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748A -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748A
KR20040078748A KR1020030013579A KR20030013579A KR20040078748A KR 20040078748 A KR20040078748 A KR 20040078748A KR 1020030013579 A KR1020030013579 A KR 1020030013579A KR 20030013579 A KR20030013579 A KR 20030013579A KR 20040078748 A KR20040078748 A KR 2004007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main storage
card
storage
char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03001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8748A/ko
Publication of KR2004007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안치가능한 납골함 개수를 증대시키며, 사용자 편의성 및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킨 납골 관리자동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이 개시된다.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하는 중앙제어부,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외부로부터 인가받아서 내부에 기록된 정보를 송신 및 갱신하는 RF 카드가 외부에 각각 부착된 복수개의 납골함, 상기 납골함을 순차적으로 적층 보관하는 메인보관소(main storage), 상기 RF 카드로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RF 카드 내부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복수개의 RF 카드리더기,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납골함을 분향소에서 상기 메인보관소로 이송하는 제1 운반수단(transport system) 및 상기 메인보관소에서 임시보관소(buffer storage)로 이송하는 제2 운반수단을 포함한다.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은 RF 카드가 외부에 부착된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에 의하여 봉안실에서 메인보관소로 이송한다. 상기 메인보관소에 안치된 상기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로 RF 카드리더기가 상기 RF 카드를 읽어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임시보관소로 이송하며, 상기 임시보관소에 있는 납골함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분향실로 이송한다.

Description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LAYING ASHES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OF LAYING ASHES MANAGEMENT AUTOMATION}
본 발명은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이면서 안치 가능한 납골함 개수를 증대시키며, 사용자 편의성 및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킨 납골 관리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례의 형태는 문화와 관습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개략적으로 매장과 화장으로 분류할 수가 있을 것이고, 화장된 유골은 사각형상의 납골함에 담겨져 특정 장소에 안치된다.
이러한 유골함이 안치된 장소는 늦은 밤에 지나가기가 꺼림칙한 기분이 드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조상의 유골을 안치시킨 유족의 마음을 편치 못하게 하고, 자주 찾아가지 못하게 하는 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납골함을 안치하는데 지나치게 고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이것은 단위 면적당 안치가능한 납골함의 개수가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납골문화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납골당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납골당에는 납골함이 설치되어 이 납골함에 화장된 유골을 보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옥내형 납골당(1)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납골함(3)을 안치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홈(5)이 전면으로 형성된 몸체(7)와 각각의 수납홈(5)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5)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측면에는 힌지부(9)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잠금장치(11)가 설치된 도어(13)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3)에는 비표를 꽂을 수 있는 비치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납골당(1)을 통하여 망자의 유골이 담긴 납골함(3)의 보관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13)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힌지부(9) 및 잠금장치(11)를 통하여 상기 수납홈(5)을 개방 및 차단한다.
또한, 상기 도어(13)의 전면에 형성된 비치부(15)에 망자의 인적사항을 담은 비표를 꽂아 추후에 망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납골당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납골당의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수의 납골함을 안치시켜야 하나, 종래 납골함의 형태로는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둘째, 납골당 시설(건축설비) 비용이 과다하며, 관리비만으로는 시설관리 및 추가투자에 대한 경제성이 떨어진다.
세째, 재래식 시설로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든다.
네째, 명절 등 특수기 참배객 집중화에 대한 수용방법이 없으며, 공동시설로 분향 장소가 협소하고 혼잡하다.
다섯째, 개방형 공간으로 참배객의 프라이버시 보장이 어려우며, 납골장소에 일반 참배객들이 제한 없이 직접 출입하므로 항온, 항습, 항균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여섯째, 단순 참배 및 분양만 가능하여 부가적인 서비스(제사, 예배, 기타 추모행사 등)가 어렵다.
