력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서 통상의 동작값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통상의 동작값과는 다른 현재의 동작값은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출력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한다. 하나의 변화해야 할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이 복수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동작값도 복수 종류로된다.
한계 동작값이란 기기의 특성으로부터 허용할 수 있는 동작값의 범위의 한계값이다. 변동 경과 시간은 현재의 동작값이 통상의 동작값으로부터 변동한 후의 경과 시간이다. 변동 경과 한계 시간은 변동 경과 시간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한계의 값 즉 허용 경과 시간이다. 통상의 동작값, 한계 동작값 및 변동 경과 한계 시간은 모두 미리 인가된 정수이다. 이에 반하여, 현재의 동작값 및 변동 경과 시간은 변수이다. 기기 제어부(25)는 제어 대상으로 하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각 기기의 현재의 동작값과 변동 경과 시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 상의 이들 변수를 시시각각 갱신한다. 변동 경과 시간은, 예컨대, 현재의 동작값이 통상의 동작값으로부터 변동했을 때에,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세트함으로써 용이하게 산출 가능하다.
도 4의 예에서는, CPU(11)에 대하여, 통상의 동작값으로서 200㎐를 유지하고, 현재의 동작값으로서 100㎐를 유지하고, 한계 동작값으로서 300㎐(상한) 및 50㎐(하한)을 유지하고, 변동 경과 시간으로서 5sec(초)를 유지하며, 변동 경과 한계 시간으로서 10sec를 유지하고 있다. 파워 앰프(14)와 같이, 동작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한계 동작값에는 상한과 하한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RAM(13)의 예 및 파워 앰프(14)의 예와 같이, 상한과 하한 중 한쪽 또는 쌍방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RAM(13) 및 HDD(12)에 대하여, 「On」이란 전원을 온하는 것, 즉 전력의 공급을 온하는 것을 의미하고, 「0ff」란 전원을 오프하는 것, 즉 전력의 공급을 오프하는 것을 의미한다.백라이트(15)에 관해서, 광도 설정 0∼5는 광도 0을 포함한 6단계의 광도의 설정값을 나타내고 있다.
임의의 기기에 대하여, 현재의 동작값이 한계 동작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기 제어부(25)는 총소비 전력의 보상을 실현하기 위한 당해 기기의 제어를 규제하기 위해서, 명령 변환 테이블(24)의 명령 중 당해 동작에 대응지어진 동작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동작값이 한계 동작값을 계속 초과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25)는 임의의 기기에 대하여 변동 경과 시간이 변동 경과 한계 시간을 초과하면, 총소비 전력의 보상을 실현하기 위한 당해 기기의 제어를 규제하기 위해서, 명령 변환 테이블(24)의 명령 중 당해 동작에 대응지어진 동작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따라서, 예컨대 「CPU(11)의 동작 클럭을 10㎐ 낮춘다」라는 명령이 변동 경과 한계 시간의 10sec를 지나서 실행된 경우에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에서 「CPU(11)의 동작 클럭을 10㎐ 낮춘다」라는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플래그가 1로 설정된다. 그 시점에서,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CPU(11)의 동작 클럭을 10㎐ 낮춘다」라는 명령을 선택할 수가 없게 된다. 그에 따라, 기기 제어부(25)는 「CPU(11)의 동작 클럭을 10㎐ 낮춘다」라는 명령에 따른 CPU(11)의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 제어 명령에 따른 CPU(11)의 동작이, 허용되는 한계 시간을 넘어서 더 연속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명령 변환 테이블(24)이 유지하는 정보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에 유지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갱신된다.
또한, 명령 변환 테이블(24)이 유지하는 정보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유지하고 있는 각 기기의 정보에 의해서도 갱신된다. 이미 예시한 바와 같이, 명령 변환 테이블(24)에는 특정한 하나의 기기에 대한 명령만이 유지되더라도 되고, 하나 이상의 기기에 대한 명령이 유지되더라도 된다. 명령 변환 테이블(24)에는 기기 제어부(25)가 제어할 수 없는 기기에 대한 명령은 유지되지 않는다.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새로운 기기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에는 추가된 기기에 관한 정보가 추가되고, 그에 따라, 명령 변환 테이블(24)에도 당해 기기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다. 새로운 기기를 추가하는 예로서, RAM(13)를 증설하여 기억 용량을 확장하는 경우, 프린터, 마우스 등의 외부 입출력 기기를 USB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 기기군(18)으로부터 임의의 기기가 제거되는 경우에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에는 제거된 기기에 관한 정보가 삭제되고, 또한, 명령 변환 테이블(24)에서도 당해 기기에 관한 정보가 삭제된다.
예컨대,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새로운 기기로서 프린터를 증설한 경우에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능을 실현하는 OS로서의 프로그램은 프린터의 증설을 용이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에 의해서,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에, 증설된 프린터의 소비 전력의 기록을 개시할 수 있고, 기기 제어부(25)는 증설된 프린터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OS에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이미 인스톨되어 있고, 이 프린터 드라이버에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에 유지해야 할 프린터에 관한 명령, 및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에 유지해야 할 통상의 동작값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서,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에, 증설된 프린터에 관한 명령을 추가할 수 있고, 기기 제어부(25)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에 프린터에 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동했을 때에는, 이 변동을 감쇠하도록, 변화해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이 감소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때의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와,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상기 전력 절약 효과를 비교하여,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쪽이 우수한 경우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전력 절약 결정부(23)에 출력하지 않는다. 총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이 감소를 억제하는 것보다도 감소하는대로 있는 편이 전력 절약 효과가 높고,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의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S101).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관리하고 있는 정보로부터 전력 소비 기기군(18)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2).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소비 전력이 변화하고 있었던 경우, 소비 전력이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판단한다(S103). 소비 전력이 변화하지 않고 있으면,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계속해서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있었던 경우,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해서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출력한다(S104). 총소비 전력이 감소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와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한 상기 전력 절약 효과를 비교하여(S105), 후자가 우수한 경우에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출력한다(S104). 전자가 우수한 경우에는, 재차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한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명령 변환 테이블(24)을 참조하여(S106), 입력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대응지어진 명령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력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대응하는 명령으로 변환한다(S107). 명령이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처리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정상 상태로 되돌아간다. 전력 절약 결정부(23)에 의해서 명령으로 변환되면(S107), 그 명령은 기기 제어부(25)로 출력되고, 기기 제어부(25)에 의해 명령이 실행된다(S108).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기 정보 관리부(21)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S201).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새로운 기기가 증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02), 증설되어 있는 경우는 그 기기가 제어 가능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그 기기가 제어 가능한 기기이면,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절약 결정부(23)의 명령 변환 테이블(24)에 그 기기에 대한 명령을 추가한다(S204). 단계 S203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제어 가능한 기기가 아닌 경우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계속해서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새로운 기기가 증설되지 않는 경우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가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감소되어 있던 경우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그 기기가 제어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단한다(S206). 제어 가능한 기기인 경우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절약 결정부(23)의 명령 변환 테이블(24)로부터 그 기기에 대한 명령을 삭제한다(S207). 단계 S205, S206에서 각각 아니오인 경우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기기의 정보를 관리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기 제어부(25)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기 제어부(25)는 명령에 따라서 임의의 기기 A를 제어한다(S301). 다음에, 기기 제어부(25)의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의 정보가 갱신된다(S302). 다음에, 기기 제어부(25)는 갱신된 현재의 동작값이 통상동작값으로부터 변화를 개시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계 경과 시간에 도달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3). 아니오인 경우, 기기 제어부(25)는 다음에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26)의 현재의 동작값이 제어 가능한 한계값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단계 S303 또는 S304에서 예인 경우, 기기 제어부(25)는 전력 절약 결정부(23)의 명령 변환 테이블(24)로부터 전술한 기기 A의 제어 선택을 회피시켜, 즉 대응하는 동작 플래그를 1로 설정하여(S305), 처리를 S303으로 되돌린다.
단계 S304에서 아니오인 경우, 기기 제어부(25)는 전력 절약 결정부(23)의 명령 변환 테이블(24)로부터의 전술한 기기 A의 제어 선택이 회피되어 있는지 여부, 즉 대응하는 동작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306). 회피되어 있는 경우는, 기기 제어부(25)는 회피를 해제하여, 즉 대응하는 동작 플래그를 0으로 해제하여(S307), 처리를 다음 명령 대기로 진행시킨다(S308). 회피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기기 제어부(25)는 처리를 다음 명령 대기로 진행시킨다(S308).