그 밖에, 시설보수 및 증설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며, 단순 납골시설로 혐오시설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정된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수를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형 공간이 아닌 항온, 항습, 항균 처리된 제한된 공간에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내형 납골당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보관소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운반수단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관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중앙제어부
103a, 103n, 127, 127a, 127b : 납골함
104 : 메인보관소 105a, 105n : RF 카드
107 : 카드리더기 109 : 봉안실
111, 117a, 117n : 임시보관소 113, 115 : 제1 및 제2 운반장치
119a, 119n : 분향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하는 중앙제어부,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외부로부터 인가받아서 내부에 기록된 정보를 송신 및 갱신하는 RF 카드가 외부에 각각 부착된 복수개의 납골함, 상기 납골함을 순차적으로 적층 보관하는 메인보관소(main storage), 상기 RF 카드로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RF 카드 내부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복수개의 RF 카드리더기,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납골함을 분향소에서 상기 메인보관소로 이송하는 제1 운반수단(transportsystem) 및 상기 메인보관소에서 임시저장소(buffer storage)로 이송하는 제2 운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관소는 다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몸체 및 납골함을 수납홈에 안치 또는 반출하는 적층 크레인(stacker crane)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메인보관소는 크린 설비를 채택하여 항균 항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운반수단은 OHT(overhead transfer), OHC(overhead conveyer) 시스템 또는 자동안내차량(automation guided vehicle; AGV)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은 먼저, RF 카드가 외부에 부착된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에 의하여 봉안실에서 메인보관소로 이송한다. 이어서, 상기 메인보관소에 안치된 상기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로 RF 카드리더기가 상기 RF 카드를 읽어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임시보관소로 이송하며, 상기 임시보관소에 있는 납골함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분향실로 이송한다. 분향실에서 분향을 마친 납골함은 다시 메인보관소로 이송하여 지정된 장소에서 보관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에는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하는 중앙제어부(101)와, 장례자의 유골이 보관되는 제1 내지 제n 납골함(103a, 103n)이 저장된 메인보관소(10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 납골함 외부에 부착되어 해당 유골에 대한 정보가 각각 기록된 제1 내지 제n RF 카드(105a, 105n)와, 근접한 RF 카드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다수의 카드리더기(10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한 후에 납골함을 봉안실(109)에서 상기 메인보관소(104)로 이동하기 위한 제1 운반장치(113)를 포함한다. 상기 봉안실(109)과 상기 제1 운반장치(113) 사이에는 임시보관소(1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관소(104)에서 보관되는 납골함(103a, 103n)은 관련 유족이나 지인이 분향실(119a, 119n)에 방문할 경우에 납골함의 메인보관소(104)로부터 제2 운반장치(115)를 통하여 해당 분향실(119a, 119n)로 이송된다. 이 때, 직접 이송하지 않고 방문예약건이 생기면 방문시간 이전에 미리 임시보관소(117a, 117n)에 이송해두었다가 방문시간에 임시보관소(117a, 117n)로부터 해당 분향소(119a, 119n)로 이송하여 분향예식을 진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명절과 같이 일시에 수많은 방문객이 밀려드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방문시각에 발생할 수도 있는 납골함의 이송에 따른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임시보관소(117a, 117n)는 각각의 분향소마다 설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몇 개의 분향소마다 한개씩 설치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보관소(104)를 나타내는도면들이다.
도 3a는 메인보관소의 납골함 몸체(1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메인보관소의 납골함 몸체(12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몸체(121)에는 대규모의 납골함이 안치되는 수납부(121)가 마련되어 있으며, 납골함이 상기 수납부에 안치되거나 반출되는 경우에는 자동화된 적층 크레인(125)을 사용하게 된다.
도 3c는 자동화된 적층 크레인(125)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크레인(125)은 중앙제어부에서 발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몸체(121) 사이에 형성된 베이(bay, 126)를 따라서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하여 원하는 수납부에 납골함(127)을 안치 또는 반출하게 된다.
상기 메인보관소(104)는 크린룸으로 이루어져 참배객들의 출입이 제한되며 항온, 항습, 항균에 대한 시설이 이루어져 유골의 부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의 몸체(121)는 많은 납골함이 안치될 수 있는 수납부(123)를 포함하여 경제적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운반수단(113, 115)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운반수단은 무인운반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 4a는 OHT(overhead transfer) 또는 OHC(overhead conveyer)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4b는 자동안내차량(automation guided vehicle; AGV)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OHT(또는 OHC) 시스템은 천장에 선형레일(131)을 설치하고 이 선형레일에 행거(133a, 133b)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행거(133a) 아래에 납골함(127a)를 매달아 선형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고 지정된 임시보관소 또는 메인보관소의 거치대(135a)에 내려놓거나 또는 거치대(135b)에 놓여있는 납골함(127b)를 끌어올려 선형레일을 타고 지정된 지정된 다른 임시보관소 또는 메인보관소로 이동한 다음 거치대에 내려 놓는 방식으로 납골함을 전달한다. 상술한 시스템은 상기 납골함을 매달아서 이동하지 않고, 모노레일이나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AGV 시스템은 다축관절을 갖는 자동유도차량(137a, 137b)을 이용하여 납골함(127a, 127b) 매달아 이동하고 지정된 임시보관소 또는 메인보관소의 거치대(135a, 135b)에서 로딩하거나 또는 언로딩한다. 상술한 시스템은 상기 납골함을 매달아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자동유도차량(137a, 137b)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관소(117)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임시보관소(117)의 일측 하부에는 납골함이 내부로 인입 및 배출될 때 상기 납골함을 지지하는 입출부(13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시보관소 내부 일면에 납골함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고정판(14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임시보관소의 내부 양측에는 지지바(1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143)의 사이에는 지지바의 안내를 받으며 승강하는 승강바(1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바(145)의 저면에는 파지암(147)이 구비된 이동블록(149)이 설치되어 있다.
납골함을 임시보관소(117)의 내부에 보관하기 위하여 이송로봇에 의하여 입출부(139)의 상부에 납골함(127)이 안착되면 임시보관소(117)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바(145)는 납골함(127)의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바(147)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블록(149)이 납골함이 설치된 입출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블록(149)의 하부에 설치된 파지암(147)이 납골함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암(147)이 별도의 구동장치(도면에는 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납골함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납골함이 고정되면 상기 승강바(145) 및 이동블록(149)이 작동되므로 상기 납골함이 이동되며 이와같이 이동된 납골함은 임시보관소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판(141) 중 어느 일측에 안착 보관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141)의 상부에 안착된 납골함을 납골함을 이동시킬 때에는 상술한 동작을 역방향으로 반복하면 상기 납골함은 분향소측의 입출부(도면에는 미도시)의 상부로 이동되며 이와같이 이동된 납골함은 분향실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분양된 RF 카드가 외부에 부착된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에 의하여 봉안실(109)에서 제1 운반장치(111)를 통하여 메인보관소(113)로 이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보관소에 안치된 상기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로 RF 카드리더기가 상기 RF 카드를 읽어 제2 운반수단(115)으로 옮겨서 임시보관소(117)로 이동하다. 상기 임시보관소(117)에 저장된 상기 납골함은 지인이나 참배객의 요청에 의하여 분향소(119)로 인출되게 된다.