도 8∼도 11의 각각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검출하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전력 소비량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그에 대하여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기기 제어부(25)가 명령 실행 후의 총소비 전력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상단에서부터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또,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검출」하는 총소비 전력 대신에, 후술하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예측」하는 총소비 전력을 그래프에 나타내더라도, 결과는 마찬가지로 된다.
도 8의 곡선(51)은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관리하고 있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이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 일정 이상을 소비했을 때의 것이다. 이 때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시각 t1로부터 t2에 걸쳐서 곡선(52)과 같이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한다. 이 결과, 기기 제어부(25)가 명령 실행 후의 총소비 전력으로서는 곡선(53)과 같이 변동이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도 9의 곡선(61)은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관리하고 있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이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 일정보다도 적을 때의 것이다. 이 때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곡선(62)과 같이 결정한다. 이 결과, 전력 소비 기기군(18) 전체로서는 곡선(63)과 같이, 총소비 전력이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서 적어진다. 또 도 9는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쪽이,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보다도 우수하다고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판단한 경우에 해당한다.
도 10의 곡선(71)은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관리하고 있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이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 걸쳐 일정 이상으로 되고, 그 후에도 그 값을 유지할 때의 것이다. 이 때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곡선(72)과 같이 결정한다. 이 결과, 기기 제어부(25)가 명령 실행 후의 총소비 전력으로서는,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서는 곡선(73)과 같이 변동이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기기 제어부(25)의 제어에한계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시각 t2 이후에서, 기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킨 채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각 t2로부터 t3의 기간에 걸쳐 가능한 한 서서히, 제어한 기기의 소비 전력을 본래대로 되돌린다.
도 11의 곡선(81)은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관리하고 있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이, 시각 t1로부터 t2의 기간에서 일정보다도 적고, 그 후에도 그 값을 유지할 때의 것이다. 이 때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곡선(82)과 같이 결정한다. 이 결과,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은 곡선(83)과 같이 시각 t1로부터 t3의 기간에 걸쳐 적어진다. 또 도 11은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쪽이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보다도 우수하다고,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판단한 경우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또한 동작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총소비 전력의 변동이 있었던 후에,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기기의 소비 전력의 제어가 행하여질 때까지,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프로그램이 루프를 일순하는 미소한 시간만큼 지연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력 소비 기기군(18)에는 전원 전압의 평활화를 위한 콘덴서(30)(도 1)가 삽입되는 것이 통례이며, 그것에 의하여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일시적인 변동은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지연이 있더라도, 도 8∼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총소비 전력의 변동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시스템(200)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등, 전력 공급원(17)으로서 배터리가 이용되는 경우에,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를 절감한다고 하는 효과와는 별도의 기구를 통하여 시스템(200)의 사용 가능 시간을 더욱 길게 할 수 있다. 전력 공급원(17)으로서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소위, 배터리 잔량)가 일정값을 하회한 때에는, 시스템(200)은 「배터리 잔량없음」이라고 판단하여 동작을 종료한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배터리의 급격한 감소를 억제하기 때문에, 시스템(200)의 동작 종료까지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2는 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의 곡선(91)은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갖지 않는 종래의 시스템이 파악하는 배터리 잔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배터리 잔량이 적어졌을 때에, 기기의 전력 소비가 급격한 증가가 있었던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이 급격히 감소하고(시각 t91), 그 시점에서 시스템은 「배터리 잔량없음」이라고 판단하여 동작을 종료한다. 즉,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시각 t91에서 동작을 종료한다.