분향소에서 분향을 마친 상기 납골함은 다시 임시보관소(117)에 반입되며, 임시보관소(117)에서 제2 운반수단(115)을 통하여 메인보관소(113)에 안치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납골 자동화 장치로서 제한된 공간에 다수의 납골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납골당 시설(건축설비) 비용이 저렴하고 자동화 시설로 유지 관리 비용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은 명절과 같은 특정일에 일시적으로 방문 추모할 경우에도 납골함자동화설비의 임시보관소에 미리 납골함을 배치해둠으로써 메인보관소와 분향소 사이의 운송시 발생할 수도 있는 병목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관리가능한 납골함 개수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개인 및 가족 단위의 분향소가 마련되어 안락하면서도 참배객들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또한, 납골함이 보관되는 메인보관소는 첨단 설비로 크린룸 형식을 채택하여 항온, 항습, 항균이 보장되므로 고객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경우, 장묘법 개정에 의한 화장, 납골문화로의 정부시책 방향에 적극 참여할 수 있고, 좁은 국토의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기여하며, 분산된 분묘를 한 곳에 모음으로써 성묘 및 관리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하는 중앙제어부;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외부로부터 인가받아서 내부에 기록된 정보를 송신 및 갱신하는 RF 카드가 외부에 각각 부착된 복수개의 납골함;
    상기 납골함을 순차적으로 적층 보관하는 메인보관소(main storage);
    상기 RF 카드로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RF 카드 내부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복수개의 RF 카드리더기; 및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납골함을 분향소에서 상기 메인보관소로 이송하는 제1 운반수단(transport system) 및 상기 메인보관소에서 임시저장소(buffer storage)로 이송하는 제2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소는 분향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관소는 다수의 수납홈이 마련된 몸체 및 납골함을 수납홈에 안치 또는 반출하는 적층크레인(stacker cra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관소는 크린 설비를 채택하여 항온, 항균, 항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운반수단은 OHT(overhead transfer), OHC(overhead conveyer) 시스템 또는 자동안내차량(automation guided vehicle; AGV)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6. RF 카드가 외부에 부착된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에 의하여 봉안실에서 메인보관소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보관소에 안치된 상기 납골함을 중앙제어부에서 발한 신호로 RF 카드리더기가 상기 RF 카드를 읽어 제1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임시보관소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임시보관소에 있는 납골함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분향실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향실에 있는 납골함을 제2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메인보관소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KR1020030013579A 2003-03-05 2003-03-05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KR20040078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579A KR20040078748A (ko) 2003-03-05 2003-03-05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579A KR20040078748A (ko) 2003-03-05 2003-03-05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48A true KR20040078748A (ko) 2004-09-13

Family

ID=3736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579A KR20040078748A (ko) 2003-03-05 2003-03-05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87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49B1 (ko) * 2020-06-10 2021-03-05 이정곤 자동화 봉안함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49B1 (ko) * 2020-06-10 2021-03-05 이정곤 자동화 봉안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7834B1 (en) Carrying system
US20110044792A1 (en) Facility And Method For Interment And Automated Retrieval Of Interred Subjects
WO2004034438A3 (en) Access to one or more levels of material storage shelves by an overhead hoist transport vehicle from a single track position
ES2937918T3 (es) Un sistema para proporcionar almacenamiento y recuperación seguros de contenedores de almacenamiento personal a través de un área de interacción
TW200911654A (en) Storage, transporting system and storage set
KR20040081842A (ko) 자동화 납골보관소
KR20040078748A (ko) 납골관리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골관리 자동화 방법
JP2004217379A (ja) 処理及び保管設備
KR102558458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KR20180107740A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JPS59192165A (ja) 慰霊施設
JP4116641B2 (ja) 自動保管システム
KR20220162311A (ko) 택배 자율 배송 시스템 및 그의 자율 배송 방법
KR102224149B1 (ko) 자동화 봉안함 관리 시스템
JP7317489B2 (ja) 運搬システム
KR100219114B1 (ko) 납골보관장치
JP3100031B2 (ja) 納骨保管装置
JP3778880B2 (ja) 祭壇装置
WO2023017609A1 (ja) 宅配ボックス及び荷物搬送システム
JP6589731B2 (ja) 祭祀設備
US10724266B2 (en) 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WO2023017614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荷物搬送システム
JP2001343621A (ja) 液晶表示装置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3057560B2 (ja) 立体祭壇装置における祭礼用容器の展示装置
EP4197939A1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storage building and data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