도 12의 곡선(92)은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갖는 시스템(200)이 파악하는 배터리 잔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 잔량이 적어졌을 때에 기기의 소비 전력의 급격한 증가가 있었던 경우에 있어서도(시각 t91), 배터리 잔량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그 결과,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갖는 시스템(200)은 본래의 「배터리 잔량없음」의 시점(시각 t92)까지 가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동작에 의해 총소비 전력의 변동이 억제되므로,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의 필요없는 소비가 억제되기 때문에, 곡선(9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잔량의 감소의 정도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서 완만해진다. 그 결과, 시스템(200)은 시각 t92보다 더 느린 시각 t93까지 가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명령 변환 테이블(24) 대신에,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과 기기로의 제어 명령과의 관계, 즉 변환의 규칙을 조건식의 형식으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건식은, 예컨대 전력 절약 결정부(23)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혹은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참조 데이터로서, RAM(13) 혹은 HDD(12)에 저장해 두면 된다. 예컨대,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x(W)로 했을 때,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변화시켜야 할 CPU(11)의 동작 클럭수 y(Hz)를, 유지하고 있는 y=a·x라는 조건식으로부터 취득하더라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20W라는 정보의 입력을 받으면, 그 정보에 근거하여, 예컨대 「CPU(11)의 헤르쯔 단위의 동작 클럭수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이라는 조건식(상기의 조건식에서 계수 a가 a=1인 예에 해당함)에 따라서,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20㎐ 지연시키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명령을 기기 제어부(25)로 출력한다.
CPU(11) 이외의 예를 들면, 「HDD(12)의 동작 회전수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 「동작시키는 RAM(13)의 개수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10」, 「파워 앰프(14)의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 「백라이트(15)의 밝기 정도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20」, 「통신용 CPU(16)의 헤르쯔 단위의 동작 클럭수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 등의 조건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명령 변환 테이블(24)의 내용이, 기기 정보 관리부(21)에 의해서 갱신되도록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구성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유지하는 조건식도 기기 정보 관리부(21)에 의해서 갱신되도록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기기 B에 관해서, 「기기 B의 ㎐ 단위의 동작 클럭수의 변화=변화시켜야 할 와트 단위의 소비 전력」이라고 하는 조건식에 의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기기 B의 변화시켜야 할 동작 클럭수가 결정되는 경우, 기기 B가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추가되면, 기기 정보 관리부(21)의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에 기기 B의 정보가 추가되고, 그것에 따라 상기의 관계식이 프로그램 혹은 참조 데이터에 추가된다.
예컨대, 상기의 조건식은 기기 B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기입되어 있고, 당해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능을 실현하는 OS로서의 프로그램에 인스톨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OS로서의 프로그램은, 예컨대RAM(13) 혹은 HDD(12)(본 발명의 기억부에 대응함)에 저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B의 시스템(200)으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의 조건식을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유지하는 프로그램 혹은 참조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조건식을,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유지하는 프로그램 혹은 참조 데이터에 추가하는 것은,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유지하는 프로그램이,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미리 기입되어 있는 조건식을 라이브러리로서 인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포함한다.
명령 변환 테이블(24)에 유지되는 명령이, 제어 상태 테이블(26)에 유지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 가능하게 되거나 선택 불능으로 되도록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구성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절약 결정부(23)가 유지하는 조건식도 제어 상태 테이블(26)에 유지되는 정보에 의해서, 참조 가능하게 되거나 참조 불능으로 되도록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명령 변환 테이블(24)의 동작 플래그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조건식과 대응지은 형태로(예컨대 조건식을 식별하는 부호와 함께), RAM(13), HDD(12) 혹은 CPU(11)이 갖는 도시하지 않은 레지스터로 유지하도록 하여,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당해 동작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동작 플래그가 0으로 해제되어 있는 조건식 중에서 참조해야할 것을 선택하면 된다.
(실시예 3)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여러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기기의 전원선에 저항기를 삽입하고, 이 저항기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계측함으로써, 각 기기에 흐르는 전원 전류를 취득하더라도 된다. 전원 전류와 소비 전력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원 전류를 검출하는 것은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것과 동등하다.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기능이, OS로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에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OS의 기능에 의해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소비 전력을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200) 내의 각 기기는 그 동작 상태를 기기 정보 관리부(21)에 출력하고,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시스템 내의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유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파악할 수 있다. OS가 가지는 이러한 기능은 퍼스널 컴퓨터에 탑재되는 OS의 기능으로서 종래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OS의 기능에 근거하여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전원 전류를 계측하기 위한 저항 소자 등이 특별한 하드웨어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류를 계측함으로써,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을 검출하더라도 된다. 예컨대, 전력 공급원(17)이 공급하는 전원 전류가 흐르는 전원선에 저항기를 삽입하고, 이 저항기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계측함으로써, 전력 공급원(17)이 공급하는 전원 전류를 취득할 수 있다. 전력 공급원(17)이 공급하는 전원 전류와, 전력 공급원(17)이 공급하는 전력, 즉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공급원(17)이 공급하는 전원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검출한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출력한다.
또, 소비 전력의 검출이 어떠한 형태로 행하여지더라도, 총소비 전력이 감소한 경우에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때의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와,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상기 전력 절약 효과를 비교하여, 총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전력 절약 효과가 우수한 경우는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 가능하다는 점은 실시예 1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의 정보 관리부(21)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대신에,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것에 의해서,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직접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파악한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전력에 어떤 일정한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그 일정한 패턴으로부터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미래의 총소비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그 경우,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예측한 총소비 전력에 근거하여,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해서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출력한다. 이러한 예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화 패턴을 RAM(13) 또는 HDD(12) 등에 유지해 두면 된다.
이하에,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임의의 기기 C의 동작 상태가 2종류 존재하고, 그 2종류의 동작 상태에는 각각 소비 전력(와트)이 도 13과 같이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는, OS의 기능으로서, 기기 C의 2종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소비 전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시각 t11에서 기기 C의 동작 상태의 정보를 취득했을 때, 기기 C의 소비 전력은 W1로부터 W2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C의 미래의 소비 전력을 W3으로 예측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도 2)에 기기 C의 현재의 소비 전력으로서 미래값 W3을 유지하고,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을 결정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또한, 결정한 총소비 전력과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에 유지되는 전회의 총소비 전력으로부터 총소비 전력의 변동량을 산출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산출한 총소비 전력의 변동량으로부터,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하나 내지 그 이상의 어떠한 기기에 대하여 변화시켜야 할 소비전력을 결정해서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전달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시각 t12에서 기기 C의 동작 상태의 정보를 취득했을 때, 기기 C의 소비 전력은 W3으로부터 W2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C의 미래의 소비 전력을 W1이라고 예측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정보 관리 테이블(22)(도 2)에 기기 C의 현재의 소비 전력으로서 미래값 W1을 유지하고,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을 결정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여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전달한다. 이러한 예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기기 C의 소비 전력의 변화 패턴, 예컨대 소비 전력으로서 W1과 W3의 2개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는 변화의 패턴을 RAM(13) 또는 HDD(12) 등에 유지해 두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에서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전력 소비 기기군(18)에 속하는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 혹은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하고, 예측한 값에 근거하여,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기 때문에,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기기의 제어가 시간 지연없이 실현된다. 이 때문에, 총소비 전력의 변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가 기기 정보 관리부(21)를 구비했지만, 기기 정보 관리부(21)를 구비하지 않은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에서 하나 이상의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이 변화했을 때, 이들 기기는 변화한 소비 전력의 정보를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출력하도록 전력 절약 연산 장치(101)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변화한 소비 전력의 정보로부터 그 변화를 상쇄하는 소비 전력의 변화가 가능한, 특정한 하나 이상의 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을 결정해서 기기 제어부(25)로 출력한다. 기기 제어부(25)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특정한 하나 이상의 기기 제어를 실행한다.
예컨대, 파워 앰프(14)의 소비 전력이 10와트 증가했을 때, 그 변화한 소비 전력의 정보인 10와트라는 정보가 전력 절약 결정부(23)로 출력된다. 전력 절약 결정부(23)는 10와트 증가했다고 하는 정보로부터, 그 변화를 상쇄하는 소비 전력의 변화, 즉 10와트 줄인다고 하는 명령을 「CPU(11)의 소비 전력을 10와트 줄인다」, 즉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10㎐ 줄인다」라고 하는 정보로 변환해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는 「CPU(11)의 동작 클럭수를 10㎐ 줄인다」라고 하는 명령을, 예컨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어셈블러 명령으로 변환함으로써 명령대로 기기를 제어한다.
(기타 실시예)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기기 정보 관리부(21)가 전력 소비 기기군(18)의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즉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보상하도록 전력 소비 기기군(18) 내의 하나 이상의 어떠한 기기에 대하여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였다. 따라서,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이 +20W이면,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20W를 출력하였다. 그러나,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도달하지 않을 정도, 즉 완화하는 정도로,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더라도 된다. 예컨대,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이 +20W인 경우에,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으로서 -10W를 출력하더라도 된다. 그것에 의해, 총소비 전력의 변동이 완화되어,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킨다고 하는 효과는 상응으로 얻어진다.
즉 일반적으로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총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보상하는 것, 완화하는 것의 쌍방을 포함함)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면 된다. 단, 총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기기 정보 관리부(21)는 전력 공급원(17)으로서의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에 따라서, 총소비 전력의 감소를 억제하는 대신에, 그대로 감소하는 대로 해도 되는 점은 실시예 1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은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산업상 유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배터리를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원으로 한 경우에, 당해 배터리의 전력 절약 성능을 향상시켜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Claims (13)

  1.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고, 상기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해서 출력하는 기기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전력 절약 결정부와,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가 출력하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는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는 상기 규칙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로서 추가 가능한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추가 가능한 기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로의 추가가 있었던 경우에, 추가된 상기 기기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규칙을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에 유지시키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각각에 대하여 동작 내용과 동작의 허용 범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상기 동작 내용이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에 대해서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출력을 금지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각각에 대하여 동작 내용과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의 허용 경과 시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어 상태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상기 동작 내용이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으로 이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상기 허용 경과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절약 결정부에 대해서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출력을 금지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변동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를 억제했을 때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가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감소에 의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전력 절약 효과보다도 우수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각각의 소비 전력의 변화 패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화 패턴을 유지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패턴과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미래값을 예측하고,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으로서 미래에서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해서 출력하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연산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전력 절약 연산 장치.
  10.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상기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에 따라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절약 연산 방법.
  11. 컴퓨터에,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2. 컴퓨터에,
    전력을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한 상기 전체의 소비 전력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변화시켜야 할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신호 유지 매체
    를 구비하는 프로그램 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유지 매체가 기록 매체와 전송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인 프로그램 제품.
KR1020040015748A 2003-03-10 2004-03-09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 KR20040081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3291 2003-03-10
JPJP-P-2003-00063291 2003-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301A true KR20040081301A (ko) 2004-09-21

Family

ID=3290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748A KR20040081301A (ko) 2003-03-10 2004-03-09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40623B2 (ko)
EP (1) EP1469370A2 (ko)
KR (1) KR20040081301A (ko)
CN (1) CN10037703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93Y1 (ko) 2017-04-20 2017-08-31 정지영 휴대용 코 스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3525B2 (en) * 2004-10-07 2008-04-22 Cisco Technology, Inc. Bidirectional inline power port
US7383451B2 (en) * 2005-02-18 2008-06-03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rolling power usage of computing device components in holistic manner
JP4794370B2 (ja) * 2006-06-20 2011-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省電力とパフォーマンスを両立した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記憶制御方法
US20100194524A1 (en) * 2009-02-02 2010-08-05 Richard John Campero Home Network Control Node for Device Control and Energy Conservation
US8600574B2 (en) * 2009-05-19 2013-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pecification of power supply sources
JP5440128B2 (ja) * 2009-11-27 2014-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節電通知システム、端末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43241B2 (ja) * 2010-03-11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098392B (zh) * 2011-01-25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终端的节能装置和方法
CN102915105A (zh) * 2011-08-01 2013-02-06 浪潮乐金数字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省电方法
TW201310221A (zh) * 2011-08-17 2013-03-01 Askey Technology Jiang Su Ltd 電源管理系統及方法
CN103558905A (zh) * 2011-10-12 2014-02-05 亚旭电子科技(江苏)有限公司 电源管理系统及方法
US9753528B2 (en) * 2011-12-21 2017-09-05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facilitating power extension service at computing devices
JP6047894B2 (ja) 2012-01-12 2016-12-21 オムロン株式会社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3106923A1 (en) * 2012-01-20 2013-07-25 Energy Aware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of compiling and organizing power consumption data and converting such data into one or more user actionable formats
US9087114B2 (en) 2012-02-24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al current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223376B2 (en) 2012-03-23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electrical current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when two or more communications overlap in drawing power during a transmission
US9275690B2 (en) 2012-05-30 2016-03-01 Tahoe Rf Semiconductor, Inc. Power management in an electronic system through reducing energy usage of a battery and/or controlling an output power of an amplifier thereof
US9509351B2 (en) 2012-07-27 2016-11-29 Tahoe Rf Semiconductor, Inc. Simultaneous accommodation of a low power signal and an interfering signal in a radio frequency (RF) receiver
US9837714B2 (en) 2013-03-15 2017-12-0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a circular configuration thereof
US9722310B2 (en) 2013-03-15 2017-08-01 Gigpeak, Inc.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frequency multiplication
US9780449B2 (en) 2013-03-15 2017-10-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Phase shift based improved reference input frequency signal injection into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o reduce a phase-steering requirement during beamforming
US9184498B2 (en) 2013-03-15 2015-11-10 Gigoptix, Inc.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fine control of a tunable frequency of a tank circuit of a VCO thereof
US9716315B2 (en) 2013-03-15 2017-07-25 Gigpeak, Inc. Automatic high-resolution adaptive beam-steering
US9666942B2 (en) 2013-03-15 2017-05-30 Gigpeak, Inc. Adaptive transmit array for beam-steering
US9531070B2 (en) 2013-03-15 2016-12-27 Christopher T. Schiller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accommodating differential coupling between VCOs thereof
CN103529921A (zh) * 2013-10-18 2014-01-22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密度服务器的热插拔供电的设计方法
CN104102320A (zh) * 2014-08-06 2014-10-15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gpu下满足主板供电的方法
US9971535B2 (en) * 2014-11-05 2018-05-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versio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compu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6444933B2 (ja) * 2016-04-25 2018-12-2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非切削状態において消費電力低減を行う数値制御装置
CN113703560B (zh) * 2021-09-06 2024-02-06 百富计算机技术(深圳)有限公司 设备供电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587A (ja) 1995-05-15 1996-11-29 Nec Corp 省電力電源回路
US6167524A (en) * 1998-04-06 2000-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battery utilization in portable personal computers
JP2000148310A (ja) * 1998-11-04 2000-05-26 Nec Yonezawa Ltd 携帯用情報機器の選択型電源供給システム
JP3297389B2 (ja) * 1998-12-07 2002-07-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消費電力制御方法および電気機器
US6826704B1 (en) * 2001-03-08 2004-11-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Microprocessor employing a performance throttling mechanism for power management
US6839854B2 (en) * 2001-08-27 2005-01-04 Intel Corporation Voltage regulation for computer system components that increases voltage level when a component enters a sleep state as indicated by a power state status sig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93Y1 (ko) 2017-04-20 2017-08-31 정지영 휴대용 코 스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0623B2 (en) 2008-03-04
CN1530798A (zh) 2004-09-22
CN100377038C (zh) 2008-03-26
US20040181660A1 (en) 2004-09-16
EP1469370A2 (en)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1301A (ko) 전력 절약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및 전력 절약 연산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제품
TWI448883B (zh) 電力管理系統及方法
EP1422595B1 (en) Adjusting voltage supplied to a processor in response to clock frequency
JP5160033B2 (ja) 複数のタイム・フレームに関して電力測定および省電力を行う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調整技術
US77029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hybrid power management mode for a computer with a multi-core processor
EP14836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low power mode for a processor
KR101519082B1 (ko) 슬리프 프로세서
US5787294A (en) System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computer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0900493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Voltage and Frequency Scaling (DVFS)
JP2007048219A (ja) 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CN101598969A (zh) 基于等待时间准则的平台功率管理
US8810065B2 (en) Method to reduce system idle power through system VR output adjustments during Soix states
US101687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ustained thermal power envelope comprising multiple heat sources
JP2010191951A (ja) 電子機器、その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33641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JP2007122657A (ja) 消費電流制御システム
KR101000555B1 (ko) 동적 전력관리 프로세서의 소음저감장치 및 방법
JP2004295876A5 (ko)
JP2004295876A (ja) 省電力演算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省電力演算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20090084255A (ko)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36765B1 (ko) 동적 전력관리 프로세서의 소음저감장치 및 방법
TWI447573B (zh) 電子裝置以及電力控制方法
KR100934243B1 (ko)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씨피유 클럭 주파수 제어방법
JPH09288527A (ja) 消費電力低減回路
KR20040103186A (ko) 휴대단말기의 전원 절약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